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710B1 -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710B1
KR102408710B1 KR1020210097316A KR20210097316A KR102408710B1 KR 102408710 B1 KR102408710 B1 KR 102408710B1 KR 1020210097316 A KR1020210097316 A KR 1020210097316A KR 20210097316 A KR20210097316 A KR 20210097316A KR 102408710 B1 KR102408710 B1 KR 102408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ractive index
black matrix
colored
antirefl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이영민
이현호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H01L27/323
    • H01L27/3248
    • H01L51/5253
    • H01L51/528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굴절율 조절층; 상기 굴절율 조절층 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사이와 블랙 매트리스층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착색층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상기 착색층의 개구부 영역에서 두께 편차가 6.0% 이하인 반사방지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의 명암비를 개선하면서 동시에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사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전극 노출로 인해 태양광, 조명 등과 같은 외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반사된 외광에 의해 시인성과 명암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221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원 off 상태에서 표면의 외광 반사를 차단하고 블랙 시감을 가지게 하기 위해, 선 편광자와 λ/4 위상차층을 조합한 원 편광판을 반사방지용 편광판으로서 OLED 패널의 시인측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반사방지용 편광판을 적용할 경우 투과율이 낮아 OLED 패널의 휘도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OLED의 반사율을 낮추면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사방지 필름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OLED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색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방지 필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22138호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반사율이 낮으면서 투과율이 높아 OLED의 명암비를 개선하면서 동시에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과율 균일도가 우수하여 색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굴절율 조절층;
상기 굴절율 조절층 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사이와 블랙 매트리스층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착색층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착색층의 두께 편차가 6.0% 이하인 반사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착색층의 두께 편차 = (b-a)/m x 100 %
상기 식에서,
a는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최소 두께를 나타내고,
b는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최대 두께를 나타내며,
m은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상에 오버랩되어 형성되는 착색층의 폭은 블랙매트리스층의 하부 폭(BMCD: Black Matrix Critical Dimension)의 25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과 굴절율 조절층의 박리력은 0.1 내지 10 N/mm2일 수 있다.
상기 착색층은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100℃인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절율 조절층은 1.52 내지 1.59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굴절율 조절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율 조절층의 두께는 0.5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산술 평균 조도(Ra)가 2.0n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반사방지 필름; 및
상기 반사방지 필름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상의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봉지층 상에 터치센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은 반사율이 낮으면서 투과율이 높아 OLED의 외광반사를 감소시키고 명암비를 개선하면서 동시에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은 투과율 균일도가 우수하여 색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의 공정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면 상에서 과장되게 표현되거나, 축소 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은 굴절율 조절층(130); 상기 굴절율 조절층(130) 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black matrix, BM)층(140);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사이와 블랙 매트리스층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착색층(150)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착색층의 두께 편차가 6.0% 이하일 수 있다.
[수학식 1]
착색층의 두께 편차 = (b-a)/m x 100 %
상기 식에서,
a는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최소 두께를 나타내고,
b는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최대 두께를 나타내며,
m은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사이의 개구부 영역(t)에서 착색층의 두께 편차를 6.0% 이하로 조절하여 색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상에 오버랩되어 형성되는 착색층의 폭(d)이 블랙매트리스층의 하부 폭(BMCD: Black Matrix Critical Dimension)(c)의 2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상에 오버랩되어 형성되는 착색층의 폭(d)을 블랙매트리스층의 하부 폭(BMCD: Black Matrix Critical Dimension) (c)의 25 내지 75%로 조절하여 빛의 혼색 및 색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리스층의 하부 폭에 대한 착색층의 폭(d/c x 100%)가 25% 미만일 경우 개구부 영역에서의 투과율 균일도가 저하되어 색차가 발생할 수 있고, 75% 초과일 경우 혼색 발생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과 굴절율 조절층의 박리력이 0.1 내지 10 N/mm2,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 N/mm2일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과 굴절율 조절층의 박리력을 0.1 내지 10 N/mm2로 조절하여 패턴 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착색층의 두께가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이고, 광 투과율이 5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착색층의 두께는 개구부 영역에서의 평균 두께를 의미하며, 광 투과율은 반사방지 필름 하부에 위치하는 OLED 광원의 중심 파장에서의 투과율을 의미한다.
상기 착색층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착색층 패턴이 밀착력 저하로 인해 소실될 수 있으며, 5.0㎛ 초과일 경우 광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은 산술 평균 조도(Ra)가 2.0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굴절율 조절층(130)은 상기 BM층 및 착색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짐으로써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굴절율 조절층은 1.52 내지 1.59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굴절률이 1.52 미만이면 광 손실이 커질 수 있고, 굴절률이 1.59 초과하면 전극 패턴이 시인될 수 있다.
상기 굴절율 조절층은 유기 절연막을 코팅 및 경화의 방법으로 사용하거나, 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을 포함하는 필름, 폴리프로필렌 등의 자가점착성을 가진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굴절율 조절층은 자외선으로 인한 OLED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율 조절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0.5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0.5㎛ 미만이면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박리 시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5㎛ 초과이면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140)은 화소 영역을 구획하며, 화소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고, 각 착색층의 경계에서 혼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차광층이다. 따라서, 블랙 매트릭스층은 불투명 물질로 형성되며, 화소 영역을 둘러싸도록 패터닝되어 있다.
상기 착색층(150)은 입사된 광 중에서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은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다른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층으로, 통상적으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이 패턴화되어 있으며, BM층(140) 사이의 화소 영역에 배치된다. 그러나, 착색층이 적색, 녹색, 청색의 패턴을 모두 포함하여야 하거나 적색, 녹색, 청색의 패턴만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상 표현 방식에 따라 이 중 임의의 일부 색상의 패턴만이 포함되거나 백색(White) 패턴 등과 같은 다른 색상의 패턴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착색층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색층은 녹색 또는 적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색층은 청색 광원에 의한 청색 파장 대역의 광은 차단하고, 적색 및 녹색 파장 대역의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색층을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색 화소층 및 녹색 화소층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여, 적색 화소층 및 녹색 화소층에서 방출된 광에 청색 광원에 의한 청색 파장 대역의 광이 섞여 적색 및 녹색의 색 순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적색 및 녹색 파장 대역의 광이 차단되어 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착색층의 면적은 대응하는 화소층의 면적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착색층의 크기를 대응하는 화소층의 크기보다 3 내지 6㎛ 크게 형성하는 것이 색 순도 및 휘도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착색제, 알칼리 가용성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안료 및 염료 중 하나 이상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입자 크기가 50 내지 150nm일 수 있다. 착색제의 입자 크기가 50nm 미만일 경우 반사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150nm 초과인 경우 반사방지 필름의 표면 조도가 증가하고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녹색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C.I. 피그먼트 그린 59, C.I. 피그먼트 옐로우 185 및 C.I. 피그먼트 블루 16을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 C.I. 피그먼트 그린 59, C.I. 피그먼트 옐로우 185 및 C.I. 피그먼트 블루 16을 포함함으로써,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반사방지 필름의 스펙트럼 투과율이 전체적으로 녹색 계열의 파장 영역으로 집중됨에 따라 GREEN 스펙트럼의 색순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적색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C.I. 피그먼트 레드 179 및 C.I. 피그먼트 레드 2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 C.I. 피그먼트 레드 179 및 C.I. 피그먼트 레드 2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반사방지 필름의 스펙트럼 투과율이 전체적으로 적색 파장 범위인 오른쪽으로 시프트(Shift)됨에 따라 RED 스펙트럼의 색순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의 고형분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기로 1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색 순도와 광 효율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잔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광이나 열의 작용에 의한 반응성 및 알칼리 용해성을 갖고, 착색제의 분산매 역할을 한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100℃의 범위일 수 있다.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가 상기 범위일 경우 반사방지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2.0nm 이하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구부 영역에서의 투과율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100℃의 범위인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85606754-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은 산무수물에 의해 유도된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잔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산무수물은 숙신산 무수물(succinic anhydride), 메틸숙신산 무수물(methylsuccinic anhydride), (2-도데켄-1-일)숙신산 무수물((2-dodecen-1-yl)succinic anhydride), 페닐숙신산 무수물(phenylsuccinic anhydride),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시트라콘산 무수물(citraconic anhydride), 글루타르산 무수물(glutaric anhydride), 3,3-디메틸글루타르산 무수물(3,3-dimethylglutaric anhydride), 이타콘산 무수물(itaconic anhydride),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3,4,5,6-tetrahydrophthalic anhydride), 트리멜리트산 무수물(trimellitic anhydride),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hexahydrophthalic anhydride), 카르브산 무수물(carbic anhydride)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의 용이성 면에서, 상기 산무수물로는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및/또는 카르브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및/또는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R2는 수소일 수 있다. R2가 수소인 경우, 반응성이 높고 유리전이온도를 낮추기 용이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에 광경화성 및 산가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단량체로서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주쇄 내에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 반복단위를 도입한 다음,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 반복단위의 글리시딜기를 (메타)아크릴산과 반응시킨 후, 이로부터 생성된 히드록시기를 산무수물과 반응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통해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주쇄에 직접 카르복실산을 도입하지 않고도 산가를 부여할 수 있어 현상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온도를 0℃ 이하로 낮추기 용이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구성하는 반복단위 전체 100 몰%에 대하여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몰%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50 몰% 미만의 양으로 포함되면 유리전이온도를 0℃ 이하로 낮추기 어렵거나 감도가 부족하여 패턴의 단락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함량이 높을수록 감도가 좋아질 수 있으나, 90 몰% 초과인 경우에는 중합 중에 겔화가 되거나 중합되더라도 수지 자체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불포화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단량체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o-메톡시스티렌, m-메톡시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o-비닐벤질메틸에테르, m-비닐벤질메틸에테르, p-비닐벤질메틸에테르, 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벤질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o-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m-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p-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o-메틸페닐말레이미드, N-m-메틸페닐말레이미드, N-p-메틸페닐말레이미드, N-o-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m-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p-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등의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2-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족(메타)아크릴레이트류;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류;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3-에틸옥세탄,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옥세탄,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2-페닐옥세탄, 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옥세탄 등의 불포화 옥세탄 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량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구성하는 반복단위 전체 100 몰%에 대하여 5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몰%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20 내지 200의 산가(KOH mg/g)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현상액 중의 용해성이 향상되어 비노출부가 쉽게 용해되고 감도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노출부의 패턴이 현상시에 남아서 잔막율(film remaining raio)을 개선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산가란, 중합체 1g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KOH)의 양(㎎)으로서 측정되는 값이며, 통상적으로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적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용출 용제로 사용함)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0 내지 2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내지 1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코팅 필름의 경도가 향상되어 잔막율이 높고, 현상액 중의 비노출부의 용해성이 탁월하고 해상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함량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8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현상액에의 용해성이 충분하여 비화소 부분의 기판상에 현상 잔사가 발생하기 어렵고, 현상시에 노광부의 화소 부분의 막 감소가 생기기 어려워 비화소 부분의 누락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후술하는 광중합 개시제의 작용으로 중합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단관능 광중합성 화합물, 2관능 광중합성 화합물 또는 3관능 광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상기 범위에서 화소부의 강도나 평활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광중합성 화합물을 중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중합특성, 개시효율, 흡수파장, 입수성 및 가격 등의 관점에서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옥심 화합물 및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고감도화되어 노광 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높은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화소부의 강도와 상기 화소부의 표면에서의 평활성이 양호해질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들을 용해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이면, 통상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에테르류, 아세테이트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케톤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면 롤 코터, 스핀 코터, 슬릿 앤드 스핀 코터, 슬릿 코터(다이 코터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음), 잉크젯 등의 도포 장치로 도포했을 때 도포성이 양호해질 수 있다.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충진제, 다른 고분자 화합물, 밀착 촉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응집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반사율이 5.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의 반사율을 낮추기 위해, 상기 굴절율 조절층(130), BM층(140) 및 착색층(150) 중 하나 이상은 저반사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착색층(150)의 재질로 반사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반사방지 필름(100),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반사방지 필름(10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접합하는 접착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100)은 굴절율 조절층(130) 및 컬러필터층(160)을 포함하며,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즉, 도 2의 컬러필터층(16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BM층(140) 및 착색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필름(220),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층(230),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층(240), 봉지(encapsulation)층(250) 및 터치센서층(2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기재필름(220)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용 구성요소들이 형성된 것으로서, 반사방지 필름(100)과 마찬가지로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유연성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220)은 광학용 필름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굴곡성, 투명성,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조를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10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 사이에는 이를 접합하는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300)은 광경화 또는 열경화 타입의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의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 기판(110) 상에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분리층(120)을 형성한다.
제1 캐리어 기판(110)으로는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후의 공정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즉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층(120)의 재질로는 고분자 재질,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예를 들면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폴리올레핀(polyolefin, 예를 들면, P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예를 들면, PET, 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및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스크린 코팅, 슬릿 코팅, 딥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잉크젯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은 코팅 후 경화시켜 분리층(120)을 형성한다. 이때 경화 공정은 열경화 또는 UV경화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열경화 및 UV 경화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를 사용할 경우 오븐, 핫 플레이트 등에 의해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 온도 및 시간은 조성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례로 80 내지 250 ℃에서 10 내지 120 분의 조건으로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120)은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 반사방지 필름(10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접합이 완료된 후에 제1 캐리어 기판(110)과의 박리를 위해 형성하는 층으로, 굴절율 조절층과 대면하는 면의 박리력을 조절하여 굴절율 조절층과의 박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층(120) 상에 굴절율 조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굴절율 조절층(130)을 형성한다.
상기 굴절율 조절층 형성용 조성물의 코팅 방법 및 경화 공정은 분리층(120)의 형성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제,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굴절율 조절층(130) 상에 BM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BM층(140)은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불투명 유기 재료를 사용하여 화소를 형성하는 부분을 구획하도록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층(140)의 패턴 사이의 영역에 착색층(150)을 형성한다.
상기 착색층(150)은 BM층(140)으로 구획된 화소 영역에 색상 표현을 위한 각각의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노광, 현상 및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착색층을 구성하는 색상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며, 각 색상별 형성의 순서 또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150)은 BM층(14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BM층 상에 오버랩되어 형성되는 착색층의 폭(d)은 BM층의 하부 폭(c)의 2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층의 개구부 영역에서 두께 편차는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리스층의 하부 폭에 대한 착색층의 폭(d/c x 100%) 및 상기 착색층의 개구부 영역에서 두께 편차는 패턴 형성 과정에서 마스크에 형성된 패턴의 크기, 노광량 등의 공정 조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된 BM층(140) 및 착색층(150)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컬러필터층(160)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이하의 도면에서는 이를 하나의 층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과 별개의 공정으로, 도 3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제2 캐리어 기판(210) 상에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 공정을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캐리어 기판(210)은 제1 캐리어 기판(110)과 마찬가지로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제1 캐리어 기판(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후의 TFT 및 OLED 제조를 위한 공정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즉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가 바람직하다.
한편, 편의상 도 3a 내지 도 3d의 과정을 통해 반사방지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도 3e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반사방지 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이제, 도 3f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3a 내지 도 3d의 과정을 거쳐 분리층(120), 굴절율 조절층(130), 및 컬러필터층(160)이 형성된 제1 캐리어 기판(110)과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형성된 제2 캐리어 기판(210)을 접합한다. 접합은 OCA 또는 OCR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의 접합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공정을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제, 도 3g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 기판(110) 및 제2 캐리어 기판(210)을 분리한다. 이 때, 제1 캐리어 기판(110) 및 제2 캐리어 기판(210)을 동시에 분리하거나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분리할 경우에는 임의의 순서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캐리어 기판(110)을 분리할 때에는 분리층(120)이 함께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형성된다.
분리 공정은 상온에서 진행되며,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인 제1 캐리어 기판(110) 및 제2 캐리어 기판(210)을 물리적으로 떼어내는 박리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박리하는 방법은 리프트오프(Lift-off) 또는 필오프(Peel-off)의 방법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합성예 1: 알칼리 가용성 수지 A-1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0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0g을 넣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치환한 후,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5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1.4g, 4-메틸스티렌 1.5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42.8g 및 n-도데칸티올 3.0g을 투입하였다. 그 후 교반하며 반응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의 온도를 상온으로 내리고 플라스크 분위기를 질소에서 공기로 치환한 후, 트리에틸아민 0.2g, 4-메톡시 페놀 0.1g, 아크릴산 21.7g을 투입한 다음, 10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후 반응액의 온도를 상온으로 내리고, 숙신산 무수물 12.5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1을 얻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A-1의 고형분 산가는 68.6㎎KOH/g이었고,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5,570이었으며,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Tg)는 -8.3℃이었다.
합성예 2: 알칼리 가용성 수지 A-2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0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0g을 넣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치환한 후,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5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3.0g, 4-메틸스티렌 1.6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46.0g 및 n-도데칸티올 3.0g을 투입하였다. 그 후 교반하며 반응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의 온도를 상온으로 내리고 플라스크 분위기를 질소에서 공기로 치환한 후, 트리에틸아민 0.2g, 4-메톡시 페놀 0.1g, 아크릴산 23.3g을 투입한 다음, 10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후 반응액의 온도를 상온으로 내리고, 숙신산 무수물 6.0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2를 얻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A-2의 고형분 산가는 32.8㎎KOH/g이고,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6,350이었으며,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Tg)는 -12.0℃이었다.
합성예 3: 알칼리 가용성 수지 A-3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0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0g을 넣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치환한 후,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5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7.3g, 4-메틸스티렌 1.2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59.4g 및 n-도데칸티올 3.0g을 투입하였다. 그 후 교반하며 반응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의 온도를 상온으로 내리고 플라스크 분위기를 질소에서 공기로 치환한 후, 트리에틸아민 0.2g, 4-메톡시 페놀 0.1g, 아크릴산 17.6g을 투입한 다음, 10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후 반응액의 온도를 상온으로 내리고, 숙신산 무수물 4.5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3를 얻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A-3의 고형분 산가는 24.98㎎KOH/g이고,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5,950이었으며,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Tg)는 -20.4℃이었다.
합성예 4: 알칼리 가용성 수지 A-4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20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g, AIBN 2g, 아크릴산 13.0g, 벤질메타크릴레이트 10g, 4-메틸스티렌 67.0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g 및 n-도데실머캅탄 3g을 투입하고 질소 치환하였다. 그 후 교반하며 반응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4를 얻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A-4의 고형분 산가는 81.6㎎KOH/g이었고,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16,110이었으며,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Tg)는 85.0℃이었다.
제조예 1: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착색제로 C.I. 피그먼트 그린 59 18부, C.I 피그먼트 옐로우 185 7부, C.I 피그먼트 블루 16 3부, 안료분산제로서 BYK-2001(BYK社) 5부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67부를 혼합하고, 비드밀을 이용하여 안료를 충분히 분산시킨 안료 분산액 30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1 10부, 광중합성 화합물로 A9550(신나카무라社) 5부, 광중합 개시제로 OXE-02(바스프社) 1부 및 용제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4부를 혼합하여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2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상기 합성예 3에서 제조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3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상기 합성예 4에서 제조된 알칼리 가용성 수지 A-4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를 캐리어 기판으로 사용하고, 상기 캐리어 기판 상에 신나메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두께 300nm로 도포하고, 150℃에서 20분간 건조 처리하여 분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분리층 상에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를 포함하는 굴절율 조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두께 5㎛로 도포하고, 230℃에서 20분간 건조 처리하여 굴절율이 1.56인 굴절율 조절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굴절율 조절층 상에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BM층을 형성하고, 제조예 1 내지 4의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착색층의 개구부 영역에서 두께 편차가 하기 표 1과 같은 평균 두께 3㎛의 착색층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캐리어 기판을 제거하여 반사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의 물성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산술 평균 조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Ra)를 AFM(PSIA XE-1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광 투과율 및 편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의 520nm에서의 투과율을 색도계(올림푸스사 제조, OSP-2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알칼리 가용성 수지 (Tg) 착색층의 두께 편차 (%) 블랙 매트릭스 상 착색층의 오버랩 정도 (d/c*100%) 표면 조도 (nm)
광 투과율 편차 (%)
실시예 1 A-1 (-8.3℃) 6.0 50% 1.60 ±1.4
실시예 2 A-2 (-12.0℃) 5.6 50% 1.54 ±1.4
실시예 3 A-3 (-20.4℃) 4.8 50% 1.41 ±1.1
실시예 4 A-1 (-8.3℃) 5.8 30% 1.58 ±1.5
실시예 5 A-1 (-8.3℃) 5.4 70% 1.65 ±1.2
비교예 1 A-1 (-8.3℃) 15.4 20% 1.46 ±5.2
비교예 2 A-4 (85.0℃) 7.4 50% 2.21 ±2.1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반사방지 필름은 광 투과율 편차가 ±1.5% 이하이므로, 개구부 영역에서의 투과율 균일도가 우수하여 색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반사방지 필름은 착색층의 개구부 영역에서 두께 편차가 6.0%를 초과하여 광 투과율 편차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반사방지 필름 110: 제1 캐리어 기판
120: 분리층 130: 굴절율 조절층
140: 블랙 매트릭스층 150: 착색층
160: 컬러필터층 200: 디스플레이 패널
210: 제2 캐리어 기판 220: 기재필름
230: TFT층 240: OLED층
250: 봉지층 260: 터치센서층
300: 접착층

Claims (11)

1.52 내지 1.59의 굴절율을 가지는 굴절율 조절층;
상기 굴절율 조절층 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사이와 블랙 매트리스층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착색층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착색층의 두께 편차가 6.0% 이하이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상에 오버랩되어 형성되는 착색층의 폭은 블랙매트리스층의 하부 폭(BMCD: Black Matrix Critical Dimension)의 25 내지 75%이며,
상기 굴절율 조절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반사방지 필름:
[수학식 1]
착색층의 두께 편차 = (b-a)/m x 100 %
상기 식에서,
a는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최소 두께를 나타내고,
b는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최대 두께를 나타내며,
m은 개구부 영역에서 착색층의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과 굴절율 조절층의 박리력이 0.1 내지 10 N/mm2인 반사방지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은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100℃인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반사방지 필름.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 조절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 조절층의 두께는 0.5 내지 5㎛인 반사방지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 필름의 산술 평균 조도(Ra)는 2.0nm 이하인 반사방지 필름.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 및
상기 반사방지 필름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상의 봉지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봉지층 상에 터치센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10097316A 2021-07-23 2021-07-23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0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16A KR102408710B1 (ko) 2021-07-23 2021-07-23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16A KR102408710B1 (ko) 2021-07-23 2021-07-23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710B1 true KR102408710B1 (ko) 2022-06-14

Family

ID=8198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16A KR102408710B1 (ko) 2021-07-23 2021-07-23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77A1 (ko) * 2022-10-07 2024-04-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컬러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803A (ja) * 2005-06-03 2006-1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
KR20090122138A (ko)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KR20130113468A (ko) * 2010-11-04 2013-10-1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KR20150037514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면형 박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80073502A (ko) * 2016-12-21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구조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190110682A (ko) * 2018-03-21 2019-10-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20200039859A (ko) * 2018-10-05 2020-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83606A (ko) *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803A (ja) * 2005-06-03 2006-1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
KR20090122138A (ko)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KR20130113468A (ko) * 2010-11-04 2013-10-1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KR20150037514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면형 박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80073502A (ko) * 2016-12-21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구조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190110682A (ko) * 2018-03-21 2019-10-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20200039859A (ko) * 2018-10-05 2020-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83606A (ko) *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77A1 (ko) * 2022-10-07 2024-04-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컬러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992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TW201536871A (zh) 著色組成物、硬化膜、彩色濾光片、彩色濾光片的製造方法、固體攝像元件、圖像顯示裝置、有機電激發光元件、色素及色素的製造方法
KR102001710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50006425A (ko) 색재 분산액, 컬러 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201341957A (zh) 感放射線性著色組合物、彩色濾光片以及顯示元件
KR20160036917A (ko)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색변환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3213982A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ー、液晶表示装置、並びに、有機発光表示装置
KR20150107491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2009162871A (ja) 感光性組成物、フォトスペーサー及びフォトスペーサーの製造方法、保護膜、着色パターン、表示装置用基板、並びに表示装置
KR102408710B1 (ko)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116255A (ko)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 필터 기판 및 표시 장치
KR20160112479A (ko)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색변환층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TWI640578B (zh) 著色組成物、著色硬化膜及顯示元件
KR102408709B1 (ko)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52657B1 (ko)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79562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4071440A (ja) 顔料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
WO2022176485A1 (ja) 着色組成物、硬化膜、遮光膜、カラーフィルタ、光学素子、固体撮像素子、赤外線センサ、ヘッドライトユニット
US20230031949A1 (en) Display device
KR102529779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102408708B1 (ko)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40089001A (ko) 녹색 화소용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2364239B1 (ko)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JP5849392B2 (ja) 白色発光ダイオード光源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KR101831296B1 (ko)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