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052B1 -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052B1
KR102423052B1 KR1020220016419A KR20220016419A KR102423052B1 KR 102423052 B1 KR102423052 B1 KR 102423052B1 KR 1020220016419 A KR1020220016419 A KR 1020220016419A KR 20220016419 A KR20220016419 A KR 20220016419A KR 102423052 B1 KR102423052 B1 KR 10242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correction
data
grayscal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052B9 (ko
Inventor
유봉현
김다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Priority to KR102022001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052B1/ko
Priority to PCT/KR2023/001577 priority patent/WO2023153723A1/ko
Publication of KR10242305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05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개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동 제어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한다.

Description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ISPLAY APPARATUS FOR DOG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의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색상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원추세포를 갖는다. 사람은 세 종류의 원추세포들을 가지며,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사람은 적색, 녹색, 청색을 적당한 비율로 섞어서 다양한 색상을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개는 두 종류의 원추세포를 갖는다. 예를 들어, 개는 적색과 녹색을 황색으로 인식할 수 있고, 청색과 황색의 조합으로만 색상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사람과 달리, 개는 자외선에 가까울수록 색 구분을 쉽게 한다. 즉, 사람과 달리, 개는 색의 민감도(sensitivity)가 청색에서 제일 높다.
또한, 개의 콘트라스트 인식, 에지 인식, 휘도 인식, 동영상 인식 등에 대한 시각적 특성이 사람의 시각적 특성과 달라, 종래의 사람용 표시 장치를 개가 시청하는 경우,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개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용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동 제어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컬러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컬러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입력 레드 데이터, 입력 그린 데이터 및 입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는 출력 레드 데이터, 블루 보상 데이터,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출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보정부는 상기 입력 레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레드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컬러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컬러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입력 레드 데이터, 입력 그린 데이터 및 입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는 출력 레드 데이터, 블루 보상 데이터,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출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보정부는 상기 입력 그린 데이터를 상기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컬러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컬러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 모드에서 상기 컬러 보정부는 입력 레드 데이터를 출력 레드 데이터 및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입력 그린 데이터를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사람 모드에서 상기 컬러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계조 휘도 곡선을 기초로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제1 계조 영역을 갖는 제1 데이터, 상기 제1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2 계조 영역을 갖는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2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3 계조 영역을 갖는 제3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1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3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3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제1 계조 영역을 갖는 제1 데이터, 상기 제1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2 계조 영역을 갖는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2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3 계조 영역을 갖는 제3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 모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는 상기 제1 계조 영역에 대응하여 제1 기울기를 갖고,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계조 휘도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람 모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일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일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가 변화된 픽셀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 현재 프레임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가 변화된 픽셀의 개수가 상기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 주인의 얼굴이 있는지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주인의 얼굴이 있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주인의 얼굴이 없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에지 보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적용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에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에지 판단부 및 상기 에지에 대응하는 경계 영역에서 계조의 차이를 증가시켜 에지를 강조하는 에지 오버드라이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제1 계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2 계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에 이웃한 제1 영역 제2 경계 픽셀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큰 제1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에 이웃한 제2 영역 제2 경계 픽셀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작은 제2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제1 계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2 계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에 이웃한 제1 영역 제2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큰 제1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에 이웃한 제2 영역 제2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작은 제2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에서 사용되는 에지 보정 필터는
Figure 112022014168851-pat0000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에서 사용되는 에지 보정 필터는
Figure 112022014168851-pat0000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에서 사용되는 에지 보정 필터는
Figure 112022014168851-pat0000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 모드에서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에지 영역을 강조하는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람 모드에서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휘도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는 사람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1 프레임 영상 및 제2 프레임 영상 사이에 추가 영상을 삽입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주인의 얼굴 사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개의 주의를 끌기 위해 미리 생성된 영상이며,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과 무관한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의 물체의 위치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 내에서 상기 물체의 위치의 사이에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움직임 보상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 또는 개의 주의를 끌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과 무관하게 생성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의 물체의 위치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 내에서 상기 물체의 위치의 사이에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움직임 보상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의 합성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상을 복사한 복사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 또는 개의 주의를 끌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과 무관하게 생성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상을 복사한 복사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의 합성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구동 주파수는 사람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구동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개용 표시 장치 및 상기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의 컬러 보정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컬러 보정을 수행하고, 사람 모드에서 컬러 보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콘트라스트 보정 및 감마 보정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고, 개의 특성에 맞는 감마 보정을 수행하며, 사람 모드에서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사람의 특성에 맞는 감마 보정을 수행하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의 에지 보정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사람 모드에서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개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를 사람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의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사람 모드에서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가 사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의 콘트라스트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에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6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의 출력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의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의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비교예에 따른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에지 보정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보정 적용부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보정 적용부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보정 적용부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개의 시각과 사람의 시각의 공간 주파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도 14의 에지 보정부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20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4의 에지 보정부의 출력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22의 출력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5의 보정 적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에지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에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4의 에지 오버드라이브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에지 오버드라이브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8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0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구동 주파수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의 구동 주파수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0의 구동 주파수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가 사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개용 표시 장치는 개가 볼 수 있는 위치(또는, 높이)에 설치되고, 개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개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개의 영상에 대한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 모듈을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iming Controller Embedded Data Driver, TED)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AA) 및 상기 표시부(AA)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PA)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의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의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P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PA)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표시 패널(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컬러 보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러 보정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하고 상기 컬러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입력 레드 데이터, 입력 그린 데이터 및 입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는 출력 레드 데이터, 블루 보상 데이터,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출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러 보정부(220)는 상기 입력 레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레드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레드 데이터와 상기 출력 레드 데이터는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 입력 그린 데이터와 상기 출력 그린 데이터는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 입력 블루 데이터와 상기 출력 블루 데이터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비해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므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비해 청색이 강조된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레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러 보정부(220)는 상기 입력 그린 데이터를 상기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레드 데이터와 상기 출력 레드 데이터는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 입력 그린 데이터와 상기 출력 그린 데이터는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 입력 블루 데이터와 상기 출력 블루 데이터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비해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므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비해 청색이 강조된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그린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컬러 보정부(22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비해 청색의 비율이 증가된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컬러 보정부가 개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모드 신호(MODE)를 수신하고 상기 컬러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하는 컬러 보정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보정부(220A)는 개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컬러 보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람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컬러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컬러 보정부(220A)는 입력 레드 데이터를 출력 레드 데이터 및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입력 그린 데이터를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컬러 보정부(220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컬러 보정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컬러 보정을 수행하고, 사람 모드에서 컬러 보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의 콘트라스트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에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6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하고 계조 휘도 곡선을 기초로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 및 상기 감마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의 경우, 콘트라스트에 대한 인지 정도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영상 내에서 휘도 차에 따른 물체의 인지가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의 영상에 대한 몰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도 6과 같은 경우, 개는 콘트라스트에 대한 인지 정도가 사람에 비해 낮아 개에게는 도 7과 같이 인지될 수 있다.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는 중간 계조 영역(GR2)에서의 계조 차이에 따른 휘도 차이를 증가시켜 중간 계조 영역(GR2)에서의 휘도 차이를 개가 상대적으로 잘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에서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제1 계조 영역(GR1, 저계조 영역)을 갖는 제1 데이터, 상기 제1 계조 영역(GR1)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2 계조 영역(GR2, 중간 계조 영역)을 갖는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2 계조 영역(GR2)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3 계조 영역(GR3, 고계조 영역)을 갖는 제3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계조 영역(GR2)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계조 영역(GR1)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1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계조 영역(GR2)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3 계조 영역(GR3)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3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도 8은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콘트라스트가 보정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가 개에게 인식되는 영상을 나타낸다. 즉,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의 중간 계조 보정에 의해 개가 콘트라스트를 인지하는 정도가 사람이 입력 영상 데이터(IMG)로부터 콘트라스트를 인지하는 정도와 유사하게 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의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4의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의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비교예에 따른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마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는 도 9의 S자 형상의 감마 곡선을 기초로 감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그래프에서 가로 축은 계조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상기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를 나타내며, 도 9의 점선은 상기 계조에 따른 상기 휘도가 선형적인 경우를 도시하며, 도 9의 실선은 상기 계조에 따른 상기 휘도를 나타내는 본 실시예의 감마 곡선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계조에 따른 상기 휘도를 나타내는 감마 곡선을 비선형적일 수 있다.
도 9의 1번 내지 10번 지점의 계조값 및 휘도값은 도 10의 표로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1번 지점의 계조는 0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번 지점의 계조는 31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0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번 지점의 계조는 69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0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번 지점의 계조는 102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0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번 지점의 계조는 133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1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6번 지점의 계조는 163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4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7번 지점의 계조는 179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6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8번 지점의 계조는 224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0.99일 수 있다. 예를 들어, 9번 지점의 계조는 240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번 지점의 계조는 255계조이고, 정규화된 휘도는 1.00일 수 있다.
도 9의 그래프 및 도 10의 표에서 보듯이, 저계조 영역(예컨대, 1번 지점으로부터 5번 지점)에서 상기 감마 곡선의 기울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고, 중간 계조 영역(예컨대, 5번 지점으로부터 8번 지점)에서 상기 감마 곡선의 기울기는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며, 고계조 영역(예컨대, 8번 지점으로부터 10번 지점)에서 상기 감마 곡선의 기울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보면, 종래의 사람용 표시 장치에서는 레드 감마 곡선(도 11a), 그린 감마 곡선(도 11b) 및 블루 감마 곡선(도 11c)을 이용하여 감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컬러 보정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하고 상기 컬러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입력 레드 데이터(R), 입력 그린 데이터(G) 및 입력 블루 데이터(B)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는 출력 레드 데이터(R), 블루 보상 데이터(B'), 출력 그린 데이터(G) 및 출력 블루 데이터(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12a 내지 도 12c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출력 레드 데이터(R)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B')의 감마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감마 곡선(도 12a), 상기 출력 그린 데이터(G)의 감마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2 감마 곡선(도 12b) 및 상기 출력 블루 데이터(B)의 감마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3 감마 곡선(도 12c)을 이용하여 감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가 개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4의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모드 신호(MODE)를 수신하고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 및 상기 감마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A)는 개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람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A)는 상기 제1 계조 영역에 대응하여 제1 기울기를 갖고,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계조 휘도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3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3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240A)는 개 모드에서 도 12a 내지 도 12c의 제1 감마 곡선(R+B'), 제2 감마 곡선(G) 및 제3 감마 곡선(B)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감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사람 모드에서 도 11a 내지 도 11c의 레드 감마 곡선(R), 그린 감마 곡선(G) 및 블루 감마 곡선(B)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감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콘트라스트 보정 및 감마 보정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고, 개의 특성에 맞는 감마 보정을 수행하며, 사람 모드에서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사람의 특성에 맞는 감마 보정을 수행하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에지 보정부(26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보정 적용부(264)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보정 적용부(264)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보정 적용부(264)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개의 시각과 사람의 시각의 공간 주파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도 14의 에지 보정부(260)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20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4의 에지 보정부(260)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개에게 인식되는 도 22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의 경우, 영상 내에서 물체의 에지에 대한 인지 정도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영상 내에서 물체의 인지가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의 영상에 대한 몰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260)는 영상 내에서의 에지를 강조하여, 개가 상대적으로 물체의 에지를 잘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보정부(26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262) 및 상기 영상 분석부(262)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에지 보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보정 적용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선택적으로 에지 보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분석부(26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일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동영상일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는 개가 물체의 에지에 대해 인지 정도가 떨어지는 특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반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동영상인 경우에, 개는 동체 시력이 사람보다 오히려 우수하므로, 상기 에지에 대해 인지 정도가 떨어지는 특성이 문제되는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선택적으로 에지 보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분석부(26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영상 분석부(26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정지 영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 분석부(26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동영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서의 영상의 변화 정도가 작은 경우에 선택적으로 에지 보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분석부(262)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가 변화된 픽셀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서 영상의 변화 정도가 큰지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가 변화된 픽셀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 현재 프레임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가 변화된 픽셀의 개수가 상기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 주인의 얼굴이 있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에지 보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분석부(26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 주인의 얼굴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 상기 주인의 얼굴이 있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 상기 주인의 얼굴이 없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 주인의 얼굴이 있는 경우, 개는 상대적으로 높은 몰입도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주인의 얼굴의 윤곽이 잘 인지되지 않는 경우 이와 같은 몰입도 향상의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 주인의 얼굴이 있는 경우에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개의 영상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분석부(262)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미리 입력된 주인의 얼굴 사진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 주인의 얼굴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Figure 112022014168851-pat00004
의 에지 보정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6의 상기 에지 보정 필터는 영상 샤프닝 필터로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에지 보정 필터는 3행 3열의 매트릭스이며, 상기 매트릭스 내의 9개의 값들을 중심 픽셀과 이웃한 8개의 픽셀들에 각각 곱셈하여 합산한 값을 상기 중심 픽셀 위치에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Figure 112022014168851-pat00005
의 에지 보정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7의 상기 에지 보정 필터는 에지 인핸스먼트 필터로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에지 보정 필터는 3행 3열의 매트릭스이며, 상기 매트릭스 내의 9개의 값들을 중심 픽셀과 이웃한 8개의 픽셀들에 각각 곱셈하여 합산한 값을 상기 중심 픽셀 위치에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Figure 112022014168851-pat00006
의 에지 보정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8의 상기 에지 보정 필터는 에지 인핸스먼트 필터로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에지 보정 필터는 5행 5열의 매트릭스이며, 상기 매트릭스 내의 25개의 값들을 중심 픽셀과 이웃한 24개의 픽셀들에 각각 곱셈하여 합산한 값을 상기 중심 픽셀 위치에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개의 시각과 사람의 시각의 공간 주파수의 분해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간 주파수의 단위는 시야의 1도 범위(h) 안에 들어오는 구별 가능한 물체의 반복 주기로 표현되는 Cycle per degree (CPD)일 수 있다. 도 19에서 상대적으로 왼쪽에 표시된 그림을 보면, 1도 범위(h) 안에 약 2개의 반복 주기가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오른쪽에 표시된 그림을 보면, 시야의 1도 범위(h) 안에 약 4개의 반복 주기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도 19에서 왼쪽에 표시된 그림의 공간 주파수 분해능보다 오른쪽에 표시된 그림의 공간 주파수 분해능이 2배 클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는 사람 대비 1/3 수준의 공간 주파수 분해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개의 경우 물체의 에지가 선명하게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0은 상기 에지 보정부(260)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나타낸다. 도 21은 개에게 인식되는 에지 보정부(260)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나타내며, 영상의 에지가 흐릿하여 영상에 대한 개의 흥미가 감소할 수 있다. 도 22는 상기 에지 보정부(260)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나타낸다. 도 22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는 도 20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비해 에지 부분이 더욱 강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개에게 인식되는 에지 보정부(260)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나타내며, 상기 에지 보정부(260)에 의해 개가 출력 영상 데이터(OIMG)로부터 에지를 인식하는 정도는 사람이 입력 영상 데이터(IMG)로부터 에지를 인식하는 정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4는 도 15의 보정 적용부(264)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에지 판단부(265)에 의해 판단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4의 에지 오버드라이브부(266)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에지 오버드라이브부(266)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보정 적용부의 동작을 제외하면, 도 16 내지 도 23의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 영역(EG)을 판단하고, 상기 에지 영역(EG)에 대응하는 부분의 계조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정 적용부(264)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서 에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에지 판단부(265) 및 상기 에지에 대응하는 경계 영역(EG)에서 계조의 차이를 증가시켜 에지를 강조하는 에지 오버드라이브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상기 에지 판단부(265)에 의해 판단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를 나타낸다.
도 26에서, 한 칸은 하나의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제1 계조(예컨대, 55G)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계조(예컨대, 55G)보다 큰 제2 계조(예컨대, 120G)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EG)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은 상기 제1 계조(예컨대, 55G)보다 작은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51G)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은 상기 제2 계조(예컨대, 120G)보다 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135G)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계조는 상기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계조는 상기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EG)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에 이웃한 제1 영역 제2 경계 픽셀은 상기 제1 계조(예컨대, 55G)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51G)보다 큰 제1 영역 제2 경계 계조(예컨대, 53G)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에 이웃한 제2 영역 제2 경계 픽셀은 상기 제2 계조(예컨대, 120G)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135G)보다 작은 제2 영역 제2 경계 계조(예컨대, 127G)를 가질 수 있다.
도 27에서, 한 칸은 하나의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7에서는 경계 영역(EG2)이 도 26의 경계 영역(EG)보다 크게 형성되고, 같은 경계 계조를 갖는 경계 픽셀이 하나가 아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제1 계조(예컨대, 55G)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계조(예컨대, 55G)보다 큰 제2 계조(예컨대, 120G)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EG2)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예컨대, 2개의 픽셀)은 상기 제1 계조(예컨대, 55G)보다 작은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51G)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예컨대, 2개의 픽셀)은 상기 제2 계조(예컨대, 120G)보다 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135G)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계조는 상기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계조는 상기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EG2)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예컨대, 2개의 픽셀)에 이웃한 제1 영역 제2 경계 픽셀 그룹(예컨대, 2개의 픽셀)은 상기 제1 계조(예컨대, 55G)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51G)보다 큰 제1 영역 제2 경계 계조(예컨대, 53G)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예컨대, 2개의 픽셀)에 이웃한 제2 영역 제2 경계 픽셀 그룹(예컨대, 2개의 픽셀)은 상기 제2 계조(예컨대, 120G)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예컨대, 135G)보다 작은 제2 영역 제2 경계 계조(예컨대, 127G)를 가질 수 있다.
도 28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에지 보정부가 개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4 내지 도 27의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모드 신호(MODE)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26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정부(260A)는 개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람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개 모드에서 상기 에지 보정부(260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 영역을 강조하는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사람 모드에서 상기 에지 보정부(260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에지 보정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사람 모드에서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29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모드 신호(MODE)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하는 휘도 보정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개의 경우, 휘도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영상 내에서 휘도 차에 따른 물체의 인지가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의 영상에 대한 몰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휘도 보정부(280)는 개 모드에서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최소 휘도와 최대 휘도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켜 영상 내에서의 휘도 차이를 개가 상대적으로 잘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개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최대 휘도는 사람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최대 휘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개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최대 휘도는 500 nit이고, 사람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최대 휘도는 200 nit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개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를 사람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0은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의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0의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1 프레임 영상(I1) 및 제2 프레임 영상(I2) 사이에 추가 영상(IC)을 삽입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의 경우, 동체 시력이 매우 우수하여, 낮은 구동 주파수의 영상을 연속된 이미지로 인식하지 못하고, 플리커(flicker)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구동 주파수가 낮은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구동 주파수를 일정 주파수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1 프레임 영상(I1) 및 제2 프레임 영상(I2) 사이에 하나의 추가 영상(IC)을 삽입하여 120Hz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주파수가 30Hz인 경우,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1 프레임 영상(I1) 및 제2 프레임 영상(I2) 사이에 3개의 추가 영상(IC)을 삽입하여 120Hz의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1에서, 상기 추가 영상(IC)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I1)의 물체의 위치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I2) 내에서 상기 물체의 위치의 사이(점선으로 나타낸 물체의 경로 상)에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움직임 보상 영상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31의 상기 제1 프레임 영상(I1) 내에서 동그란 물체가 화면의 좌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영상(I2) 내에서 동그란 물체가 화면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추가 영상(IC) 내에서는 동그란 물체가 화면의 중심에 배치되게 하여, 움직임 보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1에서 점선은 물체의 경로를 나타내기 위한 보조선이며, 실제 영상에 포함된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32에서, 상기 추가 영상(IC)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I1)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상(I2)을 복사한 복사 영상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32의 상기 추가 영상(IC)은 도 32의 상기 제1 프레임 영상(I1)의 복사 영상인 것을 예시하였다. 도 32에서 점선은 물체의 경로를 나타내기 위한 보조선이며, 실제 영상에 포함된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33에서, 상기 추가 영상(IC)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I1)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I2)과 무관하게 생성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도 33에서 점선은 물체의 경로를 나타내기 위한 보조선이며, 실제 영상에 포함된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영상(IC)은 주인의 얼굴 사진일 수 있다. 영상의 중간 중간에 주인의 얼굴 사진이 삽입되는 경우, 개의 주의를 끌 수 있으므로, 영상에 대한 몰입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 영상(IC)은 주인의 얼굴 사진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개의 주의를 끌기 위해 미리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영상(IC)은 개에게 주입하고자 하는 교육용 영상이나 광고용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추가 영상(IC)은 도 31의 움직임 보상 영상, 도 32의 복사 영상, 도 33의 주의 집중 영상(주인의 얼굴 사진, 교육용 영상, 광고용 영상 등) 중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영상(IC)은 도 31의 움직임 보상 영상, 도 32의 복사 영상, 도 33의 주의 집중 영상(주인의 얼굴 사진, 교육용 영상, 광고용 영상 등) 중 2개 이상이 합성된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영상(IC)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I1)의 물체의 위치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I2) 내에서 상기 물체의 위치의 사이에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움직임 보상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의 합성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영상(IC)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I1)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상(I2)을 복사한 복사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의 합성 영상일 수 있다.
도 34는 도 1b의 구동 제어부(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구동 주파수 제어부가 개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30 내지 도 33의 개용 표시 장치 및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모드 신호(MODE)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출력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A)는 개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고, 사람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A)는 제1 프레임 영상(I1) 및 제2 프레임 영상(I2) 사이에 추가 영상(IC)을 삽입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290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구동 주파수는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의 구동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의 시각적 특성에 맞게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용 표시 장치는 개 모드에서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사람 모드에서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를 개와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디지털 TV, 3D TV,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VR 기기, PC, 가정용 전자기기, 노트북 컴퓨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내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220, 220A: 컬러 보정부
240, 240A: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
260, 260A: 에지 보정부 262: 영상 분석부
264: 보정 적용부 265: 에지 판단부
266: 에지 오버드라이브부 280: 휘도 보정부
290, 290A: 구동 주파수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Claims (29)

  1. 표시 패널;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하고,
    개 모드에서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에지 영역을 강조하는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사람 모드에서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컬러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컬러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컬러 보정부는 입력 레드 데이터를 출력 레드 데이터 및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입력 그린 데이터를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컬러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계조 휘도 곡선을 기초로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제1 계조 영역을 갖는 제1 데이터, 상기 제1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2 계조 영역을 갖는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2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3 계조 영역을 갖는 제3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1 기울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3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 휘도 곡선의 제3 기울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제1 계조 영역을 갖는 제1 데이터, 상기 제1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2 계조 영역을 갖는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2 계조 영역보다 큰 계조를 갖는 제3 계조 영역을 갖는 제3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는 상기 제1 계조 영역에 대응하여 제1 기울기를 갖고, 상기 제2 계조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계조 휘도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감마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8. 표시 패널;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일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일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9. 표시 패널;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가 변화된 픽셀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 현재 프레임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가 변화된 픽셀의 개수가 상기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 주인의 얼굴이 있는지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주인의 얼굴이 있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주인의 얼굴이 없을 때,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에지 보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적용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에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에지 판단부; 및
    상기 에지에 대응하는 경계 영역에서 계조의 차이를 증가시켜 에지를 강조하는 에지 오버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2. 표시 패널;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에지 보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적용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에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에지 판단부; 및
    상기 에지에 대응하는 경계 영역에서 계조의 차이를 증가시켜 에지를 강조하는 에지 오버드라이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제1 계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2 계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에 이웃한 제1 영역 제2 경계 픽셀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큰 제1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에 이웃한 제2 영역 제2 경계 픽셀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작은 제2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4. 표시 패널;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에지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에지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 보정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에지 보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보정 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적용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에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에지 판단부; 및
    상기 에지에 대응하는 경계 영역에서 계조의 차이를 증가시켜 에지를 강조하는 에지 오버드라이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가 제1 계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2 계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경계에 가장 가까운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경계 영역이 형성될 때,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에 이웃한 제1 영역 제2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큰 제1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갖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픽셀 그룹에 이웃한 제2 영역 제2 경계 픽셀 그룹은 상기 제2 계조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제1 경계 계조보다 작은 제2 영역 제2 경계 계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보정부에서 사용되는 에지 보정 필터는
    Figure 112022068594831-pat000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보정부에서 사용되는 에지 보정 필터는
    Figure 112022068594831-pat0000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보정부에서 사용되는 에지 보정 필터는
    Figure 112022068594831-pat0000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휘도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는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최대 휘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1 프레임 영상 및 제2 프레임 영상 사이에 추가 영상을 삽입하여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주인의 얼굴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개의 주의를 끌기 위해 미리 생성된 영상이며,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과 무관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의 물체의 위치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 내에서 상기 물체의 위치의 사이에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움직임 보상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 또는 개의 주의를 끌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과 무관하게 생성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의 물체의 위치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 내에서 상기 물체의 위치의 사이에 상기 물체가 위치하는 움직임 보상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의 합성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상을 복사한 복사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 또는 개의 주의를 끌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및 상기 제2 프레임 영상과 무관하게 생성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영상은
    상기 제1 프레임 영상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상을 복사한 복사 영상 및 주인의 얼굴 사진의 합성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구동 주파수는 상기 사람 모드에서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의 구동 주파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
  29. 개의 시각적 특성을 기초로 컬러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감마 보정, 에지 보정, 휘도 보정 및 구동 주파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입력 레드 데이터, 입력 그린 데이터 및 입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상 데이터는 출력 레드 데이터, 블루 보상 데이터,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출력 블루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레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레드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상기 입력 그린 데이터를 상기 출력 그린 데이터 및 상기 블루 보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용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20016419A 2022-02-08 2022-02-08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2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419A KR102423052B1 (ko) 2022-02-08 2022-02-08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CT/KR2023/001577 WO2023153723A1 (ko) 2022-02-08 2023-02-03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419A KR102423052B1 (ko) 2022-02-08 2022-02-08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052B1 true KR102423052B1 (ko) 2022-07-22
KR102423052B9 KR102423052B9 (ko) 2023-04-12

Family

ID=8260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419A KR102423052B1 (ko) 2022-02-08 2022-02-08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3052B1 (ko)
WO (1) WO20231537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723A1 (ko) * 2022-02-08 2023-08-17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1989A1 (ja) * 2003-06-16 2004-12-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モニタの階調再現特性測定装置
KR20170015716A (ko) * 2015-07-30 2017-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20665A (ko) * 2015-08-13 2017-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00117650A (ko) *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KR20210074017A (ko) * 2019-12-11 2021-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반려견 생체정보 인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52B1 (ko) * 2022-02-08 2022-07-22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1989A1 (ja) * 2003-06-16 2004-12-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モニタの階調再現特性測定装置
KR20170015716A (ko) * 2015-07-30 2017-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20665A (ko) * 2015-08-13 2017-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00117650A (ko) *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KR20210074017A (ko) * 2019-12-11 2021-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반려견 생체정보 인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723A1 (ko) * 2022-02-08 2023-08-17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723A1 (ko) 2023-08-17
KR102423052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66301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daptive for making a stable brightness of a back light unit
JP4679876B2 (ja) 画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装置及び方法
US8743152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apparatus, drive-use integrated circuit, driving method employed by drive-use integrated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CN101562002B (zh) 控制器、保持型显示装置、电子设备以及信号调整方法
KR101543277B1 (ko) 광원 구동 방법
US20050104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876038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212158B1 (ko) 액정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19321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60048311A (ko) 데이터 변환부와 데이터 변환부의 데이터 변환 방법
KR10187836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22057495A1 (zh) 灰阶数据确定方法、装置、设备及屏幕驱动板
CN110784701B (zh) 显示设备及其图像处理方法
CN111752517B (zh) 可投屏至远端显示屏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096000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23052B1 (ko)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0599938B (zh) 一种显示面板及画面显示方法
CN101763844A (zh) 用于校正显示设备的颜色的方法及装置
KR102575261B1 (ko) 주위조도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9734772B2 (en) Display device
KR101528146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220012583A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표시장치
KR101761413B1 (ko) 화질 향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1923834B (zh) 可降低动态模糊的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