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839B1 -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 Google Patents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839B1
KR102429839B1 KR1020170126993A KR20170126993A KR102429839B1 KR 102429839 B1 KR102429839 B1 KR 102429839B1 KR 1020170126993 A KR1020170126993 A KR 1020170126993A KR 20170126993 A KR20170126993 A KR 20170126993A KR 102429839 B1 KR102429839 B1 KR 102429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composition
composition
semi
makeup cosmetic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7539A (en
Inventor
박현정
신수연
김경진
심민경
최원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2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8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3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성상이 다른 두 가지 조성물이 서로 섞이지 않고 우수한 발색과 함께 질감 차이를 나타내어 더욱 입체적인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왁스 및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조성물; 및 파우더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 조성물과 혼합되지 않는 반고형 조성물을 포함한다. Disclosed herein is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apable of realizing a more three-dimensional gradation effect by showing a difference in texture with excellent color development without mixing two compositions with different properties. The composition comprises a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and an oil; and a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ing powder and oil, and immiscible with the solid composition.

Description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gradation effect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본 명세서에는 성상이 다른 두 가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Disclosed herein is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gradation effect comprising two composition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옴브레 (Ombre)란 프랑스어로 음영, 어렴풋한 그림자 등을 의미하며, 옴브레 립 메이크업이란 다양한 컬러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는 립 메이크업을 의미한다. 이는 소셜미디어에서 사진으로 새로운 메이크업을 공유하는 재미뿐만 아니라 입술을 더욱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는 효과도 있어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Ombre is a French word meaning shading and faint shadows, and ombre lip makeup refers to lip makeup that gives a gradation effect with various colors. This is not only fun to share new makeup with photos on social media, but also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lips look more three-dimensional, so it is rapidly expanding mainly among young consumers.

이에, 시장에는 다양한 듀얼/멀티톤 립스틱 (dual/multi-tone lipstick)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기존에 출시된 듀얼/멀티톤 립스틱 조성물은 공통적으로 왁스와 오일을 기반으로 하여 색상만 달리하고 유사 제형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져 색상 혼합은 잘 되지만 뭉개지기 쉽고 뚜렷한 색상 차이나 질감 차이를 나타내기가 어려웠다. Accordingly, various dual/multi-tone lipstick products are being released in the market, but the existing dual/multi-tone lipstick compositions are based on wax and oil in common, only different colors and similar formulations. It is made by combining these materials, so it mixes colors well, but it is easy to crush and it is difficult to show a clear difference in color or textur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67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16723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성상이 다른 두 가지 조성물이 서로 섞이지 않고 우수한 발색과 함께 질감 (텍스쳐) 차이를 나타내어 그라데이션으로 더욱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옴브레 (Ombre)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two composition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do not mix with each other and exhibit a texture (texture) difference with excellent color development to realize a more three-dimensional effect with a gradation. do it with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왁스 및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조성물; 및 파우더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 조성물과 혼합되지 않는 반고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omprises a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and an oil; and powder and oil, and provides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emi-solid composition that is not mixed with the solid composi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40 내지 150 ℃의 융점을 갖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may have a melting point of 40 to 150 °C.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0.05 내지 1.00 N의 경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have a hardness of 0.05 to 1.00 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미만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may include less than 30% by weight of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include 30% by weight or more of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not include a wax.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5 중량%의 왁스를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5 to 25 wt. %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and wherein the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es less than 10 wt. %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be doing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내지 85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7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40% to 85% by weight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es 2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It may contain oil.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을 각각 40 내지 90 부피% 및 10 내지 60 부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id composition and a semi-solid composition in an amount of 40 to 90% by volume and 10 to 60% by volume, respectively.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은 분리막에 의해 분리 존재하거나, 별도의 분리막 없이 양자가 혼합되지 않는 접촉면을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be present separately by a separation membrane, or may exist across a contact surface in which both are not mixed without a separate separation membran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그라데이션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be gradabl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 lip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stick) 타입 또는 팟 (pot) 타입 제품으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a stick type or a pot type produc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품에서 반고형 조성물은 코어부를 형성하고 고형 조성물은 셀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produc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form a core portion and the solid composition may form a cell portion.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성상이 다른 두 가지 조성물이 서로 섞이지 않고 우수한 발색과 함께 질감 (텍스쳐) 차이를 나타내어 그라데이션으로 더욱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옴브레 (Ombre)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one aspect,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two composition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do not mix with each other and exhibit a texture (texture) difference with excellent color development to realize a more three-dimensional effect with a gradation. has the effect of

도 1a, 1b 및 1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발현 및 질감 차이를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2b 및 2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발현 및 질감 차이를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컬러 밀도를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밀착력 실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밀착력을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을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종이컵에 스탬핑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레이어링하여 스탬핑한 결과이고 (b)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을 레이어링하여 스탬핑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열적 안정성을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1A, 1B, and 1C are photographs showing differences in color expression and texture of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a, 2b, and 2c show photographs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color expression and texture of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shows an embodiment of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shows a photograph confirming the color density of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view showing the adhesion test process of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shows a photograph confirming the adhesion of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shows a photograph confirming the durability of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shows a photograph of stamping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n a paper cup. (a) shows the result of stamping by layering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b) shows the result of stamping by layer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9 shows a photograph confirming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왁스 및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조성물; 및 파우더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 조성물과 혼합되지 않는 반고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omprises a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and an oil; and powder and oil, and provides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emi-solid composition that is not mixed with the solid composition.

본 명세서에서 고형 조성물은 실온, 예컨대 15 내지 25 ℃에서는 유동성, 흐름성이 없는 고체 성상이지만 고온, 예컨대 40 내지 150 ℃에서는 액체와 같은 흐름성을 갖는다. 반면, 반고형 조성물은 약간의 유동성은 가질 수 있으나 온도와 무관하게 흐름성을 갖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olid composition has a solid state without fluidity and flowability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15 to 25° C., but has liquid-like flow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40 to 150° C. On the other hand, semi-solid compositions may have some fluidity, but do not have fluidity regardless of temperatur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40 내지 150 ℃의 융점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40 ℃ 이상, 45 ℃ 이상, 50 ℃ 이상, 55 ℃ 이상, 60 ℃ 이상, 65 ℃ 이상, 70 ℃ 이상, 75 ℃ 이상, 80 ℃ 이상, 85 ℃ 이상, 90 ℃ 이상, 95 ℃ 이상 또는 100 ℃ 이상이면서 150 ℃ 이하, 140 ℃ 이하, 130 ℃ 이하, 120 ℃ 이하, 110 ℃ 이하, 100 ℃ 이하, 90 ℃ 이하, 80 ℃ 이하, 70 ℃ 이하 또는 60 ℃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일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may have a melting point of 40 to 150 °C.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is 40 °C or higher, 45 °C or higher, 50 °C or higher, 55 °C or higher, 60 °C or higher, 65 °C or higher, 70 °C or higher, 75 °C or higher, 80 °C or higher, 85 °C or higher. or higher, 90 °C or higher, 95 °C or higher, or 100 °C or higher, but 150 °C or lower, 140 °C or lower, 130 °C or lower, 120 °C or lower, 110 °C or lower, 100 °C or lower, 90 °C or lower, 80 °C or lower, 70 °C or lower, or It may have a melting point of 60 °C or les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경도기 (모델명: CR-500DX)로 측정 시 30 ℃에서 0.05 내지 1.00 N의 경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도는 하영상사 크림 투명 용기 (백색 캡, 지름 4cm, 높이 2.5cm, 원형용기)에 제형을 가득 담고 SUN SCIENTIFIC Co., LTD.의 sun rheometer (CR-500DX), 직경 8mm의 볼 타입 스핀들을 사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측정 셋팅 MODE 20, MAX 10kg, R/H HOLD, 깊이 8.0mm, 속도 600mm/m로 측정한 것이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have a hardness of 0.05 to 1.00 N at 30° C. as measured by a hardness group (model name: CR-500DX). For example, the hardness is determined by filling the formulation in a transparent container (white cap, diameter 4cm, height 2.5cm, round container) of Hayoungsa's cream, sun rheometer (CR-500DX) of SUN SCIENTIFIC Co., LTD., ball type with a diameter of 8mm Measured using a spindle, measuring setting MODE 20, MAX 10kg, R/H HOLD, depth 8.0mm, speed 600mm/m.

본 명세서에 따른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은 온도가 증가하여도 선명한 경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섞이지 않는 열적 안정성 및 제형 안정성을 갖는다.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thermal stability and formulation stability that do not mix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lear boundary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미만, 25 중량% 미만, 20 중량% 미만, 15 중량% 미만, 10 중량% 미만 또는 5 중량% 미만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미만의 범위 내에서,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우더 함량이 높아 고른 분산을 위한 호모믹싱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불균일한 도포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고른 발색을 나타내는 고형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less than 30%, less than 25%, less than 20%, less than 15%, less than 10% or less than 5% by weight of the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may include.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is 1 wt% or more, 3 wt% or more, 5 wt% or more, 7 wt% or more, or 10 w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within a range of less than 30 wt%. % or more of the powder.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may cause a decrease in productivity or uneven coating due to a high powder content and difficult homomixing for uniform dispersion, and it is possible to prepare a solid composition exhibiting even color developmen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또는 70 중량% 이상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의 범위 내에서,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0.05 내지 1.00 N의 경도를 갖는 반고형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파우더 함량이 적어 반죽이 안되고 뭉치게 도포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높은 함량의 색소 또는 펄을 포함하여 매트한 느낌의 입체감 등 더욱 뚜렷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파우더 함량이 많아 뭉쳐지지 않고 가루와 같이 부스러질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여 반고형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30 wt%, at least 35 wt%, at least 40 wt%, at least 45 wt%, at least 50 wt%, at least 5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It may include 60% by weight or more, 65% by weight or more, or 70% by weight or more of the powder.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is 80% by weight or less, 75% by weight or less, 70% by weight or less, 65% by weight or less, or 6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It may contain less than or equal to weight % of the powder. Accordingly, by preparing a semi-solid composition having a hardness of 0.05 to 1.00 N, the powder content is small, preventing the problem of not kneading and applying a lump, and including a high content of pigment or pearl, a matte three-dimensional effect, etc. A clear gradation effect can be realiz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duction of a semi-solid composition is possible by preventing the problem of not being agglomerated due to a large amount of powder and crumbling like powder.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왁스-프리 (wax-free) 제형인 것일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be a wax-free formulation that does not include a wax.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5 중량%의 왁스를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5 to 25 wt. %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and wherein the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es less than 10 wt. %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be doing

본 명세서에 따른 반고형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여, 고형 조성물과 혼합되지 않고 고형 조성물과 성상이 다른 반고형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emi-sol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contain wax or contains less than 10% by weight,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a semi-solid composition having different properties from the solid composition without being mixed with the solid composition.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면서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is 5 wt% or more, 10 wt% or more, 15 wt% or more, or 20 wt% or more and 25 wt% or less, 20 wt% or less, 15 w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It may contain wax of not more than 10% by weight or not more than 10% by weight.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 7 중량% 미만, 5 중량% 미만 또는 3 중량% 미만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include less than 10 wt%, less than 7 wt%, less than 5 wt%, or less than 3 wt%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85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7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40 to 85% by weight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es 20 to 70% by weight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include.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또는 80 중량% 이상이면서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또는 45 중량% 이하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40 wt% or more, 45 wt% or more, 50 wt% or more, 55 wt% or more, 60 wt% or more, 65 wt% or more, 70 w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At least 85 wt%, at least 75 wt%, or at least 80 wt% and up to 85 wt%, 80 wt% or less, 75 wt% or less, 70 wt% or less, 65 wt% or less, 60 wt% or less, 55 wt% or less, 50 It may contain oil in weight % or less or 45 weight % or less.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또는 65 중량% 이상이면서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is 20 wt% or more, 25 wt% or more, 30 wt% or more, 35 wt% or more, 40 wt% or more, 45 w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 50 wt% or more, 55 wt% or more, 60 wt% or more, or 65 wt% or more and 70 wt% or less, 65 wt% or less, 60 wt% or less, 55 wt% or less, 50 wt% or less, 45 wt% or less , 40% by weight or less, 35% by weight or less, 30% by weight or less, or 25% by weight or less of oil.

상기와 같은 왁스 및 오일 조성을 통하여 파우더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반고형 조성물의 밀착력, 지속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반고형 조성물은 발색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도포면에 대해 밀착력, 지속력 또한 우수하다. 상기 밀착력은, 예컨대 피부, 입술 또는 고형 조성물에 대한 밀착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제형이 상이한 고형 조성물과 섞이지 않지만 고형 조성물에 대해 밀착력이 높아 사용감, 그라데이션 효과, 지속력 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wax and oil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dhesion and durability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powder. The semi-sol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not only high color development but also excellent adhesion and durability to the coated surface. The adhesion may mean, for example, adhesion to skin, lips, or a solid composition. Therefore, the semi-solid composition does not mix with the solid composition having a different formulation, but has a high adhesion to the solid composition, thereby improving the feeling of use, the gradation effect, and the durability.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파우더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파우더라면 무기계 파우더, 유기계 파우더 등의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며, 색소 또는 펄 등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f the powder is a powder used in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in the art,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an inorganic powder, an organic powder, etc. can mea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파우더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폴리우레탄, 나일론,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탈크, 보론 나이트라이드, 세리사이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바륨 설페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실리카 에이치디아이/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및 예컨대 실리카, 티타늄 디옥사이드, 메치콘, 디메치콘 등으로 코팅한 기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owder is polymethyl methacrylate, titanium dioxide,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urethane, nylon, silica, alumina, mica, talc, boron nitride, sericite, vinyl dimethicone / 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disteadimonium hectorite, barium sulfate, dextrin palmitate, silica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synthetic fluorophlogopite, and such as silica, titanium dioxide, methicon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bstrate coated with dimethicone and the lik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색소 또는 펄 등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파우더를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powder capable of exhibiting a color, such as a pigment or pearl.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색소는 천연물 색소, 무기계 색소 및 유기계 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산화철, 티타늄 디옥사이드 또는 타르 색소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igm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igments, inorganic pigments, and organic pigments, and specifically may be iron oxide, titanium dioxide, or tar pigmen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펄은 마이카, 보로실리케이트, 실리카, 나일론, 나일론-6, 알루미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칼슘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등 1종 이상의 기재 위에 티타늄 디옥사이드, 타르 색소 등을 코팅하여 색상을 발현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earl is mica, borosilicate, silica, nylon, nylon-6, alumina, polyethylene terephthalate, calcium aluminum borosilicate, etc. on at least one substrate, titanium dioxide, tar pigment, etc. by coating the color may be manifested.

왁스는 고형유 (고형으로 된 유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온 (약 12 내지 25 ℃)에서는 고체 성상을 가지며 온도를 높일 경우 융점 이상에서 액체 성상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Wax refers to a solid oil (solid oil), which has a solid state at room temperature (about 12 to 25° C.) and a liquid state above its melting point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왁스는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및 라이스 왁스를 포함하는 식물계 왁스; 비즈 왁스 및 라놀린을 포함하는 동물계 왁스; 오조케라이트 및 세레신 왁스를 포함하는 광물계 왁스; 및 파라핀왁스, 마이크로 결정체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는 석유계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왁스의 종류를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wax is a plant-based wax including candelilla wax, carnauba wax and rice wax; animal waxes including beeswax and lanolin; mineral waxes including ozokerite and ceresin wax; And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troleum wax including paraffin wax, microcrystalline wax, and polyethylene wax, but the type of wax is not limited thereto.

오일은 상온 및 상압의 상태에서 물과 혼합 시 오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물을 포함하는 수상과 상이 분리되는 물질을 의미한다.Oil refers to a substance in which all or part of the oil is separated from an aqueous phase containing water when mixed with water at room temperature and pressur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이소도데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호호바씨 오일, 디카프릴릭 카보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에틸헥사노에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트리카프릴린, PEG-15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라우레스-6 카복실레이트), 트리이소노나노인, 트리이소스테아린, 에리스리틸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노나이소스테아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펜타이소노나노에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프로필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옥틸도데실시트레이트, 메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지네이트,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진 및 옥틸도데실네오펜타노에이트 등의 에스터계 오일;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디카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디-C12-13 알킬 말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트리데실 스테아레이트, 네어펜틸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디카프리릴 카보네이트 등의 디에스터계 오일; 디알킬 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스테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틸옥타노인 및 트리카프릴린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옥틸도데칸올, 2-부틸옥탄올, 2-헥실데칸올, 2-운데실펜타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부틸렌 글라이콜 등의 알코올 오일; 및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페닐 트리메치콘 및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등의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오일의 종류를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il may include hydrocarbon-based oils such as hydrogenated polyisobutene, isododecane, hydrogenated poly(C6-14 olefin), hydrogenated polydecene, isoparaffin, and squalane; Triethylhexanoin, cetylethylhexanoate, cetyloctanoate, cetylisooctanoate, octyldodecylmyristate, palmitate, isopropylmyristate,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tocopherol acetate, Coco-caprylate/caprate, jojoba oil, dicaprylic carbonate, pentaerythrityltetraethylhexanoate, pentaerythrityltetraisostearate, sorbitan sesquioleate, polyglyceryl-2 triisostea Late, C12-15 alkyl ethylhexanoate, phytosteryl isostearyl dimer dilinoleate, tricapryline, PEG-15 pentaerythrityl tetra (laureth-6 carboxylate), triisononanoin, triiso Stearin, erythrityltriethylhexanoate, polyglyceryl-10 nonisostearate, dipentaerythritylpentaisononanoate, dipentaerythrityl tri-polyhydroxystearate, diisopropyl dimer dilinoleate, ester-based oils such as polyglyceryl-2 diisostearate, trioctyldodecylcitrate, methyl hydrogenated rosinate, ethylhexylmethoxycinnamate, hydrogenated rosin and octyldodecylneopentanoate; Butylene glycol dicaprylate, dicaprate, diisostearyl maleate, di-C12-13 alkyl maleate, neopentyl glycol diheptanoate, tridecyl stearate, neopentyl glycol dicaprylate/dicaprate, tridecyl diester oils such as trimellitate and dicapryl carbonate; carbonate-based oils such as dialkyl carbonates; triglyceride-based oils such as caprylic/capric triglyceride, caprylic/capric/stearic triglyceride, triethyloctanoin and tricapryline; alcohol oils such as octyldodecanol, 2-butyloctanol, 2-hexyldecanol, 2-undecylpentadecanol, oleyl alcohol, isostearyl alcohol and butylene glycol; and dimethicone, cyclomethicone, polydimethylsiloxane, methylphenylpolysiloxane, methylcyclopolysiloxane, octamethylcyclotetrasiloxane,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tetradecamethylhexasiloxane, octamethyltrisiloxane, phenyl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oils such as trimethicone and 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but the type of oil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상기 이외의 유제, 분체, 고분자 화합물, 보습제, 향료, 산화방지제, 방부제, 미용 성분 등을 본 명세서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mposition i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components used in conventional cosmetics, for example, other than the above oil agents, powders, high molecular compounds, moisturizing agents, fragrances, antioxidants, preservatives, cosmetic ingredients, etc. It can mix|blend suitab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a specifica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을 각각 40 내지 90 부피% 및 10 내지 60 부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을 각각 60 내지 80 부피% 및 20 내지 40 부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을 각각 50 내지 70 부피% 및 30 내지 50 부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을 각각 30 내지 70 부피% 및 30 내지 70 부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id composition and a semi-solid composition in an amount of 40 to 90% by volume and 10 to 60% by volume, respectively.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id composition and a semi-solid composition in an amount of 60 to 80% by volume and 20 to 40% by volume, respectively.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id composition and a semi-solid composition in an amount of 50 to 70% by volume and 30 to 50% by volume, respectively.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id composition and a semi-solid composition in an amount of 30 to 70% by volume and 30 to 70% by volume, respectively.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은 분리막에 의해 분리 존재하거나, 별도의 분리막 없이 양자가 혼합되지 않는 접촉면을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be present separately by a separation membrane, or may exist across a contact surface in which both are not mixed without a separate separation membrane.

본 명세서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이 서로 섞이지 않고 제형이 상이하여 각각의 색상 및 표면 질감 구분이 뚜렷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mplement a gradation effect in which 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and have different formulations, so that each color and surface texture are distinc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 lip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stick) 타입 또는 팟 (pot) 타입 제품으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a stick type or a pot type produc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품에서 반고형 조성물은 코어부를 형성하고 고형 조성물은 셀부를 형성하여 반고형 조성물의 형상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product, the semi-solid composition forms a core part and the solid composition forms a cell part, so that the shape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코어부 또는 쉘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re part or the shell part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예시적인 일 구현에에서, 상기 쉘부는 코어부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hell part may surround a part or all of the core part.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메이크업 1. Makeup 화장료cosmetics 조성물의 제조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하기 표 1 내지 4의 배합에 따라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은 실시예 1의 고체 성상을 갖는 고형 조성물, 표 2는 실시예 2의 반죽형 페이스트 성상을 갖는 반고형 조성물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로써 파우더 함량이 높은 고형 조성물인 비교예 1은 표 3의 배합에 따라 제조하였고, 파우더 함량이 높은 파우더 조성물인 비교예 2는 표 4의 배합에 따라 제조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Lip makeup cosmetic composition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formulations of Tables 1 to 4 below. Table 1 shows the solid composition having the solid properties of Example 1, and Table 2 shows the semi-solid composition having the dough-like paste properties of Example 2. In addi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Comparative Example 1, a solid composition having a high powder cont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in Table 3, and Comparative Example 2, a powder composition having a high powder cont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in Table 4 and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성분ingredient 함량 (wt %)content (wt %) 오일oil 네오펜틸 글라이콜 디헵타노에이트 (NEOPENTYL GLYCOL DIHEPTANOATE)NEOPENTYL GLYCOL DIHEPTANOATE 20.620.6 부틸옥틸 살리실레이트 (BUTYLOCTYL SALICYLATE)Butyloctyl Salicylate (BUTYLOCTYL SALICYLATE) 16.316.3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15.815.8 옥틸도데카놀 (OCTYLDODECANOL)Octyldodecanol (OCTYLDODECANOL) 14.914.9 비스-디글리세릴 폴리아실아디페이트-2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Bis-diglyceryl polyacyl adipate-2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6.96.9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2 TRIISOSTEARATE)POLYGLYCERYL-2 TRIISOSTEARATE 4.24.2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Tocopheryl Acetate (TOCOPHERYL ACETATE) 1.351.35 파우더powder RED 6 (CI 15850)RED 6 (CI 15850) 2.42.4 RED 30 LAKE (CI 73360)RED 30 LAKE (CI 73360) 0.90.9 YELLOW 6 LAKE (CI 15985)YELLOW 6 LAKE (CI 15985) 0.80.8 왁스wax 폴리에틸렌 (POLYETHYLENE)Polyethylene (POLYETHYLENE) 9.559.55 칸데릴라 왁스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 CANDELILLA CERA HYDROCARBONS / CIRE DE CANDELILLA)Candelilla Wax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 CANDELILLA CERA HYDROCARBONS / CIRE DE CANDELILLA) 2.72.7 합성 왁스 (SYNTHETIC WAX)Synthetic Wax (SYNTHETIC WAX) 2.12.1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GLYCERYL BEHENATE/EICOSADIOATE)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0.40.4 분산제dispersant 브이피/헥사데센 코폴리머 (VP/HEXADECENE COPOLYMER)VP/HEXADECENE COPOLYMER 0.70.7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씨드 (POLYHYDROXYSTEARIC ACID)POLYHYDROXYSTEARIC ACID 0.40.4

성분ingredient 함량 (wt %)content (wt %) 오일oil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HYDROGENATED POLYISOBUTENE)HYDROGENATED POLYISOBUTENE 24.5024.50 디메치콘 (DIMETHICONE)Dimethicone 24.5024.50 파우더powder FD&C Yellow 5 Al LakeFD&C Yellow 5 Al Lake 7.007.00 마이카 (MICA)Mica (MICA) 27.0027.00 이산화 티타늄 (Titanium Dioxide)Titanium Dioxide 17.0017.00

성분ingredient 함량 (wt %)content (wt %) 오일oil 네오펜틸 글라이콜 디헵타노에이트 (NEOPENTYL GLYCOL DIHEPTANOATE)NEOPENTYL GLYCOL DIHEPTANOATE 15.915.9 부틸옥틸 살리실레이트 (BUTYLOCTYL SALICYLATE)Butyloctyl Salicylate (BUTYLOCTYL SALICYLATE) 12.612.6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12.212.2 옥틸도데카놀 (OCTYLDODECANOL)Octyldodecanol (OCTYLDODECANOL) 10.610.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Tocopheryl Acetate (TOCOPHERYL ACETATE) 1.11.1 비스-디글리세릴 폴리아실아디페이트-2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Bis-diglyceryl polyacyl adipate-2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5.35.3 파우더powder FD&C Yellow 5 Al LakeFD&C Yellow 5 Al Lake 4.34.3 마이카 (MICA)Mica (MICA) 16.416.4 이산화 티타늄 (Titanium Dioxide)Titanium Dioxide 10.210.2 왁스wax 폴리에틸렌 (POLYETHYLENE)Polyethylene (POLYETHYLENE) 6.66.6 칸데릴라 왁스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 CANDELILLA CERA HYDROCARBONS / CIRE DE CANDELILLA)Candelilla Wax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 CANDELILLA CERA HYDROCARBONS / CIRE DE CANDELILLA) 2.12.1 합성왁스 (SYNTHETIC WAX)Synthetic Wax 1.61.6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GLYCERYL BEHENATE/EICOSADIOATE)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0.30.3 분산제dispersant 브이피/헥사데센 코폴리머 (VP/HEXADECENE COPOLYMER)VP/HEXADECENE COPOLYMER 0.50.5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씨드 (POLYHYDROXYSTEARIC ACID)POLYHYDROXYSTEARIC ACID 0.30.3

성분ingredient 함량 (wt %)content (wt %) 파우더powder FD&C Yellow 5 Al LakeFD&C Yellow 5 Al Lake 1414 마이카 (MICA)Mica (MICA) 5353 이산화 티타늄 (Titanium Dioxide)Titanium Dioxide 3333

실시예 2.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발현 및 질감 차이 확인 Example 2. Confirmation of color expression and texture difference of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인조피부에 상기 제조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한 방향으로 3회 슬라이딩 도포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도포면에 실시예 2의 조성물과 왁스 함량이 높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레이어링하였다. 도 1a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3회 슬라이딩 도포한 것이며, 도 1b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을 3회 두드리듯 얹어서 도포한 것이며, 도 1c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3회 두드리듯 얹어서 도포한 것을 나타낸다.The composition of Example 1 prepared above was applied to the artificial skin by sliding three times in one direction. Thereafter,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and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high wax content were layered on the coated surface of Example 1 by various methods. Figure 1a shows that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applied by sliding three times, Figure 1b is that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applied by tapping three times, and Figure 1c was applied by tapping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three times. indicates that

도 1a 내지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조성물의 경우 슬라이딩하는 즉시 실시예 1의 조성물과 섞이면서 발리고 두드리듯 얹어서 도포한 경우에도 실시예 1의 조성물과 혼합되면서 경계가 흐려지고 비교예 1의 조성물의 발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2의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섞이지 않고 경계가 명확하며 발색 또한 선명하였다.As shown in FIGS. 1a to 1c , in the case of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boundary is blurred while mixing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even when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is mixed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immediately after sliding and applied by tapping. It was found that the color development of the composition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it was not mixed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the boundary was clear, and the color development was also clear.

또한, 검은 광택지에 상기 방법과 유사하게 조성물을 도포하여 더욱 뚜렷한 질감 (텍스쳐) 차이를 확인하였다. 도 2a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5회 슬라이딩 도포한 것이며, 도 2b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을 3회 두드리듯 얹어서 도포한 것이며, 도 2c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3회 두드리듯 얹어서 도포한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composition similarly to the above method on black glossy paper, a more pronounced difference in texture (texture) was confirmed. Figure 2a shows that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is applied by sliding five times, Figure 2b is that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is applied by tapping three times, and Figure 2c is applied by tapping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three times. indicates that

도 2a 내지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레이어링한 경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섞이면서 다소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낸 반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레이어링한 경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섞이지 않고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의 명확한 질감 차이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발색 또한 향상되었다.As shown in FIGS. 2A to 2C , when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layered, a slightly smooth surface was exhibited while mixing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hereas when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layered,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not mixed and solid. Not only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texture between the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but also improved color development.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듀얼 타입의 립 조성물과 달리 색상 및 질감 구분이 뚜렷하여 우수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realize an excellent gradation effect because color and texture are distinct, unlike the conventional dual-type lip composition.

실시예 3.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컬러 밀도 및 밀착력 확인Example 3. Confirmation of color density and adhesion of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요철이 있는 검정색 도화지에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면적을 만들고, 상기 제조한 실시예 2,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각각 도포하였다.A square area of the same size was made on black drawing paper with irregularities, and the compositions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prepared above were applied, respectively.

그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조성물은 파우더 함량이 높은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조성물에 비해 많은 검정색 면적을 보여 가장 낮은 컬러 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파우더 함량이 높은 반고형 조성물은 요철이 있는 입술이나 피부에 빈틈없이 도포되어 더욱 선명한 컬러 표현, 선명한 발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exhibited the lowest color density by showing many black areas compared to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2 and 2 having a high powder content.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mi-solid composition having a high powder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as applied to uneven lips or skin without gaps, enabling more vivid color expression and vivid color development.

또한,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이 도포된 도화지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각 조성물의 밀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교예 2의 조성물은 가루 날림 현상이 발생하여 밀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5 및 6 참조).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반고형 조성물은 30 중량% 이상의 파우더와 20 내지 7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여 선명한 발색뿐만 아니라 높은 밀착력과 지속력을 가져 입술이나 피부에 도포 시 가루 날림 현상으로 호흡기를 통해 가루가 흡입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dhesion of each composition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drawing paper coated with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caused a powdery phenomenon and the adhe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was found (see FIGS. 5 and 6). On the other h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ains 30% by weight or more of powder and 20 to 70% by weight of oil, and has not only vivid color development but also high adhesion and lasting pow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that could be inhaled could be prevented.

실시예Example 4. 메이크업 4. Makeup 화장료cosmetics 조성물의 지속력 확인 Check the durability of the composition

상기 제조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베이스로 입술에 먼저 도포한 후, 그 위에 실시예 2의 조성물과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레이어링하여 도포하였다. 이후, 입술을 촬영한 후 종이컵에 7번 스탬핑을 한 다음 다시 입술을 촬영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The composition of Example 1 prepared above was first applied to the lips as a base, and then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and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were respectively layered thereon. Thereafter, after photographing the lips, the result of stamping the paper cup 7 times and then photographing the lips again is shown in FIG. 7 .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레이어링된 경우 스탬핑 후에도 베이스 조성물과 레이어링 조성물이 섞이지 않고 유지되는 반면, 비교예 1의 조성물이 레이어링된 경우 스탬핑 후 베이스 조성물과 레이어링 조성물의 색상이 더욱 섞이고 없어져 지속력 및 그라데이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탬핑 결과 종이컵을 관찰하여도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레이어링된 경우에는 두 색상이 섞이지 않고 선명하게 분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8 참조).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반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섞이지 않으면서 고형 조성물 위에 레이어링될 때 우수한 밀착력, 지속력을 갖고 향상된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7, when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is layered, the base composition and the layering composition are maintained without mixing even after stamping, whereas when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is layered, the color of the base composition and the layering composition after stamping is 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urability and gradation effect were reduced due to mixing and disappearing. In addition, even when observing the paper cup as a result of stamping, it was found that when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layered, the two colors were clearly separated without mixing (see FIG. 8 ).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mi-sol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excellent adhesion and durability when layered on the solid composition without mixing with the solid composition, and realizes an improved gradation effect.

실시예Example 5. 메이크업 5. Makeup 화장료cosmetics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확인 Confirmation of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상기 제조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코어부에 형성하고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쉘부에 형성하여 실시예 3의 팟 타입 립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로써, 상기 제조한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코어부에 형성하고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쉘부에 형성하여 비교예 3의 팟 타입 립 제품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형 비교를 위해 제조된 팟 타입 립 제품을 100 ℃에서 동시에 가열하면서 코어부와 셀부가 섞이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The composition of Example 2 prepared above was formed on the core part, and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formed on the shell part to prepare a pot-type lip product of Example 3.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prepared above was formed on the core part, and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formed on the shell part to prepare a pod-type lip product of Comparative Example 3. Thereafter, it was observed whether the core part and the shell part were mixed while simultaneously heating the pod-type lip product prepared for formulation comparison at 100 °C.

그 결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3의 경우 4분 후 코어부와 쉘부가 서로 섞여 형체가 완전히 없어진 반면, 실시예 3은 코어부와 쉘부가 섞이지 않고 코어부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며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쉘부만 용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열 후 비교예 3은 코어부가 용융되어 쉘부와 섞이면서 색상이 노르스름하게 (yellowish) 변하는 반면, 실시예 3은 코어부와 쉘부의 색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고온 안정성을 가져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의 경계가 흐려질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선명한 경계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 in Comparative Example 3, the shape of the core part and the shell part was mixed with each other after 4 minutes and the shape was completely lost, whereas in Example 3, the shape of the core part was maintained without mixing the core part and the shell part. It was confirmed that only the shell part made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melted. In addition, after hea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changed to yellowish while the core part was melted and mixed with the shell part, whereas in Example 3, the colors of the core part and the shell part were maintained as they are.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high temperature stability,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may be blurred and maintaining a clear boundary.

이상,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 specif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is specific descrip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It will be obvious.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4)

왁스, 파우더 및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조성물; 및
파우더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 조성물과 혼합되지 않는 반고형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미만의 파우더를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의 파우더를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solid compositions comprising waxes, powders and oils; and
a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ing a powder and an oil and immiscible with the solid composition;
wherein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less than 30% by weight of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The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es 30 to 80% by weight of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Wherein the semi-solid composition does not contain wax or contains less than 10% by weight of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40 내지 150 ℃의 융점을 갖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olid composition has a melting point of 40 to 150 ℃,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0.05 내지 1.00 N의 경도를 갖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mi-solid composition will have a hardness of 0.05 to 1.00 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5 중량%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1 to 25% by weight of the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the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0 중량%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mi-solid composition is a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35 to 70 wt % of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mi-solid composition does not contain a wax,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5 중량%의 왁스를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 중량% 미만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10 to 25% by weight of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The semi-solid composition comprises less than 7% by weight of wa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내지 85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반고형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7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lid composition comprises 40% to 85% by weight of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mposition;
The semi-solid composition is a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20 to 70 wt % of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mi-solid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을 각각 40 내지 90 부피% 및 10 내지 60 부피%로 포함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es a solid composition and a semi-solid composition in an amount of 40 to 90% by volume and 10 to 60% by volume, respectively, ombré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조성물과 반고형 조성물은 분리막에 의해 분리 존재하거나, 양자가 혼합되지 않는 접촉면을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olid composition and the semi-solid composition are separated by a separation membrane or exist across a contact surface in which both are not mixed, a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A lip makeup cosmetic composition that is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n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stick) 타입 또는 팟 (pot) 타입 제품으로 제형화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 stick type or a pot type product, Ombr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서 반고형 조성물은 코어부를 형성하고 고형 조성물은 셀부를 형성하는 것인, 옴브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product, the semi-solid composition forms the core part and the solid composition forms the cell part, the ombré makeup cosmetic composition.
KR1020170126993A 2017-09-29 2017-09-29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KR102429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93A KR102429839B1 (en) 2017-09-29 2017-09-29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93A KR102429839B1 (en) 2017-09-29 2017-09-29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39A KR20190037539A (en) 2019-04-08
KR102429839B1 true KR102429839B1 (en) 2022-08-05

Family

ID=6616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93A KR102429839B1 (en) 2017-09-29 2017-09-29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83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9344A1 (en) 2002-11-01 2004-05-13 Unilever Plc Improved solid stick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ing a coating
KR100881298B1 (en) * 2005-09-09 2009-02-0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Solid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multiple layers
JP2011006349A (en) 2009-06-25 2011-01-13 Kose Corp Multicolor oily solid cosmetic
KR101060929B1 (en) * 2004-12-21 2011-08-30 (주)아모레퍼시픽 High viscosity semi solid cosmetic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18161B1 (en) * 2011-05-24 2015-05-06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Combined lipstick, lip gloss and lip liner bull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723A (en) 2005-01-07 2005-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 lipstick having core and shell structure containing anti-wrinkle compound
JP6169841B2 (en) * 2012-07-18 2017-07-26 株式会社 資生堂 Semi-solid cosmetic
FR3021212B1 (en) * 2014-05-23 2017-09-15 Lvmh Rech MUTLI-COMPOSITIONS COSMETIC PRODUCT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9344A1 (en) 2002-11-01 2004-05-13 Unilever Plc Improved solid stick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ing a coating
KR101060929B1 (en) * 2004-12-21 2011-08-30 (주)아모레퍼시픽 High viscosity semi solid cosmetic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81298B1 (en) * 2005-09-09 2009-02-0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Solid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multiple layers
JP2011006349A (en) 2009-06-25 2011-01-13 Kose Corp Multicolor oily solid cosmetic
KR101518161B1 (en) * 2011-05-24 2015-05-06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Combined lipstick, lip gloss and lip liner bul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39A (en)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0259B2 (en) Powder cosmetic composition
KR101727027B1 (en) Powder make-up cosmetic compo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molding type
KR20160102762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icone oil and emolient
KR20070048151A (en) Two-coat cosmetic product, uses thereof and makeup kit containing this product
JP7291034B2 (en) Secondary adhesion prevention oil-based cosmetics
KR20150023306A (en) Cosmetic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a non volatile hydrocarbonated oil, waxes and a high content from non volatile phenylated silicone oil
JP2007238578A (en) Lip cosmetic
KR20170091864A (en) Lip cosmetic composition
KR20190003206A (en) 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for lip
KR102363452B1 (en) High-amount oligomeric phytosterol ester stabilized lip-gloss stick type cosmetic composition
KR102016904B1 (en) Composition for making up the lip
JP4414082B2 (en) Oily cosmetics
JP2022129809A (en) Oil-based lip cosmetic
KR102610444B1 (en) Cosmetic composition
TW202038889A (en) Oily cosmetic having decorative layer
JP4907997B2 (en) Lip cosmetics
KR102429839B1 (en)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adation effect
KR102645436B1 (en) Stick-type make-up composition with excellent coverage and application
JP5048564B2 (en) Stick cosmetic
WO2019051635A1 (en) Solid anhydrous composition and use
US10258545B2 (en) Oily cosmetics
KR101989783B1 (en) Anti-breaking lip makeup composition
Cunningham Color cosmetics
KR101780709B1 (en) Li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water soluble silicon compound
JPH10338618A (en) Oily solid cos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