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705B1 -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705B1
KR102413705B1 KR1020150075074A KR20150075074A KR102413705B1 KR 102413705 B1 KR102413705 B1 KR 102413705B1 KR 1020150075074 A KR1020150075074 A KR 1020150075074A KR 20150075074 A KR20150075074 A KR 20150075074A KR 102413705 B1 KR102413705 B1 KR 10241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wangchil tree
extract
liver function
liv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068A (ko
Inventor
박현제
박명용
이호진
신장우
김승훈
김성규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양행
Publication of KR2015013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및/또는 폴리페놀(polyphenol)을 지표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간 세포 보호 효능이 우수하여 간 독성 물질로 손상된 간 기능을 빠르게 회복시킴으로써 간 기능을 개선하며,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여 숙취를 해소하고 간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간 기능을 개선한다.

Description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 내지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혈액 저장 및 순환, 지질 등의 대사 작용, 담즙의 배설, 각종 영양소의 저장, 혈류량 조절과 해독작용을 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그러나, 간은 우리 몸이 각종 공해물질, 유독 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더욱이 정신적인 스트레스, 과음, 흡연 등에 의해 심각한 손상이 유발되고 있다.
간은 이물질 섭취에 의한 피해를 막는 1차 방어기관이기 때문에, 간 기능이 떨어짐으로써 바이러스나 여러 가지 약물 등에 의해 심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지방 성분이 포함된 음식 또는 알코올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의 장애가 일어나며, 이로 인해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등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음식을 통한 과다한 지방 섭취 또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 조직에 지질이 쌓이는 지방간을 유발하며, 이때 혈청 속의 GOT(AST:Aspartic aminotransferase), GPT(ALT:Alanin aminotransferase), γ-GPT(γ-glutamytransferase) 등이 증가하게 된다.
간질환은 병이 생기는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약물 독성 간질환, 지방간, 자가 면역성 간질환, 대사성 간질환 및 기타 간질환 등으로 구분된다. 간은 완충능력이 큰 기관이기 때문에 초기에 질환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이며, 질환이 상당히 진행되어서야 발견되기 때문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사망원인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간 기능의 상실은 무자각성이며 인체의 방어 작용과 해독 작용을 상실시켜 인체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므로,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제제로 제조되는 간 보호 효과가 있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황칠 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최대 높이 15 m에 달하는 두릅나무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로서 한국 남부 해안지역과 일본의 난대, 아열대 및 타이완에 분포하고 있다. 학명은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 morbifera Nakai)이며, 황칠 나무의 수피에서 채취되는 수액인 황칠은 안식향을 함유하여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탁월한 나무로 일찍이 주목 받았으며, 과거에는 천연도료로 쓰였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암, 당뇨 치료, 경조직 세포 재생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황칠 나무 추출물의 약리 효과에 대해 밝혀진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이들의 주요 성분 내지 함량에 따른 약리활성 또는 이에 따른 최적의 약리 효과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황칠 나무를 비롯한 다수의 천연물들은 이들에 함유된 구성 성분 내지 함량 차이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바, 원하는 효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이들 천연물 자체뿐만 아니라 최적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이의 조성, 함량 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KR 10-1283775, 2013. 7. 8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황칠 나무에서 숙취해소 및 간세포 보호를 통한 간 기능 개선 등의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확인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황칠 나무 추출물로부터 지표 성분들을 처음으로 분리하여 그 구조를 동정하고, 클로로제닉산 및/또는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이 숙취해소 및 간세포 보호를 통한 간 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이의 최적 활성을 위한 성분 및 이들의 함량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클로로제닉산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함으로써 간기능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 기능 개선이란 약화된 간 기능의 회복 및 치료로써 예컨대, 숙취, 간세포 손상, 알코올성 간, 간 독성 물질에 의한 간 손상 또는 해독 작용 등의 개선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간 손상의 예방 및 치료를 포함한다. 또한, 음주, 고지방식, 과로 등의 생활습관에 의해 지속적인 담즙분비기능, 합성능, 배설능, 대사능 등에 대한 간의 여러 기능 중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하며, 특별히 간실질세포 손상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biomarker)인 AST 및 ALT 수치, 담도계 손상을 나타내는 γ-GT 및 ALP, 담즙분비 기능 손상을 나타내는 빌리루빈(bilirubin) 등에 대한 정상적인 수치로의 회복 등을 간 기능 개선으로 포함한다. 간 기능 개선의 일례로 숙취의 개선 또는 해소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 등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며, 인식능력 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로부터 신체를 회복시키며, 혈액학적, 호르몬적 정상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간 기능 개선이 필요한 군으로 예컨대, 간 질환 예방 및 간 건강 증진이 필요한 일반인; 간 기능 증진 또는 간 질환 예방이 필요한 간 질환의 예후를 가지거나 질환 초기 단계로 간질환이 자각되지 않은 환자; 또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간 해독 작용 증진을 위한 간 기능 개선이 필요한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등의 질환을 가진 환자가 있으며, 간 기능 개선이 필요한 경우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은 안전한 천연 제제인 황칠 나무를 이용한 것으로 일반 단일 화합물과 다르게 인체 적용에 부작용이 없으며, 본원 추출물은 현저한 항산화 활성 및 간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짐으로써 간 기능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칠 나무는 나무의 수지, 잎, 뿌리, 과실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지(목질부 포함)와 잎을 사용한다. 황칠 나무는 한국, 일본, 타이완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저비용으로 원료확보가 용이하며 구입하거나 직접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 메탄올 수용액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황칠 나무의 수지 또는 잎의 중량의 5 내지 15 배로 한다. 황칠 나무 열수(물) 추출물의 경우 90~120℃에서 3~4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칠 나무 메탄올 및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60~90℃에서 3~4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추가로 분리하여 얻어진 황칠 나무 추출 분획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따로 언급되지 않는 이상,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분획물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된다. 황칠 나무 추출물의 분획분리는 당해 분야에 알려진 분리법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황칠 나무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황칠 나무 추출물에 헥산을 가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순차적으로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을 사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본 분리 방법을 통해서, 상기 바람직한 함량 범위의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분획 추출물을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용출용매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5 내지 11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여 클로로제닉산을 얻을 수 있다. 이를 더욱 순수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20 내지 70%의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HPLC)를 수행하여 이로부터 용출된 용출액을 합하고 농축함으로써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숙취해소 활성을 가지는 황칠 나무 유래 화합물들은 통상의 치환기들의 합성 및 분획 방법을 통하여도 합성할 수 있다.
원생약에 함유된 유효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은 산지, 채취시기, 보관기간 및 보관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고 동일 중량의 생약 추출물 중에 포함되는 유효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이 크게는 100배 이상으로 달라질 수 있는 바, 원생약의 표준화를 하기가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목적하는 약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얻기 위한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약리 활성의 중요 물질 중 하나로 클로로제닉산을 선정하고 최적의 약리 활성을 도출하였다. 특히, 황칠 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제닉산은 함량 범위가 산지, 채취시기, 보관기간 및 보관상태에 따라 편차가 매우 심할 뿐 아니라 이 성분의 함량에 따라 간 세포 보호 활성, 항산화 활성 등에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 클로로제닉산의 최적의 함량 범위를 찾음으로써 간기능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바람직하게,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들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클로로제닉산을 0.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 내지 6.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중량% 내지 6.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6.5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클로로제닉산의 함량 범위 내에서는 숙취해소 및 간 세포 보호 효과가 다른 함량 범위보다 현저하며, 클로로제닉산 단독 화합물과 대비하여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특히, 사염화탄소와 같은 간독성 물질로 유발한 간 독성에 있어서 보호 효능을 최대한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네오클로로제닉산(Neochlorogenic acid) 및/또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지는 4-O-카페오일퀴닉산(4-O-Caffeoylqu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3
본 발명의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상기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 간 세포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추가적으로 클로로제닉산 구조 이성질체인 상기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은 상기 기술된 추출 방법 및 분리 방법에 의해 추출물 및 분획물에 함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을 함유하는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네오클로로제닉산(Neochlorogenic acid)을 0.13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3중량% 내지 1.6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중량% 내지 1.6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0 중량% 내지 1.6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4-O-카페오일퀴닉산(4-O-Caffeoylqu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을 0.1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 내지 1.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 내지 1.2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내지 1.2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및 그 구조 이성질체들을 함유하는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총 클로로제닉산(클로로제닉산과 그 구조 이성질체들의 합)을 0.34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34 중량% 내지 9.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9.3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9.3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식품,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기능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액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환제, 엑스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결정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전분글리코산 나트륨, 싸이클로덱스트린,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잔탄검, 구어검, 한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패각칼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인 보조제로 비타민 B군,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Ca, Mg, Zn, 레시틴, 알라닌, 타우린, 말톨, 과당, 올리고당, 영지, 글루메이트, 키토산, 아스파라긴산, 동충하초, 헛개나무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밀크시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유당,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0 내지 20000 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0mg을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또는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이란 하나 이상의 영양소를 가진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능성 식품이란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 이상으로 특별히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오는 기능, 즉 생체 방어, 질병의 예방 및 회복, 신체 리듬의 조절 등의 기능을 가진 식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 기능 개선에 그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캔디,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젤리 또는 음료 등이 있으며, 이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숙취해소 및 간 세포 보호를 통한 간 기능 개선 및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첨가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위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 말토스, 슈크로스,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사카라이드류가 있으며,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에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은 추가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1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페놀(polyphenol)이란 분자 하나에 페놀 그룹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안전한 천연 제제인 황칠 나무를 이용한 것으로 다른 폴리페놀류 화합물과 대비하여 인체 적용에 부작용이 매우 적으며, 본원 추출물은 폴리페놀을 함유함에 따라 현저한 항산화 활성 및 간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짐으로써 간 기능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이 1.2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중량% 내지 10.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중량% 내지 10.8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4 중량% 내지 10.8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페놀의 함량 범위 내에서는 숙취해소 및 간 세포 보호 효과가 다른 함량 범위보다 현저하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대비하여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특히, 사염화탄소와 같은 간독성 물질로 유발한 간 독성에 있어서 보호 효능을 최대한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설명된 폴리페놀(polyphenol) 이외에,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의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언급된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설명된 폴리페놀(polyphenol) 이외에,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언급된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또는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설명된 폴리페놀(polyphenol) 이외에,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또는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의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언급된 클로로제닉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또는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매우 우수하며 숙취해소 및 간 세포 보호 효능이 현저하여, 간 독성 물질에 의한 간 손상을 정상상태로 회복하고 알코올성 및 독성물질 등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숙취해소 및 간 세포 보호를 통한 간 기능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매우 우수하며 숙취해소 및 간 세포 보호 효능이 현저하여, 간 독성 물질에 의한 간 손상을 정상상태로 회복하고 알코올성 및 독성물질 등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숙취해소 및 간 세포 보호를 통한 간 기능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황칠 나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항산화 활성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황칠 나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HepG2 세포의 보호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시간에 따른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혈청 중 AST 및 ALT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간 조직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 제조예 > 황칠 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제조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황칠 나무 알코올 추출물 또는 황칠나무 분획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추출 부위, 채취 계절 또는 추출 방법 등을 달리한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황칠 나무 알코올 추출물 또는 황칠나무 분획물의 구체예는 실시예 1 내지 10에 기재하였다.
(1)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의 제조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는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연도별 및 월별(계절별)로 채취한 것을 그대로 또는 건조 후 사용하였다.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 100g을 각각 단독 및 혼합하여 부직포 재질의 추출포에 담은 후 1,000 mL(10배수)의 물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90~100℃로 12~4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온(1~30℃)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액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2번 반복하여 여과액을 합하고 농축 전 브릭스(Brix, %) 농도를 측정한 뒤 진공회전증발기(Heidolph)를 이용하여 농축 후 브릭스 농도가 15~25% 가 되게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황칠 나무 열수(물) 추출물 분말 15~25g (수율 15~25%) 을 제조하였다.
(2) 황칠 나무 알코올 추출물 제조
상기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 100g을 각각 단독 및 혼합하여 부직포 재질의 추출포에 담은 후 1,000 mL(10배수)의 메탄올, 에탄올과 1000mL(10배수), 물·메탄올 혼합용매(10배수) 또는 물·에탄올 혼합용매(10배수)와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60~90℃로 3~4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온(1~30℃)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액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2번 반복하여 여과액을 합하고 농축 전 브릭스(brix, %) 농도를 측정한 뒤 진공회전증발기(Heidolph)를 이용하여 농축 후 브릭스 농도가 15~30%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황칠 나무 에탄올 추출물 분말 9~15g (수율 9~15%)을 제조하였다.
(3) 황칠 나무 분획물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황칠 나무 알코올 추출물에 물로 분산한 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적정량 첨가하여 이들 용매에 대한 가용부를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각 분획물들은 감압 농축하여 -30℃에서 얼린 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황칠 나무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황칠 나무 열수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여름에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혼합하여 10배수의 물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90~10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분무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황칠 나무 열수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봄, 가을, 겨울에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혼합하여 10배수의 물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90~10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분무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황칠 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혼합하여 10배수의 메탄올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60~7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황칠 나무 에탄올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혼합하여 10배수의 에탄올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70~9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황칠 나무 ·에탄올 혼합용매(7:3, v/v)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혼합하여 10배수의 물·에탄올 혼합용매(7:3, v/v)와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70~9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황칠 나무 ·에탄올 혼합용매(3:7, v/v)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혼합하여 10배수의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와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70~9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황칠 나무 ·에탄올 혼합용매(15:85, v/v)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혼합하여 10배수의 물·에탄올 혼합용매(15:85, v/v)와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70~9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8> 황칠 나무의 잎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잎 부위 건조물을 10배수의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와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70~90℃로 6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9> 황칠 나무의 가지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가지(목질부 포함) 부위 건조물을 10배수의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와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70~90℃로 6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0> 황칠 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제조
상기 제조예 (3)의 방법에 따라, 전남 장흥 및 완도지역에서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을 단독 및 혼합하여 10배수의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와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70~90℃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 농축한 다음 물에 분산시킨 뒤 헥산 층으로 분획한 다음 순차적으로 남은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분획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여과,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1> 황칠 나무로부터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의 추출, 분리 및 동정
(1) 추출 및 분리
전남 장흥 및 완도 지역에서 직접 채취한 황칠 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를 그대로 또는 건조 후 사용하였다. 건조물 100g을 사용하여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 2L로 24시간 동안 추출 여과하였다. 용매를 진공상태로 증발시켜 추출물을 만들고, 이것을 물(1L)에 녹인 후, n-헥산(5X1L), 에틸아세테이트(5X1L) 및 n-부탄올(3X1L)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기울기용리로 n-헥산 100%에서 에틸아세테이트 100%로),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기울기용리로 에틸아세테이트 100% 에서 메탄올 100%로)로 용리시켜 혼합물을 이동상으로 이용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한 분획물을 20 내지 70%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수행하여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을 얻었다.
(2) 화합물의 동정
자외가시부 흡광광도(Ultraviolet, UV) 및 적외부 흡수(Infrared, IR) 스펙트럼을 Agilent 8453 UV/VIS 분광광도계 및 JASCO FT/IR-680 plus 분광광도계에 각각 기록하였다. ID 및 2D 핵자기공명스펙트럼(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실험들은 Bruker Avance 400MHz FT-NMR 장비에서 내부 표준을 테트라메틸실레인(Tetramethylsilane, TMS)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대기압 전기이온화법 질량분석 스펙트럼(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ESI-MS)은 Waters Q-TOF 고분해능 질량분석기(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er, HRMS)에서 얻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은 실리카겔(Silica gel) 60(70-230 mesh, Merck, Darmstadt, Germany)으로 수행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분석은 가열처리가 뒤따른(120 ℃, 5분) UV(254 및 365nm) 및 10%(v/v) 황산스프레이 조건의 시각화로 코팅된 0.25mm 두께의 Kieselgel 60 F254 (Merck, Germany) 판에서 수행하였다.
(3)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의 확인
분리한 화합물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HRMS)에서 m/z 353.0927 [M-H+]의 분자 이온 피크를 보였으며, 이것은 분자식 C16H18O9에 대응된다. 자외가시부흡광광도(UV) 스펙트럼은 326 nm 에서 최대흡수를 보였다. 이 화합물의 핵자기공명 1H 스펙트럼은 δ 2.02~1.74(4H, m, H-2, 6), 3.54(1H, m, H-3), 3.92(1H, m, H-4), 5.07(1H, m, H-5), 6.98(1H, dd, H-2'), 6.77(1H, d, H-3'), 7.03(1H, d, H-6'), 7.43(1H, d, H-7'), 6.16(1H, d, H-8')의 신호를 나타내었다. 핵자기공명 13C 스펙트럼에서 δ 73.96(C-1), 36.76(C-2), 70.74(C-3), 68.49(C-4), 71.35(C-5), 37.64(C-6), 126.04(C-1'), 121.79(C-2'), 116.17(C-3'), 148.75(C-4'), 145.98(C-5'), 115.21(C-6'), 145.37(C-7'), 114.75(C-8'), 166.20(C-9'), 및 175.42(COOH)를 나타내었다.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의 구조식은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4
< 실시예 12> 황칠 나무로부터 클로로제닉산 구조 이성질체들인 네오클로로제 닉산 및 4-O- 카페오일퀴닉산의 추출, 분리 및 동정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과 동일하게 황칠 나무의 물·에탄올 혼합용매(3:7, v/v) 추출, 기울기 용리를 통한 분획 분리 및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네오클로로제닉산 및 4-O-카페오일퀴닉산을 얻고, 실시예 11의 동정 방법을 통해 네오클로로제닉산 및 4-O-카페오일퀴닉산을 동정하였다.
분리한 화합물 네오클로로제닉산 및 4-O-카페오일퀴닉산의 구조분석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HRMS)에서 m/z 353.0927 [M-H+]의 분자 이온 피크를 보였으며, 이것은 분자식 C16H18O9에 대응된다. 자외가시부흡광광도(UV) 스펙트럼은 326 nm 에서 최대흡수를 보였다. 이것은 방향족 컨쥬게이팅 시스템 (aromatic conjugating system)의 존재를 나타낸다.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PLC)을 이용하여 네오클로로제닉산 및 4-O-카페오일퀴닉산의 상용표준품과 황칠 나무 추출 및분획물에서 나오는 피크의 유지시간을 비교한 결과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네오클로로제닉산의 구조식은 화학식 2 와 4-O-카페오일퀴닉산의 구조식은 화학식 3과 같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6
< 실시예 13>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클로로제닉산 ( chlorogenic acid) 및 구조 이성질체들의 함량 확인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중 지표성분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의 함량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함량 분석을 위해 Atlantis T3(4.6X250 mm, 5 μm) 칼럼을 사용하였다. 이동상 A는 0.1% 포름산이 함유된 물·아세토니트릴 혼합액(95:5, v/v)을 사용하였고, 이동상 B는 0.1% 포름산이 함유된 물·아세토니트릴 혼합액(5:95, v/v) 용액을 조제하여 0.45 μm 막여과지로 여과하고 헬륨 가스로 10분간 탈기하여 사용하였다. 지표성분 함량 측정을 위한 HPLC용 검출기는 자외가시부흡광측정기(Ultraviolet(UV) detector)를 사용하였고, UV 파장은 326nm 에서 측정하였다. 표준액과 검액은 각각 20 μL 씩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지표성분의 함량은 상용표준품을 이용한 외부표준법(external standard method)으로 정량하였고, 표준액 제조를 위해 클로로제닉산(시그마-알드리치, Lot SLBF3987V) 및 구조 이성질체 네오클로로제닉산(시그마-알드리치, Lot BCBK8245V), 4-O-카페오일퀴닉산(시그마-알드리치, Lot BCBK6135V) 상용표준품을 이용하여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중 클로로제닉산 및 구조 이성질체들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물·메탄올 혼합액(5:5, v/v)으로 표준액을 조제하였고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도 동일하게 물·메탄올 혼합액(5:5, v/v)으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기울기용리법(gradient)은 표 1과 같았다.
[표 1] 기울기용리법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7
실시예 1~10 에 따라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을 상기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함유된 클로로제닉산 및 구조 이성질체들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중 클로로제닉산 및 구조 이성질체들의 함량 범위(%)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8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클로로제닉산 및 이의 구조 이성질체의 함량은 추출 부위, 채취 계절 또는 추출 방법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14> 황칠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황칠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을 메탄올에 녹여 2 mg/mL 농도가 되게 조제한 후 검액 30 μL에 물에 녹인 10% folin-ciocalteu 시약 0.15 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방치한 후 7.5% Na2CO3 포화용액 0.12 mL를 가하여 잘 섞고 실온에서 다시 40분 방치한 후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갈릭산(Gallic acid)을 0~200 μg/mL로 농도로 조제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고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mg/g 갈릭산 당량으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중 총 폴리페놀 함량
Figure 112015051521183-pat00009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폴리페놀의 함량은 추출 부위, 채취 계절 또는 추출 방법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1>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클로로제닉산 또는 폴리페놀 함량에 따른 황칠 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DPPH 유리기(radical)에 소거능(scavenging)을 조사하였다. 에탄올에 녹인 300 μM DPPH 시약 100 μL에 에탄올에 녹인 농도별 황칠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100 μL를 넣고 잘 섞어준 뒤 어두운 곳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에서는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농도 별로 도식하였다. 그 결과 1 mg/mL의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은 최대치를 나타내며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DPPH 유리기 소거능 SC50(scavenging activity 50%)의 비교 시험은 0.25 mg/mL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0.25 mg/mL 농도에서 DPPH 항산화 활성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 중 DPPH 항산화 활성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0
상기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로제닉산 및/또는 폴리 페놀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간 세포 보호 효능 측정
클로로제닉산 또는 폴리페놀 함량에 따른 황칠 나무 추출물의 간 세포 보호 효능을 측정하였다.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간 세포 보호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사용하였다. HepG2 세포주는 10% 우태아혈청(FBS: fetal bovin serum)과 항생체(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가 포함된 RPMI 배지를 이용하여 37 ℃, 5%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유지하면서, 96-웰 플레이트에 50,000 cell/well 의 농도로 시딩(seeding)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지를 생리완충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FBS가 제거된 RPMI 배지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황칠 나무 추출물 또는 클로로제닉산을 30분간 전처리하였다. 3차 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t-BHP) 시약 500 uM을 함유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간 손상 즉, 세포사멸을 유발하였다. 양성대조군은 LDH cell lysis buffer를 사용하여 세포를 사멸시켰다. 배양을 종료하고 LDH assay kit로 간세포로부터 나온 LDH 양을 측정하였다.
도 2에서는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HepG2 세포에서 농도에 따른 간 세포 보호 효능을 도식하였다. 그 결과 200 ug/mL의 농도에서 강력한 산화적 스트레스인 3차 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t-BHP) 에 의한 간 세포 손상에 우수한 보호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0 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을 200 ug/mL 농도에서 간 세포 보호능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황칠 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간 세포 보호능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1
또한, 황칠 나무 추출물이 동일 농도의 클로로제닉산 단일물질보다 우수한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가짐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황칠 나무 추출물의 in vivo 숙취해소 효능 측정
본 발명 황칠 나무 추출물의 숙취 해소 효능을 확인하였다.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동물은 평균체중 180g±5g의 Sparague-Dawley계 수컷 5주령 랫드(rat)를 사용하였으며, 각 군당 10마리로 하였다. 사육환경은 22℃, 상대습도 45±10%, 환기횟수 15~20회, 조명 12시간 간격, 조도 150~250Lux, 소음 50db 이하로 조절되는 환경에서 실험하는 동안 변화된 주변 환경과 온도, 습도, 먹이 등에 적응하게 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순화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2) 실험방법
1주일의 순화기간이 끝난 수컷 5주령 SD rat을 18시간 동안 절식시킨 뒤, 10마리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음성 대조군에는 vehicle을, 실험군에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을, 양성 대조군에는 여명808(㈜그래미) 1500mg/BWkg을 경구 투여한다. 30분 경과 후 40% 주정을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 1, 3, 5시간에 혈액을 채취한다. 혈액은 -4℃,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했다.
(3) 혈중 에탄올 농도 측정
상기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얻은 혈청의 알코올 농도는 키트(r-biopharm, Cat. No. 10 176 290 035)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키트에 포함된 NAD 반응용액 3.0 mL에 대조군에는 증류수 0.1 mL를, 실험군에는 증류수에 1/50 희석된 혈청 0.1 mL를 큐벳(cuvette)에 넣어 섞어 주었다. 3분간 반응시킨 후에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다시 키트에 있는 효소 ADH(Alcohol Dehydrogenase)를 각각 0.05 mL씩 넣고 섞어주고 5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알코올 농도(mg/mL)는 아래의 식 표 6에 따라 계산한다.
[표 6] 알코올 농도 계산 식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2
(4)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상기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얻은 혈청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키트(r-biopharm, Cat. No. 10 668 613 035)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키트에 포함된 NAD 반응용액 3.0 mL에 대조군에는 증류수 0.2 mL를, 실험군에는 혈청원액 0.2 mL를 큐벳(cuvette)에 넣어 섞어 주었다. 3분간 반응시킨 후에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다시 키트에 있는 효소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각각 0.05 mL씩 넣고 섞어주고 5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g/mL)는 아래의 식 표 7에 따라 계산한다.
[표 7]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계산 식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3
(4) 실험결과
표 8 및 도 3은 혈중 에탄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음성 대조군을 비교하면,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시간 의존적 및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의 에탄올 함량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과도 유사한 알코올 분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8]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혈중 에탄올 함량의 변화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4
표 9 및 도 4는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음성 대조군을 비교하면,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시간 의존적 및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는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보다도 우수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9]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의 변화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5
< 실험예 4> 황칠 나무 추출물의 In vivo 간 세포 보호 효능 측정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동물은 평균체중 30.06±0.72g~30.13±0.83g 의 ICR(Institute of Cancer Research)계 수컷 5주령 마우스(mouse)를 사용하였으며, 각 군당 8마리로 하였다. 사육환경은 22℃, 상대습도 45±10%, 환기횟수 15~20회, 조명 12시간 간격, 조도 150~250Lux, 소음 50db 이하로 조절되는 환경에서 실험하는 동안 변화된 주변 환경과 온도, 습도, 먹이 등에 적응하게 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순화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2) 실험방법
1주일의 순화기간이 끝난 수컷 5주령 ICR 마우스를 군 분리 후 시험물질은 증류수(with 0.5% CMC)에 녹인 후 사염화탄소 투여 48시간, 24시간, 2시간 전에 경구 투여하였고 사염화탄소 투여 후 18시간 후 마취하여 채혈하였다. 사염화탄소는 올리브유(olive oil)에 희석(1:499, v/v)하여 1회 10mL/kg 복강투여하였고 최종 용량은 사염화탄소로 20 μL/kg에 해당하였다. 대조군(정상군)은 용매 vehicle(with 0.5% CMC)을 경구 투여한 뒤 올리브유만을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유발군(사염화탄소군)은 vehicle(with 0.5% CMC)을 경구 투여한 뒤 사염화탄소를 복강 투여하였다. 시험동물은 부검 전 8시간부터 절식시켰다. 시험군에는 실시예 6에서 제조한 황칠 나무 추출물을 50, 200 mg/kg 투여하였고, 양성 대조군에는 실리마린(시그마, Lot BCBJ0393V) 50 mg/kg을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기간 중 체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험 시작일(day 0), 절식 전(day 2)에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종료일에 8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음수만 제공하여 부검 전 절식체중을 측정하였다. 사염화탄소 투여 후 18시간 후에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마취 하에 개복하여 복대동맥에서 채혈을 실시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헤파린이 처리되지 않은 원심분리관(SST tube)에 넣고 4℃,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뒤 -70℃에 보관하였다. 적출한 간의 일부는 단백질 샘플링(EP tube)하고 나머지 간은 중성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3) 혈중 ALT 및 AST 측정
상기 사염화탄소 투여 후 18시간 후에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마취 하에 개복하여 복대동맥에서 채혈한 혈청으로부터 혈액생화학지표인자로서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ALT)를 자동혈액생화학분석기(HITACHI 708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손상된 간으로부터 혈액에 방출된 간의 효소 활성은 간독성을 측정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혈청 중 AST 및 ALT 등의 효소 활성도의 상승은 간독성으로 인한 간세포의 괴사와 간 조직의 파괴가 진행됨에 따라 transaminase 가 혈중으로 유리되어 높은 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표 10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염화탄소에 의해 혈청 중 AST 및 ALT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 손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실리마린 양성대조군과 함께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한 중 AST 및 ALT 활성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황칠 나무 추출물 200 mg/kg 에서 양성대조군 실리마린과 유사하게 간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0] 사염화탄소 유발 급성 간 손상 모델에서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혈청 중 AST 및 ALT 수치의 변화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6
(4) 간 조직학적 분석
적출한 간 조직 중 일부 단백질 함량 측정용을 제하고 남은 간 조직을 10% 중성 완충용액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에 담가 고정시켰다. 고정이 끝난 조직을 흐르는 물에 수세하고 알코올에 담가 순차적으로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시킨 후 톨루엔으로 투명화시킨 다음, 파라핀을 침투시키고 포매하였다. 포매된 조직을 박절기(Lipshow model-45, Diversified Equipment Com., Lockport, USA)를 이용하여 4um 두께로 박절한 다음 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Olympus JP/BX51, Tokyo, Japan)으로 관찰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control)에서는 간세포들이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정상적인 소염구조를 유지하면서 간소엽의 가장 자리를 향해 방사상의 간세포삭(hepatic cell cords)과 동양혈관이 나란히 코드 모양의 배열을 보이는 반면, 사염화탄소(CCl4)로 간독성을 유발한 간 조직은 간소엽의 정상적인 구조가 명확하지 않으며 hepatic sinusoid 의 구조 또한 붕괴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고유 간소엽의 중심정맥 주위로 간조직의 심한 응고성 괴사와 염증세포가 관찰되었고, 괴사조직 가장자리 주위로 핵소실을 동반한 간세포의 종창현상(swelling)과 손상성 변화가 뚜렷이확인되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황칠 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의 경우 일부에서 약한 종창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중심정맥 주위의 간실질 조직의 괴사가 현저히 줄어들었고 여러 가지 조직학적 소견이 정상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특히 200 mg/kg 투여군에서 실리마린 50 mg/kg 투여군의 결과와 비슷한 양상으로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간세포가 정상적인 소엽 구조를 이루면서 방사상의 코드 배열이 되어있고 세포체적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정상 소견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중 ALT 및 AST 결과와 간 조직 과산화 지질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결과와 동일하게 일관성 있는 결과로서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급성 간독성에 있어 간 보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5) 간 조직 과산화 지질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
간 조직 내 지질 과산화도 측정은 CELL BIOLAB사(USA)의 OxiSelectTM TBARS Assay Kit(MDA quantitation)를 이용하여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하였고, Glutathione(GSH) 농도와 총 항산화능(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은 CELL BIOLAB사(USA)의 OxiSelectTM Total Glutathione (GSSG/GSH) Assay Kit, CELL BIOLAB사(USA)의 OxiSelectTM Total Antioxidant Capacity(TAC) Assay Kit를 이용하였다. 조직 내 항산화 활성 분석과 관련하여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과 catalase 활성은 각각 dokindo사(Japan)의 SOD Assay Kit-WST, 은 CELL BIOLAB사(USA)의 OxiSelectTM Catalase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항목들의 활성도 측정과 정량절차는 제조사의 권장 프로토콜에 따라 시험하였다.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은 호기적 대사과정에서 여러 가지 생화학적 반응으로 생성되며 이것으로부터 생성되는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은 조직 및 거대분자를 파괴하여 기능을 상실케 한다. 생체 내의 항산화 방어기구 중에서 효소적 방어 계의 하나인 SOD는 체내의 대표적인 scavenging 효소로 주로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며 superoxide radical을 환원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함으로써 생체를 보호한다.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OD 활성 변화에서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하여 유의적으로 SOD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실리마린 양성대조군과 함께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해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황칠 나무 추출물 200 mg/kg 에서 양성대조군 실리마린과 유사하게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여 간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총 항산화능(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에서도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하여 유의적으로 TAC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실리마린 양성대조군과 함께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해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SOD 활성도 변화와 비슷한 패턴으로 황칠 나무 추출물 200 mg/kg 에서 양성대조군 실리마린과 유사하게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여 간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카탈라아제(Catalase)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소로서 SOD와 함께 체내 항산화 효소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의해 각종 대사가 증진되어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SOD의 활성이 증가될 경우 카탈라아제(catalse)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카탈라아제(catalse) 활성 변화는 SOD 활성 변화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OD 활성도 변화와 비슷한 패턴으로 황칠 나무 추출물 200 mg/kg 에서 양성대조군 실리마린과 유사하게 카탈라아제(catalse)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은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유독한 과산화물로부터 생체조직을 보호하여 손상된 간 조직의 기능을 회복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세포 내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자유라디칼 생성이 증가되고 항산화 능력이 감소되면 지질과산화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지질과산화는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 손상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다.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과산화지질(Malondialdehyde, MDA) 함량은 사염화탄소 유발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실리마린 양성대조군과 함께 유의적으로 지질과산화물질 형성에 대한 저해 효과가 나타났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기작 연구에서 GSH 는 직접적인 활성산소의 제거나 글루타티온 과산화 효소(glutathione peroxidase)의 cofactor로 작용하여 활성산소에 대한 높은 보호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사염화탄소에 의한 반응성이 큰 유독한 대사물질을 제거하는데 상당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의 증가는 glutathione(GSH) 함량의 감소를 통해 나타나기 때문에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염화탄소 유발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GSH 함량이 감소하였고, 황칠 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실리마린 양성대조군과 함께 유의적으로 GSH 함량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표 11] 사염화탄소 유발 급성 간 손상 모델에서 황칠 나무 추출물 처리시 과산화 지질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7
<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정선하고 결정 셀룰로오스 유당, 전분 등과 균일하게 혼합 한 후 함께 과립화 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등과 혼합한 후 압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정제에 사용된 구성성분과 그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표 12] 정제의 구성성분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8
< 제제예 2> 캡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정선하고 패각칼슘, 결정셀룰로오스 등과 균일하게 혼합 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 제조에 사용된 구성성분과 그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표 13] 캡슐제의 구성성분
Figure 112015051521183-pat00019
<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 0.15 중량%, 액상과당 10 중량%, 벌꿀 2 중량%, 사과농축과즙(60bx) 2 중량%, 과라나추출물분말 0.5 중량%, 함수 구연산 0.5중량%, 구연산나트륨 0.1 중량%, 타우린 0.1 중량%의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정제수를 첨가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건강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정선하고 구연산, 올리고당, 모과농축액, 매실농축액, 타우린 등과 균일하게 혼합 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건강 음료 제조에 사용된 구성성분과 그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표 14] 건강음료의 구성성분
Figure 112015051521183-pat00020

Claims (24)

  1.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네오클로로제닉산(neochlorogenic acid) 및 4-O-카페오일퀴닉산(4-O-caffeoyl qui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로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물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이며,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중량에 대하여 클로로제닉산을 1.8 중량% 내지 6.5 중량%로 함유하고; 네오클로로제닉산을 0.20 중량% 내지 1.6 중량%로 함유하며; 4-O-카페오일퀴닉산을 0.14 중량% 내지 1.2 중량%로 함유하는; 및 클로로제닉산, 네오클로로제닉산 및 4-O-카페오일퀴닉산을 합하여 2.4 중량% 내지 9.3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 기능 개선은 숙취해소, 간 세포 보호, 알코올성 간 손상 보호 또는 간독성 물질에 의한 간 손상 보호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간 기능 개선인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 기능 개선은 지방간, 간염, 황달 또는 간경화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간 질환에 있어서 간 기능 개선인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지(樹枝), 잎 또는 이들 모두를 60~120℃에서 3~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간 기능 개선용 황칠 나무 추출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비타민 B군,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Ca, Mg, Zn, 레시틴, 알라닌, 타우린, 말톨, 과당, 올리고당, 영지, 글루메이트, 키토산, 아스파라긴산, 동충하초, 헛개나무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밀크시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의 형태인 것인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1. 제8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식품.
  12. 제8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차, 젤리, 껌, 캔디 또는 음료의 형태인 간 기능 개선용 식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50075074A 2014-05-29 2015-05-28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1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5491 2014-05-29
KR1020140065491 2014-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068A KR20150138068A (ko) 2015-12-09
KR102413705B1 true KR102413705B1 (ko) 2022-06-27

Family

ID=5469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074A KR102413705B1 (ko) 2014-05-29 2015-05-28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13705B1 (ko)
CN (1) CN106573024A (ko)
WO (1) WO2015183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51B1 (ko) * 2016-09-01 2018-06-28 이현민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2854B1 (ko) 2016-12-28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KR101993709B1 (ko) * 2017-06-09 2019-06-26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황칠나무, 헛개나무, 운지버섯, 인진호 및 미나리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956620B1 (ko) * 2017-07-25 2019-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535911A (zh) * 2017-08-25 2018-01-05 张家港中宝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d‑天门冬氨酸颗粒及其制备方法
WO2019107619A1 (ko) * 2017-11-30 2019-06-06 영어조합법인 제인 황 칠 추출액을 첨가한 젤리 제조 방법
KR101986053B1 (ko) * 2018-08-20 2019-06-04 사단법인 제주자원식물황칠사업단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KR102009275B1 (ko) * 2018-09-14 2019-10-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솔바이오팜 클로로제노일클로로제닉산 및 캠퍼롤 7-글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항산화성 버섯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1165B1 (ko) * 2019-01-24 2020-12-1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무 뿌리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59165B1 (ko) 2019-08-01 2022-02-08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간 및 신장 기능 개선용 황칠계 복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N110810832A (zh) * 2019-12-11 2020-02-21 袁潘元 一种米斛蜂蜜糊防便秘保健品及其加工设备
KR102281794B1 (ko) * 2020-01-30 2021-07-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에 의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195483B1 (ko) * 2020-02-27 2020-12-29 주식회사 보주방 숙취 해소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067739B (zh) * 2020-10-13 2022-04-19 劲牌持正堂药业有限公司 一种野菊花药材及配方颗粒薄层色谱的鉴别方法及应用
KR102476793B1 (ko) * 2021-11-16 2022-12-09 이양현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482B1 (ko) * 2002-04-02 2005-06-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040107853A (ko) * 2003-06-14 2004-12-23 정세영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 추출물
KR102209339B1 (ko) * 2012-11-30 2021-01-29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83775B1 (ko) 2013-02-04 2013-07-08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itao Shi, et al., Toxicology 303 (2013) 107-114*
T.K. Hyun et al., Food Chemistry, Vol.141, pp.1947-1955 (2013.12.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3024A (zh) 2017-04-19
WO2015183027A1 (ko) 2015-12-03
KR20150138068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705B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09339B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US8741362B2 (en) Phytocomplex from bergamot fruit, process of manufacture and use as dietary supplement and in the pharmaceutical field
KR101501433B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60200661A1 (en) New salvianolic acid compound t,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CN101787061A (zh) 曲札茋苷在制备防治心脑缺血疾病制剂中的应用及其制备方法
KR101483592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403721B1 (ko)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저급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함유한 조성물
KR101404286B1 (ko)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KR20130113626A (ko) 양치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angarajan et al. Traditional fruits of South India: Bioactive components and their potential health implications in chronic diseases
WO2004103988A1 (ja) 含硫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オリゴ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88223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88102B1 (ko) 백삼 및 짚신나물, 단삼, 미역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190101063A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925081A (zh) 一种天然植物防腐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JP5560445B2 (ja) 飲食用組成物及び薬用組成物
JP5461872B2 (ja) アラビノシルビテキシンを含有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KR101890345B1 (ko) 고추씨 추출물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5089B1 (ko) 계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140024939A (ko) 양치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