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779B1 - 지게차 - Google Patents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779B1
KR102394779B1 KR1020200103640A KR20200103640A KR102394779B1 KR 102394779 B1 KR102394779 B1 KR 102394779B1 KR 1020200103640 A KR1020200103640 A KR 1020200103640A KR 20200103640 A KR20200103640 A KR 20200103640A KR 102394779 B1 KR102394779 B1 KR 10239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moving frame
balanc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552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7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4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지게차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게차는: 바퀴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짐이 실리는 리프트부와,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리프트부와 연결되어 리프트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제1밸런스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런스를 유지하여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구분된다. 엔진 지게차는 디젤이나 가솔린 등을 엔진으로 사용하며, 출력이 좋아 야외 작업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전동 지게차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며, 엔진 지게차에 비해 배기 가스가 없고 소음이 작아 실내 작업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9941호(2011.06.24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지게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밸런스를 유지하여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바퀴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짐이 실리는 리프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프트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제1밸런스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밸런스유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프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부의 상승에 연동되어 작동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에 접촉되며, 상기 이동프레임부의 전방 이동시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밸런스유지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프레임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를 탄성변형시키는 제1가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밸런스유지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프레임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의 전방 이동시 상기 제2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는 제2가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풀리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풀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풀리부; 및 상기 제1풀리부와 상기 제2풀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홀부가 형성되는 설치대; 상기 홀부를 관통하고, 상기 홀부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바퀴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가 감겨지며 상기 제1가압프레임과 상기 제2가압프레임이 결합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짐의 중량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제2밸런스유지부; 상기 리프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짐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밸런스유지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밸런스유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짐이 실리는 리프트부의 승강에 작동되는 제1밸런스유지부와, 리프트부의 중량에 따라 작동되는 제2밸런스부를 통해 밸런스를 유지하여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밸런스유지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제1밸런스유지부와 제2밸런스유지부가 작동되어 지게차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밸런스유지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제1밸런스유지부와 제2밸런스유지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밸런스유지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1밸런스유지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제1밸런스유지부와 제2밸런스유지부가 작동되어 지게차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제1밸런스유지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제1밸런스유지부와 제2밸런스유지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1밸런스유지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는 본체부(100), 프레임부(200), 리프트부(300) 및 제1밸런스유지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체(110)와 바퀴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운전석(111)을 구비한다. 바퀴부(120)는 본체(11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된다. 달리 말해, 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의 전방에(이하 도 1기준 좌측)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고, 후술된 리프트부(300)가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리프트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짐(10)이 실린다. 리프트부(300)는 제1리프트(310)와 제2리프트(320)를 포함한다. 제1리프트(310)는 프레임부(2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리프트(320)는 제1리프트(31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측에 짐(10)이 실린다. 이때, 제2리프트(320)의 상측면에 감지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밸런스유지부(400)는 프레임부(200)에 장착되고, 리프트부(300)와 연결되어 리프트부(300)의 승강에 연동되어 본체부(100)의 밸런스를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권선된 코일 등 짐(10)이 실린 리프트부(300)가 상승하게 되면, 리프트부(300)의 상승에 제1밸런스유지부(400)가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되어 본체부(100)의 전후 밸런스가 맞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게차(1)의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되어 지게차(1)의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밸런스유지부(400)는 이동프레임부(410), 작동부(420) 및 바퀴부재(430)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부(410)는 프레임부(200)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부(420)는 프레임부(200)에 장착되고, 리프트부(300)와 연결되며, 리프트부(300)의 상승에 연동되어 작동되고, 이동프레임부(4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바퀴부재(430)는 이동프레임부(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20)에 접촉되며, 이동프레임부(410)의 전방 이동시 이동프레임부(41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본체부(100)의 밸런스를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리프트부(300)의 상승에 의해 이동프레임부(410)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퀴부재(430)의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본체부(100)의 전후 밸런스가 맞게 유지될 수 있다.
제1밸런스유지부(400)는 제1탄성부재(440), 제2탄성부재(460), 제1가압프레임(450) 및 제2가압프레임(470)을 더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440)는 이동프레임부(410)에 장착되고, 이동프레임부(4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이동프레임부(4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1가압프레임(450)은 이동프레임부(410)와 연결되고, 제1탄성부재(440)를 가압하여 제1탄성부재(440)를 탄성변형시킨다. 이때, 제1탄성부재(440)는 이동프레임부(410)의 이동프레임(412) 상에서 이동프레임부(410)의 설치대(411)를 기준으로 설치대(411)의 전방에 설치되되, 제1가압프레임(450)과 설치대(411)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리프트부(300)가 상승되기 전에는 제1탄성부재(440)가 제1가압프레임(450)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가 된다. 제1탄성부재(440)는 제1가압프레임(450)과 설치대(411) 사이에서 탄성변형된다. 리프트부(300)가 상승하면, 제1가압프레임(450)의 제1탄성부재(440)의 가압을 해제되고, 이동프레임부(410)가 전방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탄성부재(440)는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이동프레임부(41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460)는 이동프레임부(410)에 장착되고, 이동프레임부(4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이동프레임부(4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가압프레임(470)은 이동프레임부(410)와 연결되고, 이동프레임부(410)의 전방 이동시 제2탄성부재(460)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이때, 제2탄성부재(460)는 이동프레임부(410)의 이동프레임(412) 상에서 이동프레임부(410)의 설치대(411)를 기준으로 설치대(411)의 후방에 설치되되, 제2가압프레임(470)과 설치대(411)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리프트부(300)가 상승하면, 제2가압프레임(470)이 이동프레임부(41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탄성부재(460)를 가압한다. 이때, 제2탄성부재(460)는 제2가압프레임(470)과 설치대(411) 사이에서 탄성변형된다.
이후, 리프트부(300)가 하강하면, 제2가압프레임(470)이 제2탄성부재(460)의 가압하는 것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제2탄성부재(4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프레임부(410)가 쉽게 후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도 3 내지 도 6).
작동부(420)는 제1풀리부(421), 제2풀리부(422) 및 와이어부(423)를 포함한다. 제1풀리부(421)는 프레임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풀리부(421)는 프레임부(20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풀리부(422)는 프레임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풀리부(421)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풀리부(422)는 프레임부(20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풀리부(421)의 하방에 위치된다.
와이어부(423)는 제1풀리부(421)와 제2풀리부(422)에 걸쳐지고, 리프트부(300) 및 이동프레임부(410)와 연결된다. 와이어부(423)는 일단부가 리프트부(30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이동프레임부(410)와 연결된다. 와이어부(423)는 리프트부(300)의 상승하게 되면, 이동프레임부(410)와 연결된 와이어부(423)가 풀리면서 이동프레임부(41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동프레임부(410)는 설치대(411), 이동프레임(412) 및 연결부(413)를 포함한다. 설치대(411)는 프레임부(200)에 장착되고, 홀부(411a)가 형성된다. 설치대(411)에는 너비방향으로 홀부(321)가 형성된다.
이동프레임(412)은 홀부(411a)를 관통하고, 홀부(411a)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바퀴부재(4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제1탄성부재(440) 및 제2탄성부재(460)가 감겨지며 제1가압프레임(450)과 제2가압프레임(470)이 결합된다. 이동프레임(412)은 일단부에 제1가압프레임(450)이 결합되고, 타단부에 제2가압프레임(470)이 결합된다. 제1가압프레임(450)은 이동프레임(412) 상에서 설치대(411)를 기준으로 설치대(411)의 전방에 설치되고, 제2가압프레임(470)은 이동프레임(412) 상에서 설치대(411)를 기준으로 설치대(411)의 후방에 설치된다(도 4, 도 6 기준).
연결부(413)는 이동프레임(412)에 결합되고, 와이어부(423)가 연결된다. 연결부(413)는 이동프레임(412) 상에서 제1가압프레임(45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담에 와이어부(423)가 연결된다.
지게차(1)는 제2밸런스유지부(500), 감지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제2밸런스유지부(500)는 본체부(100)에 장착되고, 짐(10)의 중량에 따라 작동되어 본체부(100)의 밸런스를 유지시킨다.
감지부(600)는 리프트부(300)에 장착되고, 짐(10)의 중량을 감지한다. 감지부(600)는 리프트부(300)의 제2리프트(320) 상측에 장착되고, 제2리프트(320)에 짐(10)이 실리면 짐(10)의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후술된 제어부(700)에 전달한다.
제어부(700)는 감지부(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신호를 토대로 제2밸런스유지부(50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700)는 감지부(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감지신호를 토대로 제2밸런스유지부(500)를 작동시켜 본체부(100)의 전후 밸런스가 맞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밸런스유지부(500)는 길이조절부(510)와 웨이트부(520)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510)는 본체부(100)에 장착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된다. 웨이트부(520)는 길이조절부(510)와 연결되고, 길이조절부(510)와 함께 이동되어 본체부(100)의 밸런스를 유지시킨다. 즉, 본체부(100)의 전후 밸런스가 맞게 유지되어 지게차(1)의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감지부(60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짐(10)의 중량이 설정중량 이상이면, 제2밸런스유지부(500)가 본체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밸런스유지부(500)의 길이조절부(510)는 제어부(700)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도록 작동되고, 제2밸런스유지부(500)의 웨이트부(520)는 본체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본체부(100)의 전후 밸런스가 맞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게차(1)의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되어 지게차(1)의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700)는 감지부(60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짐(10)의 중량이 설정중량 미만이면, 제2밸런스유지부(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밸런스유지부(500)의 길이조절부(510)는 제어부(700)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도록 작동되고, 제2밸런스유지부(500)의 웨이트부(52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게차 10 : 짐
20 : 바닥 100 : 본체부
110 : 본체 111 : 운전석
120 : 바퀴부 200 : 프레임부
300 : 리프트부 310 : 제1리프트
320 : 제2리프트 400 : 제1밸런스유지부
410 : 이동프레임부 411 : 설치대
411a : 홀부 412 : 이동프레임
413 : 연결부 420 : 작동부
421 : 제1풀리부 422 : 제2풀리부
423 : 와이어부 430 : 바퀴부재
440 : 제1탄성부재 450 : 제1가압프레임
460 : 제2탄성부재 470 : 제2가압프레임
500 : 제2밸런스유지부 510 : 길이조절부
520 : 웨이트부 600 : 감지부
700 : 제어부

Claims (8)

  1. 바퀴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짐이 실리는 리프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프트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제1밸런스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런스유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부;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프레임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를 탄성변형시키는 제1가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런스유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프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부의 상승에 연동되어 작동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에 접촉되며, 상기 이동프레임부의 전방 이동시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바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런스유지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프레임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의 전방 이동시 상기 제2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는 제2가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풀리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풀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풀리부; 및
    상기 제1풀리부와 상기 제2풀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홀부가 형성되는 설치대;
    상기 홀부를 관통하고, 상기 홀부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바퀴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가 감겨지며 상기 제1가압프레임과 상기 제2가압프레임이 결합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짐의 중량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제2밸런스유지부;
    상기 리프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짐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밸런스유지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런스유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KR1020200103640A 2020-08-19 2020-08-19 지게차 KR10239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40A KR102394779B1 (ko) 2020-08-19 2020-08-19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40A KR102394779B1 (ko) 2020-08-19 2020-08-19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52A KR20220022552A (ko) 2022-02-28
KR102394779B1 true KR102394779B1 (ko) 2022-05-04

Family

ID=8049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40A KR102394779B1 (ko) 2020-08-19 2020-08-19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115B1 (en) * 2022-01-04 2024-07-24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Autonomous mobile robot with an adjustable counterweight and a forklif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887A (ja) 2001-08-20 2003-02-26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KR101971234B1 (ko) * 2017-12-14 2019-04-22 장진만 캐터필러를 구비한 농업용 지게차
KR102100070B1 (ko) * 2019-01-04 2020-04-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면 요철 감지장치가 구비된 지게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95B1 (ko) * 2012-01-10 2014-01-24 예산군농업기술센터 농업용 고소작업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887A (ja) 2001-08-20 2003-02-26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KR101971234B1 (ko) * 2017-12-14 2019-04-22 장진만 캐터필러를 구비한 농업용 지게차
KR102100070B1 (ko) * 2019-01-04 2020-04-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면 요철 감지장치가 구비된 지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52A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9502B1 (en) An arrangement in industrial trucks
EP1568650A2 (en) Motorcycle lift
KR102394779B1 (ko) 지게차
CN112124004A (zh) 叉车轮距调节装置及叉车
JP6984462B2 (ja) フォークリフト
KR20150002128U (ko)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수레의 구조
CN210792699U (zh) 叉车轴距调节装置及叉车
KR102394789B1 (ko) 지게차
US3572516A (en) Antipush stacker crane
CN217297175U (zh) 一种后压杠杆式叉车踏板开关感应装置
JPH0551888U (ja) 高所作業車
KR102517189B1 (ko) 대형 차량용 보조 액슬장치의 승강장치
CN211393760U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电器布局结构
JP3989825B2 (ja) 産業車両速度規制装置
CN213292265U (zh) 一种汽车踏板
CN212740630U (zh) 一种宽腿电动堆垛车的支腿连接调节机构
JPH10147499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装置
CN217730369U (zh) 一种具有感应式开关的电动叉车踏板装置
JPH09221299A (ja) リーチタイプフォークリフトの車体
CN220549951U (zh) 双提升搬运车
CN209797394U (zh) 一种电动搬运车
JP2001171417A (ja) 可動台車及び物品の移動方法
CN211078364U (zh) 一种电动叉车用预防侧翻装置
CN213738420U (zh) 一种用于生产线料车运转的升降台车
JP2006103926A (ja) 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