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174B1 -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174B1
KR102429174B1 KR1020170088300A KR20170088300A KR102429174B1 KR 102429174 B1 KR102429174 B1 KR 102429174B1 KR 1020170088300 A KR1020170088300 A KR 1020170088300A KR 20170088300 A KR20170088300 A KR 20170088300A KR 102429174 B1 KR102429174 B1 KR 10242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photoactive layer
solar cell
lay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204A (ko
Inventor
송미연
이갑종
장성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1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0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 H01L31/03521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the quantum structure being quantum do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은 용액 치환법으로 양자점 용액을 치환하여 양자점 잉크를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Pb를 포함하는 상기 양자점 잉크를 스프레이 코팅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을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FABRICATION METHOD OF A PHOTOACTIVE LAYER FOR A QUANTUM DOT SOLAR CELL,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QUANTUM DOT SOLAR CELL}
본 발명은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자점 태양 전지는 차세대 태양 전지 후보군 중 하나로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양자점'(Quantun dot)은 빛 등의 에너지로 자극하면 빛을 발하는 나노 크기의 반도체적 구조물 입자로써, 입자의 크기에 따라 방출하는 빛의 색상이 달라지는 물질이다. 물질의 크기가 작아져서 물질의 차원이 낮아지면 전자상태밀도와 에너지가 다르기 때문에 물질의 특성도 차원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데, 예를 들면,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나노입자에서는 일반적인 물질에서 나타나지 않는 양자구속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가 나타난다.
자동차, 버스와 같은 운송 수단은 면적이 넓어 태양 전지 장착시 전지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종래의 태양 전지들은 접합 필름을 통해 운송 수단에 장착하였고, 이에 따라, 비용, 무게 증가 등으로 태양 전지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48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에서 안정하고, 운송 수단과 일체형으로 형성 가능한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을 제공할 수 있는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온에서 안정하고, 운송 수단과 일체형으로 형성 가능한 양자점 태양 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은 용액 치환법으로 양자점 용액을 치환하여 양자점 잉크를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Pb를 포함하는 상기 양자점 잉크를 스프레이 코팅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을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점층을 PbI2 리간드 용액으로 후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점층을 후처리 한 후, 상기 리간드 용액을 80 내지 100℃에서 30초 내지 90초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용매 증기 소킹법(Solvent vapor soaking)으로 30초 내지 25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증기 소킹법은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또는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부틸아민(Butylamine)의 혼합 용매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딥코팅법(Dip coating), 드롭핑(Dropping), 또는 스핀 코팅법(Spin coating)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 용액은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부틸아민(Butylamine)을 용매로 포함하고, 상기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및 상기 부틸아민의 중량% 비율은 1:100 내지 1:3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양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양극 상에 광활성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광활성층 상에 음극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활성층을 제공하는 단계는 용액 치환법으로 양자점 용액을 치환하여 양자점 잉크를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Pb를 포함하는 상기 양자점 잉크를 스프레이 코팅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을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온에서 안정하고, 운송 수단과 일체형으로 형성 가능한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온에서 안정하고, 운송 수단과 일체형으로 형성 가능한 양자점 태양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활성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기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실험예 2의 전압과 전류 밀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실험예 8에서 날짜별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의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는 실험예 9의 전압과 전류 밀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실험예 10의 전압과 전류 밀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양극을 제공하는 단계(S10), 양극 상에 광활성층을 제공하는 단계(S20), 및 광활성층 상에 음극을 제공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은 용액 치환법으로 양자점 용액을 치환하여 양자점 잉크를 형성하는 단계(S100), 기판 상에 Pb를 포함하는 양자점 잉크를 스프레이 코팅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및 양자점층을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양자점 잉크를 형성하는 단계(S100)는 용액 치환법으로 치환된 양자점 용액으로 양자점 잉크를 형성한다. 양자점층을 형성한 후 리간드를 치환하여야 하는 고상 치환법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용액 치환법은 양자점층을 형성하기 이전에 리간드를 치환하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운송 수단에 직접 양자점층을 형성할 경우 운송 수단에 생길 수 있는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양자점 용액은 예를 들어,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부틸아민(Butylamine)을 용매로 포함하고,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및 부틸아민의 중량% 비율은 1:100 내지 1:300인 것일 수 있다. 중량% 비율이 1:100 미만이면, 부틸아민이 적어, 아민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양자점의 분산도 및 양자점 계면에서의 표면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고, 중량% 비율이 1:300 초과이면, 다이메틸포름아미드의 비율이 낮아 용매의 용해도가 떨어진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활성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판(100)을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나, 이 때 기판(100)은 운송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의 일부일 수 있다. 운송 수단은 자동차, 버스, 비행기, 자전거, 배 등 사람 또는 물건을 운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기판(100)은 예를 들어 배치 기판(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양자점층(200)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프레이 코팅법으로 수행된다. 스핀 코팅법은 소면적의 양자점층을 수행할 때 적합하고, 연속적인 공정에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운송 수단에 직접 광활성층(300)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300)의 제조 방법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스프레이 코팅법은 운송 수단의 구조물에 직접 용액(30)을 스프레이하여 제작이 가능하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대면적에도 균일하게 양자점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 및 도 3a를 참조하면, 양자점층(200)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스프레이 기기(20)을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양자점층(200)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기판(100)을 X축 및 Y축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배치 기판(10) 상에 배치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a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판(100)을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나, 이 때 기판(100)은 운송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기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프레이 기기(20)는 오르피스 노즐(24)을 포함할 수 있다. 오르피스 노즐(24)의 크기 및 오르피스 노즐(24)과 기판(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양자점층(도 2c의 200)의 도포 두께, 도포 면적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스프레이 기기(20)는 예를 들어 양자점 제공부(21), 애터마이제이션부(atomization)(22), 및 압력 조절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양자점 제공부(21)는 교질의 양자점(Colloidal quantum dot)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a의 기판(100)을 생략하였으나, 이는 생략되지 않을 수 있다.
광활성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300)는 양자점층(200)을 PbI2 리간드 용액으로 후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종래의 PbS 대신, PbI2를 사용하여, 태양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활성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300)는 양자점층(200)을 후처리 한 후, 리간드 용액을 80 내지 100℃에서 30초 내지 90초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리간드는 유기물로, 상기 온도 및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건조를 수행하여야, 리간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리간드를 고온에서 급속하게 건조하면 양자점층(200)에 결함이 생겨 태양 전지의 성능이 하락할 수 있다.
도 1b,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4a를 참조하면, 광활성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300)는 용매 증기 소킹법(Solvent vapor soaking)으로 30초 내지 25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용매 증기 소킹법은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및 부틸아민(Butylamine)의 혼합 용매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용매 증기 소킹법을 통해 기판(100) 상에 미리 건조되어 불안정하게 도포된 양자점층(200)을 재배열하여 균일한 광활성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용매 증기 소킹법을 30초 미만으로 수행하면, 양자점층(200)을 재배열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할 수 있고, 250초 이상 수행되면 열에 의해 양자점층(200)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도 1b, 도 2a 내지 도 2d, 도 4b, 및 도 4c 를 참조하면, 광활성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300)는 딥코팅법(Dip coating), 드롭핑(Dropping), 또는 스핀 코팅법(Spin coating)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용기(50)에 용매(40)를 담고 양자점층(200)을 침지하여 광활성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드롭기기(60)를 통해 양자점층(200)에 용매(40)를 떨어뜨려 광활성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작은 전지의 경우 스핀 코팅법을 통해서 광활성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은 상온에서 안정하고,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운송 수단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균일하게 광활성층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활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종래의 양자점 태양 전지보다 성능이 향상된 양자점 태양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표 1에 나타난 용매로 각각 후처리 없이 양자점층 제조하였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용매 PCE (%) VOC (V) JSC (mA cm-2) FF
BA:DMF 100:1 0.33 0.26 3.76 0.34
BA:DMF 1:50 2.73 0.47 13.06 0.45
DMF 3.01 0.49 12.71 0.49
BA:DMF 1:200 3.55 0.49 14.82 0.49
양자점 용액은 용매에 따라 성능 차이가 10배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용매 선정이 중요하다. 부틸아민(BA) 보다 다이메틸포름아미드(DMF)를 사용하였을 때 태양 전지의 성능이 10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만, 표 1을 참조하면, DMF만 단독으로 사용시보다, BA를 소량 (BA:DMF = 1:200) 혼합하게 되면 DMF 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약 16% 정도 성능이 향상되는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양자점층을 표 2에 나타난 리간드로 각각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제조하였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전압과 전류 밀도 사이의 관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리간드 PCE (%) VOC (V) JSC (mA cm-2) FF
PbI2 4.99 0.54 17.31 0.53
TBAI 4.58 0.53 16.14 0.53
표 1의 BA:DMF = 1:200와 비교하면, PbI2로 후처리하면 4.99% 까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및 도 5를 참조하면, TBAI(tetrabutylammonium iodide)를 사용하여 후처리한 경우보다도 성능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Pd 기반의 양자점과 PbI2 리간드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PbI2의 분자 크기가 TBAI보다 작기 때문에 양자점층 안쪽까지 후처리가 되었기 때문으로 예측된다.
실험예 3
표 3의 방법을 통해 양자점층의 후처리를 실시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였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Ligand exchange PCE (%) VOC (V) JSC (mA cm-2) FF
Dip coating 3.43 0.50 13.15 0.53
dropping/
spin coating
3.64 0.48 14.53 0.52
표 1과 표 3을 비교하면, 양자점을 후처리한 경우 태양 전지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및 5
기판과 노즐 사이의 최소 거리를 18, 15, 13cm로 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였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또한 노즐의 직경을 0.74, 0.75, 0.76mm로 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였고, 실험예 4와 동일하게 실험예 5를 진행하였다.
Distance (cm) PCE (%) VOC (V) JSC (mA cm-2) FF
18 4.36 0.53 16.55 0.50
15 4.07 0.50 15.60 0.52
13 3.82 0.52 16.87 0.44
Size (mm) PCE (%) VOC (V) JSC (mA cm-2) FF
0.74 6.55 0.57 17.60 0.66
0.75 6.82 0.56 20.00 0.61
실험예 4 및 실험예 5를 참조하면, 기판과 노즐 사이의 최소 거리, 노즐의 직경에 따라 태양 전지의 성능이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PbI2로 양자점층을 후처리한 후, 표 6에 기재된 온도로 60초 동안 건조하였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Temperature (℃) PCE (%) VOC (V) JSC (mA cm-2) FF
열처리 전 0.82 0.41 4.51 0.44
90 2.85 0.47 12.73 0.48
100 2.30 0.48 10.46 0.46
표 6을 참조하면, 양자점층을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한 후, 건조하여 태양 전지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용매 증기 소킹법으로 양자점층을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용매 증기 소킹법 PCE (%) VOC (V) JSC (mA cm-2) FF
미실시 3.73 0.54 15.16 0.45
60초 4.09 0.56 15.75 0.47
300초 3.25 0.51 14.43 0.44
표 7을 참조하면, 용매 증기 소킹법을 60초 동안 수행하면 미실시한 경우보다 태양 전지의 효율이 향상되지만, 300초 동안 수행하면 미실시한 경우보다 태양 전지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양자점층을 PbI2로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95일 동안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여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하였다.
날짜 PCE (%) VOC (V) JSC (mA cm-2) FF
0 5.37 0.56 15.60 0.62
95 5.25 0.55 14.42 0.66
표 8 및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태양 전지는 상온에서 안정하고 95일동안 공기 중에 방치하여도 95%의 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양자점층으로 사용된 무기물계 양자점을 상온에서 안정하기 때문으로 예측된다.
실험예 9
광활성층의 두께 250, 300, 350 nm로 하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전압과 전류 밀도 사이의 관계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양자점층의 두께 PCE (%) VOC (V) JSC (mA cm-2) FF
350 nm 6.82 0.56 20.00 0.61
300 nm 6.98 0.57 18.31 0.67
250 nm 5.89 0.56 17.73 0.60
종래의 태양전지는 10nm의 두께 차이로도 태양 전지의 성능이 크게 차이났었다. 다만, 본원 발명의 경우, 표 9 및 도 7을 참조하면, 300nm의 광활성층과 350nm의 광활성층의 성능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25nm 오차가 허용됨을 의미하여, 이에 따라 제조 공정상에서 핸들링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실험예 10
이동식 배치 기판, 고정식 배치 기판으로 양자점층을 형성하고, TiO2로 양극, MoO3/Au/Ag로 음극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오픈-써킷 전압(open-circuit voltage(VOC)), 숏-써킷 전류(short-circuit current(JSC)), 및 필 팩터(fill factor(FF))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전압과 전류 밀도 사이의 관계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배치 기판 PCE (%) VOC (V) JSC (mA cm-2) FF
이동식 6.98 0.57 18.31 0.67
고정식 5.34 0.53 16.55 0.60
표 10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식 배치 기판을 사용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여도, 태양 전지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기판: 100 양자점층: 200
광활성층: 300

Claims (8)

  1. 용액 치환법으로 양자점 용액을 치환하여 양자점 잉크를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Pb를 포함하는 상기 양자점 잉크를 스프레이 코팅하여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을 후처리하여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 용액은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부틸아민(Butylamine)을 용매로 포함하고, 상기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및 상기 부틸아민의 중량% 비율은 1:100 내지 1:300인 것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점층을 PbI2 리간드 용액으로 후처리하는 것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점층을 후처리 한 후, 상기 리간드 용액을 80 내지 100℃에서 30초 내지 90초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용매 증기 소킹법(Solvent vapor soaking)으로 30초 내지 25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증기 소킹법은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또는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부틸아민(Butylamine)의 혼합 용매로 수행되는 것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딥코팅법(Dip coating), 드롭핑(Dropping), 또는 스핀 코팅법(Spin coating)으로 수행되는 것인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 제조 방법.
  7. 삭제
  8. 양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양극 상에 상기 제1항에 의해 제조된 상기 광활성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광활성층 상에 음극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170088300A 2017-07-12 2017-07-12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42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00A KR102429174B1 (ko) 2017-07-12 2017-07-12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00A KR102429174B1 (ko) 2017-07-12 2017-07-12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204A KR20190007204A (ko) 2019-01-22
KR102429174B1 true KR102429174B1 (ko) 2022-08-03

Family

ID=6532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300A KR102429174B1 (ko) 2017-07-12 2017-07-12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1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8345A1 (en) 2009-05-18 2010-11-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Quantum dot thin film solar cell
KR101525469B1 (ko) * 2013-12-09 2015-06-03 한국기계연구원 양자점 태양전지 제조장치
JP2016532301A (ja) 2013-08-29 2016-10-13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フロリダ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Inc. 溶液から作製された無機半導体から空気中で安定な赤外線光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835B1 (ko) 2013-01-02 2013-08-07 한국기계연구원 양자점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574B1 (ko) * 2015-06-15 2017-03-24 한국기계연구원 패시베이션된 양자점 및 그 제조방법
KR101722579B1 (ko) * 2015-08-28 2017-04-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점 태양전지용 광활성층,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8345A1 (en) 2009-05-18 2010-11-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Quantum dot thin film solar cell
JP2016532301A (ja) 2013-08-29 2016-10-13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フロリダ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Inc. 溶液から作製された無機半導体から空気中で安定な赤外線光検出器
KR101525469B1 (ko) * 2013-12-09 2015-06-03 한국기계연구원 양자점 태양전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204A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shop et al. Advances in spray-cast perovskite solar cells
Ghosh et al. Antisolvents in perovskite solar cells: importance, issues, and alternatives
Zi et al. Flexible perovskite solar cells based on green, continuous roll-to-roll printing technology
Su et al. 3D-printed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Matteocci et al. Solid-state solar modules based on mesoscopic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 a route towards the up-scaling process
KR101739517B1 (ko) 산화니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Choi et al. Tuning Solute‐Redistribution Dynamics for Scalable Fabrication of Colloidal Quantum‐Dot Optoelectronics
Burkitt et al. Perovskite solar cells in NIP structure with four slot-die-coated layers
CN107852793B (zh) 有机薄膜层叠体及有机电致发光元件
Taheri et al. Automated scalable spray coating of SnO2 for the fabrication of low‐temperature perovskite solar cells and modules
JP2012114424A (ja) 太陽電池およ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Chou et al. Progress in spray coated perovskite films for solar cell applications
Kumar et al. Room‐Temperature Spray Deposition of Large‐Area SnO2 Electron Transport Layer for High Performance, Stable FAPbI3‐Based Perovskite Solar Cells
EP3419069A1 (en) Organic solar module and/or fabrication method
KR20160090364A (ko) 유기 전자 소자
Huckaba et al. Inkjet‐Printed TiO2/Fullerene Composite Films for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Thornber et al. Nonplanar spray-coated perovskite solar cells
KR102429174B1 (ko) 양자점 태양 전지용 광활성층의 제조 방법 및 양자점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932390B1 (ko)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Sun et al. Ultrasonic spray deposition of TiO2 electron transport layers for reproducible and high efficiency hybrid perovskite solar cells
EP2771920B1 (en) Solution-processable tungsten oxide buffer layers and organic electronics comprising same
JP5870862B2 (ja) 光電変換素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
KR102064650B1 (ko) 유기 태양 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
KR101722579B1 (ko) 양자점 태양전지용 광활성층,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5366A (ko)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