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323B1 - 만두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만두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323B1
KR102397323B1 KR1020200030730A KR20200030730A KR102397323B1 KR 102397323 B1 KR102397323 B1 KR 102397323B1 KR 1020200030730 A KR1020200030730 A KR 1020200030730A KR 20200030730 A KR20200030730 A KR 20200030730A KR 102397323 B1 KR102397323 B1 KR 10239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lid
supply
dumplings
du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241A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0003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3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성형틀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와, 성형부에 만두피를 제공하는 투입부와, 만두피에 덩어리 형태의 고형만두소를 제공하는 공급부와, 만두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고형만두소가 들어간 만두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대량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성형장치{DUMPLING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만두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덩어리로 이루어진 고형만두소를 각각의 만두피에 투입하여 성형할 수 있는 만두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만두성형틀이 평면적으로 회전하면서 만두를 성형하는 회전식(rotary type) 만두제조기는 기대의 상부에 턴테이블(turn table)과 감속모터 및 원통캠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을 설치하여 감속모터와 원통캠에 의해 턴테이블이 간헐 회전하도록 하고, 턴테이블의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만두성형틀을 등간격으로 빙둘러 설치하여 턴테이블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며, 턴테이블의 주변에는 만두피 공급장치와, 만두소 공급장치와, 만두실링(sealing)장치와, 만두배출장치와, 이송컨베이어를 각각 설치하고, 만두성형틀의 내외부에는 적정 기울기로 낮아지고 또한 높아지는 환형의 캠레일을 빙둘러 설치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 2016-001007100호에서는 턴테이블에 복수의 성형틀을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턴테이블에 만두피 성형 공급부와 만두속 충진부와 만두피 봉합부 및 만두 취출부를 각각 마련하여, 만두의 제조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떡, 치즈, 소세지와 같이 덩어리로 이루어진 고형만두소를 만두피에 자동으로 공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1707호(2018.11.16. 등록, 발명의 명칭 : 만두 성형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덩어리로 이루어진 고형만두소를 각각의 만두피에 투입하여 성형할 수 있는 만두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성형장치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성형틀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에 만두피를 제공하는 투입부; 상기 만두피에 덩어리 형태의 고형만두소를 제공하는 공급부; 및 상기 만두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공급베이스부;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투입되는 공급호퍼부; 및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부에 저장된 상기 고형만두소를 인출하여 상기 만두피에 공급하는 공급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베이스부는 베이스수평부; 상기 베이스수평부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베이스바퀴부; 상기 베이스수평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수직부; 및 상기 베이스수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호퍼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저장되며, 저면이 경사를 갖는 호퍼저장부; 및 상기 호퍼저장부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호퍼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이동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되는 구동풀리부;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구동풀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종동풀리부;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종동풀리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지지풀리부; 상기 구동풀리부와, 상기 종동풀리부와, 상기 지지풀리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인부; 및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개별 이송하는 이동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블록부는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는 블록결합부; 상기 블록결합부에서 일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삽입된 상기 고형만두소를 감싸는 블록돌기부; 및 상기 블록결합부에서 타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형만두소의 유입을 유도하는 블록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이동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공급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유도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상기 이동블록부에 정렬시키는 제1유도부; 및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제2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도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유도고정부; 및 상기 제1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상기 이동블록부의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제1유도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도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2유도지지부; 상기 제2유도지지부에 장착되는 제2유도판부; 상기 제2유도판부에 장착되는 제2유도고정부; 및 상기 제2유도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도록 굴곡된 하나 이상의 제2유도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고형만두소를 상기 만두피로 유도하는 공급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출구부는 상기 공급이동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출구슈트부; 및 상기 출구슈트부에 저장된 상기 고형만두소를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출구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슈트부는 상기 공급이동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고형만두소가 유입되는 슈트투입부; 상기 슈트투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슈트안내부; 상기 슈트안내부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형만두소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낙하부; 및 상기 슈트낙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상기 슈트낙하부에 대기하도록 유도하는 슈트대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작동부는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작동조절부; 및 상기 작동조절부에 의해 하방 이동되면서 상기 출구슈트부에 대기중인 상기 고형만두소를 하방 이동시키는 작동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가압부는 상기 작동조절부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압연결부; 및 상기 가압연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구슈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출구슈트부에 대기중인 상기 고형만두소를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가압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성형장치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만두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성형장치는 고형만두소를 만두피에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으므로, 고형만두소가 들어간 만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특히, 고형만두소가 하나씩 만두피에 공급되도록 유도하여 고형만두소의 다량 투입에 의한 만두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호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호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블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출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출구부에 고형만두소가 대기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출구부에 대기중인 고형만두소가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에서 감지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만두성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1)는 성형부(10)와, 투입부(20)와, 공급부(30)와, 배출부(40)를 포함한다.
성형부(10)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성형틀(11)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만두를 성형한다. 일예로, 성형부(10)는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가 구동되어 테이블이 회전되면서 성형틀(11)이 설정된 경로 상으로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성형틀(11)은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을 통해 안착된 만두피를 성형할 수 있다. 그 외, 성형몰드(12)가 만두소가 투입된 만두피를 만두 형상이 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
투입부(20)는 성형부(10)에 만두피를 제공한다. 일예로, 투입부(2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성형틀(11)이 펼쳐진 상태일 때 만두피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30)는 만두피에 덩어리 형태의 고형만두소(100)를 제공한다. 일예로, 공급부(30)는 성형틀(11)의 형상에 따라 1회 제공되는 고형만두소(10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배출부(40)는 고형만두소(100)가 내장된 만두를 목적지로 이동시킨다. 일예로, 배출부(40)는 성형 완료된 만두를 조리하거나 보관시키기 위한 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성형장치(1)는 성형부(10)에 투입된 고형만두소(100)가 안착된 후 만두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고형만두소(100)는 소세지, 떡, 치즈 등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부(10)와, 투입부(20)와, 배출부(40)는 만두 성형을 위한 구체적인 형상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회전되면서 만두를 성형하는 만두성형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30)는 공급베이스부(60)와, 공급호퍼부(70)와, 공급이동부(80)를 포함한다.
공급베이스부(60)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목적지로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공급베이스부(60)는 성형부(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급호퍼부(70)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고형만두소(100)가 투입된다. 일예로, 공급호퍼부(70)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다량의 고형만두소(100)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부(10)에서 동시에 성형되는 만두 개수와 대응되도록 저장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공급이동부(80)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공급호퍼부(70)에 저장된 고형만두소(100)를 인출하여 만두피에 공급한다. 일예로, 공급이동부(80)는 공급호퍼부(70)에 저장된 고형만두소(10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고, 만두피가 안착된 성형부(10)의 상방에서 고형만두소(100)를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베이스부(60)는 베이스수평부(61)와, 베이스바퀴부(62)와, 베이스수직부(63)와, 베이스패널부(64)를 포함한다.
베이스수평부(61)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베이스바퀴부(62)는 베이스수평부(61)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다. 일예로, 베이스바퀴부(62)가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면 공급베이스부(60)가 목적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바퀴부(62)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목적지에서 공급베이스부(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수직부(63)는 베이스수평부(61)에 결합되고, 상하로 배치된다. 일예로, 베이스수직부(63)의 하단부는 베이스수평부(6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수직부(63)는 필요에 따라 길이가 가변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부(64)는 베이스수직부(63)에 장착된다. 일예로, 베이스패널부(64)는 베이스수직부(63)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공급호퍼부(70)와 공급이동부(80)가 장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호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호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호퍼부(70)는 호퍼저장부(71)와, 호퍼구획부(72)를 포함한다.
호퍼저장부(71)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고형만두소(100)가 저장되며, 저면이 경사를 갖는다. 일예로, 호퍼저장부(71)는 저면부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투입된 고형만두소(100)를 우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저장바닥부(711)와, 저장바닥부(711)의 측면을 커버하는 저장측벽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측벽부(712)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우측이 개방되어 고형만두소(100)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고형만두소(100)는 공급이동부(80)에 실려 목적지로 이동될 수 있다.
호퍼구획부(72)는 호퍼저장부(71)에 장착되고, 호퍼저장부(7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고형만두소(100)를 안내한다. 일예로, 호퍼구획부(72)는 저장측벽부(712) 사이에 배치되고 저장바닥부(711)에 결합되어 저장측벽부(712) 사이 공간을 2개로 구획할 수 있다. 한편, 호퍼구획부(72)의 개수에 따라 구획 공간이 조절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이동부(80)는 구동풀리부(81)와, 종동풀리부(82)와, 지지풀리부(83)와, 이동체인부(84)와, 이동블록부(85)를 포함한다.
구동풀리부(81)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된다. 일예로, 구동풀리부(81)는 베이스패널부(6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종동풀리부(82)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구동풀리부(8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종동풀리부(82)는 베이스패널부(6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구동풀리부(81)와 종동풀리부(82)는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풀리부(83)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종동풀리부(82)의 하방에 배치된다. 일예로, 지지풀리부(83)는 베이스패널부(6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풀리부(83)는 종동풀리부(82)의 수직선상에 배치되되, 중심축은 저장바닥부(711)의 하단부와 동일하거나 저장바닥부(711)의 하단부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풀리부(81)와, 종동풀리부(82)와, 지지풀리부(83)를 가상으로 연결하면 직각 삼각형이 될 수 있다.
이동체인부(84)는 구동풀리부(81)와, 종동풀리부(82)와, 지지풀리부(83)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블록부(85)는 이동체인부(84)에 장착되고, 고형만두소(100)를 개별 이송한다. 일예로, 이동블록부(85)는 이동체인부(8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이어 배치되고, 호퍼저장부(71)에서 배출되는 고형만두소(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2개의 성형틀(11)이 동시 구동되어 만두를 성형한다면, 이동블록부(85)는 분리된 2개의 고형만두소(100)를 각각의 성형틀(11)에 안착된 만두피에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블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블록부(85)는 블록결합부(851)와, 블록돌기부(852)와, 블록유도부(853)를 포함한다.
블록결합부(851)는 이동체인부(84)에 장착되고, 블록돌기부(852)는 블록결합부(851)에서 일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삽입된 고형만두소(100)를 감싼다. 그리고, 블록유도부(853)는 블록결합부(841)에서 타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고형만두소(100)의 유입을 유도한다.
일예로, 블록결합부(851)는 막대 형상을 하여 이동체인부(84)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블록돌기부(852)는 블록결합부(851)의 좌측상단에 배치되며, 블록유도부(853)는 블록결합부(851)의 우측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돌기부(852)는 원통 형상을 하는 고형만두소(100)의 높이 대비 60% 내지 90%가 되도록 설계되고, 상하로 이동되는 블록돌기부(852)와 블록유도부(853) 사이로 삽입된 고형만두소(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유도부(853)는 고형만두소(100)의 높이 대비 40% 내지 60%가 되도록 설계되고, 하방으로 이동될 때 고형만두소(100)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2개의 고형만두소(100)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블록결합부(851)의 양단부에 블록돌기부(852)와 블록유도부(85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이동부(80)는 공급유도부(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유도부(86)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고형만두소(100)를 안내한다. 공급유도부(86)는 제1유도부(861)와 제2유도부(862)를 포함한다.
제1유도부(861)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고형만두소(100)를 이동블록부(85)에 정렬시킨다. 일예로, 이동블록부(85)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한 쌍의 고형만두소(100)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유도부(861)는 제1유도고정부(8611)와 제1유도판부(8612)를 포함한다. 제1유도고정부(8611)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이동블록부(85)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유도판부(8612)는 제1유도고정부(8611)에 장착되고, 고형만두소(100)가 이동블록부(85)의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한 쌍의 제1유도판부(8612) 사이 거리는 블록돌기부(852) 또는 블록유도부(853)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유도판부(8612)는 단부로 갈수록 서로간의 간격이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이동블록부(85)의 정위치에서 이탈된 고형만두소(100)를 정위치, 즉 블록돌기부(852)와 블록유도부(853) 사이 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2유도부(862)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이동블록부(85)에서 낙하되는 고형만두소(100)를 안내한다. 일예로, 제2유도부(862)는 관성에 의해 고형만두소(100)가 진행 방향으로 낙하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유도부(862)는 제2유도지지부(8621)와, 제2유도판부(8622)와, 제2유도고정부(8623)와, 제2유도굴곡부(8624)를 포함한다.
제2유도지지부(8621)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이동블록부(85)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도 5 기준으로 이동블록부(85)는 고형만두소(100)를 싣고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제2유도지지부(8621)는 공급이동부(80)의 우측 상방에 1개 배치되고, 수평 이동 후 하방 이동되는 이동블록부(85)의 전방에 1개 배치될 수 있다.
제2유도판부(8622)는 제2유도지지부(8621)에 장착된다. 일예로, 제2유도판부(8622)는 복수개가 배치되되, 양단부가 제2유도지지부(8621)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유도판부(8622)는 도 5 기준으로 구동풀리부(81)의 우측 방향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도고정부(8623)는 제2유도판부(8622)에 장착된다. 일예로, 제2유도고정부(8623)는 양단부가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제2유도판부(8622)를 관통할 수 있다.
제2유도굴곡부(8624)는 제2유도고정부(8623)에 설치되고, 고형만두소(100)를 안내하도록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유도굴곡부(8624)는 하나 이상이 각각의 고형만두소(100)를 지지하여, 고형만두소(100)가 관성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 낙하되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예로, 제2유도골곡부(8624)는 상단부가 제2유도고정부(8623)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도 5 기준으로 구동풀리부(81)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2유도지지부(86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출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출구부에 고형만두소가 대기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출구부에 대기중인 고형만두소가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30)는 공급출구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출구부(90)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고, 공급이동부(80)에서 배출되는 고형만두소(100)를 만두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출구부(90)는 출구슈트부(91)와, 출구작동부(92)를 포함한다.
출구슈트부(91)는 공급이동부(80)에서 낙하되는 고형만두소(100)를 안내한다. 일예로, 출구슈트부(91)는 이동블록부(85)가 수평 이동 후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고형만두소(100)가 출구슈트부(91)로 유입될 수 있다.
출구작동부(92)는 출구슈트부(91)에 저장된 고형만두소(100)를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일예로, 출구작동부(92)는 출구슈트부(91)에 대기중인 고형만두소(1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구슈트부(91)는 슈트투입부(911)와, 슈트안내부(912)와, 슈트낙하부(913)와, 슈트대기부(914)를 포함한다.
슈트투입부(911)에는 공급이동부(80)에서 낙하되는 고형만두소(100)가 유입된다. 일예로, 슈트투입부(911)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여 낙하되는 고형만두소(100)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슈트투입부(911)는 공급베이스부(6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슈트안내부(912)는 슈트투입부(911)에서 연장되어 고형만두소(100)를 안내한다. 일예로, 슈트안내부(912)는 슈트투입부(911)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경사를 갖는 덕트 형상을 하여 고형만두소(100)가 일렬로 굴러서 이동될 수 있다.
슈트낙하부(913)는 슈트안내부(912)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형만두소(100)의 낙하를 안내한다. 일예로, 슈트낙하부(913)는 슈트안내부(912)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슈트대기부(914)는 슈트낙하부(913)에 장착되고 고형만두소(100)가 하나씩 슈트낙하부(913)에 대기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슈트대기부(914)는 슈트낙하부(913)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형만두소(1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슈트투입부(911)와, 슈트안내부(912)와, 슈트낙하부(913)와, 슈트대기부(914)는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슈트안내부(912)와, 슈트낙하부(913)와, 슈트대기부(914)는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슈트투입부(911) 또는 슈트안내부(91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슈트대기부(914) 자체 탄성복원력이 형성되므로, 고형만두소(100)가 슈트대기부(914)를 통과하면 슈트대기부(914)는 벌어진 후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고형만두소(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작동부(92)는 작동조절부(93)와, 작동작동가압부(95)를 포함한다.
작동조절부(93)는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일예로, 작동조절부(93)는 공급베이스부(60)에 장착되는 조절지지부(931)와, 조절지지부(931)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조절가변부(9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절가변부(932)는 전기, 유압, 공압 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가 사용되거나, 모터에 의한 캠 구동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그 외, 작동조절부(93)에는 조절지지부(931)에 장착되고 조절가변부(932)의 저점 이동을 제한하는 조절스토퍼부(933)가 구비될 수 있다.
작동가압부(95)는 작동조절부(93)에 의해 하방 이동되면서 출구슈트부(91)에 대기중인 고형만두소(100)를 하방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가압부(95)는 가압연결부(951)와 가압막대부(95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연결부(951)는 작동조절부(93)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일예로, 가압연결부(951)는 조절가변부(932)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막대부(952)는 가압연결부(9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출구슈트부(91)를 관통하여 출구슈트부(91)에 대기중인 고형만두소(100)를 밀어낸다. 이러한 가압막대부(952)는 고형만두소(100)의 길이에 따라 균등 가압이 가능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가압막대부(952)는 슈트안내부(912)와, 슈트낙하부(913)와, 슈트대기부(914) 사이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형만두소(100)를 밀어낼 수 있으며, 하단부는 고형만두소(100)와의 면접촉이 확대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에서 감지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1)는 감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50)는 배출부(40)를 통해 배출되는 만두의 불량 여부를 감지한다. 일예로, 감지부(50)는 고형만두소(100)가 성형틀(11)에 위치되는 만두피에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50)는 성형틀(11)의 하중을 측정하여 고형만두소(100)의 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 외, 감지부(50)는 이동블록부(85)의 하중을 측정하거나, 공급출구부(90)를 통해 고형만두소(100)가 배출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틀(1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순차 순환되는 동안, 투입부(20)에서 제공되는 만두피가 성형틀(11)에 안착되고, 공급부(30)에서 제공되는 고형만두소(100)가 만두피에 안착된 후, 만두로 성형되어 배출부(40)를 통해 후처리공정으로 배출된다. 이때, 고형만두소(100) 외에 통상적인 야채와 고기가 혼합된 만두소도 별도의 투입수단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작업자가 호퍼저장부(71)에 고형만두소(100)를 대량으로 투입하고 구동풀리부(81)를 구동시키면, 이동체인부(84)에 장착된 이동블록부(85)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블록부(85)는 지지풀리부(83)와 종동풀리부(82) 사이를 통과하고, 호퍼저장부(71)에서 배출되는 고형만두소(100)는 이동블록부(85)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이동블록부(85)는 상방 이동된 후 종동풀리부(82)를 통과하면서 수평 이동되는데, 이동블록부(85)의 이동 경로상에 조절걸림부(723)가 배치되어 고형만두소(100)가 이동블록부(8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블록부(85)가 수평 이동된 후 구동풀리부(81)에서 하방 경사지게 이동됨에 따라, 이동블록부(85)에 삽입된 고형만두소(100)는 공급출구부(90)로 낙하된 후 하방에 배치되는 성형틀(11)에 안착된 만두피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출구슈트부(91)는 공급이동부(80)에서 낙하되는 고형만두소(100)를 안내하고, 출구작동부(92)는 출구슈트부(91)에 대기중인 고형만두소(100)를 하나씩 하방 이동시킨다.
즉, 슈트투입부(911)로 공급된 고형만두소(100)는 슈트안내부(912)를 통과한 후 슈트낙하부(913)에 도달한다. 그리고, 슈트낙하부(91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슈트대기부(914)에 지지되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도 10 참조).
이때, 작동가압부(95)는 상방 이동되어 고형만두소(100)의 이동 경로를 개방한 후 하강하여 고형만두소(100)가 하나씩 슈트대기부(914)에 대기하도록 작동조절부(93)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 외, 구동풀리부(8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슈트대기부(914)에 고형만두소(100)가 하나씩 투입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동조절부(93)의 길이가 늘어나면, 하방 이동된 작동가압부(95)가 슈트대기부(914)에 의해 대기중인 고형만두소(100)를 낙하시킨다(도 11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성형장치(1)는 고형만두소(100)를 만두피에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으므로, 고형만두소(100)가 들어간 만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성형부 20 : 투입부
30 : 공급부 40 : 배출부
50 : 감지부 60 : 공급베이스부
61 : 베이스수평부 62 : 베이스바퀴부
63 : 베이스수직부 64 : 베이스패널부
70 : 공급호퍼부 71 : 호퍼저장부
72 : 호퍼구획부 80 : 공급이동부
81 : 구동풀리부 82 : 종동풀리부
83 : 지지풀리부 84 : 이동체인부
85 : 이동블록부 86 : 공급유도부
90 : 공급출구부 91 : 출구슈트부
92 : 출구작동부 93 : 작동조절부
95 : 작동가압부 100 : 고형만두소

Claims (16)

  1.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성형틀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만두를 성형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에 만두피를 제공하는 투입부;
    상기 만두피에 덩어리 형태의 고형만두소를 제공하는 공급부; 및
    상기 만두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공급베이스부;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투입되는 공급호퍼부; 및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부에 저장된 상기 고형만두소를 인출하여 상기 만두피에 공급하는 공급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베이스부는
    베이스수평부;
    상기 베이스수평부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베이스바퀴부;
    상기 베이스수평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수직부; 및
    상기 베이스수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퍼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저장되며, 저면이 경사를 갖는 호퍼저장부; 및
    상기 호퍼저장부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호퍼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이동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되는 구동풀리부;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구동풀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종동풀리부;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종동풀리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지지풀리부;
    상기 구동풀리부와, 상기 종동풀리부와, 상기 지지풀리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인부; 및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개별 이송하는 이동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부는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는 블록결합부;
    상기 블록결합부에서 일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삽입된 상기 고형만두소를 감싸는 블록돌기부; 및
    상기 블록결합부에서 타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형만두소의 유입을 유도하는 블록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이동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공급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도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상기 이동블록부에 정렬시키는 제1유도부; 및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제2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유도고정부; 및
    상기 제1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상기 이동블록부의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제1유도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2유도지지부;
    상기 제2유도지지부에 장착되는 제2유도판부;
    상기 제2유도판부에 장착되는 제2유도고정부; 및
    상기 제2유도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도록 굴곡된 하나 이상의 제2유도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공급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고형만두소를 상기 만두피로 유도하는 공급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출구부는
    상기 공급이동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출구슈트부; 및
    상기 출구슈트부에 저장된 상기 고형만두소를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출구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슈트부는
    상기 공급이동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고형만두소가 유입되는 슈트투입부;
    상기 슈트투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형만두소를 안내하는 슈트안내부;
    상기 슈트안내부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형만두소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낙하부; 및
    상기 슈트낙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만두소가 상기 슈트낙하부에 대기하도록 유도하는 슈트대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작동부는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작동조절부; 및
    상기 작동조절부에 의해 하방 이동되면서 상기 출구슈트부에 대기중인 상기 고형만두소를 하방 이동시키는 작동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가압부는
    상기 작동조절부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압연결부; 및
    상기 가압연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구슈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출구슈트부에 대기중인 상기 고형만두소를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가압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만두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성형장치.
KR1020200030730A 2020-03-12 2020-03-12 만두성형장치 KR10239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30A KR102397323B1 (ko) 2020-03-12 2020-03-12 만두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30A KR102397323B1 (ko) 2020-03-12 2020-03-12 만두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241A KR20210115241A (ko) 2021-09-27
KR102397323B1 true KR102397323B1 (ko) 2022-05-13

Family

ID=7792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30A KR102397323B1 (ko) 2020-03-12 2020-03-12 만두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313B1 (ko) 2023-10-31 2024-03-06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만두 모음 자동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8855A (zh) * 2017-12-25 2018-05-29 沈阳大学 一种三维立体缺陷饺子识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635A (ja) * 1995-12-25 1997-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ベヤ装置
KR100722006B1 (ko) * 2005-05-26 2007-05-25 (주)아시안푸드 냉동 육즙을 이용한 냉동 소룡포 만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냉동 소룡포 만두
KR101770801B1 (ko) * 2015-02-12 2017-08-24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8855A (zh) * 2017-12-25 2018-05-29 沈阳大学 一种三维立体缺陷饺子识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313B1 (ko) 2023-10-31 2024-03-06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만두 모음 자동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241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558B2 (en) Packaging machine including laterally movable conveyor
BRPI0913203B1 (pt) dispositivo para descarregar bandeja de compartimento usadas na indústria de tabaco, preenchidas com elementos em forma de haste
US7563158B2 (en) Automatic rack loader
KR101633028B1 (ko) 쌀밥 성형장치
KR102397323B1 (ko) 만두성형장치
US4145990A (en) Apparatus for applying grated cheese to pizza shells
US4529101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nested cup-shaped containers
US20040104240A1 (en) Unit for feeding cigarettes to a packer machine
EP0302538B1 (en) High-capacity physical and/or chemical treatment apparatus in an automatic product production plant
US10251418B2 (en) Intermediate hopper in tobacco industry apparatus for vertical conveying of mass-flow or rod-like articles, feeding apparatus for feeding with tobacco industry articles, and apparatus for emptying of tray filled with tobacco industry articles
NL2004865C2 (en) A storage system with carrier shelves moveable along a track and each having a driveable conveyor belt organ as supporting surface.
JP2000004767A (ja) 麺の裁断方法、およびそれ用の製麺用裁断装置
EP144977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roducts to a transferring line, in particular for feeding a container filling machine
JP2984196B2 (ja) 米飯計量供給装置
JP2000050820A (ja) 米飯自動盛付機における飯起こし装置
US3633733A (en) Article-handling apparatus
KR100231621B1 (ko) 층상화된 섬유소 제품, 특히 원면 패드용 처리장치
KR102602718B1 (ko) 스틱형 식품 정렬 장치
US4551963A (en) Automatic separator device for filling boxes with tubes
US4080773A (en) Apparatus for filling a receptacle, particularly with spinning bobbins
US3508791A (en) Automatic distributor
JPS6119215B2 (ko)
US4995225A (en) Compact food tray film wrapping machine
EP0641716A1 (en) Automatic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oose products, particularly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EP0363816B1 (en) Machine for the automatic production of portions of toasted bread sl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