KR102439030B1 -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030B1
KR102439030B1 KR1020200121169A KR20200121169A KR102439030B1 KR 102439030 B1 KR102439030 B1 KR 102439030B1 KR 1020200121169 A KR1020200121169 A KR 1020200121169A KR 20200121169 A KR20200121169 A KR 20200121169A KR 102439030 B1 KR102439030 B1 KR 102439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ding
lifting
wir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856A (ko
Inventor
김갑영
유세환
김상국
한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
Priority to KR102020012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0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0Drying; Impreg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도체를 연속적으로 열처리 할 수 있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Electrically assisted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compressed conductor}
본 발명은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도체를 연속적으로 열처리 할 수 있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전력 또는 전기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나선(裸線)과 절연전선의 두 종류가 있다. 나선은 일반적으로 구리로 만들며, 단선과 연선으로 다시 나눈다. 절연전선은 나선의 겉을 고무나 에나멜과 같은 절연물질로 둘러싼 것이다.
전선이나 케이블의 종류에는 절연전선, 코드, 고압 케이블, 저압 케이블 및 나전선 등이 있다. 도체로는 동(연동 및 경동), 알루미늄 합금, 동합금 등이 사용된다. 절연체나 보호 피복 재료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합성수지의 발달로 거의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용 전선(wire)은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열 및 오일 등의 오염에 의하여 견딜 수 있도록 심선의 유연성과 절연 피복층의 견고성이 요구된다.
자동차용 전선은 절연피복층의 종류에 의하여 AV, AVS, AVSS 등으로 구별이 되고, 심선의 압축정도에 의하여 CAV, CAVSS 등으로 구별된다. 또한, 심선의 유연성에 의하여 AVF 등으로 구별된다.
더욱이, 자동차용 전선의 경우 포설이 용이하도록 제품 외경 감소 및 경량화가 요구되므로 전기적 특성의 표준 규격을 만족하면서도 외경의 감소와 경량화를 달성하는 압축도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도체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990-000234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3-0118097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스팀에 의한 열처리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소둔 과정에서 건조기 내부에 수분이 잔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4510호에는 경량화 압축도체 전선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경량화 압축도체 전선 제조장치는 크게 권취된 압축도체가 송출되는 송출부, 송출된 압축도체를 열처리하는 소둔부, 열처리된 압축도체가 권취되는 권취부로 이루어지며, 송출 및 권취되는 압축도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가 마련된다.
한편, 송출부에서 권취부로 압축도체가 이동이 완료되면, 송출부에 압축도체가 권취된 보빈으로 다시 교체해주고, 권취부에는 열처리된 압축도체가 권취된 보빈을 탈거 후 압축도체가 권취되지 않은 보빈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의 경량화 압축도체 전선 제조장치의 압축도체가 권취된 보빈은 하중이 커, 송출부에 장착 또는 권취부에 탈착 시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며 안전사고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처리된 압축도체의 균일한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권취부의 보빈에 열처리된 압축도체가 동일한 두께를 이루면서 권취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52316호 : 압축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4510호 : 경량화 압축도체 전선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처리가 필요한 압축도체가 권취된 송출보빈과, 열처리된 압축도체가 권취된 회수보빈의 탈부착이 용이한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된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처리된 압축도체가 회수보빈에 균일한 두께로 권취될 수 잇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는 압축된 선재가 권취된 송출보빈이 회전가능하며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선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와, 상기 제1장력조절부에서 송출된 상기 선재에 전기를 흘려 저항열을 가해주어 열처리하는 열처리부와, 상기 열처리부에서 열처리되어 인출되는 상기 선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와, 상기 제2장력조절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선재를 권취하기 위한 회수보빈이 회전가능하며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처리부는 상기 송출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선재에 낮은 전압으로 서서히 열을 가해주는 제1 및 제2 예열롤러와,상기 제1 및 제2 예열롤러에서 열을 가해진 상기 선재가 투입되어, 질소가스 분위기를 조성하는 가열 챔버와 상기 가열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소둔유닛과, 상기 소둔유닛을 통과한 상기 선재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는 상기 선재가 권취된 상기 송출보빈이 측방향으로 진입되어 상기 선재가 상방으로 송출되게 일측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송출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송출보빈을 상방으로 들어돌리는 제1리프팅유닛과, 상기 제1리프팅유닛에 상승된 상기 송출보빈의 일단 중심측이 제1구동풀리와 결합되게 상기 송출보빈의 타단 중심측을 상기 제1구동풀리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송출보빈 및 상기 제1구동풀리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1가압회전축과, 상기 제1가압회전축을 상기 제1구동풀리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회전축 진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선재가 권취되지 않은 상기 회수보빈이 측방향으로 진입되고 상기 열처리부에서 송출된 상기 선재가 상방으로 권취되게 타측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수하우징과,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회수보빈을 상방으로 들어돌리는 제2리프팅유닛과, 상기 제2리프팅유닛에 상승된 상기 회수보빈의 일단 중심측이 제2구동풀리와 결합되게 상기 회수보빈의 타단 중심측을 상기 제2구동풀리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수보빈 및 상기 제2구동풀리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2가압회전축과, 상기 제2가압회전축을 상기 제2구동풀리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프팅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제2수용공간의 하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상기 송출보빈 또는 상기 회수보빈이 안착되는 승강판과, 상기 선재 인출방향인 제1방향에 나란하게 길이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승강판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승강조작레버와, 각 상기 승강조작레버의 일단에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승강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승강로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승강조작실린더와, 상기 승강로드 상승시 상기 승간판이 수평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상하로 중첩된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며 각 일단이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조작레버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두 쌍의 승강지지링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구동풀리와 마주하도록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가압회전축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구동풀리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진퇴가능하게 관통되는 진퇴지지부쉬와, 상기 진퇴지지부쉬에 인접하며 나란하도록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을 관통하는 진퇴조작실린더본체와, 상기 진퇴조작실린더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에 멀어지거나 인접한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진퇴조작로드를 포함하는 진퇴조작실린더와; 상기 선재 인출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상기 진퇴조작실린더본체와 상기 진퇴지지부쉬를 연결하며 일측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회전축이 관통하고 타측으로 상기 진퇴조작로드가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회전축에 나란하게 관통하는 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와 나란하며 상기 진퇴조작로드의 단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회전축의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진퇴조작로드 진퇴시 상기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가압회전축을 대응되게 위치이동시키는 진퇴가이드 이동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는 송출보빈에 권취된 선재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통전을 통해 열처리되고 건조되어 회수보빈에 권취되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는 제1 및 제2리프팅유닛을 통해 송출보빈과 회수보빈을 승강시킬 수 있고, 제 1 및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을 통해 송출보빈과 회수보빈을 제1 또는 제2구동풀리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어 송출보빈과 회수보빈 탈착,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축도체 열처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송출부에 대한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압축도체 열처리장치의 송출부 또는 회수부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압축도체 열처리장치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1장력조절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열처리부에 대한 일부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회수부에 대한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권취가이드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다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10)는 압축도체인 선재(W)를 풀림 열처리하는 것으로서, 압축된 선재(W)가 권취된 송출보빈(23)이 회전가능하며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송출부(20)와, 송출부(20)에서 송출되는 선재(W)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80)와,제1장력조절부(80)에서 송출된 선재(W)에 전기를 흘려 저항열을 가해주어 열처리하는 열처리부(110)와, 열처리부(110)에서 열처리되어 인출되는 선재(W)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160)와, 제2장력조절부(230)에서 인출되는 선재(W)를 권취하기 위한 회수보빈(203)이 회전가능하며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수부(200)를 구비한다.
송출부(20)는 선재(W)가 권취된 송출보빈(23)이 측방향으로 진입되어 선재(W)가 상방으로 송출되게 일측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공간(22)이 형성된 송출하우징(21)과, 제1수용공간(22) 내에서 송출보빈(23)을 상방으로 들어돌리는 제1리프팅유닛(25)과, 제1리프팅유닛(25)에 상승된 송출보빈(23)의 일단 중심측이 제1구동풀리(67)와 결합되게 송출보빈(23)의 타단 중심측을 제1구동풀리(67) 방향으로 가압하여 송출보빈(23) 및 제1구동풀리(67)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1가압회전축(46)과, 제1가압회전축(46)을 제1구동풀리(67)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회전축 진퇴유닛(50)과, 제1보빈구동유닛(66)과, 송출가이드롤러(42)를 구비한다.
송출하우징(21)은 제1수용공간(22)의 저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1을 참고하면,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상단 일측이 열처리부(110)에 멀어질수록 하향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다.
송출하우징(21)은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일측부가 개방되고 테이퍼진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송출하우징(21)의 일측부의 개방된 측와 테이퍼진 상단의 개방된 측은 연통되며, 송출보빈(23)이 제1수용공간(22)으로 진입이 가능하게 송출보빈(23)의 길이보다 큰 폭으로 개방형성된다.
제1리프팅유닛(25)은 제1승강판(26)과, 한 쌍의 제1조작레버(31)와, 복수의 제1승강조작실린더(36)와, 두 쌍의 제1승강지지링크(41)를 구비한다.
제1승강판(26)은 제1수용공간(22)의 저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송출보빈(23)이 안착된다.
제1승강판(26)은 사각 판상으로, 중심측에 선재(W) 인출 방향인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선재(W) 인출방향은 압축된 선재(W)가 송출보빈(23)에서 권취해제되어 열처리부(110)로 이동하는 방향 또는 열처리부(110)에서 회수부(200)로 이동되는 방향을 말한다.
관통부(26a)는 송출보빈(23)이 제1승간판(26)에 흔들리지 않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송출보빈(23)은 선재(W)가 권취되는 권취축(23a)의 길이방향 양단에 외경이 확장된 플랜지(23b)들이 관통부(26a)에 일부 관통되어 플랜지(23b)의 가장자리측이 관통부(26a) 둘레의 제1승강판(26)에 지지될 수 있어, 제1승강판에 제1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다.
제1리프팅유닛(25)은 도 4를 참고하면, 관통부(26a)의 모서리 측에 위치되며제2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위치조절베어링(28)과, 관통부(26a)의 모서리측에 인접한 제1승강판(26)에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편(27)과, 하나의 위치조절베어링(28)을 관통하여 각 결합편(27)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베어링 구속볼트(29)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1승강조작레버(31)는 제1방향에 나란하게 길이연장되고 제2방향의 제1승강판(26) 양단에 제1승강판(26)에 대해 돌출되게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다.
제1승강조작레버(31)는 일단이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승강판(26)에 대해 돌출되게 길이연장되고,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갖되 타단측이 폭이 단턱지게 상방으로 확장된다. 이는 후술되는 상하로 겹쳐진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승강지지링크(41)가 나란하게 각각 힌지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제1승강조작실린더(36)는 각각 송출하우징(21)의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제1승강조작실린더(36)는 각 제1승강조작레버(31)의 일단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제1승강판(26)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제1승강로드(38)와, 송출하우징(21)의 제2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상부가 제1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승강조작실린더본체(37)를 각각 포함하며,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
두 쌍의 제1승강지지링크(41)는 제1승강로드(38) 상승 시 제1승강판(26)이 수평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한 쌍 씩 상하로 중첩된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 쌍이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 일단이 송출하우징(21)의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제1승강조작레버(31)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두 쌍의 승강지지링크(41)는 각 제1승강조작레버(31)에 한 쌍 씩 연결된다.
수직상하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한 쌍의 승강지지링크(41)는 제2방향의 제1승강판(26) 일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1승강조작레버(31)의 타측에 각 일단이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타단이 송출하우징의 일측부에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수직상하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다른 한 쌍의 제2방향의 제1승강판(26) 타단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제1승강조작레버(31)의 타측에 각 일단이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타단이 송출하우징의 타측부에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상하로 중첩되며 나란하게 제1승강조작레버(31)에 연결된 한 쌍의 제1승강지지링크(41)는 제1승강로드(38) 상승에 의해 제1승강판(26)의 제1방향 일단이 들어올려지면, 타단을 축으로 타단에 대해 각 일단이 상방으로 위치이동되게 각각 상호 나란하게 회동된다. 이에 의해 제1승강로드(38) 상승 시, 제1승강판(26)은 제1방향 타단이 일단과 동일수평선상을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상승될 수 있다.
제1가압회전축(46)은 송출하우징(21)의 제2방향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구동풀리(67)와 마주하도록, 송출하우징(21)의 제2방향 타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압회전축(46)은 후술되는 제1가압회전축진퇴유닛(50)의 제1진퇴지지부쉬(51)를 진퇴가능하게 제2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부쉬관통부(48)와, 제1부쉬관통부(48)보다 큰 외경을 갖되 제1구동풀리(67)와 마주하는 면의 중심에서 제1구동풀리(67)의 구동풀리회전축(71)과 동일선상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47a)를 가지며 송출보빈(23)의 길이방향 일측과 결합되는 제1보빈결합부(47)를 구비한다.
제1가압회전축 진퇴유닛(50)은 제1가압회전축(46)을 제1구동풀리(67)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제1진퇴지지부쉬(51)와, 제1진퇴조작실린더(53)와, 제1진퇴가이드고정플레이트(58)와, 제1진퇴가이드이동플레이트(61)를 구비한다.
제1진퇴지지부쉬(51)는 제1구동풀리(67)와 마주하도록 송출하우징(21)의 타측부에 관통설치되며, 내측으로 제1가압회전축(46)의 제1부쉬관통부(48)가 이동가능하게 관통된다.
제1진퇴조작실린더(53)는 제1진퇴지지부쉬(51)에 인접하며 나란하도록 송출하우징(21)의 타측부를 관통하는 제1진퇴조작실린더본체(54)와, 제1진퇴조작실린더본체(54)에 수용되어 송출하우징(21)에 멀어지거나 인접한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제1진퇴조작로드(55)를 포함한다.
제1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58)는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제1진퇴조작실린더본체(54)와 제1진퇴지지부쉬(51)를 연결하며, 일측으로 제1가압회전축(46)이 관통하고 타측으로 제1진퇴조작로드(55)가 제1가압회전축(46)에 나란하게 관통된다.
제1 진퇴가이드 이동플레이트(61)는 제1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58)와 나란하며 제1진퇴조작로드(55)의 단부와 제1가압회전축(46)의 단부를 연결하여, 제1 진퇴가이드 이동플레이트(61)는 제1진퇴조작로드(55) 진퇴 시 제1가압회전축(46)을 대응되게 위치이동시킨다.
제1보빈구동유닛(66)은 송출보빈(23)의 길이방향 타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구동풀리(67)와, 송출하우징의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구동풀리(67)와 결합되는 제1구동풀리회전축(71)과, 송출하우징(21)의 외측에 위치되는 선재인출모터(72)와, 구동출리회전축(71)과 선재인출모터(72)를 연결하는 제1구동벨트(73)와, 제1구동풀리(67)의 회전속도를 제한하는 제1보빈회전속도제어유닛(74)을 구비한다.
제1구동풀리(67)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구동벨트(73)가 연결되는 제1구동풀리본체(69)와, 제1가압회전축(46)과 마주하는 제1구동풀리본체(69)의 일면에 서 제1가압회전축(46)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결합돌기(47a)와 동일선상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68a)를 갖는 송출보빈(23)의 길이방향 타측과 결합되는 제2보빈결합부(68)와, 제2방향의 제1구동풀리본체(69)의 타면에 접하며 제1구동풀리본체(69)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1디스크(70)를 구비한다.
제1보빈회전속도제어유닛(74)은 공압에 의해 회동되어 제1디스크(70)의 양면에 밀착되거나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76)를 구비하며, 일반적인 에어브레이크 구조가 적용된다.
송출가이드롤러(42)는 제2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송출하우징(21)의 상단에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송출보빈(23)에서 인출되는 선재(W)와 접해 선재(W)를 열처리부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송출가이드롤러(42)는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송출보빈(23)에서 송출되는 선재(W)가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유도되게 길이방향 중심측이 후술되는 제1예열롤러(113)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길이방향 양측에서 중심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장력 조절부(80)는 송출부(20)에서 송출되는 선재(W)의 장력을 조절하며, 개폐가 가능한 제1함체(81) 내부에 설치된 제1 댄서 롤러(85), 제1댄서롤러(85)이 수직하방에서 제1댄서롤러(85)에 대해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승강하는 제1 승강 롤러(90)와, 제1승강롤러(90)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조절유닛(95)을 포함한다.
제1함체(81)는 송출부(20)와 열처리부(110) 사이에 위치되며, 제1 댄서롤러(85), 제1승강롤러(90)와, 제1승강조절유닛(95)이 수용되는 내부공간(82)이 형성되고, 송출부(20)와 열처리부(110)와 마주하는 상부 양측부에 내부공간(82)으로 각각 연통되어 선재가 연장되는 제1연통홀(미도시)와 제2연통홀(84)이 형성된다.
제1 댄서 롤러(85)는 제1함체(81) 내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호 나란한 다수의 제1결속홈(86)이 형성된다.
제1 승강 롤러(90)는 제1 댄서롤러(85)의 수직하방에 위치되며 하측에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호 나란한 다수의 제2결속홈(91)이 형성된다.
제1승강조절유닛(95)은 제1승강롤러(9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제1승강롤러(90)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제1변위센서(미도시)와, 제1승강롤러(90)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하로 상호 이격되며 송출부에서 회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나란하게 제1함체(81)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96)과, 제1함체(81)의 하부에 상하로 연장되며 송출부(20)에서 회수부(200)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96)에 양측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1승강가이드바(98)와, 양측이 복수의 제1승강가이드바(98)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심측에 제1승강롤러(9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되는 제1승강부재(100)와, 복수의 제1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96) 중 상방에 위치하는 제1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96)과 제1댄서롤러(85) 사이에 장착되는 제2승강실린더본체(103)와 복수의 제1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96) 중 상방에 위치하는 제1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96)을 관통하여 제1승강부재(100)와 연결되며 상부가 제2승강실린더본체(103)에 수용되는 제2승강로드(105)를 포함하는 제1승강부재 승강조작실린더(10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1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승강로드(105)의 승강을 위해 제2승강실린더본체(10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유체공급관과, 유체공급관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저장탱크와, 유체저장탱크에서 복수의 유체공급관으로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유체공급펌프와, 복수의 유체공급관의 유체공급 및 회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공급제어밸브 포함하는 유체공급부를 구비한다.
제어부(300)는 제1변위센서에 의해 제1 승강 롤러(90)의 상하 위치 정보가 전달되면, 설정값에 맞게 제1승강롤러(9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유체공급펌프이 구동과 유체공급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제2승강실린더본체(103) 내로 제2승강로드(105)의 승강을 위한 유체 공급을 제어 한다.
제1승강롤러(90)가 하강 시 선재(W)의 장력이 커지게 하고, 상승시 선재(W)의 장력이 작아지게 된다.
열처리부(110)는 상하로 연장되되 횡단면 외형이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미도시)이 형성되는 프레임(111)과; 통전식으로 선재(W)에 낮은 전압의 전기를 서서히 흘려 저항열을 가해주는 롤러로 프레임(11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선재이송모터(128)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제2방향의 프레임(111)의 일면에 제1방향으로 상호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전극링 구조로 구비된 제1 및 제2예열롤러(113,115)를 포함하는 예열유닛과; 제1 및 제2 예열롤러(113,115)에서 열을 가해진 선재가 투입되며 질소가스 분위기를 조성하는 가열 챔버(131)와, 가열 챔버(13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재를 가열하는 가열롤러(150)를 포함하는 소둔유닛과; 소둔유닛을 통과한 선재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을 포함한다
예열유닛은 제2방향의 프레임(111)의 일면에서 각각 송출부(2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선재에 낮은 전압으로 서서히 열을 가해주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예열롤러(113,115)와; 제1 및 제2 예열롤러(113,115) 사이의 선재를 방향전환하는 다수의 방향전환롤러(112,117,119,130)를 구비한다.
다수의 방향전환롤러(112,117,119,130)는 제1예열롤러(113)보다 송출부(20)와 인접하고 하방에 위치되게 제2방향의 프레임(111)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장력조절부(80)에서 송출된 선재를 제1예열롤러(113)로 방향전환 시키는 제1방향전환롤러(112)와, 제1방향전환롤러(112) 보다 하방 위치의 프레임(111)의 일면에 회전가능하며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예열롤러(113)에서 하강된 선재를 제2예열롤러(115)로 연장되게 방향전환 시키는 제2 및 제3방향전환롤러(117,130)와 제1 및 제2 예열롤러(113,115)와 제2 및 제3방향전환롤러(117,130) 사이에 위치되며 제1방향전환롤러(112)보다 회수부(200)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방향전환롤러(119)를 구비한다. 다수의 방향전환롤러(112,117,119,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이 세라믹으로 코팅되어 있다.
제4방향전환롤러(119)는 롤러승강이동지지유닛(120)에 의해 상하로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승강이동지지유닛(120)은 프레임(111)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호 마주하며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공(122,124)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수직연장프레임(121,123)과, 제1수직연장프레임(121)과 제2수직연장프레임(123)에 겹쳐지게 연장되며 제4방향전환롤러(119)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플레이트(125)와, 각 제1 또는 제2수직연장프레임(121,123)의 승강가이드공(122,124)를 각각 관통하여 승강플레이트(125)의 일단 또는 타단에 결합되어 승강플레이트의 승강위치이동을 가이드하고 제1 및 제2수직연장프레임(121,123)에 밀착되게 승강플레이트(125)에 결합되어 승강플레이트(125)의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승강위치고정볼트(127)를 구비한다.
제4방향전환롤러(119)는 롤러승강이동지지유닛(120)에 의해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제1예열롤러(113)와 제2예열롤러(115) 사이에서 방향전환되는 선재(W)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소둔유닛은 제1 및 제2 예열롤러(113,115)에서 예열된 선재(W)가 투입되어, 질소가스분위기에서 가열롤러(150)에서 선재(W)를 완전 가열을 하도록 하며, 가열챔버(131)와, 가열롤러(150)를 구비한다.
가열챔버(131)는 도어(151)에 의해 밀폐되거나 밀폐해제되는 가스충진공간(136)이 형성되고, 선재(W)의 열처리 시 산화에 의한 선재(W)의 변색을 막기 위해 질소가 투입되도록 상단에 구비된 질소가스 투입구(137)와, 가열부재(3344)에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하단에 구비된 냉각수 분사구(138)를 포함한다.
냉각수 분사구(138)는 냉각수 탱크(미도시)와 연결되며, 히터(미도시)에 의해 냉각수의 가열도가능하다.
가열롤러(150)는 가열챔버(131)내 하부에 설치되면서 히터(미도시)에 의해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프레임(111) 일측에 설치되는 선재이송모터(128)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거나 별도로 마련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예열된 선재(W)가 제1 및 제2 예열롤러(113,115)를 통과하면서 제1 및 제2 예열롤러(113, 115)의 가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완전 가열하게 된다.
가열챔버(131)는 도 6을 참고하면,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외측수직프레임(132,133)과, 제1외측수직프레임(132)과 제2외측수직프레임(133)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제1외측수평프레임(134)과, 제1외측수직프레임(132)과 제2외측수직프레임(133)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제1외측수평프레임(134)에 나란한 제2외측수평프레임(135)과, 제1외측수직프레임(132)에 인접한 제1외측수평프레임(134)의 일측에서 제1외측수직프레임(132)에 나란하게 하방으로 제1외측수직프레임(132)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제1내측수직프레임(140)과, 제2외측수직프레임(133)에 인접한 제1외측수평프레임(134)의 타측에서 제2외측수직프레임(133)에 나란하게 하방으로 제1내측수직프레임(140)에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제2내측수직프레임(141)과, 제1내측수직프레임(140)과 제2내측수직프레임(141)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내측수평프레임(142)을 구비한다.
가스충진공간(136)은 제1외측수직프레임(132)과 제1내측수직프레임(140)에 의해 상하로 길게 연장되고 하방으로 개방되어, 제1외측수평프레임(134)의 일단을 상하방향을 관통하는 예열된 선재(W)가 연장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며 질소가스투입구(137)가 연통되는 가스투입공간(136a)과, 내측수평프레임(142)의 하방에 형성되고 제1외측수직프레임(132)에 인접한 상부 일측이 가스투입공간(136a)과 연통되며 가열롤러(150)가 장착되며 일측으로 냉각수분사구(138)가 형성되는 가열공간(136c)과, 제2외측수직프레임(133)과 제2내측수직프레임(141)에 의해 상하로 길게 연장되고 하방으로 개방되어, 가열롤러(150)에서 가열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선재(W)의 연장방향을 가이드하며 가열공간(136c)의 상부 타측과 연통되는 선재배출가이드공간(136b)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열챔버(131)는 가스투입공간(136a)과 선재배출가이드공간(136b)에 각각 제1 및 제2흔들림감소유도돌기(145,146)들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흔들림감소유도돌기(145,146)는 가스투입공간(136a)에 위치되게 제1외측수직프레임(132)과 제1내측수직프레임(140)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선재배출가이드공간(136b)에 위치되게 제2외측수직프레임(133)과 제2내측수직프레임(141)에서 상호 대향되는 돌출된다. 제1 및 제2흔들림감소유도돌기(145,146)는 상호 마주하는 각 면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선재(w)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되, 선재(w)가 이동시 폭 방향으로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재에 두께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거나 각 면이 선재(w)에 인접하게 상호 이격된다.
건조유닛은 선재배출가이드공간(136b)의 수직상방에 위치되게 가열챔버(131)의 상단 타측에 장착되어 선재배출가이드공간(136b)에서 상방으로 인출되는 선재(w)를 에어를 이용해 건조해는 제1에어와이퍼(153)와, 제1에어와이퍼(153)에서 상승된 선재를 회수부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1건조가이드롤러(154)와, 제1건조가이드롤러(154)에 의해 수평방향을 연장된 선재(W)가 수용되며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가능한 내부공간(191)을 갖는 건조챔버(190)와, 건조챔버(190)의 내부공간(191)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선재에 낮은 전압으로 서서히 열을 가해주는 제1 건조롤러(196) 및 제2건조롤러(197)와, 제1건조롤러(196)와 제2건조롤러(196,197) 사이에 건조챔버(190)의 내부공간(191)에 설치되어, 제1 건조롤러(196)에 의해 하강된 후 제2건조롤러(197)에 의해 다시 상승 연장된 선재(W)가 관통하는 제2에어와이퍼(195)와, 제1건조롤러(196)의 상방에서 회전가능하게 건조챔버(190)의 내부공간(191) 설치되어 제2에어와이퍼(195)를 관통하여 상승된 선재를 회수부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제2건조가이드롤러(198)와, 건조챔버(190)의 상부 일측에 관통장착되어 제2건조가이드롤러(198)에서 연장된 선재가 관통되는 제3에어와이퍼(193)와, 제2장력조절부(160)를 향하는 건조챔버(190)의 외주면 측부 상측에 설치되어 제3에어와이퍼(193)에서 연장된 선재(W)를 제2장력조절부(160)로 가이드하는 제3건조가이드롤러(199)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2건조롤러(196,197)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전극링 구조로 구비되어 선재(W)에 낮은 전압으로 서서히 열을 가해 선재(W)의 수분을 제거한다.
제1 내지 제3 에어와이퍼(153,195,193)은 에어를 통해 선재(W)를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재(W)가 관통연장되게 각각 내측이 관통형성되고 관통된 내측으로 압축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건조유닛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내지 제3 에어와이퍼(153,195,193)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에어공급관과, 각 에어공급관와 연결된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장력조절부(160)는 열처리부(110)에서 송출되는 선재(W)의 장력을 조절하며, 개폐가 가능한 제2함체(161) 내부에 설치된 제2 댄서 롤러(165), 제2댄서롤러(165)이 수직하방에서 제2댄서롤러(165)에 대해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승강하는 제2 승강 롤러(170)와, 제2승강롤러(170)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조절유닛(175)을 포함한다.
제2함체(161)는 열처리부(110)와 회수부(200) 사이에 위치되며, 제2 댄서롤러(165), 제2승강롤러(170)와, 제2승강조절유닛(175)이 수용되는 내부공간(162)이 형성되고, 열처리부(110)에 인접한 상단 일측에 내부공간(162)으로 연통된 제3연통홀(미도시)과, 회수부(200)를 향하는 측부 상측에 내부공간(162)으로 연통되는 제4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함체(161)의 상단 일측에는 제3건조가이드롤러(199)에서 연장된 선재가 제3연통홀로 연장되게 가이드하는 보조가이드유닛(164)이 장착된다.
제2 댄서 롤러(165)는 제2함체(161) 내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호 나란한 다수의 제3결속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 승강 롤러(170)는 제2 댄서 롤러(165)의 수직하방에 위치되며 하측에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호 나란한 다수의 제4결속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승강조절유닛(175)은 제2승강롤러(17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제2승강롤러(170)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제2변위센서(미도시)와, 제2승강롤러(170)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하로 상호 이격되며 송출부에서 회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나란하게 제2함체(161)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2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176)과, 제2함체(161)의 하부에 상하로 연장되며 송출부(20)에서 회수부(200)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176)에 양측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2승강가이드바(178)와, 양측이 복수의 제2승강가이드바(178)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심측에 제2승강롤러(17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되는 제2승강부재(180)와, 복수의 제2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176) 중 상방에 위치하는 제2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176)과 제2댄서롤러(165) 사이에 장착되는 제3승강실린더본체(183)와 복수의 제2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176) 중 상방에 위치하는 제2승강가이드바 지지브라켓(176)을 관통하여 제2승강부재(180)와 연결되며 상부가 제3승강실린더본체(183)에 수용되는 제3승강로드(185)를 포함하는 제3승강부재 승강조작실린더(182);를 구비한다
한편, 제1 및 제2변위센서는 일반적인 근접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또는 제2댄서롤러(85,165)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또는 제2승강롤러(90,170)의 높이에 따른 제1 또는 제2승강롤러(90,170)와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10)의 유체공급부는 제3승강로드(185)의 승강을 위해 제3승강실린더본체(18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제3승강부재승강조작실린더(182)와 연결된다.
제어부(300)는 제2변위센서에 의해 제2 승강 롤러(170)의 상하 위치 정보가 전달되면, 설정값에 맞게 제2승강롤러(17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유체공급펌프이 구동과 유체공급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제3승강실린더본체(183) 내로 제3승강로드(185)의 승강을 위한 유체 공급을 제어 한다.
제2승강롤러(170)가 하강 시 선재(W)의 장력이 커지게 하고, 상승 시 선재(W)의 장력이 작아지게 된다.
한편, 회수부(200)는 열처리부(110)를 중심으로 송출부(20)와 대칭되게 배치된다.
회수부(200)는 선재가 권취되지 않은 회수보빈(203)이 측방향으로 진입되고 열처리부(110)에서 송출된 선재(W)가 상방으로 권취되게 타측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제2수용공간(202)이 형성된 회수하우징(201)과, 제2수용공간(202) 내에서 회수보빈(203)을 상방으로 들어돌리는 제2리프팅유닛(205)과, 제2리프팅유닛(205)에 상승된 회수보빈(203)의 일단 중심측이 제2구동풀리(237)와 결합되게 회수보빈(203)의 타단 중심측을 제2구동풀리(237)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수보빈(203) 및 제2구동풀리(237)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2가압회전축(216)과, 제2가압회전축(216)을 제2구동풀리(237)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220)과, 권취가이드유닛(260)을 구비한다.
회수하우징(201)은 열처리부를 중심으로 송출하우징(21)과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상단 타측이 열처리부(110)에 멀어질수록 하향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다.
회수하우징(201)은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타측부가 개방되고 테이퍼진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회수하우징(201)의 타측부의 개방된 측와 테이퍼진 상단의 개방된 측은 연통되며, 회수보빈(203)이 제2수용공간(202)으로 진입이 가능하게 회수보빈(203)의 길이보다 큰 폭으로 개방형성된다.
제2리프팅유닛(205)은 제1리프팅유닛(25)과 동일한 구조를 갖되, 열처리부(11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제2승강판(206)과, 한 쌍의 제2조작레버(211)와, 복수의 제2승강조작실린더(216)와, 두 쌍의 제2승강지지링크(221)를 구비한다.
제2승강판(206)은 제1승강판(26)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내측에 관통부(26a)가 형성되고 제2수용공간(202)의 저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회수보빈(203)이 안착된다.
제2리프팅유닛(205)은 도 7을 참고하면, 관통부(26a)의 모서리 측에 위치되며 제2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위치조절베어링(208)과, 관통부(26a)의 모서리측에 인접한 제2승강판(205)에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편(207)과, 하나의 위치조절베어링(208)을 관통하여 각 결합편(207)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베어링 제2구속볼트(209)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2승강조작레버(211)는 제1방향에 나란하게 길이연장되고 제2방향의 제2승강판(206) 양단에 제2승강판(206)에 대해 돌출되게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다.
제2승강조작레버(211)는 일단이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승강판(206)에 대해 돌출되게 길이연장되고,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갖되 타단측이 폭이 단턱지게 상방으로 확장된다.
복수의 제2승강조작실린더(216)는 각각 회수하우징(201)의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타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제2승강조작실린더(216)는 각 제2승강조작레버(211)의 일단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제2승강판(206)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제1승강로드(38)와, 회수하우징(201)의 제2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상부가 제1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승강조작실린더본체(37)를 각각 포함하며,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
두 쌍의 제2승강지지링크(221)는 제1승강로드(38) 상승 시 제2승강판(206)이 수평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한 쌍 씩 상하로 중첩된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 쌍이 제2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 일단이 회수하우징(201)의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제2승강조작레버(211)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수직상하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한 쌍의 제2승강지지링크(221)는 제2방향의 제2승강판(206) 일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2승강조작레버(211)의 일측에 각 일단이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타단이 회수하우징(201)의 일측부에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수직상하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다른 한 쌍의 제2승강지지링크(221)는 제2방향의 제2승강판(206) 타단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제1승강조작레버(31)의 일측에 각 일단이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타단이 회수하우징의 타측부에 수직상하방향에 위치되며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2승강조작실린더(216)의 제1승강로드(38) 상승 시, 제2승강판(206)은 제1방향 타단이 일단과 동일수평선상을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상승될 수 있다.
제2가압회전축(226)은 회수하우징(201)의 제2방향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구동풀리(247)와 마주하도록, 회수하우징(201)의 제2방향 타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가압회전축(226)은 후술되는 제2가압회전축진퇴유닛(230)의 제1진퇴지지부쉬(51)를 진퇴가능학 제2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부쉬관통부(228)와, 제2부쉬관통부(228)보다 큰 외경을 갖되 제2구동풀리(247)와 마주하는 면의 중심에서 제2구동풀리(247)의 구동풀리회전축(251)과 동일선상으로 돌출되는 제3결합돌기(227a)를 가지며 회수보빈(201)의 길이방향 일측과 결합되는 제2보빈결합부(227)를 구비한다.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230)은 제2가압회전축(226)을 제2구동풀리(247)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제2구동풀리(247)와 마주하도록 회수하우징(201)의 타측부에 관통설치되며, 내측으로 제2가압회전축(226)의 제2부쉬관통부(228)가 이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제2진퇴지지부쉬(231)와; 제2진퇴지지부쉬(231)에 인접하며 나란하도록 회수하우징(201)의 타측부를 관통하는 제2진퇴조작실린더본체(234)와, 제2진퇴조작실린더본체(234)에 수용되어 회수하우징(201)에 멀어지거나 인접한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제2진퇴조작로드(235)를 포함하는 제2진퇴조작실린더(233)와;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제2진퇴조작실린더본체(234)와 제2진퇴지지부쉬(231)를 연결하며, 일측으로 제2가압회전축(226)이 관통하고 타측으로 제2진퇴조작로드(235)가 제2가압회전축(226)에 나란하게 관통되는 제2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238)와; 제2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238)와 나란하며 제2진퇴조작로드(235)의 단부와 제2가압회전축(226)의 단부를 연결하여, 제2진퇴조작로드(235) 진퇴 시 제2가압회전축(226)을 대응되게 위치이동시키는 제2진퇴가이드이동플레이트(241);를 구비한다.
제2보빈구동유닛(246)은 회수보빈(201)의 길이방향 타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구동풀리(247)와, 회수하우징의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구동풀리(247)와 결합되는 제2구동풀리회전축(251)과, 회수하우징(201)의 외측에 위치되는 선재권취모터(252)와, 제2구동출리회전축(251)과 선재권취모터(252)를 연결하는 제2구동벨트(253)와, 제2구동풀리(247)의 회전속도를 제한하는 제2보빈회전속도제어유닛(254)을 구비한다.
제2구동풀리(247)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구동벨트(253)가 연결되는 제2구동풀리본체(249)와, 제2가압회전축(226)과 마주하는 제2구동풀리본체(249)의 일면에서 제2가압회전축(226)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결합돌기(227a)와 동일선상으로 돌출되는 제4결합돌기(248a)를 갖는 송출보빈(23)의 길이방향 타측과 결합되는 제2보빈결합부(248)와, 제2방향의 제2구동풀리본체(249)의 타면에 접하며 제2구동풀리본체(249)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디스크(250)를 구비한다.
제2보빈회전속도제어유닛(254)은 공압에 의해 회동되어 제2디스크(250)의 양면에 밀착되거나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76)를 구비하며, 일반적인 에어브레이크 구조가 적용된다.
권취가이드유닛(260)은 회수하우징(201)의 상단에 장착되어 열처리부(110)로부터 송출되는 열처리된 선재가 회수보빈(203)의 일단에서 타단, 타단에서 일단으로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열처리된 선재의 권취 위치를 가이드한다.
권취가이드유닛(260)은 회수하우징(201)의 상단에 장착되고 열처리부(110)에 멀어지는 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3수용공간(26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권취가이드하우징(261)과, 권취가이드하우징(261) 길이방향 일측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구동풀리(266)와, 권취가이드하우징 길이방향 타측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종동풀리(267)와, 가이드구동풀리(266)와 가이드종동풀리(267)를 연결하는 가이드구동벨트(268)와, 가이드구동풀리(266)를 회전시키는 가이드구동모터(269)를 포함하는 가이드구동유닛(265)과;
제3수용공간(262) 내에서 가이드구동벨트(268)의 하방에 위치되게 제3수용공간(262)의 하부에 위치되게 권취가이드하우징(261)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며 권취가이드하우징(2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270)과; 레일(2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레일(270)에 장착되며 가이드구동벨트(268)와 기어연결되어 가이드구동벨트(268) 회전에 따라 위치이동되는 슬라이더(271)와; 슬라이더(271)에 장착되며 제2수용공간(202)의 개방된 상방으로 돌출되는 권취가이드롤러 지지프레임(275)과; 권취가이드롤러 지지프레임(27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장력조절부(160)에서 인출된 선재(W)를 하방에 위치하는 회수보빈(203)으로 가이드하는 권취가이드롤러(277)를 구비한다.
슬라이더(271)는 레일 상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272)와, 슬라이더본체(272)의 상단에 결합되며 가이드구동벨트(268)를 감싸며 가이드구동벨트(268)와 기어 연결되는 벨트기어결합부(273)를 구비한다.
그리고, 권취가이드유닛(260)은 권취가이드롤러 지지프레임(275)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권취가이드롤러(277)의 회전축(278) 양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2장력조절부(160)에 인접한 타측으로 갈수록 권취가이드롤러 지지프레임(275)에 대해 멀어지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내측으로 권취가이드롤러(277)가 위치될 수 있게 상하로 관통형성된 보조가이드프레임(279)과, 보조가이드프레임(279)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며 보조가이드프레임(279)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도록 상호 나란하게 길이연장되며 선재(W)가 연장되게 선재(W)의 두께만큼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보조가이드롤러(281)를 구비한다.
제어부(30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송출부(20), 제1 장력 조절부(80), 열처리부(110), 제2 장력 조절부(160), 회수부(200)을 제어하도록 중앙 집중 컨트롤 방식이 적용된다.
한편, 유압공급부는 제1승강조직실린더(36), 제1진퇴조작실린더(53), 제1승강부재 승강조작실린더(102), 제2승강조작실린더(216), 제2진퇴조작실린더(233), 제2승강부재 승강조작실린더(182)와 연결되며, 제어부의 에저에 의해 유체를 공급한다.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예열롤러, 가열롤러, 제1 및 제2건조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을 제어하며, 제1 및 제2변위센서와 연결되어 제 1 및 제2승강조작실린더(102,216)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선재인출모터(72), 선재이송모터(128), 제1 및 제2보빈회전속도제어유닛(74,254), 선재권취모터(252)와 연결되어 선재(W)의 인출, 이송, 권취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1 내지 제3에어와이퍼(153,195,193)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통한 선재 건조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가이드구동모터(269)와 연결되어, 가이드구동벨트(268) 회전방향이 주기적으로 전환되어 슬라이더(271)가 레일(27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가이드 구동풀리(267)와 결합된 가이드구동모터(269)의 가이드회전축(269a)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회수보빈(203) 1회전마다 선재(W)의 두께 만큼 슬라이더(271)가 이동되면서 선재(W)가 회수보빈(203)에 권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구동유닛(265)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가 회수보빈(203)의 회전수와 회전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선재권취모터(252)는 일반적인 엔코더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10)는 제어부에 송출부(20), 제1 장력 조절부(80), 열처리부(110), 제2 장력 조절부(160), 회수부(200)의 구동명령을 전달하는 통합조작부(320)를 구비하고, 송출부(20)의 제1리프팅유닛, 제1가압회전축진퇴유닛, 선재인출모터이 구동조작을 위한 제1개별조작부(321)와; 회수부(20)의 제2리프팅유닛, 제2가압회전축진퇴유닛, 선재권취모터, 가이드구동모터의 구동조작을 위한 제2개별조작부(322)가 마련될 수 있다.
통합조작부(320)와, 제1 및 제2개별조작부(321,322)는 다수의 버튼 또는 다수의 레버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10)는 송출보빈에 권취된 선재(W)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통전을 통해 열처리되고 건조되어 회수보빈에 권취되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10)는 제1 및 제2리프팅유닛(25,205)을 통해 송출보빈(23)과 회수보빈(203)을 승강시킬 수 있고, 제 1 및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50,230)을 통해 송출보빈(23)과 회수보빈(203)을 제1 또는 제2구동풀리(67,247)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어 송출보빈(23)과 회수보빈(203) 탈착, 교체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체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
20 : 송출부 21 : 송출하우징
23 : 회수보빈 25 : 제1리프팅유닛
46 : 제1가압회전축 50 : 제1가압회전축 진퇴유닛
80 : 제1장력조절부 110 : 열처리부
113 : 제1예열롤러 115 : 제2예열롤러
131 : 가열챔버 150 : 가열롤러
190 : 건조챔버 196 : 제1건조롤러
197 : 제2건조롤러 160 : 제2장력조절부
200 : 회수부 201 : 회수하우징
203 : 회수보빈 205 : 제2리프팅유닛
226 : 제2가압회전축 230 :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
260 : 권취가이드유닛

Claims (7)

  1. 압축된 선재가 권취된 송출보빈이 회전가능하며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선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와; 상기 제1장력조절부에서 송출된 상기 선재에 전기를 흘려 저항열을 가해주어 열처리하는 열처리부와; 상기 열처리부에서 열처리되어 인출되는 상기 선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와; 상기 제2장력조절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선재를 권취하기 위한 회수보빈이 회전가능하며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처리부는
    상기 송출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선재에 낮은 전압으로 서서히 열을 가해주는 제1 및 제2 예열롤러와,상기 제1 및 제2 예열롤러에서 열을 가해진 상기 선재가 투입되어, 질소가스 분위기를 조성하는 가열 챔버와 상기 가열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소둔유닛과, 상기 소둔유닛을 통과한 상기 선재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는
    상기 선재가 권취된 상기 송출보빈이 측방향으로 진입되어 상기 선재가 상방으로 송출되게 일측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송출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송출보빈을 상방으로 들어돌리는 제1리프팅유닛과, 상기 제1리프팅유닛에 상승된 상기 송출보빈의 일단 중심측이 제1구동풀리와 결합되게 상기 송출보빈의 타단 중심측을 상기 제1구동풀리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송출보빈 및 상기 제1구동풀리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1가압회전축과, 상기 제1가압회전축을 상기 제1구동풀리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회전축 진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선재가 권취되지 않은 상기 회수보빈이 측방향으로 진입되고 상기 열처리부에서 송출된 상기 선재가 상방으로 권취되게 타측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수하우징과,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회수보빈을 상방으로 들어돌리는 제2리프팅유닛과, 상기 제2리프팅유닛에 상승된 상기 회수보빈의 일단 중심측이 제2구동풀리와 결합되게 상기 회수보빈의 타단 중심측을 상기 제2구동풀리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수보빈 및 상기 제2구동풀리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2가압회전축과, 상기 제2가압회전축을 상기 제2구동풀리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리프팅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제2수용공간의 하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상기 송출보빈 또는 상기 회수보빈이 안착되는 승강판과,
    상기 선재 인출방향인 제1방향에 나란하게 길이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승강판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승강조작레버와,
    각 상기 승강조작레버의 일단에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승강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승강로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승강조작실린더와,
    상기 승강로드 상승시 상기 승간판이 수평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상하로 중첩된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며 각 일단이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조작레버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두 쌍의 승강지지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회전축 진퇴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구동풀리와 마주하도록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가압회전축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구동풀리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진퇴가능하게 관통되는 진퇴지지부쉬와,
    상기 진퇴지지부쉬에 인접하며 나란하도록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을 관통하는 진퇴조작실린더본체와, 상기 진퇴조작실린더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송출하우징 또는 상기 회수하우징에 멀어지거나 인접한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진퇴조작로드를 포함하는 진퇴조작실린더와;
    상기 선재 인출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상기 진퇴조작실린더본체와 상기 진퇴지지부쉬를 연결하며 일측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회전축이 관통하고 타측으로 상기 진퇴조작로드가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회전축에 나란하게 관통하는 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진퇴가이드 고정플레이트와 나란하며 상기 진퇴조작로드의 단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회전축의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진퇴조작로드 진퇴시 상기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가압회전축을 대응되게 위치이동시키는 진퇴가이드 이동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수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열처리부로부터 송출되는 열처리된 상기 선재가 상기 회수보빈의 일단에서 타단, 타단에서 일단으로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열처리된 상기 선재의 권취위치를 가이드하는 권취가이드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상기 권취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수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열처리부에 멀어지는 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3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권취가이드하우징과,
    상기 제3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권취가이드하우징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가이드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레일에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방으로 돌출되는 권취가이드롤러 지지프레임과,
    상기 권취가이드롤러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장력조절부에서 인출된 상기 선재를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회수보빈으로 가이드하는 권취가이드롤러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이동유닛과,
    상기 회수보빈이 1회전마다 상기 선재의 두께만큼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되면서 상기 선재가 상기 회수보빈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 이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외주면이 상기 송출보빈에서 송출되는 상기 선재와 접하도록 상기 송출하우징의 상단에 상기 선재 송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송출보빈에서 송출되는 상기 선재가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유도되게 길이방향 중심측이 상기 제1예열롤러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길이방향 양측에서 중심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송출가이드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장치.
KR1020200121169A 2020-09-21 2020-09-21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KR10243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69A KR102439030B1 (ko) 2020-09-21 2020-09-21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69A KR102439030B1 (ko) 2020-09-21 2020-09-21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56A KR20220038856A (ko) 2022-03-29
KR102439030B1 true KR102439030B1 (ko) 2022-09-01

Family

ID=8099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169A KR102439030B1 (ko) 2020-09-21 2020-09-21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0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69B1 (ko) * 2005-11-11 2007-04-16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연선기의 내부 소선 공급기용 보빈 장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565B1 (ko) 2008-11-10 2015-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40115199A (ko) * 2013-03-20 2014-09-30 박효주 가이드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KR20200044510A (ko) 2018-10-19 2020-04-29 (주)삼원산업사 경량화 압축도체 전선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69B1 (ko) * 2005-11-11 2007-04-16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연선기의 내부 소선 공급기용 보빈 장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56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2813B1 (en) Robot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spools in wire winding machines
JP6014677B2 (ja) シザー型リフトテーブル
KR102439030B1 (ko) 통전을 이용한 압축도체 열처리 장치
KR20200044510A (ko) 경량화 압축도체 전선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N107742962A (zh) 一种交流电机定子的绝缘浸渍处理工艺及其处理装置
CN111778634A (zh) 一种无纺布加工设备的铺网装置
CN106944477A (zh) 排线生产设备
CN112547408A (zh) 一种高压线涂覆机
CN208952493U (zh) 一种便于电力金具冷却的装置
EP3071503B1 (en) Resurfacing of belt for elevator system
CN115301761B (zh) 钢卷开卷机组及钢卷开卷方法
KR100604410B1 (ko)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CN214262565U (zh) 一种高压线涂覆机的悬挂装置
CN111933357B (zh) 一种电力电缆的紧压模具散热润滑装置
CN110970784B (zh) 一种电缆的应力消除装置及消除方法
CN211507231U (zh) 一种高强合金钢绞线生产断线检测停车装置
CN109383119B (zh) 印刷机传动用陶瓷滚筒
CN109910371B (zh) Pe膜热封制袋机的热封装置
CN109878145B (zh) Pe膜热封制袋机
CN220913969U (zh) 一种硫化结构
CN205685772U (zh) 一种高效的轮胎热补装置
US4741794A (en) Equipment for the manufacture of mainly large-diameter flexible hoses having spiralled reinforcement
CN210758363U (zh) 一种预制混凝土构件生产线温度缓降室
KR20030041541A (ko) 선재코일 터닝장치
CN220229937U (zh) 一种镭射纸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