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033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033B1
KR102408033B1 KR1020210176900A KR20210176900A KR102408033B1 KR 102408033 B1 KR102408033 B1 KR 102408033B1 KR 1020210176900 A KR1020210176900 A KR 1020210176900A KR 20210176900 A KR20210176900 A KR 20210176900A KR 102408033 B1 KR102408033 B1 KR 10240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system
photographing
buried
module
integrated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7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상황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준비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부품들이 준비되는 상황 또는 사전결합이 되는 상황을 관리하거나,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시공되는 시공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상황을 관리하며,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동 주택의 각 단지에 배치되며, 배전 선로를 갖는 다수의 배전부; 상기 다수의 배전부 각각의 상기 배전 선로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전 선로를 지중에 접지시키는 다수의 접지부; 및 상기 다수의 접지부에서 상기 배전 선로와의 단선 유무를 감지하여,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접지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접지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Distribution Lin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각 단자의 배전선로에서의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배전 선로에서의 접지를 지중에서의 접촉 면적을 늘려접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선로에서의 각 단자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각 배전선로 접지의 지중 접촉 면적을 늘려 접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전송되어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후 콘크리트 전주와 같은 배전로를 따라 전주의 주상 변압기를 통해 가정으로 전달된다.
이때,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에는 뇌(雷), 써지(surge) 등 이상전압에 의한 기기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전기재해방지를 위하여 배전선에서의 물질확보 및 양호한 접지를 필요로 한다.
상기한 접지는 전력이나 낙뢰로부터 인간 및 전력설비 보호 기능을 갖는다. 특히, 공동 주택의 각 단지에는 배전함과 같은 배전부가 설치되고, 배전 선로 또한 설치된다.
종래에는 각 단지의 배전부들 각각에서의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단지의 배전부에서 접지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의 감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148666호(2021. 12. 08.)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각 단자의 배전선로에서의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배전 선로에서의 접지를 지중에서의 접촉 면적을 늘려 접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각각의 상황에 대하여 작업과 시스템 구성물의 취급, 조립, 설치, 준비 등의 과정을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시정 및 조치를 취하여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을 실시간 관리하고 시정 및 조치를 취하며 후속적인 문제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상 촬영를 수행하는 수단이 다양한 조건과 환경에 대응하여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모니터링과 관련된 동작수명을 늘리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오염과 외부충격으로부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성부를 보호하여 모니터링이 제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로의 환기와 온도적조건 조절 이물방출 등을 위한 외부노출과 외부로부터의 차단을 선택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상황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준비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부품들이 준비되는 상황 또는 사전결합이 되는 상황을 관리하거나,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시공되는 시공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상황을 관리하며,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동 주택의 각 단지에 배치되며, 배전 선로를 갖는 다수의 배전부; 상기 다수의 배전부 각각의 상기 배전 선로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전 선로를 지중에 접지시키는 다수의 접지부; 및 상기 다수의 접지부에서 상기 배전 선로와의 단선 유무를 감지하여,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접지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접지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단자의 지중 배전선로에서의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배전 선로 접지의 지중 접촉 면적을 늘려 접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각각의 상황에 대하여 작업과 시스템 구성물의 취급, 조립, 설치, 준비 등의 과정을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시정 및 조치를 취하여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을 실시간 관리하고 시정 및 조치를 취하며 후속적인 문제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상 촬영를 수행하는 수단이 다양한 조건과 환경에 대응하여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모니터링과 관련된 동작수명을 늘리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오염과 외부충격으로부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성부를 보호하여 모니터링이 제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로의 환기와 온도적조건 조절 이물방출 등을 위한 외부노출과 외부로부터의 차단을 선택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배전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전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접지 부재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접지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다수의 배전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전체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접지 부재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접지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지내 배전선로 접지구조는 공동 주택의 각 단지에 배치되며, 배전 선로를 갖는 다수의 배전부(100)와; 상기 다수의 배전부(100) 각각의 상기 배전 선로(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전 선로(110)를 지중(1)에 접지시키는 다수의 접지부(200); 및 상기 다수의 접지부(200)에서 상기배전 선로(110)와의 단선 유무를 감지하여,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접지 모니터링 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접지부(200) 각각은 상기 배전 선로(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부재(210)와, 상기 지중(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접지 부재(210)가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접지 부재(210)를 통해 상기 배전선로를 접지시키는 접지 장치(220)와, 상기 접지 장치(220)와 상기 접지 부재(210)와의 접속 상태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 수단(230)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부재(210)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접지 부재(210)는 서로 맞닿아 결합된다. 결합은 볼트(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접지 부재(210) 각각에는 연결터미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터미널에는 배전 선로(110)의 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접지 부재(210)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면, 각 연결터미널은 접속된다.
상기 접지 장치(220)는, 원판 형상의 접지 몸체(221)와, 상기 접지 몸체(221)의 테두리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중(1)에 매립 고정되는 다수의 매립 부재(222)와, 상기 접지 몸체(22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 부재(210)의 하단과 스크류 체결되는 접속단(223)과, 상기 접지 몸체(221)의 내부에 설치되고, 금속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스크류 체결되는 상기 접지 부재(210)의 하단과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매립부재(222)의 하단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지중(1)에 매립되는 내부 접지 부재(2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감지 수단(230)은, 상기 접지 부재(210)의 하단과 상기 내부 접지 부재(224)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스크류 체결됨으로 인한 상기 접지 부재(210)의 하단과 상기 내부 접지 부재(224)의 상단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접지 부재(224)의 하단은, 하방으로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콘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 몸체(224a)와, 상기 콘 몸체(224a)의 외측 둘레로부터 돌출되어, 상지 지중(1)에 매립되는 다수의 단위 접지단(224b)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내부 접지 부재(224)의 하단은 모터(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내부 접지 부재(224)의 하단에는 회전되는 콘 형상의 콘 몸체(224a)가 형성된다.
상기 콘 몸체(224a)의 외주에는 스크류 돌기(224c)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접지 부재(224)는, 상기 모터(500)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지중(1)에 스크류 결합된다.
따라서, 접지 장치(220) 자체를 지중에서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콘 몸체가 지중에 스크류 결합됨으로써, 고정력 형성 면적 및, 접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500)는 후술되는 제어기(3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모터(500)는 내부 접지 부재(224)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500)의 모터축(미도시)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콘 몸체(224a)의 중심이 연결된다.
상기 모터(500)가 구동되면, 모터축은 회전되고, 회전되는 모터축에 연결되는 콘 몸체(224a)는 회전된다.
상기 접지 모니터링 부(300)는 상기 다수의 접지부(200) 각각의 상기 배전 선로(110)를 연결 및 차단하는 개폐스위치(310)와, 상기 다수의 접지부(200) 각각에서 측정되는 압력을 전송 받고, 기설정되는 기준 압력 이하를 이루는 경우, 접지 불량으로 판단하는 제어기(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320)는, 접지 불량으로 판단되는 상기 다수의 접지부(200) 중 해당 접지부(200)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310)를 사용하여 배전 선로를 차단한다.
상기 접지 부재(210)는, 원봉 형상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 부재(210)의 외면에는, 사방으로 돌출되며, 다른 배전 선로(110)와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단(210a)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단자의 배전선로에서의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배전 선로에서의 접지를 지중에서의 접촉 면적을 늘려 접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접지 불량이 발생되는 해당 단지의 배전부에서의 배전 선로를 즉시 차단하여 접지불량 상태에서 관리자의 감전 사고를 미연에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접지 부재에 별도의 연결단을 마련하여 하나의 배전 선로에서 다수의 가닥으로 분기하 여 연결단에 연결하여 접지 불량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준비현장에서 준비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시공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황관리유닛에 의하여 관리되되,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준비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부품들이 준비되는 상황 또는 사전결합이 되는 상황을 관리하거나, 상기 시공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상황을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동 주택의 각 단지에 배치되며, 배전 선로를 갖는 다수의 배전부; 상기 다수의 배전부 각각의 상기 배전 선로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전 선로를 지중에 접지시키는 다수의 접지부; 및 상기 다수의 접지부에서 상기 배전 선로와의 단선 유무를 감지하여, 접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접지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을 포함한다.
아울러 여기서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한다.
한편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점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된다.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몸쳄부상에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매설모드 상태인 상기 제1매설몸체(111') 내지 상기 제4매설몸체(114')를 각각 설정 범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동작모드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강화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는 제1-1영역부(1911,1921,1931,194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는 제2-1영역부(2111,2121,2131,2141')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는 제3-1영역부(2311,2321,2331,2341')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기 설정된 수평길이의 규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상기 수평길이의 규격 내에 설정된 범위로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상태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3동작모드, 상기 강화모드는,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상태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수행이 가능하다.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몸체패널(411')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패널(511')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장몸체패널(512')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온도가변부(51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는 덮개패널(611')이 구비되어 하부로 상기 상판모듈(141,142')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은,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되는 공간 체적을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덮개패널(611')은, 하부에 출몰가능한 다수의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구비되어 상기 상황관리유닛의 온도를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축회전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에는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1하부이동체(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에는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하부이동체(5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전술한 상황관리유닛은 지면 혹은 그에 준하는 기저부 상에서 용접 매설, 매립, 볼트나사, 삽입 등 다양한 공지 방식을 기반으로 촬영을 위한 대상부 주변에 설치되면 족하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배전부
200 : 접지부
300 : 접지 모니터링 부

Claims (2)

  1.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상황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준비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부품들이 준비되는 상황 또는 사전 결합이 되는 상황을 관리하거나,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시공되는 시공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상황을 관리하며,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고,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고,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KR1020210176900A 2021-12-10 2021-12-10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8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00A KR102408033B1 (ko) 2021-12-10 2021-12-10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00A KR102408033B1 (ko) 2021-12-10 2021-12-10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033B1 true KR102408033B1 (ko) 2022-06-14

Family

ID=8198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00A KR102408033B1 (ko) 2021-12-10 2021-12-10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0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240B1 (ko) * 2022-08-02 2023-06-28 대평엔지니어링(주) 건축물 가스모니터링설비 제공방법
KR102682068B1 (ko) * 2023-07-11 2024-07-08 주식회사 전기안전 배전선로 산화방지 관리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89B1 (ko) * 2015-09-16 2016-01-13 (주)케이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단지내 배전선로 접지 모니터링 장치
KR102299878B1 (ko)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KR20210148666A (ko) 2020-06-01 2021-12-08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89B1 (ko) * 2015-09-16 2016-01-13 (주)케이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단지내 배전선로 접지 모니터링 장치
KR20210148666A (ko) 2020-06-01 2021-12-08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299878B1 (ko)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240B1 (ko) * 2022-08-02 2023-06-28 대평엔지니어링(주) 건축물 가스모니터링설비 제공방법
KR102682068B1 (ko) * 2023-07-11 2024-07-08 주식회사 전기안전 배전선로 산화방지 관리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0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222170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584589B1 (ko) 단지내 배전선로 접지 모니터링 장치
KR101943372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차단 장치
CN105759176A (zh) 一种电缆监测接地箱及电缆监测***
KR102398268B1 (ko)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이상유무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65128B1 (ko) 변전소에 연결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복구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37261B1 (ko)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 배전용 케이블 처짐방지 시스템
KR102484585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563360B1 (ko) 피뢰기능을 갖는 배전선 고정장치
KR102459178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CN209461866U (zh) 一种用于建筑工地的临时用电管理设备
KR102110564B1 (ko) 낙뢰 발생에 의한 재해의 방지를 위한 종합 방재시스템
KR101796310B1 (ko) 배전선로의 원격 모니터링장치
KR102484584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에 지중으로 접속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KR102459355B1 (ko)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KR10224722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385883B1 (ko)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JP6514068B2 (ja) 門扉操作装置及び門扉操作方法
CN107062136A (zh) 一种智能化防雷电器设备
KR102656856B1 (ko) 인공지능과 연계된 배전 관리 시스템
KR101758100B1 (ko)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원클릭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2400301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 이상유무 감시 시스템
KR102221708B1 (ko) 배전선로의 위치 추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