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552B1 -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 Google Patents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552B1
KR102403552B1 KR1020220039480A KR20220039480A KR102403552B1 KR 102403552 B1 KR102403552 B1 KR 102403552B1 KR 1020220039480 A KR1020220039480 A KR 1020220039480A KR 20220039480 A KR20220039480 A KR 20220039480A KR 102403552 B1 KR102403552 B1 KR 10240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unit
transmission line
jump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3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552B1/ko
Priority to KR1020220063807A priority patent/KR102475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552B1/ko
Priority to KR1020220166187A priority patent/KR10248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arket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Wind Motor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송전탑의 수평 방향 일측에서 송전선로와 점퍼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점퍼소켓으로서, 상기 송전선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송전선 및 제2 송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점퍼선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점퍼선 및 제2 점퍼선을 포함하는 것인, 점퍼소켓에 있어서, 상기 점퍼소켓은, 일단에서 상기 제1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1 점퍼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소켓부재; 일단에서 상기 제2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2 점퍼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소켓부재; 및 상기 제1 소켓부재 및 상기 제2 소켓부재를 연결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부재 및 상기 제2 소켓부재 각각의 길이는, 상기 점퍼선로 길이의 1/11 내지 1/8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점퍼소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JUMPER SOCKET AND POWER-TRANSMISSION LINE CONNEC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페이서를 장착하여 송전선로의 소도체간 전류밀도를 균등하게 하여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점퍼 와이어의 횡진을 억제하여 섬락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송전탑에 설치된 송전선로를 통해 공장과 주택과 같은 전력 수요처에 공급된다. 이 때, 전력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압을 크게 높인 후 송전하게 된다.
한편, 송전탑에 대한 절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송전탑의 크로스암의 양측에 설치되는 송전선로는 점퍼선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점퍼선로에는 가선 장력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점퍼선로는 바람에 흔들리기 쉬운 구조로 형성되며, 돌풍 또는 강풍 발생 시 점퍼 선로가 횡방향 회전하게 되어 점퍼선로와 크로스암 사이에 섬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나아가, 송전선로에는 바람에 의해 일정하지 않은 외력이 적용되며, 송전선로에는 자체 하중에 따른 장력 외에도 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따른 불규칙한 장력이 적용된다. 송전선로에 가해진 외력은 송전선로가 설치된 송전탑으로 전달되며, 장기적으로 불규칙한 외력이 적용되는 경우 송전선로와 송전탑의 설치 부위가 일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951호(2020.12.14)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송전선로 연결 구조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퍼 와이어 및 송전선로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강풍 또는 돌풍 발생시에도 점퍼선로와 크로스암 사이의 섬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탑의 수평 방향 일측에서 송전선로와 점퍼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점퍼소켓으로서, 상기 송전선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송전선 및 제2 송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점퍼선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점퍼선 및 제2 점퍼선을 포함하는 것인, 점퍼소켓에 있어서, 상기 점퍼소켓은, 일단에서 상기 제1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1 점퍼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소켓부재; 일단에서 상기 제2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2 점퍼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소켓부재; 및 상기 제1 소켓부재 및 상기 제2 소켓부재를 연결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부재 및 상기 제2 소켓부재 각각의 길이는, 상기 점퍼선로 길이의 1/11 내지 1/8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점퍼소켓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퍼소켓; 상기 송전탑에 설치되는 구동지지부;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송전선로를 연결하는 절연체의 수평애자;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점퍼선로를 연결하는 절연체의 수직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지지부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수납된 수평지지부로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수평 방향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수평애자에 연결된 상기 송전선로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것인, 수평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하방 연장되고, 상기 수직애자에 연결된 상기 점퍼선로의 횡방향 회전을 억제하는 수직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감지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풍속감지부와 연결된 제어부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감지부로부터 검출된 풍속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지지부를 구동하여 상기 송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로 구획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납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부는 상기 제2 수납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는, 구동부재, 상기 송전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양측에서 돌출된 한 쌍의 구동샤프트, 및 상기 구동샤프트 상에 마련된 웜기어를 포함하는 수평구동부;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샤프트의 돌출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달샤프트; 상기 전달샤프트 상에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에 계합되는 웜휠부재; 상기 전달샤프트 상에 상기 웜휠부재와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웜휠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달샤프트와 함께 일체로 회전되는 피니언; 및 상기 구획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과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의 돌출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래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지지부는, 상기 래크부재의 상기 송전선로측 말단과 상기 수평애자 사이에 위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 수평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제2 수납부의 지면에 수직한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수납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1-1 지지대; 상기 제1-1 지지대의 말단에 형성되고, 반구형 홈을 갖는 제1-1 볼안착부; 상기 제2 수납부의 지면에 수직한 타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수납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1-2 지지대; 상기 제1-2 지지대의 말단에 형성되고 반구형 홈을 갖는 제1-2 볼안착부로서, 상기 제1-1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의 개방면과 상기 제1-2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의 개방면은 서로 대향하는 것인, 제1-2 볼안착부; 상기 제1-1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 및 상기 제1-2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 모두에 내접하도록 마련되고, 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볼회전구; 상기 제1 볼회전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제2-1 지지대; 상기 제2-1 지지대의 하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제2-2 지지대; 상기 제2-2 지지대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3 지지대; 및 상기 제2-1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납부의 지면에 수직한 측벽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제2-3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수직애자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이가 탄성 변형되는 한 쌍의 수직완충부; 상기 한 쌍의 수직완충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점퍼선 및 상기 제2 점퍼선 사이의 이격 거리를 탄성 유지하도록 구성된 간격유지부; 및 상기 제1 점퍼선 및 상기 제2 점퍼선 상호간의 높이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높이차가 기 결정된 기준 높이차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점퍼선 및 상기 제2 점퍼선 사이의 뒤틀림 발생을 검출하는 뒤틀림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기 결정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발생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화재 또는 연기의 발생을 검출하는 화재감지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를 통해 화재 여부 또는 화재 가능성을 검출한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로 화재 경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평완충부는, 상기 래크부재의 송전선로 측 말단에 결합된 힌지연결부;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힌지연결부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평연결부; 상기 제1 수평연결부의 길이 방향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연결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위치된 원판 형상의 제1 수평완충판;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수평애자에 결합된 제2 수평연결부; 상기 제2 수평연결부의 길이 방향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연결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위치된 원판 형상의 제2 수평완충판;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완충판 및 상기 제2 수평완충판을 수용하는 수평완충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수평완충판 및 상기 제2 수평완충판은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에 내접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수평연결부는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단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단면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2 수평연결부는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타단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타단면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인, 수평완충하우징;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완충하우징 내에서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단면과 상기 제1 수평완충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일단면과 상기 제1 수평완충판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 유지하는 제1 수평완충부재; 및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완충하우징 내에서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타단면과 상기 제2 수평완충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완충하우징의 길이 방향 타단면과 상기 제2 수평완충판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 유지하는 제2 수평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완충부는, 제2 볼회전구, 제1 수직연결부, 수직완충블록, 제2 수직연결부, 제1 수직완충부재 및 제2 수직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간격유지하우징, 제2-1 간격유지부재, 제3-1 볼회전구, 제1 간격유지블록, 제2-2 간격유지부재, 제3-2 볼회전구, 제2 간격유지블록, 제1 탄성부재, 제2 탄성부재 및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전기적 절연성을 구비하면서 내구성 및 방수성을 갖도록, 올레아미드(Oleamide) 4.5중량%와,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3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6중량%와, 카본블랙(Carbon black)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 6중량%와, 팔미트산(palmitic acid) 4.5중량%와, 질화붕소(BN) 분말 6중량%와, 그라파이트(Graphite) 3중량%와,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 10중량%와, 1.5-3cm 길이의 유리섬유 10중량%, 및 나머지 CNT(Carbon Nano Tube)가 분산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로 성형되고, 상기 CNT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10중량부의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점퍼선로의 횡진을 억제하여 점퍼선로와 크로스암 사이의 섬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점퍼선 및 제2 점퍼선 사이의 전류밀도를 균등하게 하여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강풍 발생 시 점퍼선로가 횡진되어 발생될 수 있는 기계적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풍속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송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여 송전선로의 파단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점퍼선로와 크로스암 사이의 수직 방향 길이가 탄성 가변적으로 지지되는바, 점퍼선로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력 일부를 완충하여 흡수할 수 있고 외력이 크로스암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평행하게 배치된 송전선들 간의 뒤틀림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을 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포소켓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의 구동지지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의 수평지지부를 상측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의 수평지지부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의 수직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의 수직완충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의 수직완충부의 수직완충하우징의 외면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과 관리자 단말 사이의 통신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10)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을 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10)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포소켓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도시된 덤퍼소켓(10)을 B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10)은, 송전탑의 수평 방향(x) 일측에서 송전선로(W)와 점퍼선로(JW)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10)은, 송전탑의 수평 방향 돌출 프레임인 크로스암(F)(cross arm)의 송전선로(W)의 길이 방향(x) 일측에 위치되어, 송전선로(W) 및 점퍼선로(JW)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점퍼선로(JW)는, 송전탑의 수평 방향 돌출 프레임인 크로스암(F)의 송전선로(W)의 길이 방향(x) 양측에 위치된 송전선로(W)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송전선로(W)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송전선(W1) 및 제2 송전선(W2)을 포함할 수 있고, 점퍼선로(JW)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10)은 제1 소켓부재(110), 제2 소켓부재(120), 및 제1 소켓부재(110)와 제2 소켓부재(120)를 연결하는 스페이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켓부재(110)는, 일단에서 제1 송전선(W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서 제1 점퍼선(JW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소켓부재(120)는, 일단에서 제2 송전선(W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서 제2 점퍼선(JW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 각각은, 길이 방향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은, 각각 그 길이 방향 일단부가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의 일단 개구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은 각각이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어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 각각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송전선로(W)가 결합된 송전선소켓(50)과 체결되는 돌출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 각각은, 돌출브라켓을 통해 송전선소켓(50)과 체결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 각각의 길이(L1)는, 점퍼선로(JW) 길이(L2)의 1/11 내지 1/8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재의 길이(L1)란 길이 방향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전체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점퍼선로(JW)의 길이(L2)란, 점퍼선로(JW)가 그 길이 방향 양단 각각에서 소켓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점퍼선로(JW)가 양단의 소켓부재로부터 인출되어 노출되기 시작하는 위치 사이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 각각의 길이(L1)는, 점퍼선로(JW) 길이(L2)의 1/10 내지 1/9로 구성될 수 있다. 점퍼선로(JW)의 길이(L2)에 대한 소켓부재의 길이(L1)가 1/1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크로스암(F)에 대한 점퍼선로(JW)의 회전중심축 깊이(d1)가 작게 형성되어 강풍 또는 돌풍 발생 시 점퍼선로(JW)와 크로스암(F) 상호간의 섬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퍼선로(JW)의 길이(L2)에 대한 소켓부재의 길이(L1)가 1/9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소켓부재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소켓부재(110) 및 제2 소켓부재(120) 각각의 길이는 대략 1m로 형성될 수 있고, 점퍼선로(JW) 길이는 대략 9.68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퍼선로(JW)와 크로스암(F) 상호간의 충분한 클리어런스(clearance) 또는 간극이 확보될 수 있고, 돌풍이나 강풍 등에 의한 점퍼선로(JW)의 횡진 시에도, 점퍼선로(JW)와 크로스암(F) 상호간의 섬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페이서(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사이의 전류밀도를 균등하게 하여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30)는 강풍 발생 시 점퍼선로(JW)가 횡진되어 발생될 수 있는 기계적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의 구동지지부(2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은,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소켓(10), 송전탑의 크로스암(F) 상에 설치되는 구동지지부(20), 구동지지부(20)와 송전선로(W)를 연결하는 절연체의 수평애자(410), 및 구동지지부(20)와 점퍼선로(JW)를 연결하는 절연체의 수직애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지지부(20)는, 하우징부(210), 하우징부(210)의 상부에 수납된 수평지지부(220) 및 상기 하우징부(210)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부(210)의 외측으로 하방 연장된 수직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210)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210)의 내부 공간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구획플레이트(213)에 의해 제1 수납부(211) 및 제2 수납부(212)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수납부(211)는 하우징부(2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수납부(212)는 하우징부(2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수평지지부(220)는 제1 수납부(211)에 위치될 수 있고, 상술한 수직지지부(240)의 일부는 제2 수납부(212)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평지지부(220)는, 그 일부가 하우징부(210)의 수평 방향 외측으로 인출되어 수평애자(410)에 연결된 송전선로(W)의 장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220)의 작동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술한 수직지지부(240)는, 수직애자(420)에 연결된 점퍼선로(JW)의 횡방향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지지부(240)는 수직애자(420)에 연결된 점퍼선로(JW)의 횡방향 회전 시 점퍼선로(JW)의 회전 방향에 역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돌풍 또는 강풍 발생 시의 점퍼선로(JW)의 과도한 횡진이 억제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40)의 세부 구성은 아래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술한 구동지지부(20)는, 하우징부(210)의 상면에 위치되어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감지부(320), 및 하우징부(210) 내에 위치되고 풍속감지부(320)와 연결된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수평지지부(2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제어부(300)는, 풍속감지부(320)로부터 검출된 풍속 크기에 기초하여, 수평지지부(220)를 구동하여 송전선로(W)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속감지부(320)에 의해 기 결정된 기준값 이상의 풍속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송전선로(W)의 장력이 감소되도록 수평지지부(220)를 구동하여 하우징부(210)의 송전선로(W) 길이 방향(x) 양측에 위치된 수평애자(410)들을 송전선로(W)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하우징부(2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평지지부(220)에 의해, 크로스암(F)의 양측에 위치된 송전선소켓(50) 및 이에 결합된 점퍼소켓(10)이 송전선로(W)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점퍼선로(JW)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점퍼선로(JW)의 최하단까지 이르는 점퍼선로(JW)의 회전 반경(d2)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점퍼선로(JW)에 횡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크로스암(F)과의 사이에 섬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즉, 강풍 또는 돌풍 발생으로 송전선로(W) 상에 매우 큰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수평지지부(220)의 작동에 의해 송전선로(W)의 장력이 감소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송전선로(W)가 파단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송전선로(W)의 장력이 감소됨에 따라, 송전선로(W)를 통해 크로스암(F)으로 전달되는 힘 또한 완화되므로 크로스암(F)이 변형되는 문제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의 수평지지부(220)를 상측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의 수평지지부(220)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수평지지부(220)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구동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구동부(221)는, 제어부(300)에 연결되어 제어부(300)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구동부재(2211), 구동부재(221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구동부재(2211)의 작동 시 회전되는 한 쌍의 구동샤프트(2212), 및 각각의 구동샤프트(2212) 상에 마련된 웜기어(2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구동샤프트(2212)는, 구획플레이트(213)와 평행한 평면 상에서 각각 송전선로(W)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구동부재(2211)의 양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구동부재(2211)의 작동 시 동일한 방향으로 동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수평구동부(221)는, 구획플레이트(213)에 대한 구동부재(2211) 및 구동샤프트(2212)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하는 구동축지지부(2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지지부(2214)는, 구획플레이트(213) 상에 결합될 수 있고, 구동샤프트(2212)의 길이 방향(x) 양측에 위치되어 한 쌍의 구동샤프트(22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지지부(2214)는, 한 쌍의 구동샤프트(2212)에 베어링부재(미도시 됨)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동샤프트(2212)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구동샤프트(2212)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평지지부(220)는, 전달샤프트(222), 전달샤프트(222) 상에 결합되고 웜기어(2213)에 계합되는 웜휠부재(2221), 전달샤프트(222) 상에 웜휠부재(2221)와 동축으로 결합된 제1 피니언(2222) 및 제2 피니언(2223), 제1 피니언(2222) 및 제2 피니언(2223)과 각각 계합되는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달샤프트(222)는 구획플레이트(213)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시에 구동샤프트(2212)의 돌출 방향에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2222) 및 제2 피니언(2223)은, 웜휠부재(2221)가 회전됨에 따라 전달샤프트(222)와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피니언(2222), 제2 피니언(2223) 및 웜휠부재(2221)는, 전달샤프트(222) 상에서 전달샤프트(222)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웜휠부재(2221)는 제1 피니언(2222)과 제2 피니언(22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래크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는, 구획플레이트(213)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피니언(2222) 및 제2 피니언(2223)이 회전됨으로써 구동샤프트(2212)의 돌출 방향을 따라 구획플레이트(213) 상에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2222)과 제2 피니언(2223)은 서로 동일한 직경 및 기어 잇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는 서로 동일한 길이 및 기어 잇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피니언(2222)과 제1 래크부재(223) 사이의 기어비 그리고 제2 피니언(2223)과 제2 래크부재(224) 사이의 기어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는 수평구동부(221)의 작동 시 동시에 동일한 거리만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평지지부(220)는, 구획플레이트(213)에 대한 전달샤프트(222)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전달축지지부(2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축지지부(2224)는, 구획플레이트(213) 상에 결합될 수 있고, 전달샤프트(222)의 길이 방향(y) 양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달축지지부(2224)는, 전달샤프트(222)에 베어링부재(미도시 됨)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달샤프트(222)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전달샤프트(222)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축지지부(2214)는, 전달샤프트(222)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 제1 래크부재(223)와 제2 래크부재(2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구획플레이트(213)에 대한 구동부재(2211)의 하단면 높이은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재(2211)의 하측으로, 제1 래크부재(223) 또는 제2 래크부재(224)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부(210)의 전체 크기 및 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구획플레이트(213) 상에는,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의 측면 감싸도록 구성된 래크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플레이트(213) 상에는, 제1 래크부재(223)의 폭 방향(y)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1 래크부재(223)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제1 래크가이드(2231), 제2 래크부재(224)의 폭 방향(y)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 래크부재(224)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제2 래크가이드(2241)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래크가이드(2231)에서 제1 래크부재(223)를 접하는 측면에는 제1 래크부재(223)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미도시 됨)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래크부재(223)의 폭 방향(y) 양측면에는 제1 래크가이드(2231)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블록(미도시 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래크부재(223)는 제1 래크가이드(2231)에 의해 폭 방향(y)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그 길이 방향(x)을 따라 안내되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래크가이드(2231)의 가이드홈 및 제1 래크부재(223)의 가이드블록은, 제2 래크가이드(2241) 및 제2 래크부재(224)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웜기어(2213)와 웜휠부재(2221) 사이의 기어비, 그리고 피니언과 래크부재 사이의 기어비는 기 결정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동샤프트(2212)의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 토크로도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를 용이하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달샤프트(222), 웜휠부재(2221), 제1 피니언(2222), 제2 피니언(2223), 제1 래크부재(223), 제1 래크가이드(2231), 제2 래크부재(224) 및 제2 래크가이드(2241)의 배치 구조는, 수평구동부(221)를 기준으로 송전선로(W)의 길이 방향(x) 양측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구동부재(2211)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웜기어(2213)에 형성된 나사선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동샤프트(2212)의 회전 시 구동부재(2211) 양측의 전달샤프트(2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수평구동부(221)의 양측에 마련된 래크부재들(223, 224)은, 수평구동부(221)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하우징부(210)의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동시에 하우징부(2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동지지부(20)는, 제1 래크부재(223) 또는 제2 래크부재(224)의 송전선로(W) 측 말단과 인접한 수평애자(410) 사이에 위치된 수평완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완충부(230)는, 송전선로(W)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가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완충부(23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평완충부(230)는 힌지연결부(231), 수평완충하우징(232), 제1 수평연결부(233), 제1 수평완충판(234), 제2 수평연결부(235), 제2 수평완충판(236), 제1 수평완충부재(237) 및 제2 수평완충부재(23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연결부(231)는,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 각각의 송전선로(W) 측 말단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래크부재(223) 및 제2 래크부재(224)의 수평 이동 시 함께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제1 수평연결부(233)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평연결부(233)의 길이 방향(x) 일단은 힌지연결부(231)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평연결부(233)의 길이 방향(x) 타단에는 제1 수평연결부(233)의 길이 방향(x)에 직교하도록 위치된 원판 형상의 제1 수평완충판(234)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수평완충하우징(232)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평완충판(234)은 수평완충하우징(232)에 내접하도록 위치되어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평연결부(233)는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 일단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 일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연결부(231)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완충판(236)은 수평완충하우징(232)에 내접하도록 위치되어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평완충판(236)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평완충판(234)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수평완충판(234)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수평연결부(235)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수평연결부(235)의 길이 방향(x) 일단은 제2 수평완충판(236)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수평완충판(236)은 제2 수평연결부(235)의 길이 방향(x)에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연결부(235)는,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 타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완충하우징(232)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고, 제2 수평연결부(235)의 길이 방향(x) 타단은 수평애자(4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평완충부재(237)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수평완충하우징(232) 내에서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 일단면과 제1 수평완충판(234) 사이에 위치되어,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 일단면과 제1 수평완충판(234)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완충부재(238)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수평완충하우징(232) 내에서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 타단면과 제2 수평완충판(236) 사이에 위치되어, 수평완충하우징(232)의 길이 방향 타단면과 제2 수평완충판(236)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완충부(230)의 전체 길이는 탄성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신장 외력이 적용되거나 길이가 감소되는 방향으로의 압축 외력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외력 해제 시 원래의 길이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돌풍 또는 강풍 시 송전선로(W)에 큰 외력이 적용되는 경우, 수평완충부(230)의 길이가 탄성 변형되어 외력의 일부를 흡수하는바, 크로스암(F) 또는 구동지지부(20)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수평연결부(233)가 힌지연결부(231)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수평지지부(220)의 작동에 의해 송전선로(W)의 장력이 감소되고 송전선로(W)에 일부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수평지지부(220)와 제1 수평연결부(233) 사이의 회전 응력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우징부(210)는, 전기적 절연성을 구비하면서 내구성 및 방수성을 갖도록 폴리머 조성물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210)는 올레아미드(Oleamide) 4.5중량%와,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3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6중량%와, 카본블랙(Carbon black)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 6중량%와, 팔미트산(palmitic acid) 4.5중량%와, 질화붕소(BN) 분말 6중량%와, 그라파이트(Graphite) 3중량%와,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 10중량%와, 1.5-3cm 길이의 유리섬유 10중량%, 및 나머지 CNT(Carbon Nano Tube)가 분산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로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CNT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10중량부의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의 수직지지부(2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수직지지부(240)는, 제1-1 지지대(241), 제1-2 지지대(242), 제1-1 볼안착부(2411), 제1-2 볼안착부(2421), 제1 볼회전구(2431), 제2-1 지지대(2432), 제2-2 지지대(2433),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 및 탄성지지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지지대(241)는, 제2 수납부(212)의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된 일측벽(2121)으로부터 제2 수납부(212)의 내측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1 볼안착부(2411)는, 제1-1 지지대(241)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반구형 홈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2 지지대(242)는, 제2 수납부(212)의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된 타측벽(2122)으로부터 제2 수납부(212)의 내측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2 볼안착부(2421)는, 제1-2 지지대(242)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반구형 홈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수납부(212)의 일측벽(2121)과 타측벽(2122)은 서로 대향하는 측면일 수 있고, 제1-1 지지대(241) 및 제1-2 지지대(242)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1 볼안착부(2411)의 반구형 홈의 개방면과 제1-2 볼안착부(2421)의 반구형 홈의 개방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볼회전구(2431)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1 볼안착부(2411)의 반구형 홈 및 제1-2 볼안착부(2421)의 반구형 홈 모두에 내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구 형상의 제1 볼회전구(2431)는 제1-1 볼안착부(2411) 및 제1-2 볼안착부(2421) 사이에서 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1 볼회전구(2431)는 제1-1 볼안착부(2411) 및 제1-2 볼안착부(2421)에 대해 볼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1 지지대(2432)는 제1 볼회전구(24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2 지지대(2433)는, 제2-1 지지대(2432)의 하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는, 제2-2 지지대(2433)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탄성지지부(244)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1 지지대(2432) 및 제2 수납부(212)의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된 측벽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지지부(244)는 4개로 마련될 수 있고, 4개의 탄성지지부(244)는 제2-1 지지대(2432)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4개의 탄성지지부(244) 각각의 일단은 제2-1 지지대(2432)에 결합될 수 있고, 4개의 탄성지지부(244) 각각의 타단은 제2 수납부(212)의 4개 측벽들 중 서로 상이한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1 지지대(2432)와 제2 수납부(212) 사이의 수평 방향 상대적 위치는 4개의 탄성지지부(244)에 의해 탄성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돌풍 또는 강풍 발생 시 점퍼선로(JW)가 횡진하는 경우에도, 제1 볼회전구(2431)를 중심으로한 제2-1 지지대(2432)의 회전 범위는 탄성지지부(244)의 탄성압축 한계로 제한될 수 있다. 나아가, 제2-1 지지대(2432)는 수평 방향 평면에 있어서 4개의 탄성지지부(244)에 의해 방사상으로 탄성 지지되는바, 제1 볼회전구(2431)를 중심으로한 제2-1 지지대(2432)의 회전 범위는 점퍼선로(JW)의 횡진 방향에 상관없이 기 결정된 각도 범위로 제한될 수 있고, 점퍼선로(JW) 및 수직애자(420)를 통해 전해지는 외력은 4개의 탄성부재의 탄성압축에 의해 흡수되어 완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210)의 하면(즉 제2 수납부(212)의 하면)에는 직사각 형상의 관통구인 하부개구(214)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개구(214)는 장축이 제2-2 지지대(24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는 하부개구(214)를 통해 하우징부(210)의 하측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 각각의 하단에는 제2 볼안착부(24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안착부(2435)는, 하측으로 개방되고 하측 일부가 수평으로 잘린 구형 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수직완충부(250)는, 한 쌍의 제2 볼안착부(2435) 각각을 통해 수직지지부(24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은 각각 수직애자(420) 및 수직완충부(250)를 통해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동지지부(20)는, 제2 수납부(212) 내에 배치되는 뒤틀림감지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뒤틀림감지부(350)는,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상호간의 높이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높이차가 기 결정된 기준 높이차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사이의 뒤틀림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뒤틀림감지부(350)는, 제2-2 지지대(2433)의 길이 방향 일단 상에 위치된 제1 거리센서부(351), 제2-2 지지대(2433)의 길이 방향 타단 상에 위치된 제2 거리센서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리센서부(351)는, 제2-2 지지대(2433)에서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 중 어느 하나의 제2-3 지지대(2434)가 연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2 지지대(2433)의 길이 방향 일단과 구획플레이트(213)의 하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거리센서부(352)는, 제2-2 지지대(2433)에서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 중 나머지 하나의 제2-3 지지대(2434)가 연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2 지지대(2433)의 길이 방향 타단과 구획플레이트(213)의 하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거리센서부(351) 및 제2 거리센서부(352)는, 예를 들어 IR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뒤틀림감지부(350)는, 제1 거리센서부(351) 및 제2 거리센서부(352)로부터 검출한 이격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점퍼선(JW1)과 제2 점퍼선(JW2) 사이의 뒤틀림 여부를 결정하는 뒤틀림연산부(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뒤틀림연산부(353)는, 제1 거리센서부(351) 및 제2 거리센서부(352)와 연결되어, 제1 거리센서부(351) 및 제2 거리센서부(352)로부터 각각의 거리센서부에서 측정한 이격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뒤틀림연산부(353)는, 제1 거리센서부(351)에 측정된 이격 거리 및 제2 거리센서부(352)에서 측정된 이격 거리의 차이 값을 기 결정된 기준 높이차와 비교할 수 있고, 측정된 이격 거리의 차이 값이 기 결정된 기준 높이차를 초과하는 경우, 뒤틀림연산부(353)는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사이에 과도한 뒤틀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결과를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뒤틀림감지부(350)에 의해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상호간에 과도한 높이차 또는 뒤틀림이 발생하였는지를 직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제어부(300)에 전달하여 외부의 관리자 단말(2)로 경보 발송할 수 있다. 제어부(300)와 관리자 단말(2) 상호간의 통신에 대해서는 아래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의 수직완충부(25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의 수직완충부(250)의 수직완충하우징(251)의 외면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의 수직완충부(250)의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간격유지하우징(261) 측 외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의 (b)는 수직완충부(25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 9의 (a)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동지지부(20)는, 수직지지부(240)와 수직애자(420) 사이에 위치된 수직완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직완충부(250)는, 한 쌍의 제2-3 지지대(2434)의 하단과 수직애자(420)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z)을 따라 길이가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완충부(25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각 수직완충부(250)는 각 제2-3 지지대(2434)의 하단과 각 수직애자(42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직완충부(250)는, 제2 볼회전구(2521), 제1 수직연결부(2522), 수직완충블록(253), 제2 수직연결부(254), 제1 수직완충부(250)재 및 제2 수직완충부(250)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회전구(2521)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볼안착부(2435)의 구형 홈에 내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구 형상의 제2 볼회전구(2521)는 제2 볼안착부(2435)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2 볼회전구(2521)는 제2 볼안착부(2435)에 대해 볼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직연결부(2522)는 제2 볼회전구(25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수직연결부(2522)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직연결부(2522)의 상단은 제2 볼회전구(25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직연결부(2522)는 그 길이 방향(z)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직완충블록(253)은 제1 수직연결부(2522)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완충하우징(251)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완충블록(253)은 수직완충하우징(251)에 내접하도록 위치되어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z)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직연결부(2522)는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z) 일단면(도면상 상단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연결부(254)는 수직완충블록(253)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수직연결부(254)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연결부(254)의 상단은 수직완충블록(253)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수직연결부(254)의 하단은 수직애자(4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연결부(254)는 그 길이 방향(z)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1 수직완충부재(2551)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수직완충하우징(251) 내에서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 일단면(도면상 상단면)과 수직완충블록(253)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 일단면과 수직완충블록(253)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 수직완충부재(2552)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수직완충하우징(251) 내에서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 타단면(도면상 하단면)과 수직완충블록(253)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 타단면과 수직완충블록(253)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 유지할 수 있다.
즉, 수직완충블록(253)은 제1-1 수직완충부재(2551) 및 제1-2 수직완충부재(2552)에 의해 수직완충하우징(251) 내에서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고, 외력이 작용되어 수직완충하우징(251) 내의 수직완충블록(253)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제1-1 수직완충부재(2551) 및 제1-2 수직완충부재(25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수직완충하우징(251)의 외면들 중 다른 수직완충하우징(251)에 대향하는 외면에는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형성된 수직가이드홈(2511)이 마련될 수 있고, 수직가이드홈(2511)의 길이는 수직완충하우징(251)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완충블록(253)의 수직가이드홈(2511) 측 외면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수직완충하우징(251) 측 방향(y)으로 제1 간격유지부재(2531)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유지부재(2531)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간격유지부재(2531)는 수직가이드홈(2511)을 통해 수직완충하우징(25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직완충블록(253)이 수직완충하우징(251) 내에서 상하 방향(z) 이동되는 경우, 제1 간격유지부재(2531)는 수직가이드홈(2511)을 따라 상하 방향(z) 이동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수직완충하우징(251)의 내측벽에는,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z)을 따라 상호 기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탄성걸림부재(25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완충블록(253)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완충블록(253)의 각 모서리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걸림부재(2512)는 수직완충블록(253)의 곡면으로 형성된 모서리부와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걸림부재(2512) 각각은, 소정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완충하우징(251)의 내측벽으로부터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 중심 축 측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z) 폭 크기가 좁아지는 삼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걸림부재(2512)는 수직완충하우징(251)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벽에서 길이 방향(z)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완충하우징(251)의 길이 방향(z)을 따라 이격 배치된 인접한 탄성걸림부재(2512) 상호 간의 이격 거리는, 수직완충블록(253)의 상하 방향(z) 폭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완충블록(253)은 수평 방향(x) 양측면 각각에서 상단 및 하단에 위치된 탄성걸림부재(2512)와 맞닿게 위치될 수 있고, 수직완충블록(253)이 수직완충하우징(251)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경우, 수직완충블록(253)이 상측의 다른 탄성걸림부재(2512)와 맞닿게 되거나 수직완충블록(253)이 상측의 다른 탄성걸림부재(2512)와 맞닿게 되면서 1차적인 완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제1 수직연결부(2522)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에 삽입되거나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된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 및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는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는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의 길이 방향(z)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의 상단 및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의 하단은 상호 걸림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의 하단은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의 상단에 의해 길이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가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의 내부 공간에서,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의 하단과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의 하단 사이에는 제2-1 수직완충부재(2561)가 위치될 수 있다. 제2-1 수직완충부재(2561)는 소정 탄성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제1-1 수직연결부재(2522a)에 대한 제1-2 수직연결부재(2522b)의 상대적 위치는 제2-1 수직완충부재(2561)에 의해 탄성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수직연결부(254)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1 수직연결부재(254a),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1 수직연결부재(254a)에 삽입되거나 제2-1 수직연결부재(254a)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된 제2-2 수직연결부재(2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수직연결부재(254a) 및 제2-2 수직연결부재(254b)는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2 수직연결부재(254b)는 제2-1 수직연결부재(254a)의 길이 방향(z)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1 수직연결부재(254a)의 하단 및 제2-2 수직연결부재(254b)의 상단은 상호 걸림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2 수직연결부재(254b)의 상단은 제2-1 수직연결부재(254a)의 하단에 의해 길이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2 수직연결부재(254b)가 제2-1 수직연결부재(254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1 수직연결부재(254a)의 내부 공간에서, 제2-1 수직연결부재(254a)의 상단과 제2-2 수직연결부재(254b)의 상단 사이에는 제2-2 수직완충부재(2562)가 위치될 수 있다. 제2-2 수직완충부재(2562)는 소정 탄성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제2-1 수직연결부재(254a)에 대한 제2-2 수직연결부재(254b)의 상대적 위치는 제2-2 수직완충부재(2562)에 의해 탄성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완충부(250)의 전체 길이는 탄성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신장 외력이 적용되거나 길이가 감소되는 방향으로의 압축 외력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외력 해제 시 원래의 길이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돌풍 또는 강풍 발생 시 점퍼선로(JW)에 큰 외력이 적용되는 경우, 수직완충부(250)의 길이가 탄성 변형되어 외력의 일부를 흡수하는바, 크로스암(F)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퍼선로(JW)에 적용되는 외력 특히 점퍼선로(JW)의 횡진을 유발하는 외력은, 제1-1 볼안착부(2411)와 제1-2 볼안착부(2421) 그리고 제1 볼회전구(2431)에 의해 형성된 볼 조인트 구조체, 그리고 제2 볼안착부(2435)와 제2 볼회전구(2521)에 의해 형성된 볼 조인트 구조체에서의 전방향 회전을 통해 일부 흡수될 수 있고, 외력이 크로스암(F)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동지지부(20)는, 한 쌍의 수직완충부(250) 사이에 위치된 간격유지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260)는,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사이의 이격 거리를 탄성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260)는, 상술한 한 쌍의 수직완충부(250) 사이에 위치되어 한 쌍의 수직완충부(250)를 수평 방향(y)으로 연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간격유지부(260)는 한 쌍의 제1 간격유지부재(2531)를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간격유지부(260)는, 간격유지하우징(261), 제2-1 간격유지부재(2621), 제3-1 볼회전구(2622), 제1 간격유지블록(2623), 제2-2 간격유지부재(2631), 제3-2 볼회전구(2632), 제2 간격유지블록(2633), 제1 탄성부재(2641), 제2 탄성부재(2642) 및 제3 탄성부재(26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간격유지부재(2531)의 길이 방향(y) 일단은 수직완충블록(253)에 결합되는 한편, 제1 간격유지부재(2531)의 길이 방향(y) 타단에는 제3 볼안착부(25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볼안착부(2532)는, 간격유지부(260) 측으로 개방되고 간격유지부(260) 측 일부가 지면에 수직한 평면으로 잘린 구형 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1 볼회전구(2622)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1 볼회전구(2622)는, 한 쌍의 수직완충부(250) 중 어느 하나의 수직완충부(250)의 제3 볼안착부(2532)의 구형 홈에 내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구 형상의 제3-1 볼회전구(2622)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수직완충부(250)의 제3 볼안착부(2532)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3-1 볼회전구(2622)는 제3 볼안착부(2532)에 대해 볼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1 간격유지부재(2621)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1 간격유지부재(2621)는 제3-1 볼회전구(2622)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수직완충부(250)를 향해 수평 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간격유지블록(2623)은 제2-1 간격유지부재(2621)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간격유지하우징(261)은 중공의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유지블록(2623)은 간격유지하우징(261)에 내접하도록 위치되어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간격유지하우징(261)은 그 길이 방향(y)이 제2-1 간격유지부재(2621)의 길이 방향(y)과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1 간격유지부재(2621)는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y) 일단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간격유지블록(2633)은 간격유지하우징(261)에 내접하도록 위치되어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간격유지블록(2623) 및 제2 간격유지블록(2633)은 모두 직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간격유지블록(2623) 및 제2 간격유지블록(2633) 간격유지하우징(261) 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2 간격유지부재(2631)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간격유지블록(2633)으로부터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y) 타단면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2 간격유지부재(2631)는 제2-1 간격유지부재(2621)와 동일한 길이 방향(y)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2 간격유지부재(2631)의 길이 방향(y) 말단에는 상술한 제3-2 볼회전구(263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2 간격유지부재(2631)의 길이 방향(y) 일단에는 제2 간격유지블록(2633)이 결합되고, 제2-2 간격유지부재(2631)의 길이 방향(y) 타단에는 제3-2 볼회전구(2632)가 결합될 수 있다.
제3-2 볼회전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2 볼회전구(2632)는, 한 쌍의 수직완충부(250) 중 나머지 하나의 수직완충부(250)의 제3 볼안착부(2532)의 구형 홈에 내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구 형상의 제3-2 볼회전구(2632)는 상술한 나머지 하나의 수직완충부(250)의 제3 볼안착부(2532)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3-1 볼회전구(2622)는 제3 볼안착부(2532)에 대해 볼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탄성부재(2641)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간격유지하우징(261) 내에서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y) 일단면과 제1 간격유지블록(2623) 사이에 위치되어,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 일단면과 제1 간격유지블록(2623)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재(2642)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간격유지하우징(261) 내에서 제1 간격유지블록(2623)과 제2 간격유지블록(2633) 사이에 위치되어, 제1 간격유지블록(2623)과 제2 간격유지블록(2633)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탄성부재(2643)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간격유지하우징(261) 내에서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y) 타단면과 제2 간격유지블록(2633) 사이에 위치되어, 간격유지하우징(261)의 길이 방향 타단면과 제2 간격유지블록(2633)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 유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간격유지블록(2623) 및 제2 간격유지블록(2633) 각각이 간격유지하우징(261)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간격유지부(260)의 전체 길이가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1 간격유지블록(2623) 및 제2 간격유지블록(2633)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해 간격유지부(260)의 길이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제1 탄성부재(2641), 제2 탄성부재(2642) 및 제3 탄성부재(2643)에 의해 간격유지하우징(261)에 대한 제1 간격유지블록(2623) 및 제2 간격유지블록(2633)의 상대적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는바, 간격유지부(260)의 전체 길이는, 제1 탄성부재(2641), 제2 탄성부재(2642) 및 제3 탄성부재(2643)의 탄성반발력이 균형을 이루는 기준 원위치(즉, 탄성반발력의 총 합이 0이 되는 기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중 어느 하나에만 외력이 작용되거나, 또는 제1 점퍼선(JW1) 및 제2 점퍼선(JW2) 중 어느 하나에 상대적으로 더 큰 외력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제1 점퍼선(JW1)과 제2 점퍼선(JW2)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점퍼선(JW1)과 제2 점퍼선(JW2)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거나, 제1 점퍼선(JW1)과 제2 점퍼선(JW2) 상호간의 배치 구조에 과도한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과 관리자 단말(2) 사이의 통신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1)은, 초음파발생부(340), 화재감지부(330) 및 무선통신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340)는 제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고, 기 결정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340)를 통해 조류가 점퍼선로(JW) 또는 송전선로(W)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시스템에 고정된 점퍼선로(JW) 또는 송전선로(W)가 조류에 의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초음파발생부(340)의 작동 세기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통신부(310)는, 제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2)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관리자 단말(2)이란, 스마트폰, 원격스위치 또는 PC 등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고 이동통신(4G, 5G)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방식으로 무선통신부(310)와 상호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무선통신부(310)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2)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무선통신부(310)를 통해 관리자 단말(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2)의 명령어를 수신함으로써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00)는 상술한 뒤틀림감지부(350)에서 제1 점퍼선(JW1)과 제2 점퍼선(JW2) 사이의 뒤틀림을 감지한 경우, 이를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점퍼선로(JW)를 빠르게 점검하고 보수하여 예기치 못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부(330)는 제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고, 화재 또는 연기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감지부(330)는 하우징부(210)의 하측면에 위치되어 기 결정된 거리 범위 이내의 화재 또는 연기 발생을 검출할 수 있고, 화재 또는 연기의 감지 시 제어부(300)로 경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화재감지부(330)는 연기, 열 감지 방식 등 다양한 화재감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숲 또는 건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화재감지부(330)는 상승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경보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화재감지부(330)로부터 화재경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외부의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해당 화재감지부(330)의 위치와 연관된 식별번호를 화재경보와 함께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은 상술한 식별번호를 통해 화재 또는 연기가 발생한 송전탑의 위치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자는 화재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10: 점퍼소켓
110: 제1 소켓부재
120: 제2 소켓부재
130: 스페이서
20: 구동지지부
210: 하우징부
211: 제1 수납부
212: 제2 수납부
213: 구획플레이트
214: 하부개구
220: 수평지지부
221: 수평구동부
2211: 구동부재
2212: 구동샤프트
2213: 웜기어
2214: 구동축지지부
222: 전달샤프트
2221: 웜휠부재
2222: 제1 피니언
2223: 제2 피니언
2224: 전달축지지부
223: 제1 래크부재
2231: 제1 래크가이드
224: 제2 래크부재
2241: 제2 래크가이드
230: 수평완충부
231: 힌지연결부
232: 수평완충하우징
233: 제1 수평연결부
234: 제1 수평완충판
235: 제2 수평연결부
236: 제2 수평완충판
237: 제1 수평완충부재
238: 제2 수평완충부재
240: 수직지지부
241: 제1-1 지지대
2411: 제1-1 볼안착부
242: 제1-2 지지대
2421: 제1-2 볼안착부
2431: 제1 볼회전구
2432: 제2-1 지지대
2433: 제2-2 지지대
2434: 제2-3 지지대
2435: 제2 볼안착부
244: 탄성지지부
250: 수직완충부
251: 수직완충하우징
2511: 수직가이드홈
2512: 탄성걸림부재
2521: 제2 볼회전구
2522: 제1 수직연결부
2522a: 제1-1 수직연결부재
2522b: 제1-2 수직연결부재
253: 수직완충블록
2531: 제1 간격유지부재
2532: 제3 볼안착부
254: 제2 수직연결부
254a: 제2-1 수직연결부재
254b: 제2-2 수직연결부재
2551: 제1-1 수직완충부재
2552: 제1-2 수직완충부재
2561: 제2-1 수직완충부재
2562: 제2-2 수직완충부재
260: 간격유지부
261: 간격유지하우징
2621: 제2-1 간격유지부재
2622: 제3-1 볼회전구
2623: 제1 간격유지블록
2631: 제2-2 간격유지부재
2632: 제3-2 볼회전구
2633: 제2 간격유지블록
2641: 제1 탄성부재
2642: 제2 탄성부재
2643: 제3 탄성부재
300: 제어부
310: 무선통신부
320: 풍속감지부
330: 화재감지부
340: 초음파발생부
350: 뒤틀림감지부
351: 제1 거리센서부
352: 제2 거리센서부
353: 뒤틀림연산부
410: 수평애자
420: 수직애자
50: 송전선소켓
F; 송전탑 크로스암
W1: 제1 송전선
W2: 제2 송전선
JW1: 제1 점퍼선
JW2: 제2 점퍼선
2: 관리자 단말

Claims (5)

  1. 송전탑의 수평 방향 일측에서 송전선로와 점퍼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점퍼소켓으로서, 상기 송전선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송전선 및 제2 송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점퍼선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점퍼선 및 제2 점퍼선을 포함하는 것인, 점퍼소켓;
    상기 송전탑에 설치되는 구동지지부;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송전선로를 연결하는 절연체의 수평애자;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점퍼선로를 연결하는 절연체의 수직애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점퍼소켓은,
    일단에서 상기 제1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1 점퍼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소켓부재;
    일단에서 상기 제2 송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2 점퍼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소켓부재; 및
    상기 제1 소켓부재 및 상기 제2 소켓부재를 연결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부재 및 상기 제2 소켓부재 각각의 길이는, 상기 점퍼선로 길이의 1/11 내지 1/8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지지부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수납된 수평지지부로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수평 방향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수평애자에 연결된 상기 송전선로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것인, 수평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하방 연장되고, 상기 수직애자에 연결된 상기 점퍼선로의 횡방향 회전을 억제하는 수직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감지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풍속감지부와 연결된 제어부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감지부로부터 검출된 풍속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지지부를 구동하여 상기 송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로 구획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납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부는 상기 제2 수납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는,
    구동부재, 상기 송전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양측에서 돌출된 한 쌍의 구동샤프트, 및 상기 구동샤프트 상에 마련된 웜기어를 포함하는 수평구동부;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샤프트의 돌출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달샤프트;
    상기 전달샤프트 상에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에 계합되는 웜휠부재;
    상기 전달샤프트 상에 상기 웜휠부재와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웜휠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달샤프트와 함께 일체로 회전되는 피니언; 및
    상기 구획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과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의 돌출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래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지지부는,
    상기 래크부재의 상기 송전선로측 말단과 상기 수평애자 사이에 위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 수평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제2 수납부의 지면에 수직한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수납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1-1 지지대;
    상기 제1-1 지지대의 말단에 형성되고, 반구형 홈을 갖는 제1-1 볼안착부;
    상기 제2 수납부의 지면에 수직한 타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수납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1-2 지지대;
    상기 제1-2 지지대의 말단에 형성되고 반구형 홈을 갖는 제1-2 볼안착부로서, 상기 제1-1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의 개방면과 상기 제1-2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의 개방면은 서로 대향하는 것인, 제1-2 볼안착부;
    상기 제1-1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 및 상기 제1-2 볼안착부의 반구형 홈 모두에 내접하도록 마련되고, 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볼회전구;
    상기 제1 볼회전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제2-1 지지대;
    상기 제2-1 지지대의 하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제2-2 지지대;
    상기 제2-2 지지대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3 지지대; 및
    상기 제2-1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납부의 지면에 수직한 측벽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제2-3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수직애자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이가 탄성 변형되는 한 쌍의 수직완충부;
    상기 한 쌍의 수직완충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점퍼선 및 상기 제2 점퍼선 사이의 이격 거리를 탄성 유지하도록 구성된 간격유지부; 및
    상기 제1 점퍼선 및 상기 제2 점퍼선 상호간의 높이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높이차가 기 결정된 기준 높이차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점퍼선 및 상기 제2 점퍼선 사이의 뒤틀림 발생을 검출하는 뒤틀림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로 연결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기 결정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발생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화재 또는 연기의 발생을 검출하는 화재감지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를 통해 화재 여부 또는 화재 가능성을 검출한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로 화재 경보를 전송하는 것인,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KR1020220039480A 2022-03-30 2022-03-30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KR10240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480A KR102403552B1 (ko) 2022-03-30 2022-03-30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KR1020220063807A KR102475045B1 (ko) 2022-03-30 2022-05-25 스페이서 일체형 점퍼소켓
KR1020220166187A KR102481116B1 (ko) 2022-03-30 2022-12-02 섬락 방지를 위한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480A KR102403552B1 (ko) 2022-03-30 2022-03-30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807A Division KR102475045B1 (ko) 2022-03-30 2022-05-25 스페이서 일체형 점퍼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552B1 true KR102403552B1 (ko) 2022-05-30

Family

ID=8179674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480A KR102403552B1 (ko) 2022-03-30 2022-03-30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KR1020220063807A KR102475045B1 (ko) 2022-03-30 2022-05-25 스페이서 일체형 점퍼소켓
KR1020220166187A KR102481116B1 (ko) 2022-03-30 2022-12-02 섬락 방지를 위한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807A KR102475045B1 (ko) 2022-03-30 2022-05-25 스페이서 일체형 점퍼소켓
KR1020220166187A KR102481116B1 (ko) 2022-03-30 2022-12-02 섬락 방지를 위한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03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121B1 (ko) * 2022-12-08 2023-09-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인장강도 유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5726A (ja) * 1993-10-27 1995-05-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狭線間架空送電線用ジャンパー装置
KR100899771B1 (ko) * 2009-03-07 2009-05-28 남도종합기술(주)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JP4514629B2 (ja) * 2005-03-15 2010-07-28 中国電力株式会社 電力線接続金具
KR20130046859A (ko) * 2011-10-28 2013-05-08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101877358B1 (ko) * 2018-02-07 2018-07-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선 고정용 압축 인류클램프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13951A (ko) 2018-07-31 2020-02-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종횡비 조절이 가능한 총알형 실리카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한 총알형 실리카 콜로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5726A (ja) * 1993-10-27 1995-05-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狭線間架空送電線用ジャンパー装置
JP4514629B2 (ja) * 2005-03-15 2010-07-28 中国電力株式会社 電力線接続金具
KR100899771B1 (ko) * 2009-03-07 2009-05-28 남도종합기술(주)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20130046859A (ko) * 2011-10-28 2013-05-08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101877358B1 (ko) * 2018-02-07 2018-07-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선 고정용 압축 인류클램프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13951A (ko) 2018-07-31 2020-02-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종횡비 조절이 가능한 총알형 실리카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한 총알형 실리카 콜로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121B1 (ko) * 2022-12-08 2023-09-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인장강도 유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116B1 (ko) 2022-12-27
KR102475045B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552B1 (ko) 점퍼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연결시스템
KR101620063B1 (ko) 상하굴절 완충수단을 가지는 이중 내진형 배전함
KR101759987B1 (ko) 가공 배전선의 완충식 연결 장치
CN207078306U (zh) 海底设备密封舱和海底设备
CN108092606B (zh) 一种防震动太阳能电池组件支架
CN217212970U (zh) 高压绝缘子检测机器人
CN212507671U (zh) 一种平衡型铁塔横担挂架
CN109994979B (zh) 一种多***导线束脱冰翻转防治装置
KR100771651B1 (ko) 변압용 가공배전기의 고정구조
CN214043964U (zh) 一种5g通信网络基站用户外天线
CN202260343U (zh) 一种万向可调式复合相间间隔棒装置
KR20150073144A (ko) 변전설비용 서킷 브레이커
CN112833309B (zh) 一种基于WiFi6技术的无线摄像仪
CN214368608U (zh) 一种电力柜底座
CN110880694B (zh) 一种带有减震式节能型电力柜
CN212811815U (zh) 一种建筑智能化安防监控装置
CN210669192U (zh) 弱电智能控制箱
CN215070367U (zh) 一种具有组合隔震减震结构的大型天线
CN107681603B (zh) 具有绝缘功能的高空电缆减震器
CN214365312U (zh) 一种电子信息通信塔固定座
CN214958568U (zh) 一种轻质抗挤压的铝合金母线槽
CN213815343U (zh) 一种用于组合大屏幕的简易隔震***
CN204596084U (zh) 自然灾害监测装置及其监测防护报警***
CN111030020A (zh) 一种触发式防舞器、导线舞动监测装置和方法
CN215664709U (zh) 一种防震耐用的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