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24B1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24B1
KR102404324B1 KR1020200141905A KR20200141905A KR102404324B1 KR 102404324 B1 KR102404324 B1 KR 102404324B1 KR 1020200141905 A KR1020200141905 A KR 1020200141905A KR 20200141905 A KR20200141905 A KR 20200141905A KR 102404324 B1 KR102404324 B1 KR 10240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ois
driving wire
disposed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7933A (en
Inventor
허창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942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74152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24B1/en
Publication of KR2020012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76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shape memory all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이동체와,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 이동체와,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1 이동체에 연결되는 OIS용 구동와이어 및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제1 이동체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2 이동체에 연결되는 AF용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AF용 구동와이어는 복수개가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면 중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AF용 구동와이어가 상기 제2 이동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irst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econd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and a shape memory alloy, both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entral portion and a drive wire for OIS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and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and a driving wire for AF having a central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body, wherein the AF drive wire comprises: Disclosed is a camera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AF driving wire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and vertically spaced apart to move the second movable body in up and down directions. .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을 부가되고 있다.Recently, a camera is basically adopt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 computers, and an auto focus function,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and a zoom function are added to a camera for a mobile terminal.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크기도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the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size increases,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which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increases.

스마트폰 카메라 시장의 성장에 따라 OIS 구동 방식과 더불어 오토포커싱 (AF), 광학 줌 (Optical zoom) 등 기존 일반 수동 카메라의 기능을 소형화하여 집적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른 구조 다변화에 따라 기존 OIS 방식 외 다른 OIS 구동 방식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growth of the smartphone camera market, attempts are continuously being made to miniaturize and integrate the functions of existing general manual cameras such as autofocusing (AF) and optical zoom along with the OIS driving method.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n OIS driving method other than the existing OIS method.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A camera module capable of realizing weight reduction,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simplifying a manufacturing process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이동체와,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 이동체와,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1 이동체에 연결되는 OIS용 구동와이어 및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제1 이동체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2 이동체에 연결되는 AF용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AF용 구동와이어는 복수개가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면 중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AF용 구동와이어가 상기 제2 이동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irst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econd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and a shape memory alloy. It is made of an OIS driving wire and a shape memory alloy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central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body,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body and the center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ody. a wire, wherein a plurality of the AF driving wire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and a pair of the AF driving wires disposed vertically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ovable body in up and down directions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to.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Light weight can be realiz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at the same time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OIS용 구동와이어와 AF용 구동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형상기억합금의 온도에 따른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이동체의 스트로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이동체가 베이스 위치에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이동체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이동체의 스트로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riving wire for OIS and the driving wire for AF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hape memory alloy.
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stroke of a first moving body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able body of the camera module is in the base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planatory views for explaining a driving method of the first moving body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stroke of a second moving body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10 ,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10 to photograph a subject.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Y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10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and the optical axis (Z-axis) of the lenses is in the thickness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 It can face the rear (rear surface or vice versa).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은 OIS용 구동 와이어(140, 도 2 내지 도 4 참조)와, AF용 구동 와이어(150, 도 2 내지 도 4 참조)에 의해 OIS 또는 AF의 구동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amera module 10 drives the OIS or AF by the OIS driving wire 140 (see FIGS. 2 to 4 ) and the AF driving wire 150 (see FIGS. 2 to 4 ). This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OIS용 구동와이어와 AF용 구동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riving wire for OIS and the driving wire for AF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110), 제1 이동체(120), 제2 이동체(130), OIS용 구동와이어(140), AF용 구동와이어(150), 플렉시블 회로기판(160) 및 쉴드 케이스(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o 4 , the camer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 a first movable body 120 , a second movable body 130 , and a driving wire 140 for OIS.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wire 150 for AF, a flexible circuit board 160 and a shield case 170 .

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모서리에는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고정 커넥터(1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OIS용 구동와이어(140)의 양단부는 제1 고정 커넥터(11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 커넥터(112)는 플렉시블 회로기판(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has an internal space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addition, a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 In addition, a first fixing connector 112 extending upwardly may be provided at an edge of the housing 110 .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connector 112 . Meanwhile, the first fixed connector 1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ircuit board 160 .

제1 이동체(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제1 이동체(12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2개의 축 방향(일예로서, X축과 Y축)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이동체(12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체(120)의 외부면 중 네 측면에는 후술할 OIS용 구동 와이어(140)의 설치를 위한 제1 장착구(1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착구(122)는 제1 이동체(120)의 측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착구(122)는 제1 이동체(12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단차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ovable body 12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o be mov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As an example, the first movable body 120 is moved in two axial directions (eg, X-axis and Y-axis)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Also, the first movable body 12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addition, a first mounting hole 122 for installing a driving wire 140 for OI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four side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In addition, the first mounting hole 122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In addition, the first mounting hole 12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tep portion 121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한편, 제1 이동체(120)의 내부면에는 후술할 제2 이동체(130)의 제2 장착구(132)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체(120)의 내부면 중 일측에는 AF용 구동와이어(150)의 설치를 위한 제2 고정 커넥터(1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 커넥터(126)는 제1 이동체(120)의 상단부에 2개가 하단부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n insertion groove 124 into which the second mounting hole 132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In addition, a second fixing connector 126 for installing the AF driving wire 1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Two second fixed connectors 126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and two at the lower end.

제2 이동체(130)는 제1 이동체(120)를 기준으로 하나의 축 방향(일예로서, Z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이동체(120)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제2 이동체(13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제2 장착구(132)가 형성된다. 제2 장착구(132)는 제2 이동체(130)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으로 2개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장착구(132)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이동체(120)의 삽입홈(124) 내에 삽입 배치된다.The second movable body 130 is installed on the first movable body 120 to be movable in one axial direction (eg, the Z-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able body 120 .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holes 13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 Two second mounting holes 13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ie, Z direction)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 A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ounting hole 132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124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한편, 제2 이동체(130)에는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lenses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movable body 130 .

OIS용 구동와이어(14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OIS용 구동와이어(140)는 제1 이동체(120)의 외부면 중 네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OIS용 구동와이어(140)는 일예로서, 제1 이동체(120)를 하나의 축 방향(즉,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2 OIS용 구동와이어(141,142)와 제1 이동체(120)를 다른 축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4 OIS용 구동와이어(141,142)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wire 140 for OIS is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an example,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may be connected to four side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In other words,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is an example,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ires 141 and 142 for OIS for moving the first movable body 120 in one axial direction (ie,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irst The third and fourth OIS driving wires 141 and 142 for moving the movable body 120 in another axial direction (ie, the Y-axis direction) may be provided.

한편, 제1,2 OIS용 구동와이어(141,142)는 각각 제1 이동체(120)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3,4 OIS용 구동와이어(143,144)도 각각 제1 이동체(120)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OIS driving wires 141 and 142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and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third and fourth OIS driving wires 143 and 144 are also respectively first movable bodies. It is disposed on the side of 120 and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또한, OIS용 구동와이어(140)는 양단부가 하우징(110)의 제1 고정 커넥터(112)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제1 이동체(120)의 제1 장착구(122)에 연결된다. 즉, OIS 구동와이어(140)는 대략 V자 형상을 가지도록 하우징(110)과 제1 이동체(120)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are installed in the first fixed connector 112 of the housing 110 , and the central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hole 122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That is, the OIS driving wire 14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first movable body 120 to have a substantially V-shape.

여기서, OIS용 구동와이어(140)에 의한 제1 이동체(120)의 구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a driving method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by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OIS용 구동와이어(140)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길이가 작아지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도 5의 T1과, T2는 실온(25℃)보다 크며, OIS용 구동와이어(140)의 길이인 L1과 L2는 L1>L2인 관계를 가진다.First, as shown in FIG. 5 ,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length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1 and T2 in FIG. 5 are greater than room temperature (25° C.), and L1 and L2, which are the lengths of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have a relationship of L1>L2.

이때, OIS용 구동와이어(140)의 길이인 L1과 L2는 하기와 같은 특성을 만족한다.At this time, L1 and L2, which are the lengths of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satisf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L2 = 0.978×L1 L2 = 0.978×L1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커넥터(112) 간의 거리를 d, OIS용 구동와이어(140)의 길이를 L, 하우징(110)의 내부면과 제1 장착구(122)의 내부면 간의 거리를 h라 하면, h는 하기의 식을 만족한다.And, as shown in Fig. 6,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ed connector 112 is d, the length of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is L,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first mounting hole 122 If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s is h, h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h = {(L/2)2 - (d/2)2}1/2 h = {(L/2) 2 - (d/2) 2 } 1/2

일예로서, 제1 고정 커넥터(112) 간의 거리 d가 8.8mm인 하우징(110)에 상온에서의 길이 L1이 9.08mm인 OIS용 구동와이어(140)를 채용한 카메라 모듈에서 h는 상기한 식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리고, OIS용 구동와이어(140)가 최대로 이완되어 있을 때 h가 최대값을 가지며, hmax는 1.12mm 이다. 또한, OIS용 구동와이어(140)가 최대로 수축되어 있을 때 h가 최소값을 가지며, hmin는 0.6mm 이다.As an example, in the camera module employing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having a length L1 of 9.08 mm at room temperature in the housing 110 in which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fixed connectors 112 is 8.8 mm, h is in the above formula can be obtained by And, when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is maximally relaxed, h has a maximum value, and h max is 1.12mm. In addition, h has a minimum value when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is contracted to the maximum, h min is 0.6mm.

따라서, 제1 이동체(120)는 OIS용 구동와이어(140)의 수축, 이완을 통해 최대 0.52mm의 스트로크(Stroke)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movable body 120 may have a stroke of up to 0.52 mm through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driving wire 140 for OIS.

한편, 제1 이동체(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2 OIS용 구동와이어(141,142)와 제1 이동체(1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4 OIS용 구동와이어(141,142)에 일정량의 전류를 흘리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체(120)의 중심과 하우징(110)의 중심이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OIS driving wires 141 and 142 for moving the first movable body 120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third and third OIS driving wires for moving the first movable body 120 in the Y-axis direction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is passed to ( 141 and 142 ), the center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and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may be equally disposed as shown in FIG. 7 .

이후, 제1 OIS용 구동와이어(141)에 제공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1 OIS용 구동와이어(141)를 수축시키고, 제2 OIS용 구동와이어(142)에 제공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제2 OIS용 구동와이어(142)를 이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체(120)의 중심이 하우징(1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1 OIS용 구동와이어(141)에 제공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제1 OIS용 구동와이어(141)를 이완시키고, 제2 OIS용 구동와이어(142)에 제공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2 OIS용 구동와이어(142)를 수축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체(120)의 중심이 하우징(1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된다.Thereafter, the first OIS driving wire 141 is contracted by increas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irst OIS driving wire 141 , and the second OIS driving wire 141 is reduced by decreas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second OIS driving wire 142 . When the driving wire 142 is relaxed, the center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is moved to the left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8 . Conversely, by reducing the current provided to the first driving wire 141 for OIS to relax the first driving wire 141 for OIS, and increasing the current provided to the second driving wire 142 for OIS, the second When the OIS driving wire 142 is contracted, the center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is moved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9 .

한편, 제1,2 OIS용 구동와이어(141,142)를 신축시키는 방식과 동일하게 제3,4 OIS용 구동와이어(141,142)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증감시켜 제1 이동체(1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thod of stretching the first and second OIS driving wires 141 and 142,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OIS driving wires 141 and 142 is increased or decreased so that the first movable body 120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moved to

AF용 구동와이어(150)는 제2 이동체(13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제1 이동체(120)의 내부면 중 일측면에만 AF용 구동와이어(1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AF용 구동와이어(15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와,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를 구비할 수 있다.The AF driving wire 150 serves to move the second movable body 130 in the Z-axis direction. As an example, the AF driving wire 150 may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In addition, the AF driving wire 15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s an example,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and the second AF driving wire disposed under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 (154) may be provided.

한편, AF용 구동와이어(150)는 양단부가 제1 이동체(120)의 제2 고정 커넥터(126)에 설치되며, AF용 구동와이어(150)의 중앙부는 제2 이동체(130)의 제2 장착구(1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AF용 구동와이어(150)는 대략 V자 형상을 가지도록 제1 이동체(120)와 제2 이동체(130)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driving wire 150 for AF are installed in the second fixed connector 126 of the first movable body 120 , and the central part of the driving wire 150 for AF is the second mounting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 It may be connected to the sphere 132 . That is, the AF driving wire 15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movable body 120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30 to have a substantially V-shape.

여기서, AF용 구동와이어(150)에 의한 제2 이동체(130)의 이동 방식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와,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에 일정량의 전류를 흘리는 경우 제2 이동체(130)는 베이스 위치에 배치된다. 이후,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에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를 수축시키고,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에 전류를 감소시켜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를 이완시키면 제2 이동체(130)는 상부로 이동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에는 전류를 감소시켜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를 이완시키고,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에 전류를 증가시켜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를 수축시키면 제2 이동체(130)는 하부로 이동된다.Here, briefly describing the movement method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by the AF drive wire 150,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irst AF drive wire 152 and the second AF drive wire 154 is When a current flows, the second movable body 130 is disposed at the base position. Thereafter, by increasing the current in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to contract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and decreasing the current in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the second AF driving wire ( When the 154 is relaxed, the second movable body 130 is moved upward. On the contrary, by reducing the current in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to relax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and increasing the current in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to reduce the current to the second AF driving wire When the 154 is contracted, the second movable body 130 is moved downward.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커넥터(126) 간의 거리를 d라 하고, AF용 구동와이어(150)의 길이를 L, 제2 고정 커넥터(126)와 제2 장착구(132) 간의 거리를 h라 한다. 그리고, 일예로서, 제2 고정 커넥터(126) 간의 거리를 d가 6.7mm, 상온에서의 길이 L1이 6.86mm인 AF용 구동와이어(150)가 채용되는 경우 hmax는 0.73mm 이고, hmin는 0.17mm 이다. 따라서, 제2 이동체(130)의 Z 축 방향으로의 스트로크는 0.56mm일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0,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ed connector 126 is d, the length of the AF driving wire 150 is L, the second fixed connector 126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132 ) is the distance between them. And, as an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ed connectors 126 d is 6.7 mm and the AF drive wire 150 having a length L1 of 6.86 mm at room temperature is employed, h max is 0.73 mm, and h min is It is 0.17mm. Accordingly, the stroke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0.56 mm.

한편,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와,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가 제2 이동체(130)의 일측면에 모두 배치되므로, 제1 AF용 구동와이어(152)와, 제2 AF용 구동와이어(154)에 의한 제2 이동체(130)의 승강 구동이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both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and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and the second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of the second movable body 130 by the AF driving wire 154 may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플렉시블 회로기판(160)는 OIS용 구동와이어(140)에 연결되는 OIS용 플렉시블 회로기판(162)과, AF용 구동와이어(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F용 플렉시블 회로기판(164)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lexible circuit board 160 includes a flexible circuit board 162 for OIS connected to the drive wire 140 for OIS,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164 for AF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wire 150 for AF. can

쉴드 케이스(17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쉴드 케이스(170)는 하단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면에는 관통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170)는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hield case 17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serves to prevent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As an example, the shield case 170 may have a box shape with an open lower end, and a through hole 17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shield case 17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10 .

상기한 바와 같이, OIS용 구동와이어(140)와 AF용 구동와이어(150)를 통해 OIS 구동과 AF용 구동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IS driving and the AF driving can be realized through the OIS driving wire 140 and the AF driving wire 150 , the weight redu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can be realized.

그리고, OIS용 구동와이어(140)와 AF용 구동와이어(150)를 통해 OIS 구동과 AF용 구동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공정시간 단축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IS driving and AF driving can be realized through the OIS driving wire 140 and the AF driving wire 150,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process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카메라 모듈
110 : 하우징
120 : 제1 이동체
130 : 제2 이동체
140 : OIS용 구동와이어
150 : AF용 구동와이어
160 : 플렉시블 회로기판
170 : 쉴드 케이스
100: camera module
110: housing
120: first moving body
130: second moving body
140: drive wire for OIS
150: drive wire for AF
160: flexible circuit board
170: shield case

Claims (13)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이동체;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 이동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1 이동체에 연결되는 OIS용 구동와이어; 및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제1 이동체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2 이동체에 연결되는 AF용 구동와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AF용 구동와이어는 복수개가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면 중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AF용 구동와이어가 상기 제2 이동체를 상기 제1 이동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a first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econd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an OIS driving wir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both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and
an AF drive wir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central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the AF drive wire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and a pair of the AF drive wires disposed vertically apart from the first movable body move the second movable body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able body. A camera module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IS용 구동와이어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OIS용 구동와이어가 하나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이동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driving wires for OIS are provided, and a pair of opposing driving wires for OIS is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movable body in one axi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IS용 구동와이어는 상기 제1 이동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 OIS용 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 OIS용 구동와이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OIS용 구동와이어와, 상기 이동체의 일측면에 이웃하는 측면에 연결되는 제3 OIS용 구동와이어 및 상기 제3 OIS용 구동와이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4 OIS용 구동와이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wire for OIS includes a first driving wire for O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a second driving wire for O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driving wire for OIS, and one side of the movable body A camera module having a third driving wire for O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side and a fourth driving wire for OIS disposed to face the third driving wire for O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네 모서리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고정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OIS용 구동와이어는 양단부가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has a first fixed connector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our corners,
The OIS driving wire is a camera module in which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rst fixed connec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체의 외부면 중 네 측면에는 상기 OIS용 구동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제1 장착구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A camera module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hole for connection with the OIS driving wire on four side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구는 상기 제1 이동체의 측면 중앙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ounting hole is a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F용 구동와이어는 제2 이동체의 측면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AF용 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 AF용 구동와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AF용 구동와이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AF driving wire is a camera module having a first AF driving wi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of the second movable body, and a second AF driving wire disposed below the first AF driving wi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면 중 일측면에는 상기 AF용 구동와이어의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2 고정 커넥터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A camera module provided with a second fixed connector to which both ends of the AF driving wire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AF용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장착구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A camera module provided with a second mounting hole to which the AF driving wire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ovable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구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일측면 상,하부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The method of claim 9,
A camera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econd mounting holes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second movable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2 장착구에 대향 배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amera module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mounting hol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이동체;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 이동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1 이동체에 연결되는 OIS용 구동와이어; 및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제1 이동체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2 이동체에 연결되는 AF용 구동와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AF용 구동와이어는 복수개가 상기 제1 이동체의 내부면 중 일측면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이동체를 상기 제1 이동체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a first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econd movable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an OIS driving wir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both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and
an AF drive wir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central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the AF drive wire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movable body to move the second movable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able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OIS용 구동와이어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OIS용 구동와이어는 상기 제1 이동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driving wires for OI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for OIS ar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KR1020200141905A 2018-07-09 2020-10-29 Camera module KR102404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05A KR102404324B1 (en) 2018-07-09 2020-10-29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429A KR102174152B1 (en) 2018-07-09 2018-07-09 Camera module
KR1020200141905A KR102404324B1 (en) 2018-07-09 2020-10-29 Camera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429A Division KR102174152B1 (en) 2018-07-09 2018-07-09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933A KR20200127933A (en) 2020-11-11
KR102404324B1 true KR102404324B1 (en) 2022-06-07

Family

ID=8198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905A KR102404324B1 (en) 2018-07-09 2020-10-29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2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811A (en) * 2009-05-19 2011-01-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device, method for setting inside and sma assembly
JP2017207734A (en) * 2016-04-01 2017-11-24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Camera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37B1 (en) * 2008-11-27 2010-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for mobile device
KR20170138672A (en) * 2016-06-08 2017-12-18 (주)알비케이이엠디 Ois camera module with improved assemblabil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811A (en) * 2009-05-19 2011-01-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device, method for setting inside and sma assembly
JP2017207734A (en) * 2016-04-01 2017-11-24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Camera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933A (en)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152B1 (en) Camera module
US10935809B2 (en) Lens driving mechanis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81713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00483B2 (en) Camera module
CN105589278B (en) Camera module
US9784988B2 (en)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US20150062706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641984B2 (en) Driving mechanism
KR10260914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 Camera module
KR102584983B1 (en) Camera module
KR20200024496A (en) Camera module
KR102569642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40025575A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200051354A (en) r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10127922A (en) Camera module including mems actuator
KR102584980B1 (en) Camera module
KR20210125323A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e the same
CN115398308A (en) Periscopic continuous light-variable module and corresponding multi-camera module
KR20200005191A (en) Camera module
KR102404324B1 (en) Camera module
KR20150085611A (en) Camera Module
KR102642902B1 (en) Camera module
KR102516769B1 (en) Dual camera module
US20220286591A1 (en) 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102154200B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