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883B1 -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883B1
KR102385883B1 KR1020210192056A KR20210192056A KR102385883B1 KR 102385883 B1 KR102385883 B1 KR 102385883B1 KR 1020210192056 A KR1020210192056 A KR 1020210192056A KR 20210192056 A KR20210192056 A KR 20210192056A KR 102385883 B1 KR102385883 B1 KR 10238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distribution line
buried
module
shor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케이블 단락을 보강하기 위한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및 상기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가 설치되는 상황 또는 주변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락 보강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전선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중심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부분으로부터소정의 간격 이격된 부분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부에 방수지붕이 마련되며, 내부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마감턱이 마련된 본체캡;을 포함하는,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Distribution cable short circuit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천후 시 누수 발생으로 인한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배전선로의 케이블을 통해 이음연결 부분 측으로 전달되는 힘을 감쇠시켜 배전선로 케이블의 이음연결 부분을 보호할 수 있고, 조류 등이 안착되어 배전선로 케이블의 이음연결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경우, 바람 등에 의해 배전선로 케이블이 유동될때, 배전선로 케이블을 통해 이음연결부분 측으로 힘이 가해져 이음연결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경우, 이물질 또는 조류 등이 안착함으로 인해, 이음연결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케이블 시스템의 설치와 관리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전선로 케이블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 부분을 보호하여 악천후 시에 누수 발생으로 인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외부에서 배전선로 케이블을 통해 이음연결부분 측으로 전달되는 힘을 감쇠시켜 이음연결부분을 보호하며 조류 등이 안착되어 이음연결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케이블 단락을 보강하기 위한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및 상기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가 설치되는 상황 또는 주변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락 보강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전선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중심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부분으로부터소정의 간격 이격된 부분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부에 방수지붕이 마련되며, 내부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마감턱이 마련된 본체캡;을 포함하는,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 케이블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부분을 보호하여 악천후 시 누수 발생으로 인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배전선로 케이블을 통해 이음연결부분 측으로 전달되는 힘을 감쇠시켜 이음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고, 조류가 안착되어 이음연결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본체, 고정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본체, 고정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의 본체, 고정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11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3은 배전선로 케이블(L)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의 외측으로 당겨질 때 지지바(330)가 케이스(310) 내부로 인입되며 탄성스프링(320)이 압축됨으로써 배전선로 케이블(L)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감쇠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4는 외측으로 당겨진 배전선로 케이블(L)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의 내측으로 복귀하며, 지지바(330)가 케이스(310) 외부로 인출되고 탄성스프링(320)이 복원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는 배전선로 케이블(L)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부분(S)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는 본체(100), 고정부(200),지지부(300) 및 본체캡(400)을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전선로 케이블(L)이 삽입되는 삽입홈(100h)이 각각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본체(100)의 상부에는 본체캡(400)과 맞닿아 본체(100) 내부를 밀폐하는 고무패킹(P)이 마련될 수있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부(20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본체(100)의 내부 중심측에 설치되며, 배전선로 케이블(L)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부분(S)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부분이 고정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고정부(200)는 본체(100)의 내부 중심측에 고정되며 상부에 배전선로 케이블(L)이 안착되는 안착홈(210h)이 형성되는 고정대(210)와, 고정대(210)의 상부를 덮으며 고정볼트(B1)를 통해 고정대(210)에 고정되며 배전선로 케이블(L)을 고정대(210)에 고정시키는 고정캡(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부(200)는 이음연결부분(S)을 본체(100)의 내부 중심에 고정시킨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30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본체(100)의 내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며, 배전선로 케이블(L)이 본체(100)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배전선로 케이블(L)을 측부에서 지지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지지부(3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내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일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타단부가 개방된 케이스(310)와, 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320)과, 일측부가 케이스(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스프링(320)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배전선로 케이블(L)과 연결되며 타측부의 단부에 배전선로 케이블(L)을 구속하는 구속볼트(B2)가 끼워지고 탄성스프링(320)의 탄성력을 통해 배전선로 케이블(L)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바(3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부(300)는 외부에서 배전선로 케이블(L)을 통해 이음연결부분(S) 측으로 전달되는 힘을 지지바(330) 및 탄성스프링(320)을 통해 감쇠시켜 이음연결부분(S)을 보호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전선로 케이블(L)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의 외측으로 당겨질 때, 지지바(330)가 케이스(310) 내부로 인입되며 탄성스프링(320)이 압축됨으로써 배전선로 케이블(L)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감쇠시킴으로써, 이음연결부분(S)을 보호한다. 즉, 지지부(300)는 배전선로 케이블(L)을 통해 이음연결부분(S) 측으로 전달되는 힘을 지지바(330) 및 탄성스프링(320)을 통해 감쇠시킴으로써, 이음연결부분(S)을 보호한다.
그리고, 외측으로 당겨진 배전선로 케이블(L)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의 내측으로 복귀하면, 지지바(330)가 케이스(310) 외부로 인출되고 탄성스프링(320)이 복원된다.
따라서, 바람 등에 의해 배전선로 케이블(L)이 유동될 때, 배전선로 케이블(L)을 따라 전달되는 힘이 탄성스프링(320)에 의해 감쇠되도록 함으로써, 이음연결부분(S)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이음연결부분(S)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캡(400)은 본체(100)의 상부를 덮으며 본체(100)에 체결되고, 상부에 방수지붕(410)이 마련되며, 내부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삽입홈(100h)에 삽입되는 마감턱(420)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체(100)는 본체캡(400)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며, 본체(100) 및 본체캡(400)은 이음연결부분(S)을 보호할 수 있으며, 악천후 시 누수 발생으로 인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삽입홈(100h)과 본체캡(400)의 마감턱(420)에는 브러쉬(B)가 설치되고, 브러쉬(B)는 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지붕(410)의 상부에는 조류의 안착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안착방지침(5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안착방지침(500)은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에 조류가 안착되어 이음연결부분(S)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10)는 본체(100) 및 본체캡(400)을 통해 이음연결부분(S)을 감싸 보호함으로써, 악천후 시 누수 발생으로 인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330)가 탄성스프링(320)의 탄성력을 통해 배전선로 케이블(L)을 측부에서 지지하므로, 바람 등에 의해 배전선로 케이블(L)이 유동될 때, 배전선로 케이블(L)을 따라 전달되는 힘이 탄성스프링(320)에 의해 감쇠되도록 함으로써, 이음연결부분(S)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이음연결부분(S)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방지침(500)을 통해 조류가 안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음연결부분(S)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전선로 케이블(L)을 고정부(200)에 고정하고 지지부(300)에 연결시킨 후, 본체(100)에 본체캡(400)을 체결하여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도 5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케이블 단락을 보강하기 위한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및 상기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가 설치되는 상황 또는 주변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락 보강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전선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중심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부분으로부터소정의 간격 이격된 부분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부에 방수지붕이 마련되며, 내부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마감턱이 마련된 본체캡;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관리유닛에 의하여 설치상태 또는 운영상태가가 감시관리된다. 상기 관리유닛은, 설정된 구간을 촬영하여 상태관리, 보안관리 및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유닛은,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한다.
한편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점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몸쳄부상에서 상기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매설모드 상태인 상기 제1매설몸체(111') 내지 상기 제4매설몸체(114')를 각각 설정 범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동작모드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강화모드로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는 제1-1영역부(1911',1921',1931',194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는 제2-1영역부(2111',2121',2131',2141')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는 제3-1영역부(2311,2321,2331,2341')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기 설정된 수평길이의 규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상기 수평길이의 규격 내에 설정된 범위로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3동작모드, 상기 강화모드는,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상태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수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몸체패널(411')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패널(511')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장몸체패널(512')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온도가변부(51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는 덮개패널(611')이 구비되어 하부로 상기 상판모듈(141,142')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은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되는 공간 체적을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패널(611')은, 하부에 출몰가능한 다수의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구비되어 상기 관리유닛의 온도를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축회전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에는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1하부이동체(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에는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하부이동체(5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100 : 본체 100h : 삽입홈
200 : 고정부 210 : 고정대

Claims (1)

  1.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케이블 단락을 보강하기 위한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및
    상기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가 설치되는 상황 또는 주변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락 보강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전선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중심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에서 단락으로 인해 이음 연결한 이음연결부분으로부터소정의 간격 이격된 부분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배전선로 케이블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부에 방수지붕이 마련되며, 내부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마감턱이 마련된 본체캡;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되,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KR1020210192056A 2021-12-30 2021-12-30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KR10238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56A KR102385883B1 (ko) 2021-12-30 2021-12-30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56A KR102385883B1 (ko) 2021-12-30 2021-12-30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883B1 true KR102385883B1 (ko) 2022-04-14

Family

ID=8121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056A KR102385883B1 (ko) 2021-12-30 2021-12-30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985B1 (ko) * 2018-03-21 2018-09-18 대한기술단(주)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KR102066691B1 (ko) * 2019-08-30 2020-01-15 유한회사 다온엔지니어링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46382B1 (ko) * 2020-01-31 2020-08-20 다보이엔지 주식회사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64325B1 (ko) * 2020-05-18 2020-10-12 김동조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306935B1 (ko)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985B1 (ko) * 2018-03-21 2018-09-18 대한기술단(주)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KR102066691B1 (ko) * 2019-08-30 2020-01-15 유한회사 다온엔지니어링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46382B1 (ko) * 2020-01-31 2020-08-20 다보이엔지 주식회사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64325B1 (ko) * 2020-05-18 2020-10-12 김동조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306935B1 (ko)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935B1 (ko)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WO2015053543A1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컨테이너 시스템
KR10222170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080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6024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385883B1 (ko)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KR102392016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가공배전선로 이상유무 감시 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KR100947101B1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102343548B1 (ko) 공동주택 감전방지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437261B1 (ko)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 배전용 케이블 처짐방지 시스템
WO2010021480A2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102484585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356744B1 (ko)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459178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KR102459355B1 (ko)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CN210225571U (zh) 一种全景式车载摄像装置
GB2477365A (en) Flood barrier
KR101833999B1 (ko)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KR102412720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제공방법
JP2014525129A (ja) 浸水保護装置
KR102383503B1 (ko) 지중 송전선로와 지하 변전소에 접속하는 송전선로 고정 시스템
CN211684712U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保护设备
KR20240047813A (ko) 변압기가 구비된 지중 배전전로의 배전함 시스템 구축방법
KR102540187B1 (ko) 변압기가 구비된 지중 배전전로의 배전함 시스템 구축방법
KR102518986B1 (ko) 지중 송전선로 보호시스템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