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210B1 -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210B1
KR102419210B1 KR1020210166359A KR20210166359A KR102419210B1 KR 102419210 B1 KR102419210 B1 KR 102419210B1 KR 1020210166359 A KR1020210166359 A KR 1020210166359A KR 20210166359 A KR20210166359 A KR 20210166359A KR 102419210 B1 KR102419210 B1 KR 102419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moke
smoke control
wall
contro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6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마감재(100)와 제연기구(200), 가이더(300), 견인기(400), 소방배관(500), 소방노즐(600), 배출구(700), 개폐기구(800), 화재감지센서(900), 전자밸브(1000) 및 제어부(1100)로 구성된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로의 배출되면서 이 과정에 연기가 일부 포집될 수 있기 때문에 대피자의 질식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소방수의 낙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일부 진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Fire-fighting spray device with enhanced fire extinguishing and smoke control functions}
본 발명은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통로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유해 연기는 고온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류 현상에 의하여 건물의 천장으로 먼저 이동하게 되며, 건물이 폐쇄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연기가 외부로 방출하지 못하고 결국 건물의 천정을 따라 빠른 속도로 확산이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실제 화재 시에는 불길에 의한 화상 피해보다 유독 연기에 의한 질식에 의해 인명 피해가 압도적으로 많은 추세이다.
따라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벽과 구분되어 건물 내에서 제연(방연) 설비가 별도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연 설비인 제연 스크린은 복도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흐름을 지연하고 확산을 일정 시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연 스크린은 천정의 주변 내외에 설치되어 화재 시에 천정을 따라 연기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것을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하며, 물론 연기량이 많아 이러한 스크린 내지 경계벽을 넘어 확산하는 것까지는 막을 수는 없겠으나 실제 화재 시에 연기에 의하여 시야를 가리고 호흡 곤란을 야기하여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러한 제연 경계벽의 기능이 상당히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현실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8799호
본 발명은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특히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로의 배출되면서 이 과정에 연기가 일부 포집될 수 있기 때문에 대피자의 질식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소방수의 낙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일부 진압할 수 있는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로의 천정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천정마감재;
상측 양단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갖추고서 천정마감재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연기를 방해하는 제연벽과,
다수의 배수공을 갖추고서 제연벽의 하단에 배치되어 힌지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수평판, 제1수평판의 말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제연벽을 향해 연장된 제2수평판으로 이루어진 선반과,
수직판에 형성되는 고리로 구성된 제연기구;
통로의 벽면에 고정되어 제연벽의 양단을 가이드하며, 스토퍼의 이동을 제한하여 제연벽 과도한 하강을 막아주는 가이더;
제연벽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도르래를 경유하여 고리와 연결되는 줄과, 천정에 설치되어 줄을 권취 및 권출해 제연벽 승강 및 선반이 접철을 단속하는 권취유닛으로 구성된 견인기;
천정과 천정마감재 사이에 배치되는 소방배관;
일단이 소방배관과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천정마감재의 하부로 노출되게 사선으로 설치되어 소방배관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제연벽의 일측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사선으로 분사하여 제연벽에 도달한 연기가 제1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연벽의 타측을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흐름을 만들어주는 소방노즐;
통로의 벽면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제연기구를 따라 유동되는 연기 및 소방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제1수평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동부를 갖추고서 통로의 벽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연벽의 하강에 의해 동작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통로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동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받침대와, 가동부와 받침대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개폐기구;
천정마감재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제어부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소방배관에 설치되어 소방배관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권취유닛을 동작제어하여 제연기구에 의해 개폐기구가 연동되면서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줄을 매개로 제연벽을 하강시켜주면서 선반이 펼쳐지도록 하고, 소방배관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소방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로의 배출되면서 이 과정에 연기가 일부 포집될 수 있기 때문에 대피자의 질식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소방수의 낙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일부 진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소방노즐 및 제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배출구 및 개폐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소방노즐 및 제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배출구 및 개폐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분사장치는 천정마감재(100)와 제연기구(200), 가이더(300), 견인기(400), 소방배관(500), 소방노즐(600), 배출구(700), 개폐기구(800), 화재감지센서(900), 전자밸브(1000) 및 제어부(11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특히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로의 배출되면서 이 과정에 연기가 일부 포집될 수 있기 때문에 대피자의 질식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소방수의 낙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일부 진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천정마감재(100)는 통로(1)의 천정(1a)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천정(1a)의 노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연기구(200)는 제연벽(210)과 선반(220) 및 고리(230)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통로(1)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화재시 발생된 연기의 유동을 방해하면서 소방수에 의해 유도된 연기가 배출구(700)까지 안내될 수 있게 안내로역할을 한다.
상기 제연벽(210)은 통로(1)의 벽면(1b) 사이 간격과 동일한 폭으로 제작된 판상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천정마감재(10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제연벽(210)의 상측 양단에는 통로(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21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스토퍼(211)는 제연벽(210)의 하강시 제연벽(210)을 가이드하는 가이더(300)에 얹혀져 가이더(300)와 함께 제연벽(210)의 하강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연벽(210)에는 견인기(400)의 줄(420)이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공(212)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선반(220)은 제1수평판(221)과 수직판(222) 및 제2수평판(2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수평판(221)은 일단부가 제연벽(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힌지를 매개로 접첩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수평판(22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공(2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방노즐(600)을 통해 분사된 소방수는 배수공(221a)을 통해 낙수되면서 통로(1) 바닥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제1수평판(221)의 타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연벽(21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판(222)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직판(222)의 상단에는 제연벽(210)을 향해 연장되어 제1수평판(22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수평판(22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230)는 제1수평판(221)과 수직판(222)이 만나는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견인기(400)의 줄(420)이 연결된다.
상기 가이더(300)는 천정마감재(100)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통로(1)의 벽면(1b)에 설치되어 제연벽(210)의 승강을 가이드하면서 스토퍼(211)의 하강을 제한하여 제연기구(200)의 하강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견인기(400)는 도르래(410)와 줄(420) 및 권취유닛(4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연기구(200)의 제연벽(210)을 승강시켜주면서 선반(220)이 절첩(접혀지고 펼쳐짐)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르래(410)는 제연벽(210)에 설치되어 줄(420)의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줄(420)은 일단이 권취유닛(430)과 연결되고 타단이 도르래(410) 및 제연기구(200)의 장공(212)을 경유해 고리(230)에 연결되어 제연기구(200)와 권취유닛(430)을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권취유닛(430)은 줄(420)을 권취 및 권출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통로(1)의 천정(1a)에 설치된다.
상기 소방배관(500)은 천정(1a)과 천정마감재(100) 사이에 배치되어 소방수가 흐를 수 있게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소방노즐(600)은 일단이 소방배관(500)과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천정마감재(100)의 하부로 노출되게 사선으로 설치되며, 제연벽(210)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다. 참고로 제연벽(210)의 타측(반대편 벽면)에는 배출구(7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소방노즐(600)은 소방배관(500)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제연벽(210)을 향해 분사한다. 필요에 따라 소방노즐(600)은 다수 개가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소방배관(500)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제연벽(210)의 일측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사선으로 분사하게 되면, 소방수는 제연벽(210)과 선반(220)에 부딪치면서 배출구(700)를 향하게 되며, 이 과정에 물 분진 및 와류형태의 공기 흐름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연벽(210)에 도달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만들어진 와류형태의 공기 흐름에 의해 선반(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구(700)까지 유도되며, 이 과정에 일부 연기는 소방수에 포집된 상태로 낙수(도 5b 및 도 5c 참조)된다.
그리고 통로(1) 바닥에 발생된 화재는 낙수를 통해 진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로의 배출되면서 이 과정에 연기가 일부 포집될 수 있기 때문에 대피자의 질식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소방수의 낙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일부 진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상기 배출구(700)는 통로(1)의 벽면(1b)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제연기구(200)를 따라 유동되는 연기 및 소방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700)의 내부 공간은 상호 구획되는데, 상부 공간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기로가 마련되고, 하부 공간은 소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로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기구(800)는 도어(810)와 받침대(820) 및 스프링(8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연기구(200)의 하강에 의해 동작되어 배출구(7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810)는 벽면(1b)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7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어(810)의 상면에는 선반(22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동부(8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820)는 가동부(811)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벽면(1b)에 설치되어 스프링(830)을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830)은 가동부(811)와 받침대(82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810)를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제연기구(200)가 하강하게 되면, 가동부(811)가 제연기구(200)에 의해 가압되면서 도어(810)가 하강하게 되고, 도어(810)의 하강에 의해 배출구(700)가 개방되며, 이렇게 도어(810)의 가동부(811)가 하강하는 과정에 스프링(830)은 자연스럽게 압축된다.
한편, 상기 제연기구(200)가 상승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83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811)를 매개로 도어(810)가 상승하게 되면서 배출구(700)는 자연스럽게 폐쇄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900)는 천정마감재(900)에 설치되어 화재(열, 연기 등)를 감지해 이를 제어부(11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자밸브(1000)는 통사의 솔레노이드밸브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소방배관(100)에 설치되며, 제어부(1100)에 의해 동작되어 소방배관(100)의 내부를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1100)는 일종의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화재감지센서(9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권취유닛(430)을 동작제어하여 제연벽(210)을 하강시켜주면서 선반(220)이 펼쳐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방배관(10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소방노즐(600)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1000)를 동작제어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0)는 화재감지센서(9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제연기구(200)에 의해 개폐기구(800)가 연동되면서 배출구(7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권취유닛(430)을 동작제어하여 줄(420)을 매개로 제연벽(210)을 하강시켜주면서 선반(220)이 펼쳐지도록 하고, 소방배관(50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소방노즐(600)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100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화재감지센서(900)가 감지하여 제어부(11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100)는 견인기(400)와 전자밸브(1000)를 각각 동작제어하게 된다.
상기 견인기(400)의 권취유닛(430)은 제어부(1000)에 의해 동작되어 줄(420)을 권출하게 되고, 줄(420)이 권출됨에 따라 제연벽(210)이 하강하게 되며, 이때 선반(220)은 힌지를 중심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연벽(210)이 하강함에 따라 가동부(811)는 제연기구(200)에 의해 가압되면서 도어(810)가 하강하게 되고, 도어(810)의 하강에 의해 배출구(700)가 개방되며, 이렇게 도어(810)의 가동부(811)가 하강하는 과정에 스프링(830)은 자연스럽게 압축된다.
한편, 상기 전자밸브(1000)는 제어부(1100)에 의해 동작되어 소방배관(500)을 개방하게 되고, 이에 의해 소방수는 소방노즐(600)을 통해 제연벽(210)의 일측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사선으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하향경사지게 사선으로 분사되는 소방수는 제연벽(210)과 선반(220)에 부딪치면서 배출구(700)를 향하게 되며, 이 과정에 물 분진 및 와류형태의 공기 흐름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연벽(210)에 도달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만들어진 와류형태의 공기 흐름에 의해 선반(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구(700)까지 유도되며, 이 과정에 일부 연기는 소방수에 포집된 상태로 낙수된다.
그리고 통로(1) 바닥에 발생된 화재는 낙수를 통해 진압할 수 있다.
한편, 화재가 진압되면, 제어부(1100)는 전자밸브(1000)를 동작제어하여 소방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00)는 견인기(40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견인기(400)의 권취유닛(430)은 제어부(11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줄(420)을 권취하게 되고, 줄(420)이 권취됨에 따라 선반(220)이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며, 이와 더불어서 제연벽(41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연벽(410)이 상승함에 따라 가동부(811)는 스프링(83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가동부(811)를 매개로 도어(810)가 상승하게 되면서 배출구(700)를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소방수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로의 배출되면서 이 과정에 연기가 일부 포집될 수 있기 때문에 대피자의 질식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소방수의 낙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일부 진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통로 1a: 천정 1b: 벽면
100: 천정마감재 200: 제연기구 210: 제연벽
211: 스토퍼 212: 장공 220: 선반
221: 제1수평판 221a: 배수공 222: 수직판
223: 제2수평판 230: 고리 300: 가이더
400: 견인기 410: 도르래 420: 줄
430: 권취유닛 500: 소방배관 600: 소방노즐
700: 배출구 800: 개폐기구 810: 도어
811: 가동부 820: 받침대 830: 스프링
900: 화재감지센서 1000: 전자밸브 1100: 제어부

Claims (1)

  1. 통로(1)의 천정(1a)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천정마감재(100);
    상측 양단에 형성되는 스토퍼(211)를 갖추고서 천정마감재(10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통로(1)를 따라 유동하는 연기를 방해하는 제연벽(210)과,
    다수의 배수공(221a)을 갖추고서 제연벽(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힌지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수평판(221), 제1수평판(221)의 말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판(222), 수직판(222)의 상단으로부터 제연벽(210)을 향해 연장된 제2수평판(223)으로 이루어진 선반(220)과,
    수직판(222)에 형성되는 고리(230)로 구성된 제연기구(200);
    통로(1)의 벽면(1b)에 고정되어 제연벽(210)의 양단을 가이드하며, 스토퍼(211)의 이동을 제한하여 제연벽(210)의 과도한 하강을 막아주는 가이더(300);
    제연벽(210)에 설치되는 도르래(410)와, 도르래(410)를 경유하여 고리(230)와 연결되는 줄(420)과, 천정(1a)에 설치되어 줄(420)을 권취 및 권출해 제연벽(210)을 승강 및 선반(220)이 접철을 단속하는 권취유닛(430)으로 구성된 견인기(400);
    천정(1a)과 천정마감재(100) 사이에 배치되는 소방배관(500);
    일단이 소방배관(500)과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천정마감재(100)의 하부로 노출되게 사선으로 설치되어 소방배관(500)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제연벽(210)의 일측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사선으로 분사하여 제연벽(210)에 도달한 연기가 제1수평판(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연벽(210)의 타측을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흐름을 만들어주는 소방노즐(600);
    통로(1)의 벽면(1b)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제연기구(200)를 따라 유동되는 연기 및 소방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700);
    제1수평판(22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동부(811)를 갖추고서 통로(1)의 벽면(1b)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연벽(210)의 하강에 의해 동작되어 배출구(700)를 개폐하는 도어(810)와, 통로(1)의 벽면(1b)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동부(811)와 나란하게 배치된 받침대(820)와, 가동부(811)와 받침대(820)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810)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830)으로 구성된 개폐기구(800);
    천정마감재(10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제어부(110)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900);
    소방배관(500)에 설치되어 소방배관(50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1000);
    화재감지센서(9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제연기구(200)에 의해 개폐기구(800)가 연동되면서 배출구(7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권취유닛(430)을 동작제어하여 줄(420)을 매개로 제연벽(210)을 하강시켜주면서 선반(220)이 펼쳐지도록 하고, 소방배관(50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소방노즐(600)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10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KR1020210166359A 2021-11-29 2021-11-29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KR102419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359A KR102419210B1 (ko) 2021-11-29 2021-11-29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359A KR102419210B1 (ko) 2021-11-29 2021-11-29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210B1 true KR102419210B1 (ko) 2022-07-08

Family

ID=8240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359A KR102419210B1 (ko) 2021-11-29 2021-11-29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982B1 (ko) * 2023-12-17 2024-06-27 주식회사 현이엔지 무동력 소방용 제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99B1 (ko) 2006-12-01 2007-06-14 (주) 피앤에이건설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20090002728U (ko) * 2007-09-14 2009-03-18 (주) 피앤에이건설 접이식 수평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101551626B1 (ko) * 2015-02-17 2015-09-0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KR101679713B1 (ko) *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996827B1 (ko) * 2019-02-08 2019-07-08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KR102225873B1 (ko) * 2020-07-10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 층간 화재 확산 차단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99B1 (ko) 2006-12-01 2007-06-14 (주) 피앤에이건설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20090002728U (ko) * 2007-09-14 2009-03-18 (주) 피앤에이건설 접이식 수평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101551626B1 (ko) * 2015-02-17 2015-09-0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KR101679713B1 (ko) *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996827B1 (ko) * 2019-02-08 2019-07-08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KR102225873B1 (ko) * 2020-07-10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 층간 화재 확산 차단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982B1 (ko) * 2023-12-17 2024-06-27 주식회사 현이엔지 무동력 소방용 제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7474A (en) Flame and smoke shutoff system
US8986088B2 (en) Negative-pressure smoke-guiding fireproof building structure
US6065546A (en) Fire extinguishing and smoke el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ater mist
KR101893364B1 (ko)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2419210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KR101396495B1 (ko) 연무 차단 장치
KR20170026154A (ko) 스프링클러 배관의 유수제어기능이 있는 분기용 티 및 그것을 이용한 스키핑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방법
KR102419211B1 (ko) 안전형 소방용 제연기기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US3692118A (en) Fixed fire extinguishing system utilizing recirculation of combustion products
KR101685524B1 (ko)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CN210422413U (zh) 一种防火控火装置
KR101017078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KR100658221B1 (ko) 박막 워터커튼을 이용한 화재 연기 및 화염의 확산방지장치
CN208294380U (zh) 一种隔烟高压细水雾罩安全屋式智能消防***
KR100421806B1 (ko)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JP2010119516A (ja) 建物及び建物の設計装置
KR1023203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KR101700216B1 (ko)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20020051476A (ko) 전력공동구용 소화시스템
KR100565444B1 (ko) 질식사 방지장치
CN204737525U (zh) 一种智能安全特种电梯
KR102640998B1 (ko)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KR102643904B1 (ko) 드론을 이용한 가스렌지의 소방방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