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010B1 -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 Google Patents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010B1
KR102402010B1 KR1020210171061A KR20210171061A KR102402010B1 KR 102402010 B1 KR102402010 B1 KR 102402010B1 KR 1020210171061 A KR1020210171061 A KR 1020210171061A KR 20210171061 A KR20210171061 A KR 20210171061A KR 102402010 B1 KR102402010 B1 KR 10240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module
steel
flange
modu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선
진주호
김성진
김태정
박구연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우리안
코오롱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우리안, 코오롱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to PCT/KR2021/0195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39426A1/ko
Priority to AU2021410522A priority patent/AU202141052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보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성 채널부재로 이루어진 제1, 2빔모듈 및 제1, 2빔모듈의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자재 수급이 용이하고 별도의 가공 성형을 최소화하며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구조 성능이 우수한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하부플랜지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되어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성 채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빔모듈;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하부플랜지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되어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성 채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빔모듈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빔모듈; 및 상기 제1빔모듈의 채널부재와 제2빔모듈의 채널부재의 하부플랜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제1빔모듈과 제2빔모듈의 하부면에 고정되되, 제2빔모듈의 채널부재 하부플랜지와 결합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랜지의 경사진 내측면의 결합볼트에는 하부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 와셔인 와셔 부재가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Steel beams for composite beam of steel and concrete using ready-made channels}
본 발명은 강재보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성 채널부재로 이루어진 제1, 2빔모듈 및 제1, 2빔모듈의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자재 수급이 용이하고 별도의 가공 성형을 최소화하며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구조 성능이 우수한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공법 현장에서는 부재 형상에 맞게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 부재를 시공한다. 이러한 재래식 철근콘크리트 공법은 노동 집약적이고, 품질 확보가 어려우며, 가설재 설치 및 해체 공정으로 인해 공기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거푸집 지지를 위해 다수의 동바리가 필요하여 작업자 이동이 곤란하다.
이에 종래 재래식 철근콘크리트 공법을 대체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PC 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PC 공법은 자재 중량이 무거워 인양장비의 최대 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세분화된 양중계획이 필요하고, 주요 부재 설치 시 크레인 거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부재 제작 시간이 오래 걸려 원활한 공급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설 거푸집 대신 강재를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하는 강콘크리트 합성 구조를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보 부재는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의 강재보를 설치하고, 강재보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강재보는 영구거푸집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보의 주근 및 스터럽 역할을 하므로 내부의 철근 배근을 대폭 감소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강콘크리트 합성 구조는 부재의 중량이 가벼워 양중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주요 부재 설치 시 크레인 거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접합부가 일체 타설되므로 접합부 균열이나 부재 파손 우려가 적다. 또한, 부재 제작 기간이 길지 않아 부재 공급이 원활하고, 제작 시 부재 크기나 형상 변화가 용이하다.
이러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는 주로 강판을 절곡하거나 용접하여 제작한다(등록특허 제10-1458308호, 제10-1456366호 등).
이 중 강판을 절곡하여 강재보를 제작하는 경우, 주로 두께가 얇은 강판을 냉간 압연에 의해 절곡한다. 이 방법은 원하는 치수로 자유롭게 부재를 제작할 수 있는 반면, 절곡 가능한 판 두께에 한계가 있다.
즉, 강판의 두께가 두꺼우면, 자재비 및 가공비가 많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반대로 강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 콘크리트 측압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가설재가 필요하다. 그리고 휨 내력 부족으로 내부 철근 배근량을 늘리거나 철골보를 추가 배치하여야 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진다.
또한, 용접에 의해 제작되는 built-up 빔은 고가의 자동 용접 장비가 필요하고, 용접 시 강재의 소성 변형 우려가 있으며, 용접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재 수급이 용이하고, 별도의 가공 성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용접 공정 생략으로 제작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구조 성능이 우수한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하부플랜지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되어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성 채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빔모듈;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하부플랜지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되어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성 채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빔모듈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빔모듈; 및 상기 제1빔모듈의 채널부재와 제2빔모듈의 채널부재의 하부플랜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제1빔모듈과 제2빔모듈의 하부면에 고정되되, 제2빔모듈의 채널부재 하부플랜지와 결합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랜지의 경사진 내측면의 결합볼트에는 하부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 와셔인 와셔 부재가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빔모듈과 제2빔모듈은 각각 적어도 2단 이상의 기성 채널부재를 상하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빔모듈과 제2빔모듈은 각각 상하부 채널부재가 결합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제1빔모듈의 상부 채널부재와 제2빔모듈의 상부 채널부재는 대응되는 하부플랜지에 체결된 결합볼트에 양단이 결합되는 타이플레이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타이플레이트는 양측에 상기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제1볼트결합공과 제2볼트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볼트결합공은 제1빔모듈 측의 결합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볼트결합공은 타이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제2빔모듈 측의 결합볼트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2볼트결합공의 일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채널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볼트에는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 와셔인 와셔 부재가 플랜지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재보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 2빔모듈 및 제1, 2빔모듈의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성 채널부재를 그대로 제1, 2빔모듈에 사용 가능하므로, 자재 수급이 용이하고 별도의 가공 성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이 우수하다.
둘째, 단면 성능이 우수한 기성 채널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강재보에 작용하는 휨 응력에 따라 하부플레이트의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구조 성능 확보 및 경제적 단면 형성이 가능하다.
셋째, 2단 이상의 기성 채널부재를 상하로 연결하여 빔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춤이 큰 강재보에도 적용 가능하다.
넷째, 좌우로 분할된 제1, 2빔모듈을 데크플레이트와 일체로 구성하여 선조립 모듈을 형성하는 경우, 복수 매의 데크플레이트와 강재보를 구성하는 제1, 2빔모듈을 일괄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데크플레이트의 판개 작업을 공장 또는 지상 작업장에서 미리 진행하므로, 작업 안전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강재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분리형 강재보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화된 선조립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이웃하는 선조립 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이웃하는 선조립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분리형 강재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타이플레이트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타이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타이플레이트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강재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는 상부플랜지(31)와 하부플랜지(32) 및 상하부플랜지(31, 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33)로 구성되는 기성 채널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빔모듈(3);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42) 및 상하부플랜지(41, 4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43)로 구성되는 기성 채널부재(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빔모듈(3)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빔모듈(4); 및 상기 제1빔모듈(3)의 채널부재(30)와 제2빔모듈(4)의 채널부재(40)의 하부플랜지(32, 42)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플레이트(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재 수급이 용이하고, 별도의 가공 성형을 최소화하며,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구조 성능 또한 우수한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플레이트(5)로 구성된다.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은 강재보(2)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각 채널부재(30,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빔모듈(3)을 구성하는 채널부재(30)는 상부플랜지(31)와 하부플랜지(32) 및 상하부플랜지(31, 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33)로 구성되어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빔모듈(4)을 구성하는 채널부재(40)는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42) 및 상하부플랜지(41, 4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43)로 구성되어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채널부재(30, 40)는 열간압연에 의해 생산되는 구조용 강재인 기성 형강재로, ㄷ형강이라고도 한다.
기성 형강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단면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대량 생산되므로 자재비가 낮고, 자재 수급이 용이하다.
이에 강재보(2) 제작 시, ㄷ형 단면의 채널부재(30, 40)를 별도의 가공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용접 공정 없이 제작할 수 있고, 가공비와 가공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더욱이 주문 길이 생산 체제로 공급되므로, 자재 손실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은 단면상 좌우로 상호 이격되어,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을 구성하는 채널부재(30, 40)는 상부플랜지(31, 41)와 하부플랜지(32, 42)가 외부로 향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강재보(2)는 영구거푸집으로 존치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성이나 내부 콘크리트(C)와의 일체성 도모 등을 위해 상부플랜지(31, 41)와 하부플랜지(32, 42)는 부재 내측을 향하도록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의 하부는 하부플레이트(5)로 연결되어, 강재보(2)는 전체적으로 U자형 단면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별도의 절곡 없이 평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강재보(2)의 폭에 따라 적절한 폭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제1빔모듈(3) 및 제2빔모듈(4)과 별도의 자재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강재보(2)에 작용하는 휨 응력에 따라 하부플레이트(5)의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경제적 단면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채널부재(30, 40)의 내측면에는 콘크리트(C)와의 일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쉬어스터드(ST)가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은 각각 적어도 2단 이상의 기성 채널부재(30a, 30b, 40a, 40b)를 상하로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형강재인 채널부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공장 제작 형강재는 부재의 크기가 한정적이다.
따라서 춤이 큰 강재보(2)가 필요한 경우에는 기성 채널부재를 상하로 서로 접합하여 하나의 빔모듈(3, 4)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기존에 생산되는 여러 타입의 형강재를 다단으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춤의 강재보(2)를 형성 가능하다.
상기 제1빔모듈(3)의 상하로 접합되는 채널부재(30a, 30b)의 플랜지(31a, 32b)는 강재보(2)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매립되어, 콘크리트(C)와의 일체성을 높임으로써 구조 성능을 향상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빔모듈(4)의 상하로 접합되는 채널부재(40a, 40b)의 플랜지(41a, 42b)는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매립되어, 콘크리트(C)와의 일체성을 높임으로써 구조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분리형 강재보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화된 선조립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이웃하는 선조립 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이웃하는 선조립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분리형 강재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의 하부면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제2빔모듈(4)의 채널부재(40) 하부플랜지(42)와 결합볼트(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보 상부에 슬래브 시공 시, 가설 거푸집 대신 영구거푸집인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 강콘크리트 합성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보 구조물은 기둥 사이나 기둥 사이에 설치된 거더 사이에 강재보를 먼저 설치하고, 이웃하는 강재보 사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강재보 내부와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순서로 시공하였다.
이때,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는 복수의 매로 적층된 데크플레이트들을 강재보 상부에 적치한 다음, 각 데크플레이트들을 설치 위치에 판개하고, 데크플레이트를 강재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이 경우 강재보와 데크플레이트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데다 개별 데크플레이트들을 각자 판개하여야 하므로,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데크플레이트 판개 작업은 강재보 상부에서 고소 작업으로 수행되므로, 작업자 추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 강재보와 데크플레이트를 각각 별도로 시공하는 공법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강재보(2)를 좌우로 분할하여 분할된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을 데크플레이트(7)와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선조립 모듈(1)을 형성할 수 있다(도 4).
이에 상기 데크플레이트(7)의 양단 하부에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이 구비된 선조립 모듈(1)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제1빔모듈(3) 및 제2빔모듈(4)이 각각 인접하는 선조립 모듈(1)의 제2빔모듈(4) 및 제1빔모듈(3)과 접합되어 강재보(2)를 형성하게 된다(도 5, 도 6).
이 경우 상기 하부플레이트(5)가 제1빔모듈(3)의 하부에 미리 조립된 상태로 선조립 모듈(1)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후 설치되는 선조립 모듈(1)의 제2빔모듈(4)을 상기 하부플레이트(5)의 상부에 거치한 상태에서, 제2빔모듈(4)을 구성하는 채널부재(40)의 하부플랜지(42)와 하부플레이트(5)를 결합볼트(6)로 현장 체결하여 제2빔모듈(4)을 하부플레이트(5)와 결합할 수 있다(도 7).
이와 같이 분할된 강재보(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조립 모듈(1)을 사용하면, 복수 매의 데크플레이트(7)와 강재보(2)를 구성하는 제1, 2빔모듈(3, 4)이 일체화된 전체 선조립 모듈(1)을 일괄 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중 횟수를 대폭 줄이고, 시공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안전사고 우려가 큰 데크플레이트 판개 작업이 공장 또는 지상 작업장에서 미리 이루어지므로 작업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기존 데크플레이트 공법은 작업자가 일일이 판개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자가 취급할 수 있는 중량을 고려하여야 했다. 이에 개별 데크플레이트의 크기에 한계가 있어 장스팬 슬래브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작업자의 데크플레이트 판개 작업이 생략된다. 아울러 장비에 의해 데크플레이트(7)가 강재보(2)와 함께 일괄 설치되므로, 데크플레이트(7)의 크기 제한이 없어 장스팬 슬래브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용접(W) 또는 볼트 결합에 의하여 제1빔모듈(3)에 미리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볼트 결합을 위한 결합볼트(6)는 강재보(2)의 하부에서 일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일방향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타이플레이트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은 각각 상하부 채널부재(30a와 30b, 40a와 40b)가 결합볼트(6)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제1빔모듈(3)의 상부 채널부재(30b)와 제2빔모듈(4)의 상부 채널부재(40b)는 대응되는 하부플랜지(32b, 42b)에 체결된 결합볼트(6)에 양단이 결합되는 타이플레이트(8)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U형 단면의 강재보(2)는 데크플레이트 작업하중이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 등에 의해 좌우 웨브가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ㄷ형강인 채널부재를 다단 적층하여 빔모듈(3, 4)을 형성하는 경우, 빔모듈(3, 4)의 중간에 구비되는 상부 채널부재(30b, 40b)의 하부플랜지(32b, 42b)를 이용하여 좌우 빔모듈(3, 4)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강재보(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상하부 채널부재(30a와 30b, 40a와 40b)를 결합하기 위해 체결되는 결합볼트(6)에 타이플레이트(8)의 양단을 각각 고정함으로써, 용접 공정 없이 강재보(2)의 웨브를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타이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타이플레이트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플레이트(8)는 양측에 상기 결합볼트(6)가 체결되는 제1볼트결합공(81)과 제2볼트결합공(8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볼트결합공(81)은 제1빔모듈(3) 측의 결합볼트(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볼트결합공(82)은 타이플레이트(8)의 회전에 의해 제2빔모듈(4) 측의 결합볼트(6)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2볼트결합공(82)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강재보(2)를 좌우 분할형으로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7)와 일체화된 선조립 모듈(1)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타이플레이트(8)는 인접하는 좌우 선조립 모듈(1)을 설치한 후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타이플레이트(8)의 시공 누락을 방지하고, 자재 관리가 편리하도록 타이플레이트(8)를 선조립 모듈(1)의 제작 단계에서 선조립 모듈(1)에 미리 조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타이플레이트(8)의 양측에 제1볼트결합공(81)과 제2볼트결합공(82)을 각각 형성하고, 제1볼트결합공(81)은 제1빔모듈(3)의 상하부플랜지(31a, 32b)를 상호 고정하는 결합볼트(6)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이플레이트(8)는 선조립 모듈(1)의 설치 전 미리 제1빔모듈(3)에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조립 모듈(1)의 제2빔모듈(4)에는 상하부플랜지(41a, 42b)의 접합을 위한 결합볼트(6)만 체결된 상태이다.
이웃하는 선조립 모듈(1) 설치 시 타이플레이트(8)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타이플레이트(8)의 제1볼트결합공(81)은 제1빔모듈(3) 측 플랜지(31a, 32b)에 결합된 결합볼트(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빔모듈(3) 측으로 타이플레이트(8)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인접하는 선조립 모듈(1)을 설치할 수 있다(도 10의 (a)). 이후, 상기 타이플레이트(8)를 제2빔모듈(4) 측 플랜지(41a, 42b)에 결합된 결합볼트(6) 쪽으로 회전시켜 제2볼트결합공(82)을 상기 결합볼트(6)에 결합할 수 있다(도 10의 (b) 및 (c)).
이를 위해 상기 제2볼트결합공(82)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결합볼트(6)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상기 결합볼트(6)가 미리 체결된 상태에서 타이플레이트(8)의 제2볼트결합공(82)을 제2빔모듈(4) 측의 결합볼트(6)에 결합하기 위해, 제2빔모듈(4) 측의 결합볼트(6)는 완전히 조이지 않은 상태로 설치하였다가 타이플레이트(8)의 제2볼트결합공(82)이 결합된 후 본조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타이플레이트(8)의 단부가 나중에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결합볼트(6)들은 미리 본조임하여 상하부 채널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부재(30, 30a, 30b, 40, 40a, 40b)는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트(6)에 체결되는 와셔 부재(9) 중 플랜지 내측면에 설치되는 와셔 부재(9)는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 와셔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채널부재는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의 두께가 바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사 두께로 이루어진 ㄷ형강일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볼트(6)의 헤드나 결합볼트(6)에 체결되는 너트가 플랜지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아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결합볼트(6)가 체결되는 플랜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플랜지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로 일면이 경사진 와셔 부재(9)를 사용함으로써 결합볼트(6)가 견고하게 채널부재의 상하부플랜지들을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1: 선조립 모듈
2: 강재보
3: 제1빔모듈
30, 30a, 30b: 채널부재
31, 31a, 31b: 상부플랜지
32, 32a, 32b: 하부플랜지
33, 33a, 33b: 웨브
4: 제2빔모듈
40, 40a, 40b: 채널부재
41, 41a, 41b: 상부플랜지
42, 42a, 42b: 하부플랜지
43, 43a, 43b: 웨브
5: 하부플레이트
6: 결합볼트
7: 데크플레이트
8: 타이플레이트
81: 제1볼트결합공
82: 제2볼트결합공
9: 와셔 부재
C: 콘크리트
ST: 쉬어스터드
W: 용접

Claims (6)

  1. 상부플랜지(31)와 하부플랜지(32) 및 상하부플랜지(31, 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33)로 구성되어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성 채널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빔모듈(3);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42) 및 상하부플랜지(41, 4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웨브(43)로 구성되어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성 채널부재(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빔모듈(3)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빔모듈(4); 및
    상기 제1빔모듈(3)의 채널부재(30)와 제2빔모듈(4)의 채널부재(40)의 하부플랜지(32, 4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의 하부면에 고정되되, 제2빔모듈(4)의 채널부재(40) 하부플랜지(42)와 결합볼트(6)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랜지(42)의 경사진 내측면의 결합볼트(6)에는 하부플랜지(42)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 와셔인 와셔 부재(9)가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2. 제1항에서,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은 각각 적어도 2단 이상의 기성 채널부재(30a, 30b, 40a, 40b)를 상하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제1빔모듈(3)과 제2빔모듈(4)은 각각 상하부 채널부재(30a와 30b, 40a와 40b)가 결합볼트(6)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제1빔모듈(3)의 상부 채널부재(30b)와 제2빔모듈(4)의 상부 채널부재(40b)는 대응되는 하부플랜지(32b, 42b)에 체결된 결합볼트(6)에 양단이 결합되는 타이플레이트(8)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5. 제4항에서,
    상기 타이플레이트(8)는 양측에 상기 결합볼트(6)가 체결되는 제1볼트결합공(81)과 제2볼트결합공(8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볼트결합공(81)은 제1빔모듈(3) 측의 결합볼트(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볼트결합공(82)은 타이플레이트(8)의 회전에 의해 제2빔모듈(4) 측의 결합볼트(6)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2볼트결합공(82)의 일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6. 제4항에서,
    상기 상하부 채널부재(30a와 30b, 40a와 40b)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볼트(6)에는 플랜지 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 와셔인 와셔 부재(9)가 플랜지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KR1020210171061A 2020-12-23 2021-12-02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KR10240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9540 WO2022139426A1 (ko) 2020-12-23 2021-12-21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및 데크-빔 일체형 선조립 모듈
AU2021410522A AU2021410522A1 (en) 2020-12-23 2021-12-21 Steel beam for steel concrete synthetic beam and deck beam integrated prefabricated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1654 2020-12-23
KR1020200181654 2020-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010B1 true KR102402010B1 (ko) 2022-05-26

Family

ID=8180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061A KR102402010B1 (ko) 2020-12-23 2021-12-02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944B1 (ko) * 2014-08-27 2015-04-16 강병구 조립식 대형 합성보
KR101615853B1 (ko) * 2015-06-02 2016-04-26 신영관 강 합성 거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944B1 (ko) * 2014-08-27 2015-04-16 강병구 조립식 대형 합성보
KR101615853B1 (ko) * 2015-06-02 2016-04-26 신영관 강 합성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401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EP1383962B1 (en)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JP4347500B2 (ja) 橋桁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JP2003268719A (ja) 鋼・コンクリート複合桁及びその架設方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60918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구조
JP2006009449A (ja) トラスパネル桁およびプレキャストトラスパネル
KR101940876B1 (ko)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2010B1 (ko) 기성 채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보
JP267119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床版
CN111172854A (zh) 用于装配化箱形uhpc受压构件的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KR100639153B1 (ko) 횡력 지지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
KR102438145B1 (ko) 데크-빔 일체형 선조립 모듈
CN210459550U (zh) 钢筋混凝土柱与无梁楼盖的连接节点
JPH11293626A (ja) 橋梁構造
CN113356371A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体系的施工方法
JPH09221706A (ja) 路面用床版およびその敷設工法
KR20080004752U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AU2021410522A1 (en) Steel beam for steel concrete synthetic beam and deck beam integrated prefabricated module
AU2021410522A9 (en) Steel beam for steel concrete synthetic beam and deck beam integrated prefabricated module
JP2697532B2 (ja) 建築架構の構築方法
JPH11303022A (ja) 橋梁用合成床版
KR101457796B1 (ko) 철골 골조와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복합구조 건축물
KR200166886Y1 (ko) 강콘크리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