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217B1 -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 Google Patents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217B1
KR102428217B1 KR1020210101803A KR20210101803A KR102428217B1 KR 102428217 B1 KR102428217 B1 KR 102428217B1 KR 1020210101803 A KR1020210101803 A KR 1020210101803A KR 20210101803 A KR20210101803 A KR 20210101803A KR 102428217 B1 KR102428217 B1 KR 10242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evaporation
evaporation device
circulation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준
Original Assignee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주) filed Critical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주)
Priority to KR102021010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재; 복수개의 다공성 블록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수방출부재로부터 분사된 해수가 통과하며 수분이 증발되는 해수증발부재; 상기 해수증발부재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재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저수조로부터 상기 해수방출부재로 해수를 제공하는 해수순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Apparatus of seawater evapora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에 관한 것으로, 소금결정의 가속화를 위해 온습도 및 바람, 계절에 상관없이 소금 생산이 가능하고, 단위면적 당 소금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일반적인 소금제조는 수평적인 넓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증발시켜 천연소금을 석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염전은 바닷물을 끌어들여 저장하고 바닷물 내의 불순물을 가라앉히는 저수지, 저수지보다 수면이 낮으며 1차적으로 바닷물을 증발시키는 제1 증발지, 제1 증발지로부터 일부 수분이 증발된 바닷물을 더 증발시키는 제2 증발지를 포함하는 단계별 증발지들과, 증발지를 거쳐 염도가 25% 이상인 바닷물을 더 증발시켜 소금 결정이 형성되는 결정지로 구성된다.
저수지, 복수개의 증발지, 결정지는 태양 빛에 의한 자연증발을 위해 수평적인 구조를 이루므로, 넓은 면적에 이르는 염전 작업 공간과 염전사업 종사자들의 고령화로 인해 천일염의 생산은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소금 생산이 중단된 염전은 태양광 발전산업 부지로 임대됨으로 인해 일 년에 수십만평 이상의 염전이 사라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금의 생산은 국가기간산업에 해당하므로, 소금과 연관된 산업과 물품생산의 안정성을 위하여 소금의 생산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활성화 및 탄소 중립을 위하여 염전의 일부를 태양광 발전산업 부지로 이용할 수도 있어야 하므로, 단위면적 당 효과적인 소금 생산을 위한 염전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3309호(공개일: 2013년06월14일) 한국등록특허 제10-1383565호(등록일: 2014년04월03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7611호(공개일: 2021년04월30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61203호(공개일: 2020년06월02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금결정의 가속화를 위해 온습도 및 바람, 계절에 상관없이 소금 생산이 가능하고, 염전에 설치되어 단위면적 당 소금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재; 복수개의 다공성 블록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수방출부재로부터 분사된 해수가 통과하며 수분이 증발되는 해수증발부재; 상기 해수증발부재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재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저수조로부터 상기 해수방출부재로 해수를 제공하는 해수순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수증발부재는, 중심에 중공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다공성 블록이 다각형으로 형성한 제1 해수증발모듈과,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 상에 적층되며 상기 중공과 통공되도록 상기 해수증발부재의 외주면으로 개방 영역이 형성된 제2 해수증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과 제2 해수증발모듈은 교대하며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증발부재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과 맞닿는 최하부에 제2 해수증발모듈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순환부재는,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제1 해수배관과, 상기 해수방출부재와 연결되는 제2 해수배관과, 상기 제1 해수배관과 제2 해수배관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해수배관으로부터 제2 해수배관으로 해수를 제공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순환부재는, 상기 제2 해수배관과 상기 순환펌프 사이에 개재되는 순환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 장치는, 상기 해수방출부재, 해수증발부재, 저수조 및 해수순환부재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재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는, 상기 천장개방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천장개방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천장개방부를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감거나 풀어내어 상기 천장개방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구동롤러를 포함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해수 증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 장치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소정의 온도를 제공하며 상기 수용된 해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는 수직구조의 해수증발부재를 염전에 설치하여, 온습도 및 바람, 계절에 상관없이 소금 생산이 가능하고, 단위면적 당 소금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상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해수증발모듈과 제2 해수증발모듈을 각각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를 포함하는 염전의 결정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의 해수증발부재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해수증발모듈과 제2 해수증발모듈을 각각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를 포함하는 염전의 결정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10)는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재(100); 복수개의 다공성 블록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수방출부재(100)로부터 분사된 해수가 통과하며 수분이 증발되는 해수증발부재(200); 상기 해수증발부재(200)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재(200)를 통과한 해수(3)가 저장되는 저수조(300); 및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저수조(300)로부터 상기 해수방출부재(100)로 해수를 제공하는 해수순환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 장치(10)는 염전의 복수개의 증발지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해수를 저수지에 저장하고, 제1 증발지에서 태양 빛과 바람으로 1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킨 해수는 해수 증발 장치(10)의 저수조(300)로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저수지에 저장된 해수는 바로 해수 증발 장치(10)의 저수조(3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해수 증발 장치(10)는 해수가 결정지로 이동할 정도의 염도가 될 때까지 해수순환부재(400)가 해수를 순환시키며 해수방출부재(100)와 해수증발부재(200)가 해수를 효율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넓은 증발지를 구비한 종래의 염전보다도 염도가 상승된 해수를 형성하는 단위면적 당 고염도 해수 형성 효율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염전의 소금 생산 효율이 매우 높아질 수 있으므로 증발지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한 여유분의 증발지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마련할 수 있는 부지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해수를 분사하는 해수방출부재(100)는 해수증발부재(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예로써, 미스트(110) 분사방식으로 해수를 분사하거나(도 2a), 다른 예로써, 점적(120)관수 방식으로 해수를 드롭핑(dropping)하여(도 2b), 해수증발부재(200)를 향하며 해수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해수방출부재(100)는 해수방출부재(100)와 연결된 배관 사이 내부에 필터를 개재하여 해수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해수의 정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복수개의 다공성 블록으로 형성되는 해수증발부재(200)는 상기 해수방출부재(100)로부터 분사된 해수가 다공성 블록에 구비된 공극을 통과하며 태양 빛과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 즉, 해수는 중력에 의해 저수조(300)로 떨어질 때까지 다공성의 블록을 통과하며 머무는 동안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다공성 블록은 벽돌과 같은 자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현무암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증발부재(200)는, 도3a, 도4a,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에 중공(200a)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다공성 블록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제1 해수증발모듈(210)과,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210) 상에 적층되며 상기 중공(200a)과 통공되도록 상기 해수증발부재(200)의 외주면으로 개방 영역(200b)이 형성된 제2 해수증발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210)과 제2 해수증발모듈(220)은 교대하며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해수증발모듈(210)과 제2 해수증발모듈(220)이 교대로 적층하여 위치하고, 중심의 중공(200a)과 외주면의 개방영역(200b)을 마련함으로써 해수증발부재(200)의 통기성이 향상되고, 태양광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다공성 블록에 머물러 있는 해수의 수분 증발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증발부재(200)는, 도3b 및 도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공성 블록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되는 제1 해수증발모듈(210)과,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210)의 배열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210) 상에 적층되는 제2 해수증발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210)과 제2 해수증발모듈(220)은 교대하며 적층됨으로써 해수증발부재(200)의 중심에 중공(200a)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증발부재(200) 또한 중심에 중공(200a)이 마련되고, 상기 해수증발부재(200)의 외주면으로 개방 영역(200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수증발부재(200)는, 상기 저수조(300)의 바닥과 맞닿는 최하부에 제2 해수증발모듈(220)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300) 내부를 순환하는 해수(3)의 흐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해수(3)의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서, 해수 증발 장치(10)는 해수증발부재(200)의 제1 해수증발모듈(210)과 제2 해수증발모듈(220)의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위해 해수증발부재(200)의 외측부를 지지하는 모듈지지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모듈지지대(700)는 해수증발부재(200)의 최상부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710)와, 저수조의 바닥과 이격된 해수증발부재(200)의 최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720)와, 해수증발부재(20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710)와 제2 지지플레이트(720)를 관통하는 한 쌍의 결합봉(730)과, 상기 결합봉(7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플레이트(710)와 제2 지지플레이트(720) 및 결합봉(730)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하는 조임너트(7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봉(730)의 하단부는 저수조의 바닥에 맞닿으며 해수증발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해수증발부재(200)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재(200)를 통과한 해수(3)가 저장되는 저수조(300)는 내부에 수용된 해수(3)의 염도를 측정하는 농도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염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해수 증발 장치(10) 내에서 해수는 순환은 계속되며, 해수 분사와 증발이 반복될 수 있다.
해수(3)를 순환시키며 상기 저수조(300)로부터 상기 해수방출부재(100)로 해수를 제공하는 해수순환부재(400)는 상기 저수조(300)와 연결되는 제1 해수배관(410)과, 상기 해수방출부재(100)와 연결되는 제2 해수배관(420)과, 상기 제1 해수배관(410)과 제2 해수배관(42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해수배관(410)으로부터 제2 해수배관(420)으로 해수(3)를 제공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순환펌프(430)가 가동하여 제1 해수배관(410)을 통하여 저수조(300) 내부의 해수(3)를 제2 해수배관(420)으로 이동시키고, 제2 해수배관(420)은 해수방출부재(100)로 해수를 제공하고, 해수방출부재(100)는 제공된 해수(3)를 미스트 형태(110) 또는 점적 형태(120)로 하방분사하고, 분사된 해수가 해수증발부재(200)를 타고 저수조로 흐르는 동안 해수 내의 수분은 증발되어 염도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해수증발부재(200)를 통과하며 저수조(300)로 돌아온 해수는 다시 해수순환부재(400)를 통하여 상기의 과정으로 반복 순환됨으로써 결정지로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해수순환부재(400)는, 상기 제2 해수배관(420)과 상기 순환펌프(430) 사이에 개재되는 순환필터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440)가 개재됨으로써, 오염물이 걸러져 정제된 해수가 제2 해수배관(520)을 통하여 해수방출부재(1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써, 제1 해수배관(410) 및 제2 해수배관(420)과 해수방출부재(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F)이 해수증발부재(200)의 상부를 포함하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 장치(10)는, 상기 해수방출부재(100), 해수증발부재(200), 저수조(300) 및 해수순환부재(400)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부재(500)는 해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한 온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하우징부재(500)로 인해, 우천 시에 함수를 보관하는 별도의 해주가 불필요하므로, 염전 공간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500)는, 하우징 본체(510) 중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개방부(540)를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는, 상기 천장개방부(54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520)와, 상기 천장개방부(54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5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조절모듈(530)의 개방 정도에 따라 일조량 또는 자연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커버(520)는 천장개방부(540)의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비가 오더라도 빗물이 저수조(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수(3)의 염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개방부(540)와 상부커버(520) 사이에는 자연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듈(530)은 상기 천장개방부(540)를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532)과, 상기 가림막(532)을 감거나 풀어내어 상기 천장개방부(54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구동롤러(53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 장치(10)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부재(500) 내부로 제공하여 하우징부재(500)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히 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재(500)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재(60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로써, 강제급기부재(600)는 강제급기를 위한 급기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수의 수분 증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수 증발 장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20)는, 상기 해수 증발 장치(10)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소정의 온도를 제공하며 상기 수용된 해수(3)를 가열하는 가열부(22)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22)로 온도가 상승된 해수(3)는 수분 증발 효율이 더욱 상승되어 소금의 결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재(500)는 결정지(20) 상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정지(20)는, 상기 가열부(22)의 외주 영역을 감싸며 결정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부(23)를 더 포함하여 가열부(22)의 외부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정지(20)는 염전 바닥(1)과 맞닿는 단열부(23)와, 단열부(23)와 결정지(20)의 바닥면(21) 사이에 위치하며 가열부(22)가 매립된 몰탈층(24)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단열부(23)는 EPS 단열보드와 같은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가열부(22)는 외부의 보일러(5)와 결합되는 온수용 엑셀배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일러(5)의 구동원은 해수 증발 장치(10)로 인한 여유분의 증발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이나 한전선로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해수 증발 장치(10)는, 제어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해수(3)의 염도 또는 하우징부재(500) 내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저수조(300)에 연결된 보일러(5), 해수순환부재(400)에 구비된 순환펌프(430), 하우징부재(500)의 조절모듈(530), 또는 강제급기부재(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염도의 해수를 형성하여 소금 결정지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 증발 장치(10)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은 소금결정의 가속화를 위해 온습도 및 바람, 계절에 상관없이 소금 생산이 가능하고, 단위면적 당 소금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염전바닥
3; 해수
5; 보일러
10; 해수 증발 장치
20; 결정지
22; 가열부
100; 해수방출부재
200; 해수증발부재
210; 제1 해수증발모듈
220; 제2 해수증발모듈
300; 저수조
400; 해수순환부재
410; 제1 해수배관
420; 제2 해수배관
430; 순환펌프
440; 순환필터부
500; 하우징부재
520; 상부커버
530; 조절모듈
540; 천장개방부
600; 강제급기부재
F; 프레임

Claims (11)

  1.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재;
    복수개의 다공성 육면체 블록이 적층되어 중심에 중공을 가지고, 상기 중공과 통공되도록 외주면에 개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해수방출부재로부터 분사된 해수가 통과하여 수분이 증발되는 해수증발부재;
    상기 해수증발부재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재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저수조로부터 상기 해수방출부재로 해수를 제공하는 해수순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발부재는 다각형으로 형성한 제1 해수증발모듈과, 상기 제1 해수증발모듈 상에 적층된 제2 해수증발모듈이 교대로 적층되며, 상기 저수조의 바닥과 맞닿는 최하부에 제2 해수증발모듈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순환부재는,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제1 해수배관과, 상기 해수방출부재와 연결되는 제2 해수배관과, 상기 제1 해수배관과 제2 해수배관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해수배관으로부터 제2 해수배관으로 해수를 제공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순환부재는, 상기 제2 해수배관과 상기 순환펌프 사이에 개재되는 순환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증발 장치는, 상기 해수방출부재, 해수증발부재, 저수조 및 해수순환부재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증발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는, 상기 천장개방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천장개방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천장개방부를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감거나 풀어내어 상기 천장개방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
  10. 제 1 항의 상기 해수 증발 장치를 포함하는 염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 장치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소정의 온도를 제공하며 상기 수용된 해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증발 장치를 포함하는 염전.
KR1020210101803A 2021-08-03 2021-08-03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KR10242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3A KR102428217B1 (ko) 2021-08-03 2021-08-03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3A KR102428217B1 (ko) 2021-08-03 2021-08-03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217B1 true KR102428217B1 (ko) 2022-08-02

Family

ID=8284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03A KR102428217B1 (ko) 2021-08-03 2021-08-03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21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457A (ko) * 2007-05-28 2008-12-03 윤영성 함토판을 이용한 자염, 조자염 및 목욕소금의 제조방법
KR101245951B1 (ko) * 2012-12-21 2013-03-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용 분수장치
KR20130063309A (ko) 2011-12-06 2013-06-14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증발 방법
KR101383565B1 (ko) 2013-03-21 2014-04-09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KR20160056644A (ko) * 2014-11-12 2016-05-20 박용희 입체 구조 증발지에 의한 소금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20160107867A (ko)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JP2018143960A (ja) * 2017-03-06 2018-09-20 赤穂化成株式会社 チムニー式海水濃縮装置
KR20200061203A (ko) 2018-11-23 2020-06-02 한국전력공사 염전-수중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10047611A (ko)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염전 저수지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태양광 패널 냉각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457A (ko) * 2007-05-28 2008-12-03 윤영성 함토판을 이용한 자염, 조자염 및 목욕소금의 제조방법
KR20130063309A (ko) 2011-12-06 2013-06-14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증발 방법
KR101245951B1 (ko) * 2012-12-21 2013-03-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용 분수장치
KR101383565B1 (ko) 2013-03-21 2014-04-09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KR20160056644A (ko) * 2014-11-12 2016-05-20 박용희 입체 구조 증발지에 의한 소금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20160107867A (ko)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JP2018143960A (ja) * 2017-03-06 2018-09-20 赤穂化成株式会社 チムニー式海水濃縮装置
KR20200061203A (ko) 2018-11-23 2020-06-02 한국전력공사 염전-수중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10047611A (ko)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염전 저수지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태양광 패널 냉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188B2 (en) Evaporation device
EP3045034B1 (en) Plant wall and modules for growing plants
US20110214364A1 (en) Building with integrated natural systems
KR102344981B1 (ko) 해수 증발 장치
WO2015075465A1 (en) Layered façade panel
NO154453B (no) Fremgangsmaate ved fordampning av en vannopploesning samt en fordamper for gjennomfoering av fremgangsmaaten.
EP2791607B1 (de) Kühlvorrichtung
KR101519464B1 (ko)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AU2008336266A1 (en) Solar distillation device
KR102428217B1 (ko)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WO2012061886A1 (en) Evaporation device and system
JP2002000077A (ja) 壁面緑化パネル
JP2007137765A (ja) 濃塩水生成装置
KR102652503B1 (ko)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AU2008238608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liquid
JP2011245478A (ja) 海水淡水化装置
JP3946859B2 (ja) 岩塩ルーム施工方法
JP2010193799A (ja) 緑化システム
KR101074909B1 (ko) 천일염 생산 장치
JP2013021938A (ja) 植物工場のミスト散布装置
US20090120779A1 (en) Device for desalination of water and increasing humidity
AU2010100471B4 (en) Solar Distillation Device
CA2347456C (en) Desalination process/equipment ii
EP1910228A1 (en)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6101812A (ja) 植物育成構造体及び緑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