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197B1 -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 Google Patents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197B1
KR102408197B1 KR1020200087416A KR20200087416A KR102408197B1 KR 102408197 B1 KR102408197 B1 KR 102408197B1 KR 1020200087416 A KR1020200087416 A KR 1020200087416A KR 20200087416 A KR20200087416 A KR 20200087416A KR 102408197 B1 KR102408197 B1 KR 10240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egative pressure
filter
unit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9525A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주)사람과사람들
아스코 주식회사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람과사람들, 아스코 주식회사, 이진호 filed Critical (주)사람과사람들
Priority to KR102020008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197B1/en
Priority to KR1020210153322A priority patent/KR20220009363A/en
Publication of KR2022000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음압기로도 전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공기정화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내장되는 메인 필터부(20)와, 에어 배출구(19) 측에 조립되는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음압 유닛(60)과, 케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70)와, 팬 모터(32)를 포함하는 가동부(30)와, 에어 배출구(19)에 설치되는 전환 커넥터(40) 및, 헤파필터(24) 하부와 에어 유입 창(17) 사이에 설치되는 원자외선(UV-C) LED 소독 유닛(80)으로 구성됨으로써,미세먼지와 각종 유해 미립자로부터 호흡기가 보호될 수 있도록 실내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또한 바이러스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을 하나의 몸체에 가짐으로써, 음압기와 공기정화기 및 살균기가 별개로 구비될 때 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공기정화살균과 바이러스 확산 방지가 모두 달성될 수 있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an air purifying steriliz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negative pressure device, and assembling on the side of the case 10, the main filter unit 20 built into the case 10, and the air outlet 19 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to be used, a negative pressure unit 60, a caster 7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ase 10, a movable part 30 including a fan motor 32, and an air outlet 19 ) and a conversion connector 40 installed in the HEPA filter 24, and a deep ultraviolet (UV-C) LED disinfection unit 80 install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HEPA filter 24 and the air inlet window 17, so that fine dust and various harmful substances are included. A negative pressure device, an air purifier and a sterilizer by having a means in one body that can provide purified air to the room so that the respiratory system can be protected from particulates and can also prevent the air contaminated with the viru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that can achieve both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nd prevention of virus spread at a much lower cost than when separately provided.

Description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본 발명은 공기정화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압기로도 전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공기정화살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ster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ying steriliz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also be used as a negative pressure machine.

일상생활에서 야외활동을 하는시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시간은 실내에서 이루어진다. 실내는 외부와 차단되고 한정된 부피의 공간인 점에서, 야외와 달리 공기가 정체되어,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고, 큰 먼지부터 미세먼지까지 적체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낼 수 밖에 없는 점에서 장시간 세균, 바이러스, 또는 미세먼지나 휘발성 입자들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Except for outdoor activities in daily life, most of the time is indoors. Unlike the outdoors, in that the indoor spac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limited volume, the air is stagnant, and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can spread quickly, and large dust to fine dust accumulates. Therefore, since people have to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there is a problem of being exposed to bacteria, viruses, or fine dust or volatile particles for a long time.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의 산업 성장으로 인한 중국발 미세먼지의 급증으로 인하여 1년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허용치를 훨씬 초과하는 미세먼지가 실내로 흘러들어와 적체되므로, 상당수의 실내 공간에는 공기정화살균기가 사용되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Korea,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fine dust from China due to China's industrial growth, fine dust that exceeds the allowable level flows and accumulates indoors for most of the year. the current situation.

또한 올해 초에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가 백신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세계로 확산되어 엄청난 인적 물적피해 및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의 위축을 야기시키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은 경제활동이 전세계적으로 긴밀하게 엮이게 된 20세기 후반 이후의 현대사회에서 최초로 겪는 초유의 사태이다.In addition, the coronavirus, which started in Wuhan, China, at the beginning of this year, has spread around the world without a vaccine, causing enormous human and material damage and atrophy of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is unprecedented in modern society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economic activities were closely intertwined around the world.

또한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인구의 증가와 경제규모의 증대 및 이웃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경제활동의 증가로 인해 경제성장의 부산물로 배출되는 막대한 양의 미세먼지로 대기가 오염되고 있다.Also, especially in Korea, the air is polluted with a huge amount of fine dust emitted as a by-product of economic growth due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economic scale and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economic activity of neighboring China.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 오염 사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극심해져서 최근에는 각 가정에도 공기정화살균기가 다량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 등 각종 공기를 통한 전염매개체의 확산으로 인해 공기 중의 부유 전염매개체를 정화하고 살균하는 공기정화기 및 살균기도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 결핵 등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하여 음압병실 등의 시설들에는 음압기가 사용된다.Air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has become severe in recent years, and recently, air purifiers and sterilizers are being distributed in large quantities to each home. In addition, due to the spread of various airborne infectious agents such as coronavirus, air purifiers and sterilizers that purify and sterilize airborne infectious agents are being distributed. A negative pressure is used.

일반적인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살균기는 실내의 공기를 빨아들여 내부 필터로 정화시키거나 자외선이나 음이온 등의 방법으로 공기를 살균한 후 그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실내의 기압에 변화를 주지 않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정화 또는 살균 작용을 한다.A general air purifier or air sterilizer is a device that sucks in air from the room and purifies it with an internal filter or sterilizes the air using UV rays or negative ions, and then discharges the air back into the room. Therefore, it purifies or sterilizes while circulating the indoor air without changing the indoor air pressure.

반면에 음압기는 바이러스로 감염된 공기는 정화시켜 배출시키고 감염되지 않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음압기는 실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로 오염되었을지도 모르는 혹은 바이러스로 오염된 공기를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지속적으로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결과 실내 공기를 음압 상태로 형성한다. 따라서 음압기는 실내 공기를 음압 상태로 유지함으로 인해 실내의 바이러스로 오염된 공기가 여과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외부의 공기가 자동적으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works to purify and discharge virus-infected air and introduces uninfected air into the room. In particular,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filters the air that may or may be contaminated with viruses existing in the room and filters it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Therefore, by maintaining the indoor air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prevents the air polluted with the indoor virus from leaking out without being filtered, and allows the outside air to automatically flow into the room.

즉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살균기는 실내의 기압을 유지시키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는 작용만 하는 반면, 음압기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 기압을 감소시키되, 공기 배출은 여과시켜 배출시킨다.That is, an air purifier or an air sterilizer only purifies and sterilizes the indoor air while maintaining the indoor air pressure, whereas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discharges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o reduce the indoor air pressure, but the air exhaust is filtered and discharged.

따라서,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살균기와 음압기는 사용 목적이 명확히 구분되는 독립적인 기계장치로서 각각의 목적에 맞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는 현실이다.Therefore, an air purifier or an air sterilizer and a negative pressure device are independent mechanical devices whose purpose is clearly distinguished, and it is a reality that has been used for each purpose.

그리하여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는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살균기를 평소에 사용함으로서 공기 중의 전염병 매개체를 정화 및 살균하다가 음압격리병실이 필요할 때 음압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고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는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고 이번 코로나 사태에서처럼 급속히 환자가 증가하여 음압격리병실을 신속히 확충해야 하는 비상 상황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웠다.Therefore,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use air purifiers or air sterilizers on a regular basis to purify and sterilize infectious agents in the air. However,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cost, and it is difficult to respond immediat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a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needs to be rapidly expanded due to a rapid increase in patients as in this corona crisis.

이에, 대규모 전염 바이러스의 확산 시대를 맞아, 호흡으로 인한 질병이 방지될 수 있는 장치가 널리 보급될 수 있으려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일반인들이 구입할 수 있도록 생산성과 함께 비상시 음압기로 전환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이 모두 확보될 수 있는 공기정화살균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Accordingly, in the era of the spread of a large-scale infectious virus, in order for a device that can prevent diseases caused by breathing to be widely distributed,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lex function that can be converted to a negative pressure device in case of emergency with productivity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purchase it at a minimum co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that can secure all of them.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070호(공개일자: 2018. 01. 05)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070 (disclosure date: 2018. 01. 05)

이에 본 발명은 미세먼지와 각종 유해 미립자로부터 호흡기가 보호될 수 있도록 실내에 살균,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또한 바이러스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을 하나의 몸체에 가짐으로써, 음압기와 공기정화살균기가 별개로 구비될 때 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공기정화 및 살균과 바이러스 확산 방지가 모두 달성될 수 있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of preventing the air contaminated with the viru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sterilized and purified air to the room so that the respiratory system can be protected from fine dust and various harmful particles. By having it in the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and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that can achieve both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nd prevention of virus spread at a much lower cost than when a negative pressure and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re separately provid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는 강성 재질로 제작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 창과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에어 배출구(19)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내장되며, 에어 유입 창과 연통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헤파필터와, 헤파필터를 상기 연통되는 지점에 고정되게 안착시키는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메인 필터부(20)와, 에어 배출구(19) 측에 조립되고 에어 배출구(19)로부터 전달받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 창이 소정 부위에 형성되는 커버와, 에어 배출구(19)와 에어 배출 창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필터와, 커버에 설치되어 운전 상태 및 주변 공기의 미세먼지 정보를 현출시키면서 운전 선택이 터치로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제어 디스플레이(53)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에어 배출구(19) 측에 일단이 조립되고 에어 배출구(19)로부터 실외까지 타단이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자세 변형이 가능한 관절을 갖거나 또는 자세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배기 덕트(61) 및, 배기 덕트(61)가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지점에 상기 타단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덕트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음압 유닛(60)과, 케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70)와, 케이스(10)에 내장되고 에어 유입 창과 에어 배출구(19) 사이에 설치되는 팬 모터(32)를 포함하는 가동부(30) 및, 에어 배출구(19)에 설치되는 키트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부재의 자세 변경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음압 유닛(60)이 모두 에어 배출구(19) 측에 결합가능하게 제작되는 전환 커넥터(40)로 구성된다.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an air inlet window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in and an air outlet 19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out are formed in the case 10; A HEPA filter built into the case 10 and installed at a point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window, a main filter unit 20 comprising a clamp for fixing the HEPA filter at the communicating point, and an air outlet 19 side A cover that is assembled to the air outlet 19 and has an air outlet window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for discharging the air received from the air outlet 19 to the outside, an auxiliary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air outlet 19 and the air outlet window, and the cover is installed to operate 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comprising a control display 53 manufactured to enable operation selection by touch while displaying the state and fine dust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air, and one end assembled to the air outlet 19 side and an air outlet ( 19), the exhaust duct 61, which is formed to extend the other end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has a posture deformable joint, o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enable posture change, and the exhaust duct 61 connects the indoor and the outdoor A negative pressure unit 60 comprising a duct support frame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can be fixedly installed at a point, a caster 7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ase 10, and an air inlet window and air A movable part 30 including a fan motor 32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ports 19 and a kit-shaped member installed at the air outlet 19,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member,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 and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are both composed of a conversion connector 40 manufactured to be coupled to the air outlet 19 side.

여기서 상기 전환 커넥터(40)는 바람직하게는 배기 덕트(61)와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슬리브(41)와, 연결 슬리브(41) 둘레를 따라 디스크 형태로 확장되어 에어 배출구(19) 가장자리에 체결부재로 접합된다.Here, the conversion connector 40 preferably includes a connecting sleeve 41 that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exhaust duct 61, and is extended in a disk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sleeve 41 and fastened to the edge of the air outlet 19. joined to the member.

이 경우 상기 전환 커넥터(40)는 바람직하게는 배기 덕트(61)와 결합할때는 연결 슬리브(41)가 배기 덕트(61)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전환 커넥터(40)가 상기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결합할때는 연결 슬리브(41)가 상기 케이스(10)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케이스(10)에 조립된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connector 40 is preferably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connecting sleeve 41 protrudes toward the exhaust duct 61 when it is coupled to the exhaust duct 61, and the switching connector 40 is used for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When combined with the unit 50 , the connection sleeve 41 is assembled to the case 10 in a form that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0 .

이때 상기 보조 필터는 카본 필터(55)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전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제어 디스플레이(53)에는 파워 운전과, 정상 운전 및, 취침 운전 프로그램이 탑재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VOC)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4)이 탑재되고,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53)는 센서 모듈(14)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어, 센서 모듈(14)이 감지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VOC) 정보가 제어 디스플레이(53)에 현출됨으로써, 제어 디스플레이(53)에 현출된 상기 정보에 따라 운전 선택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filter is made of a carbon filter 55, and preferably, the control display 53 is equipped with power operation, normal operation, and sleep operation programs so that the operation selection can be made, and the case (10) is equipped with a sensor module 14 that detects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VOC), and the control display 53 is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14 by a data cable, The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VOC)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4 is displayed on the control display 53 , so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ntrol display 53 . Choice is possible.

한편, 상기 메인 필터부(20)에는 바람직하게는 헤파 필터(24)가 안착되는 필터 베이스(21)와, 필터 베이스(21)를 상기 가동부(30)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토글 글램프와, 토글 클램프(26)로 헤파 필터(24) 및 필터 베이스(21)가 승강될 때 필터 베이스(21)가 수직으로 승강되게 안내하도록 필터 베이스(21)를 관통하면서 케이스(10)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로드 바(22) 및, 필터 베이스(21)가 로드 바(22)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형태로 안내되도록 필터 베이스(21)에 설치되면서 로드 바(22)를 감싸는 리니어 부쉬(27)가 마련된다. 또한, 필터 베이스(21) 하단에 헤파필터(24)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 바이러스를 사멸할 수 있는 UV-C LED 모듈이 탑재되어 살균작용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filter unit 20 preferably includes a filter base 21 on which the HEPA filter 24 is seated, and a toggle glamp for attaching or separating the filter base 21 from the movable part 30 , When the HEPA filter 24 and the filter base 21 are raised and lowered by the toggle clamp 26, the filter base 21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se 10 while penetrating the filter base 21 to guide the vertical elevation. A plurality of load bars 22 and a linear bush 27 surrounding the load bar 22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filter base 21 so that the filter base 21 is guided in a vertical sliding form along the load bar 22 . is prepared In addition, a UV-C LED module capable of killing viruses befo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HEPA filter 24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base 21 for sterilization.

또한 상기 자세 변형이 가능한 관절을 갖는 배기 덕트(61)는 바람직하게는 주름관이다.In addition, the exhaust duct 61 having a joint capable of posture deformation is preferably a corrugated pipe.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는 미세먼지와 각종 유해 미립자로부터 호흡기가 보호될 수 있도록 실내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또한 바이러스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을 하나의 몸체에 가짐으로써, 음압기와 공기정화살균기가 별개로 구비될 때 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공기 살균 및 정화와 바이러스 확산 방지가 모두 달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urified air indoors so that the respiratory system can be protected from fine dust and various harmful particulates, and also prevent air contaminated with viruse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having these means in one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both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nd virus spread prevention can be achieved at a much lower cost than when the negative pressure and the air purifying sterilizer are separate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의 정면도 및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공기정화살균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전환 플랜지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4에서 음압기 모드에서의 투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a는 메인 필터부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 및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in FIG. 1;
4 is a state diagram of a transition flange in use;
Figure 5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in the negative pressure mode in Figure 4,
Figure 6 is a front view of Figure 5;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filter unit;
7B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FIG. 7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메인 필터부(20)와,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음압 유닛(60)과, 캐스터(70)와, 가동부(30) 및, 전환 커넥터(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5, the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 main filter unit 20, 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and a negative pressure unit 60 and , a caster 70 , a movable part 30 , and a switching connector 40 .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재질로 제작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 창과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에어 배출구(19)가 형성된다.The case 1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s shown in FIG. 1 , and an air inlet window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in and an air outlet 19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out are formed.

필터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내장되며, 에어 유입 창과 연통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헤파필터와, 헤파필터를 상기 연통되는 지점에 고정되게 안착시키는 클램프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 the filter unit is built into the case 10 and includes a HEPA filter installed at a point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window, and a clamp for fixing the HEPA filter to the communicating point.

공기정화살균 유닛(5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배출구(19) 측에 조립되고 에어 배출구(19)로부터 전달받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 창이 소정 부위에 형성되는 커버와, 에어 배출구(19)와 에어 배출 창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필터와, 커버에 설치되어 운전 상태 및 주변 공기의 미세먼지 정보를 현출시키면서 운전 선택이 터치로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제어 디스플레이(53)로 이루어진다.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is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air outlet 19, as shown in FIGS. 2 and 4, and an air outlet window for discharging the air received from the air outlet 19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ver And, an auxiliary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air outlet 19 and the air outlet window, and a control display 53 installed on the cover to display the driving state and fine dust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air while enabling driving selection by touch. is done

음압 유닛(60)은 에어 배출구(19) 측에 일단이 조립되고 에어 배출구(19)로부터 실외까지 타단이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자세 변형이 가능한 관절을 갖거나 또는 자세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배기 덕트(61) 및, 배기 덕트(61)가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지점에 상기 타단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덕트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has one end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air outlet 19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from the air outlet 19 to the outside, and has a posture deformable joint o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enable posture change. It consists of an exhaust duct 61 that becomes a duct and a duct support frame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can be fixedly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exhaust duct 61 communicates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reas.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음압 유닛(6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시에 함께 설치될 수는 없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 흐름이 하나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살균기에서는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음압 유닛(60)이 번갈아 가며 설치될 수 있게 동일한 가동부(30)와 메인 필터를 공유하여 작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and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cannot be installed together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S. 1 and 5 . This is because the air flow inside the case 10 moves along one path. However, in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and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share the same movable part 30 and the main filter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alternately and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operated.

가동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내장되고 에어 유입 창과 에어 배출구(19) 사이에 설치되는 팬 모터(3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 모터(32)는 헤파필터를 통과한 공기만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헤파필터가 설치된 공간과 팬 모터(32)가 설치된 공간은 내부 격벽(12)으로 구분되고,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팬 모터(32)와 헤파필터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 the movable part 30 includes a fan motor 32 installed in the case 10 and installed between the air inlet window and the air outlet 19 . More specifically, in the fan motor 32, the space in which the HEPA filter is install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fan motor 32 is installed are divided by an internal partition wall 12 so that only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PA filter can be transported. At this time, only the portion where the fan motor 32 and the HEPA fil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캐스터(70)는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를 자유롭게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손쉽게 운반될 수 있는 구름 작용을 한다. 음압 모듈이 케이스(1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배기 덕트(61)가 외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덕트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므로 캐스터(70) 만으로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덕트(61)는 자세 변형이 가능한 관절을 갖거나 또는 자세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캐스터(70)로 인한 자유로운 이동 배치가 보장된다.The caster 7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10 to perform a rolling action that can be easily transported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placed in a desired position. When the negative pressure module is connected to the case 10, since the exhaust duct 61 is connected to a duct support fram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an external structure, the movement of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combined with the negative pressure can be limited only by the caster 70.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5 , the exhaust duct 61 has a posture deformable joint o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enable posture change, so that the free movement arrangement due to the caster 70 is ensured do.

전환 커넥터(40)는 에어 배출구(19)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부재의 자세 변경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음압 유닛(60)이 모두 에어 배출구(19) 측에 결합가능하게 제작되는 부재이다.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a member installed at the air outlet 19, an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member, both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and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can be coupled to the air outlet 19 side. It is a manufactured member.

전환 커넥터(40)는 음압 유닛(60)과 공기정화살균 유닛(50)이 모두 동일한 케이스(10)와 가동부(30) 및 메인필터부를 공유할 수 있도록 연결시키는 구조물이다.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and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to share the same case 10, the movable part 30 and the main filter part.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 커넥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덕트(61)와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슬리브(41)와, 연결 슬리브(41) 둘레를 따라 디스크 형태로 확장되어 에어 배출구(19) 가장자리에 체결부재로 접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version connector 40 includes a connection sleeve 41 that is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exhaust duct 61, as shown in FIG. 19) It is joined to the edge with a fastening member.

특히, 전환 커넥터(40)는 배기 덕트(61)와 결합할때는 연결 슬리브(41)가 배기 덕트(61)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전환 커넥터(40)가 상기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결합할때는 연결 슬리브(41)가 상기 케이스(10)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케이스(10)에 조립된다.In particular, 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connecting sleeve 41 protrudes toward the exhaust duct 61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exhaust duct 61 , and 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 When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sleeve 41 is assembled to the case 10 in a form that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0).

전환 커넥터(40)가 배기 덕트(61), 즉 음압 유닛(60)과 결합되는 상태는 도 4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슬리브(41)가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전환 커넥터(40)가 배치된 경우이며, 전환 커넥터(40)가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결합되는 상태는 도 4의 왼쪽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슬리브(41)가 케이스(10) 내부를 향해, 즉 아래를 향하도록 전환 커넥터(40)가 배치된 경우이다.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coupled to the exhaust duct 61, that is,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in a form in which the connection sleeve 41 protrudes upward,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4 . In this case, the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connector 40 is coupled to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is switched so that the connection sleeve 41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0, that is, downward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This is a case in which the connector 40 is disposed.

배경기술 란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살균기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만 할 뿐 실내 기압의 변화는 없으나, 음압기는 실내 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상태로 만들고, 음압 형성 과정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정화하여 배출한다.As explained in the Background Art section, the air purifying sterilizer only purifies the indoor air, but there is no change in indoor air pressure. discharge

이처럼 서로 작용이 다르므로 통상의 공기정화살균기와 음압기는 서로 구조상의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Because their actions are different, there is inevitably a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a normal air purifying sterilizer and a negative pressure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에서는 음압기와 공기정화살균기가 하나의 장치에서 모두 구현이 가능하도록 음압기로서 작용하게 만드는 음압 유닛(60)과 공기정화살균기로 작용하게 만드는 공기정화살균 유닛(50)을 모듈 형태로 구현하고, 음압 유닛(60)과 공기정화살균 유닛(50)이 모두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부위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전환 커넥터(40)가 마련된다.In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that makes the negative pressure and the air purifier and sterilizer act as a negative pressure so that both can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and an air purifier and sterilizer that works as an air purifier and sterilizer ( 5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and a conversion connector 40 that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both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and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can be coupled is provided.

한편, 메인 필터를 이루는 헤파 필터(24)(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에어필터로 등급에 따라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을 가지며 필터의 여과지는 주로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다. 반도체, 의료시설 등의 클린룸에서는 99.9975% 이상의 입자 포집능력을 가지는 울파(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필터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울파필터 적용시 휀 출력 대비 풍량이 낮아 고풍량이 필요한 음압기에는 효율성 문제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HEPA filter 24 (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which forms the main filter, is an air filter that removes dust in the air, and has a collection capacity of 85 to 99.975% or more for 0.3㎛ particles depending on the grade. of filter paper mainly consists of glass fibers with a diameter of 1 to 10 μm or less. In clean rooms such as semiconductors and medical facilities, an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filter with a particle collection ability of 99.9975% or more is sometimes used. there is not

보조 필터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카본 필터(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본 필터(55)는 탈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uxiliary filter may be formed of a carbon filter 5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The carbon filter 55 may perform a deodorizing function.

또한 공기정화살균 유닛(50)에서 선택 가능한 운전 모드는 파워 운전과, 정상 운전 및, 취침 운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 디스플레이(53)에는 이러한 운전 모드가 선택 가능한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고, 이 프로그램은 제어 디스플레이(53)에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운전 모드에 맞게 팬 모터(32)의 출력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디스플레이(53)는 터치 방식의 패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able operation mode in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may include a power operation, a normal operation, and a sleep oper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display 53 may be loaded with a program selectable for such an operation mode, and when this program is selected on the control display 53 , the output of the fan motor 3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display 53 may be a touch panel.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VOC)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4)이 탑재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2 , a sensor module 14 for detecting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VOC) may be mounted on the case 10 .

이때 제어 디스플레이(53)는 센서 모듈(14)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어, 센서 모듈(14)이 감지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VOC) 정보가 제어 디스플레이(53)에 현출됨으로써, 제어 디스플레이(53)에 현출된 상기 정보에 따라 운전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실내 미세먼지 농도나 유기화합물 농도가 허용치 보다 높을 경우 알림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설정에 따라 정상 운전에서 파워 운전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파워 운전으로 전환되는 알고리즘이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display 53 is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14 with a data cable,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VOC)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4 is displayed on the control display ( 53), it may be possible to select driving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ntrol display 53. That is, when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r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allowable value, a notification may be set to be displayed, and an algorithm for selecting from normal operation to power operation or automatically switching to power opera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또한 제어 디스플레이(53)에는 수동 운전과 자동 운전이 선택될 수 있는 메뉴가 탑재되어, 자동 운전이 선택될 경우, 앞서 기술된 파워 운전, 정상 운전, 취침 운전이 센서가 감지한 환경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isplay 53 is equipped with a menu from which manual operation and automatic operation can be selected. When automatic operation is selected, the power operation, normal operation, and sleep operation described above ar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detected by the sensor. can be selected a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운전 방식이 변경되거나 내부 구성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많이 사용될 수 밖에 없는 실험실같은 경우에는 정상 운전의 출력이 가정용 보다 더 높게 설정될 수 있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정화를 위한 추가적인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or there may be a change in the inter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it is used. For example, in a laboratory where a lo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used, the output of normal operation may be set higher than that of home use, and an additional filter for purify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may be installed.

한편,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필터부(20)에는 헤파필터(24)가 안착되는 필터 베이스(21)와, 필터 베이스(21)를 상기 가동부(30)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토글 글램프와, 토글 클램프(26)로 헤파 필터(24) 및 필터 베이스(21)가 승강될 때 필터 베이스(21)가 수직으로 승강되게 안내하도록 필터 베이스(21)를 관통하면서 케이스(10)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로드 바(22) 및, 필터 베이스(21)가 로드 바(22)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형태로 안내되도록 필터 베이스(21)에 설치되면서 로드 바(22)를 감싸는 리니어 부쉬(27)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7A and 7B , the filter base 21 on which the HEPA filter 24 is seated and the filter base 21 are closely attach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vable part 30 in the main filter part 20 . When the HEPA filter 24 and the filter base 21 are raised and lowered by the toggle clamp 26 and the toggle clamp 26, the filter base 21 passes through the filter base 21 so that the filter base 21 is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 A plurality of load bars 22 fixed to the floor and the filter base 21 are installed on the filter base 21 so that they are guided in a sliding form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ad bar 22 while the load bar 22 is installed. A surrounding linear bush 27 may be provided.

또한 앞서 기술된 자세 변형이 가능한 관절을 갖는 배기 덕트(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일 수 있다. 주름관은 통상의 벨로즈 관일 수 있으며, 이때 벨로즈 관을 이루는 재질은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 덕트(61)의 길이에 따라 베기 덕트에 채택된 주름관의 재질도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duct 61 having a joint capable of posture deformation described above may be a corrugated pipe as shown in FIG. 5 . Corrugated pipe may be a normal bellows pipe, in this cas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ellows pipe may be adopted in various ways. An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exhaust duct 61, the material of the corrugated pipe adopted for the cutting duct may also vary.

또한 도 2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외선(UV-C) LED가 구비된 바이러스 살균용 원자외선(UV-C) LED 소독 유닛(80)이 헤파필터(24) 하부와 에어 유입 창(1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필터부(20)에 원자외선(UV-C)을 조사하여 케이스(10) 내부 공기와 헤파필터(24)를 살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7B, a deep ultraviolet (UV-C) LED disinfection unit 80 for virus sterilization equipped with a deep ultraviolet (UV-C) LED is installed under the HEPA filter 24 and the air inlet window ( 17),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air inside the case 10 and the HEPA filter 24 by irradiating deep ultraviolet (UV-C) to the main filter unit 20 .

일반 자외선(UV)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나, 원자외선(UV-C) LED는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general ultraviolet (UV) lamps can generate ozone and can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but deep ultraviolet (UV-C) LEDs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generating ozone.

특히 원자외선(UV-C)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99% 이상 살균시킬 수 있으므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격리시설에 적용될 경우 최고의 안전한 검사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이 고도로 차단될 수 있다.In particular, deep ultraviolet (UV-C) can sterilize more than 99% of the coronavirus, so when applied to quarantine facilities for treatment or diagnosis of the coronavirus, the best safe test and treatment can be achieved, and the spread of the corona virus will be highly blocked. can

파장이 254nm의 자외선이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를 파괴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은 수십 년 전부터 알려져 있으며, 병원이나 연구소에서는 설비와 실내 살균 자외선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 파장의 자외선은 피부와 눈을 손상시키고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인간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It has been known for several decades that UV rays with a wavelength of 254 nm are effective in destroying viruses and bacteria, and UV rays have been used to sterilize facilities and indoors in hospitals and laboratories. However, this wavelength of ultraviolet light cannot be used on humans because it can damage skin and eyes and cause health problems.

이에 대해 최근 연구 결과에서는 "유해 세균을 죽이는 능력을 가지면서, 인체에 안전한 자외선의 아주 작은 스펙트럼의 범위"는, 자외선 중 "원자외선 C파"라고 부르고, 파장이 약 205~230nm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 원자외선 C파는 인체의 세포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눈이나 피부에 직접 쏘아도 문제가 없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research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a very small spectrum range of ultraviolet radiation that is safe for the human body while having the ability to kill harmful bacteria" is called "far-ultraviolet C wave" among ultraviolet rays, and the wavelength is about 205 to 230 nm. . Since this far-ultraviolet C wave does not reach the cells of the human body, there is no problem even if it is directly irradiated to the eyes or skin.

상기 연구에서는 원자외선 C파를 연속으로 저선량 방출하는 램프를 이용하여, 공기와 물체 표면의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를 살균하는데 성공했으며, 인체에는 무해하므로 공공 장소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사람이 공기중의 바이러스를 흡입하기 전에 병원체를 파괴 할 수 있다.In the above study, using a lamp that continuously emits low-dose C waves of far ultraviolet rays, we succeeded in sterilizing the new coronavirus (SARS-CoV-2) on the surface of air and objects. , it can destroy pathogens before a person inhales airborne viruses.

또한 서울대학교 식품위생공학실의 연구에 따르면, UV-C LED가 식중독균을 죽이는 데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UV-C LED가 만들어 내는 200~280나노미터의 짧은 자외선 파장이 세균의 DNA를 파괴시키 때문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study by the Food Sanitation Engineering Departm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UV-C LEDs were shown to have an excellent effect in killing food poisoning bacteria, which means that the short ultraviolet wavelengths of 200-280 nanometers produced by UV-C LEDs can destroy bacteria. Because it destroys DNA.

기존 식품 살균에는 주로 수은 UV 램프가 사용되었다. 이에 비해 UV-C LED는 수은 UV 램프에 비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파손 위험이 적고, 수명이 길며 크기도 현격히 작다. 특히 지난 2014년 발효된 미나마타조약에 의해 수은 사용에 대해 강력한 규제가 생기면서 차세대 살균 방식으로 더욱 각광을 받게 되었다.Mercury UV lamps were mainly used for conventional food sterilization. In comparison, UV-C LEDs are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mercury UV lamps, have less risk of breakage, have a longer lifespan, and are significantly smaller in size. In particular, as the Minamata Treaty,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4, imposed strong regulations on the use of mercury, it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next-generation sterilization method.

무엇보다 UV-C LED가 갖는 장점은 순간적인 살균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다. 수은 UV 램프의 경우 2~3분의 예열시간이 필요하지만 UV-C LED는 켜는 순간 즉각적인 살균 효과를 발휘합니다. UV-C LED는 켜고 끄고에 상관 없이 일정한 효과를 내는 것이지요. 또한 수은 UV 램프의 가스는 온도에 민감하지만, UV-C LED는 온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냉장고 같이 온도가 낮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Above all, the advantage of UV-C LED is that it can produce instantaneous sterilization effect. Mercury UV lamps require 2-3 minutes of warm-up time, but UV-C LEDs have an immediate sterilization effect the moment they are turned on. UV-C LED produces a constant effect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urned on or off. In addition, although the gas of the mercury UV lamp is sensitive to temperature, the UV-C LED is hardly affected by temperature, so it can be used in places with low temperatures such as refrigerators.

따라서 일반 석영관이 적용되는 UV 램프는 파장이 불규칙하여 오존이 발생할 수 있어 인체에 유해할 수 있고, 수명이 짧아 유지보수 소요가 많은 반면 UV LED는 일정한 파장의 UV 조사가 가능하므로 오존 발생이 없고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에어 유입 창(17)과 헤파필터(24) 사이에, 원자외선(UV-C) LED 소독 유닛(80)이 마련되어, 실내공기가 헤파필터(2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공기 및 헤파필터(24)에 잔류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거의 전량이 살균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설치위치는 반드시 도 2 또는 도 7b에 한정되진 않는다.Therefore, the UV lamp to which a general quartz tube is applied has an irregular wavelength and can generate ozone, which can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requires a lot of maintenance due to its short life span. Since semi-permanent use is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ep ultraviolet (UV-C) LED disinfection unit 80 is provided between the air inlet window 17 and the HEPA filter 24 so that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HEPA filter 24 In the process, almost all of the corona virus remaining in the indoor air and the HEPA filter 24 can be sterilized. However, the specific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FIG. 2 or FIG. 7B.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 : 케이스 11 : 제어판
12 : 내부 격벽 13 : 전원스위치
14 : 센서 모듈 15 : 긴급 스위치
16 : 전원 커넥터 17 : 에어 유입 창
18 : 정면 도어 19 : 에어 배출구
20 : 메인 필터부 21 : 필터 베이스
22 : 로드 바 23 : 클램프 브라켓
24 : 헤파 필터 25 : 미디엄 필터
26 : 토글 클램프 27 : 리니어 부쉬
30 : 가동부 31 : 전원 모듈
32 : 팬 모터 34 : 모터 커버
40 : 전환 커넥터 41 : 연결 슬리브
42 : 가스켓 휠 50 : 공기정화살균 유닛
51 : 개폐 스위치 52 : 에어 배출 창
53 : 제어 디스플레이 54 : 프리 필터
55 : 카본 필터 60 : 음압 유닛
61 : 배기 덕트 62 : 덕트 지지 프레임
70 : 캐스터 80 : 원자외선 LED 소독 유닛
10: case 11: control panel
12: internal bulkhead 13: power switch
14: sensor module 15: emergency switch
16: power connector 17: air inlet window
18: front door 19: air outlet
20: main filter unit 21: filter base
22: load bar 23: clamp bracket
24: hepa filter 25: medium filter
26: toggle clamp 27: linear bushing
30: movable part 31: power module
32: fan motor 34: motor cover
40: conversion connector 41: connection sleeve
42: gasket wheel 50: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1: open/close switch 52: air exhaust window
53: control display 54: pre-filter
55: carbon filter 60: sound pressure unit
61: exhaust duct 62: duct support frame
70: caster 80: deep ultraviolet LED disinfection unit

Claims (7)

강성 재질로 제작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 창(17)과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에어 배출구(19)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며, 에어 유입 창(17)과 연통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헤파필터(24)와, 헤파필터(24)를 상기 연통되는 지점에 고정되게 안착시키는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메인 필터부(20)와;
상기 에어 배출구(19) 측에 조립되는 커버 형태의 유닛으로서, 에어 배출구(19)로부터 전달받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 창(52)이 소정 부위에 형성되고, 에어 배출구(19)와 에어 배출 창(52)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필터와, 운전 상태 및 주변 공기의 미세먼지 정보를 현출시키면서 운전 선택이 터치로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상기 커버 형태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 디스플레이(53)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상기 에어 배출구(19) 측에 일단이 조립되고 에어 배출구(19)로부터 실외까지 타단이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자세 변형이 가능한 관절을 갖거나 또는 자세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배기 덕트(61) 및, 배기 덕트(61)가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지점에 상기 타단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덕트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음압 유닛(60)과;
상기 케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70)와;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고 에어 유입 창(17)과 에어 배출구(19) 사이에 설치되는 팬 모터(32)를 포함하는 가동부(30); 및,
상기 에어 배출구(19)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부재의 자세 변경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살균 유닛(50) 또는 음압 유닛(6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에어 배출구(19) 측에 결합가능하게 제작되는 전환 커넥터(40);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필터부(20)에는 헤파 필터(24)가 안착되는 필터 베이스(21)와, 필터 베이스(21)를 상기 가동부(30)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토글 글램프와, 토글 클램프(26)로 헤파 필터(24) 및 필터 베이스(21)가 승강될 때 필터 베이스(21)가 수직으로 승강되게 안내하도록 필터 베이스(21)를 관통하면서 케이스(10)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로드 바(22) 및, 필터 베이스(21)가 로드 바(22)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형태로 안내되도록 필터 베이스(21)에 설치되면서 로드 바(22)를 감싸는 리니어 부쉬(2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
a case 10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having an air inlet window 17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in and an air outlet 19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out;
A main filter unit including a HEPA filter 24 built into the case 10 and installed at a point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window 17 and a clamp for fixing the HEPA filter 24 to the communicating point. (20) and;
As a unit in the form of a cover assembled to the side of the air outlet 19, an air outlet window 52 for discharging the air received from the air outlet 19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and the air outlet 19 and the air Air composed of an auxiliary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windows 52, and a control display 53 installed outside the cover type and manufactured so that operation selection is possible by touch while displaying the driving state and fine dust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air. a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One end is assembled to the side of the air outlet 19,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air outlet 19 to the outside, and the exhaust duct 61 has a posture deformable joint o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enable posture change. ) and a negative pressure unit 60 comprising a duct support frame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can be fixedly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exhaust duct 61 communicates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reas;
a caster 70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a movable part (30) embedded in the case (10) and including a fan motor (32) installed between the air inlet window (17) and the air outlet (19); and,
As a member installed in the air outlet 19, any one of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or the negative pressure unit 6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air outlet 19 sid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member. It consists of a conversion connector 40;
The main filter unit 20 includes a filter base 21 on which the HEPA filter 24 is seated, a toggle glamp for keeping the filter base 21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movable unit 30 , and a toggle clamp 26 . A plurality of rod bars ( 22) and a linear bush 27 surrounding the load bar 22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filter base 21 so that the filter base 21 is guided in a vertical sliding form along the load bar 22 is provided. Air purifier and sterilizer combined with negative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커넥터(40)는 배기 덕트(61)와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슬리브(41)와, 연결 슬리브(41) 둘레를 따라 디스크 형태로 확장되어 에어 배출구(19) 가장자리에 체결부재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sion connector 40 includes a connection sleeve 41 that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exhaust duct 61, and is expanded in a disk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sleeve 41 and joined to the edge of the air outlet 19 with a fastening member. Air purifier and sterilizer combined with negative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커넥터(40)는 배기 덕트(61)와 결합할때는 연결 슬리브(41)가 배기 덕트(61)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전환 커넥터(40)가 상기 공기정화살균 유닛(50)과 결합할때는 연결 슬리브(41)가 상기 케이스(10)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케이스(10)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connecting sleeve 41 protrudes toward the exhaust duct 61 when combined with the exhaust duct 61, and the conversion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50 and An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a negative press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sleeve (41) is assembled to the case (10) in a form that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0) when combi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는 카본 필터(55)와 프리 필터(54)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전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제어 디스플레이(53)에는 파워 운전과, 정상 운전 및, 취침 운전 프로그램이 탑재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VOC)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4)이 탑재되고,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53)는 센서 모듈(14)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어, 센서 모듈(14)이 감지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VOC) 정보가 제어 디스플레이(53)에 현출됨으로써,
제어 디스플레이(53)에 현출된 상기 정보에 따라 운전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uxiliary filter consists of a carbon filter 55 and a pre-filter 54,
Power operation, normal operation, and sleep operation programs are mounted on the control display 53 so that the operation selection can be made,
The case 10 is equipped with a sensor module 14 for detecting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VOC),
The control display 53 is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14 with a data cable,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VOC)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4 is displayed on the control display ( 53) by appearing in
Air purifier and sterilizer combined with negative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operation selec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ntrol display (53).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형이 가능한 관절을 갖는 배기 덕트(61)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duct (61) having a joint capable of posture deformation is a corrugated pipe.
제1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살균용 원자외선(UV-C) LED 소독 유닛(80)이 헤파필터(24) 하부와 에어 유입 창(1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필터부(20)에 원자외선(UV-C)을 조사하여 케이스(10) 내부 공기와 헤파필터(24)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 겸용 공기정화살균기.
According to claim 1,
A deep ultraviolet (UV-C) LED disinfection unit 80 for virus steriliza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HEPA filter 24 and the air inlet window 17 , and the deep ultraviolet (UV-C) light is applied to the main filter unit 20 . Air purifying sterilizer combined with negative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sterilizes the air inside the case 10 and the HEPA filter 24 by irradiating it.
KR1020200087416A 2020-07-15 2020-07-15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KR102408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16A KR102408197B1 (en) 2020-07-15 2020-07-15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KR1020210153322A KR20220009363A (en) 2020-07-15 2021-11-09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16A KR102408197B1 (en) 2020-07-15 2020-07-15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322A Division KR20220009363A (en) 2020-07-15 2021-11-09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25A KR20220009525A (en) 2022-01-25
KR102408197B1 true KR102408197B1 (en) 2022-06-14

Family

ID=800489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416A KR102408197B1 (en) 2020-07-15 2020-07-15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KR1020210153322A KR20220009363A (en) 2020-07-15 2021-11-09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322A KR20220009363A (en) 2020-07-15 2021-11-09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81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653B1 (en) 2023-07-08 2023-11-01 (주)아하 Multifunctional negative pressure device that can kill harmful substances and viruses in the ai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3681A1 (en) 1999-09-30 2001-04-05 Green Rock Oy Sewage filter
KR101693494B1 (en) 2015-07-20 2017-01-06 주식회사 웃샘 A Portable Negative Room Pressur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971Y1 (en) * 1994-09-16 1998-12-01 김만제 Exchanger of oil pressure filter
KR101003224B1 (en) * 2008-12-15 2010-12-21 이동명 Separable asbestos collector with a flow guide formed in inlet portion
KR20110086942A (en) * 2010-01-25 2011-08-02 이진호 Mines presser
KR101792727B1 (en) * 2016-02-12 2017-11-02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Air cleaner
KR20180000070U (en) 2016-06-28 2018-01-05 한만길 Ward Pressure group
KR20190002452U (en) * 2018-03-22 2019-10-02 한만길 Portable pressure machine
KR102151583B1 (en) * 2018-11-20 2020-09-03 주식회사 제이오텍 Multipurpos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3681A1 (en) 1999-09-30 2001-04-05 Green Rock Oy Sewage filter
KR101693494B1 (en) 2015-07-20 2017-01-06 주식회사 웃샘 A Portable Negative Room Pressu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363A (en) 2022-01-24
KR20220009525A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6023B1 (en) Air decontamination devices
CN101069752A (en) Air decontamination devices
KR100789954B1 (en) Air disinfecting and purifying system for elevator
KR101075959B1 (en) Microorganism sterilization and fragrance removing system in the air
CN106362188A (en) Air purifying and disinfecting device
KR102408197B1 (en) Air purification sterilizer combined use in negative air pressure machine
US20220016558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101763381B1 (en) Equipmenty for safely processing medical waste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CN101469895A (en) Simple multifunctional indoor air purifier
CN215412352U (en) High-radiation-dose ultraviolet air purification system
CN108131737A (en) A kind of air purifying sterilizer
EP4138936A1 (en) Ozone sterilizer with air regeneration
KR20220067856A (en) System for disinfecting and purifying air in elevator
US20040005251A1 (en) Allergy lamp
CN201558344U (en) Laminar flow dynamic air disinfector
KR102548992B1 (en) System of sterilizing and cleanjng pollution air at kitchen
CZ34173U1 (en) Ozone sterilizer with air regeneration
KR100567563B1 (en) the air cleaner with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for in the room
CN110410916A (en) A kind of plasma fresh air system
AU2021107291A4 (en) A novel air purification system for air-conditioners incuding germicidal features
CN214406371U (en) Remove scanning formula purifier and air purifier
CN203123108U (en) Plasma purifier suitable for purifying air in waiting rooms in hospitals
KR102594289B1 (e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with the ability to remove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KR200409636Y1 (en) Pendant type air cleaner
KR20230094901A (en) A quarantine air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