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364B1 -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364B1
KR101893364B1 KR1020170172524A KR20170172524A KR101893364B1 KR 101893364 B1 KR101893364 B1 KR 101893364B1 KR 1020170172524 A KR1020170172524 A KR 1020170172524A KR 20170172524 A KR20170172524 A KR 20170172524A KR 101893364 B1 KR101893364 B1 KR 10189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nishing material
duct
fire water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Priority to KR102017017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할 수 있게 마감재(F)의 구멍(H)에 설치되는 덕트(10); 덕트(10)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흡기팬(20); 마감재(F)의 구멍(H)을 관통하여 덕트(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마개(31)와, 마개(31)의 상단에 얹혀지는 링(32)과, 덕트(10)로부터 외부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게 상단이 링(32)에 고정된 상태로 마개(31)의 내부에 수용되며, 마개(31)의 이탈시 함께 낙하하면서 펼쳐져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나팔관형상의 난연성재질의 커튼부(33)와, 커튼부(33)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의 무게추(34)로 구성된 제연커튼유닛(30); 마개(31)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40); 마감재(F)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연기감지센서(50); 마감재(F)에 설치되어 열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센서(60); 커튼부(33)와 주변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노즐(71)을 갖추고서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어 소방수를 노즐(71)로 공급하는 소방수이송라인(70); 소방수이송라인(70)에 설치되어 소방수이송라인(7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80); 연기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기가 덕트(10)를 통해 커튼부(3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흡기팬(20)을 동작제어하고, 마개(31)가 구멍(H)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40)를 동작제어하며, 열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방수이송라인(7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노즐(71)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8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내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안전하게 구조될 때까지 열과 연기로부터 잠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가옥을 만들어 줌으로서 열에 의한 화상 및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Device for spread prevention of fires}
본 발명은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전동차 등의 화재로 인해 생성된 유해 연기는 대류현상에 의하여 건물이나 전동차의 천장으로 이동된 후, 천장을 따라 빠른 속도로 확산이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실제 화재 시 화상으로 인한 피해보다 유독 연기로 인한 질식의 피해가 압도적으로 많다.
따라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벽과 구분되어 건물 등에는 제연설비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통상의 제연 설비는 대개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확산을 일정 시간 방지하는 제연경계벽이 주류를 이룬다.
이러한 제연경계벽은 플레이트가 천장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화재 시에 천장을 따라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것을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제연경계벽의 경우 미관상 좋지 못하고, 특히 실내는 연기가 확산되면서 빠르게 차기 때문에 미처 대피 못한 사람들은 구조대가 올 때까지 그대로 유독 연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9713호(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2016.11.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열과 연기로 인한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과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할 수 있게 마감재의 구멍에 설치되는 덕트;
덕트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흡기팬;
마감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덕트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마개와, 마개의 상단에 얹혀지는 링과, 덕트로부터 외부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게 상단이 링에 고정된 상태로 마개의 내부에 수용되며, 마개의 이탈시 함께 낙하하면서 펼쳐져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나팔관형상의 난연재질의 커튼부와, 커튼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의 무게추로 구성된 제연커튼유닛;
마개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마감재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연기감지센서;
마감재에 설치되어 열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센서;
커튼부와 주변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갖추고서 천장과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어 소방수를 노즐로 공급하는 소방수이송라인;
소방수이송라인에 설치되어 소방수이송라인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
연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기가 덕트를 통해 커튼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흡기팬을 동작제어하고, 마개가 구멍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를 동작제어하며, 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방수이송라인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내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안전하게 구조될 때까지 열과 연기로부터 잠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가옥을 만들어 줌으로서 열에 의한 화상 및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에서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에서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제연장치는 덕트(10)와 흡기팬(20), 제연커튼유닛(30), 솔레노이드(40), 연기감지센서(50), 열감지센서(60), 소방수이송라인(70), 전자밸브(80) 및 제어부(9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실내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안전하게 구조될 때까지 열과 연기로부터 잠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가옥을 만들어 줌으로서 열에 의한 화상 및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덕트(10)는 접었다 펼쳤다할 수 있는 주름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실내의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된 외부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덕트(10)의 일단은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마감재(F)의 구멍(H)과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참고로, 상기 덕트(10)의 내경은 마감재(F)의 구멍(H)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이에 따라 덕트(10)와 구멍(H) 간에는 자연스럽게 단턱이 마련되므로 링(32) 낙하시 링(32)은 단턱에서 걸려 낙하하지 않고 커튼부(33)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흡기팬(20)은 덕트(10)에 설치되며 제어부(90)에 의해 동작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강제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덕트(10)를 따라 이동되어 커튼부(33)의 내부로 유입되며, 커튼부(33)의 내측으로 피신한 사람들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생존확률을 높여주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연커튼유닛(30)은 마개(31)와 링(32), 전체적으로 나팔관형상을 이루며 난연재질로 제조된 커튼부(33) 및 무게추(34)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31)는 마감재(F)의 구멍(H)을 폐구하도록 구멍(H)에 관통되게 끼워져 덕트(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마개(31)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어 접혀진 상태의 커튼부(33)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31)의 외주면에는 솔레노이드(40)의 로드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홈(31a)이 일체로 형성되며, 걸림홈(31a)에 솔레노이드(40)의 로드가 삽입되면 마개(31)는 구멍(H)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걸림홈(31a)으로부터 솔레노이드(40)의 로드가 이탈되면 자중에 의해 마개(31)는 구멍(H)으로부터 이탈되어 커튼부(33)와 함께 바닥(B)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링(32)은 덕트(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마개(31)의 상단에 얹혀지며, 커튼부(33)의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링(32)은 마감재(F)의 구멍(H)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마감재(F)에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커튼부(33)가 완전하게 펼쳐질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상기 커튼부(33)는 펼쳐졌을 때의 모양이 나팔관형태를 이루는 난연재질로 제조된 일종의 텐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접혀진 상태로 마개(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마개(31)가 구멍(H)으로부터 이탈되면 함께 낙하되면서 수직으로 펼쳐진다.
이와 같이 펼쳐진 커튼부(33)의 하단을 횡방향으로 펼치게 되면,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형태의 나팔관형상의 하우스가 만들어지며, 이와 같이 만들어 하우스의 내부로 신속하게 대피하면 된다.
특히, 상기 커튼부(33)의 상단부는 덕트(10)의 일단과 상호 연통되어 있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커튼부(33)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커튼부(33)를 난연재질로 제조하였더라도 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손상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주변의 열기로 인해 커튼부(33)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를 커튼부(33)로 분사되는 소방수를 통해 해결하였다.
상기 무게추(34)는 커튼부(33)의 하단 형태를 잡아주기 위한 부재로서, 커튼부(33)의 하단에 다수 개가 고정되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마개(31)가 구멍(H)으로부터 이탈되면, 마개(31)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수용된 커튼부(33)가 함께 낙하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커튼부(33)의 상단과 연결된 링(32)은 덕트(10)의 내부를 따라 낙하하여 마감재(F)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커튼부(33)의 상단은 링(32)을 매개로 마감재(F)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튼부(33)의 하단을 넓게 펼쳐 사람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무게추(34)를 배치해 준다.
상기와 같이 완성되면 커튼부(33)의 내측으로 신속하게 대피하면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40)는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마감재(F)의 상면에 덕트(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마개(31)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솔레노이드(40)의 로드는 마개(31)의 걸림홈(31a)에 삽입되어 마개(31)를 고정하고, 로드가 걸림홈(31a)으로로부터 이탈되면 마개(31)는 구멍(H)으로부터 이탈되어 바닥(B)으로 추락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40)의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기감지센서(50)는 마감재(F)의 하면에 고정되어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를 감지하거나 실내로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9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감지센서(60)는 마감재(F)의 하면에 고정되어 화재발생시 열기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9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소방수이송라인(70)은 소방수가 이송되는 관으로서, 마감재(F)에 설치되는 노즐(71)을 구비한다.
상기 소방수이송라인(70)을 따라 이송되는 소방수는 노즐(71)을 통해 분사되어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커튼부(33)로도 분사되어 커튼부(33)가 화재의 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밸브(80)는 소방수이송라인(70)에 설치되며, 제어부(90)에 의해 동작되어 소방수이송라인(70)의 내부를 개폐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90)는 일종의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기감지센서(50)로부터 연기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흡기팬(20)과 솔레노이드(40)를 동작제어하고, 열감지센서(60)로부터 열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자밸브(80)를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기감지센서(50)로부터 연기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흡기팬(20)을 동작시켜 외부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게 되고, 솔레이노드(40)를 동작시켜 마개(31)가 구멍(H)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흡기팬(20)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커튼부(33)의 내부로 유입되어 사람들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열감지센서(60)로부터 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전자밸브(80)를 동작시켜 소방수이송라인(70)을 따라 소방수가 흐르도록 하며, 이에 의해 소방수는 노즐(71)을 통해 주변과 커튼부(33)로 분사되어 신속한 화재진압 및 열로 인한 커튼부(33)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로 인해 불과 연기가 동시에 일어나게 되면, 마감재(F)에 설치된 연기감지센서(50) 및 열감지센서(60)가 이를 각각 감지하여 제어부(9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는 연기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흡기팬(20)과 솔레노이드(40)를 동작시키게 되고, 열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자밸브(80)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동작된 흡기팬(20)은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외부공기는 덕트(10)를 통해 제연커튼유닛(30)의 커튼부(33)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90)는 마개(31)의 걸림홈(31a)에 삽입된 로드가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40)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에 의해 마개(31)는 마감재(F)의 구멍(H)으로부터 이탈되어 바닥(B)으로 추락하게 되며, 마개(31)의 내부에 수용된 커튼부(33) 역시 함께 바닥(B)을 향해 낙하되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튼부(33)의 하단을 넓게 펼쳐 사람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무게추(34)를 배치해 준다.
상기와 같이 완성되면 커튼부(33)의 내측으로 신속하게 대피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전자밸브(80)가 동작되어 소방수이송라인(70)의 내부를 개방하게 되고, 이에 의해 소방수이송라인(70)을 따라 소방수가 흐르게 되면서 노즐(71)을 통해 소방수가 주변과 커튼부(33)로 분사됨으로서 신속한 화재진압 및 열로 인한 커튼부(33)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준다.
한편, 외부로부터 실내로 연기가 유입되는 경우 열감지센서(60)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내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안전하게 구조될 때까지 열과 연기로부터 잠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가옥을 만들어 줌으로서 열에 의한 화상 및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덕트 20: 흡기팬 30: 제연커튼유닛
31: 마개 32: 링 33: 커튼부
34: 무게추 40: 솔레노이드 50: 연기감지센서
60: 열감지센서 70: 소방수이송라인 80: 전자밸브
90: 제어부 C: 천장 F: 마감재
B: 바닥 H: 구멍

Claims (1)

  1.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할 수 있게 마감재(F)의 구멍(H)에 설치되는 덕트(10);
    덕트(10)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흡기팬(20);
    마감재(F)의 구멍(H)을 관통하여 덕트(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마개(31)와,
    마개(31)의 상단에 얹혀지는 링(32)과,
    덕트(10)로부터 외부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게 상단이 링(32)에 고정되어 마개(31)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수용되되, 마개(31)의 이탈시 함께 낙하되어 상단이 링(32)을 매개로 마감재(F)에 매달린 상태로 수직으로 펼쳐지고, 수직으로 펼쳐진 하단을 횡 방향으로 펼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나팔관형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튼부(33)와, 커튼부(33)의 하단에 설치되어 나팔관형태로 펼쳐진 커튼부(33)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무게추(34)로 구성된 제연커튼유닛(30);
    마개(31)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40);
    마감재(F)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연기감지센서(50);
    마감재(F)에 설치되어 열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센서(60);
    커튼부(33)와 주변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노즐(71)을 갖추고서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어 소방수를 노즐(71)로 공급하는 소방수이송라인(70);
    소방수이송라인(70)에 설치되어 소방수이송라인(7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80);
    연기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기가 덕트(10)를 통해 커튼부(3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흡기팬(20)을 동작제어하고, 마개(31)가 구멍(H)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40)를 동작제어하며, 열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방수이송라인(7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노즐(71)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8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20170172524A 2017-12-14 2017-12-14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189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4A KR101893364B1 (ko) 2017-12-14 2017-12-14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4A KR101893364B1 (ko) 2017-12-14 2017-12-14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364B1 true KR101893364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24A KR101893364B1 (ko) 2017-12-14 2017-12-14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36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90B1 (ko) * 2018-12-14 2019-07-1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KR102050030B1 (ko) * 2019-08-29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050028B1 (ko) * 2019-08-30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N111089392A (zh) * 2019-12-25 2020-05-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内环境的监控方法、装置、设备和***
KR102528924B1 (ko) 2022-06-20 2023-05-0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다기능 방화원인 확인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57038B1 (ko) 2022-07-14 2023-07-20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신속화재진압이 가능한 연기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619702B1 (ko) * 2023-03-31 2024-01-02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화재진압 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재기기
KR102619703B1 (ko) * 2023-03-31 2024-01-02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건축물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안전성 향상 신속소방방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687B2 (ja) * 1990-12-20 2000-05-08 防災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避難防火装置
KR101402942B1 (ko) *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피난장치
JP2016049422A (ja) * 2014-08-29 2016-04-11 隆博 笹川 避難カーテン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766350B1 (ko) * 2016-02-29 2017-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형 방염천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KR101784290B1 (ko) * 2016-03-07 2017-10-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687B2 (ja) * 1990-12-20 2000-05-08 防災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避難防火装置
KR101402942B1 (ko) *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피난장치
JP2016049422A (ja) * 2014-08-29 2016-04-11 隆博 笹川 避難カーテン
KR101766350B1 (ko) * 2016-02-29 2017-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형 방염천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KR101784290B1 (ko) * 2016-03-07 2017-10-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90B1 (ko) * 2018-12-14 2019-07-1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KR102050030B1 (ko) * 2019-08-29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050028B1 (ko) * 2019-08-30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N111089392A (zh) * 2019-12-25 2020-05-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内环境的监控方法、装置、设备和***
KR102528924B1 (ko) 2022-06-20 2023-05-0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다기능 방화원인 확인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57038B1 (ko) 2022-07-14 2023-07-20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신속화재진압이 가능한 연기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619702B1 (ko) * 2023-03-31 2024-01-02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화재진압 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재기기
KR102619703B1 (ko) * 2023-03-31 2024-01-02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건축물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안전성 향상 신속소방방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364B1 (ko)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999290B1 (ko)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753116B1 (ko)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KR101953115B1 (ko)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JP6978809B2 (ja) 火災避難室
KR101943368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1436471B1 (ko) 질식사고를 방지하는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설비 및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방법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1997696B1 (ko)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20200098317A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20130104972A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1794962B1 (ko)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KR20170127679A (ko) 소방 훈련용 화염 및 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778B1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102661448B1 (ko) 연기, 유독가스 동시 제거형 천장 은폐식 다기능 스프링클러 장치
KR101715373B1 (ko)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KR102579497B1 (ko) 소방용 화재 감지 대피 시스템
JP2000509293A (ja) 火炎及び煙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419211B1 (ko) 안전형 소방용 제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