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79B1 -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79B1
KR102391479B1 KR1020210176346A KR20210176346A KR102391479B1 KR 102391479 B1 KR102391479 B1 KR 102391479B1 KR 1020210176346 A KR1020210176346 A KR 1020210176346A KR 20210176346 A KR20210176346 A KR 20210176346A KR 102391479 B1 KR102391479 B1 KR 10239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ost
flower bed
concrete lay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용
Original Assignee
(주)대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도엔텍 filed Critical (주)대도엔텍
Priority to KR102021017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층과,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표면에 결합되는 바닥면 지지부재와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 및 측면 지지부재에 결합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형성되는 제1 화단 결합홀 포함하는 다수의 지주부와,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상측에 타설되어, 지지부 및 지주부 일부가 묻히도록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과, 상기 지주부 사이에 형성되는 차수판과, 상기 지주부의 지주와 결합하는 지주 결합부와 지주부에 형성된 제1 화단 결합홀과 대응하는 제2 화단 결합홀과 내측의 식생공간부를 포함하는 화단부로 이루어져 있어, 버림콘크리트층 타설 이후 버림콘크리트층에 지지부 및 지주부를 결합한 이후에 기초콘크리트층을 타설하여 지주부가 지지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부가 형성된 만큼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층이 지주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역할을 하여 지주부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구조의 차수벽을 형성함은 물론,화단부의 파손 또는 오랜 사용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단부의 디자인 등을 변경하여 재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A flower bed connected type floo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지주부의 높은 지지력 형성과 더불어 화단부의 탈부착으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하고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는 아열대 기후로 변환되어 강우가 집중되는 장마철에는 폭우가 발생된다. 특히 단시간의 급격한 폭우로 인하여 하천의 제방이 범람함으로써 막대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이나 하천의 뚝이나 제방에 모래주머니를 쌓아 홍수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제방을 높게 만들거나 고정식 홍수방어벽을 사용하게 되었다.
하천의 제방은 홍수 피해 방지 목적 이외에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근래에 주민들의 휴식 공간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경향에 따라 제방의 고유 기능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주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홍수방어벽의 경우에, 자연 경관을 해치고, 하천을 가시적으로 분리하여 시야가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926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복수의 식재부와, 식재부 사이에 범람수를 막기 위한 방벽부와, 식재부와 방벼부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1) KR 10-1949265 B1 홍수방어벽
하지만, 통상의 홍수벽들은 기초콘크리트에 앵커볼트를 결합한 후 이를 지주에 연결하고, 그런 후, 지주 사이에 차수판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데 반해, 상술한 특허문헌 1은 식재부가 지주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 즉, 식재부의 중량만으로 지지를 하기 때문에 수위 상승시 높은 수압이 발생할 경우 유실의 위험이 있으며, 더욱이, 식재부의 유실 발생시 고중량의 구조물 유실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은 식재부가 지주역할을 수행하기 식재부의 파손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교체하기가 어려워 외관을 저해하는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은 버림콘크리트층 타설 이후 버림콘크리트층에 지지부 및 지주부를 결합한 이후에 기초콘크리트층를 타설하여 지주부가 지지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부가 형성된 만큼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층이 지주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역할을 하여 지주부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구조의 차수벽을 형성할 수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 및 측면 지지부재를 넓게 형성하여 더욱 넓은 범위에 기초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더욱 큰 지지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초콘크리트층의 타설시 지지부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로 타설하여 측면 지지부재의 노출된 면을 통해 화단부를 연결함으로써 화단부의 식생을 통한 주변 경관성 개선과 더불어 화단부가 지주부와 일체화되어 지주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초콘크리트층에 의해 고정된 지지부 및 지주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화단부가 형성되어 화단부의 파손 또는 오랜 사용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단부의 디자인 등을 변경하여 재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층 타설 이후 버림콘크리트층에 지지부 및 지주부를 결합한 이후에 기초콘크리트층를 타설하여 지주부가 지지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부가 형성된 만큼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층이 지주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역할을 하여 지주부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구조의 차수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 및 측면 지지부재를 넓게 형성하여 더욱 넓은 범위에 기초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더욱 큰 지지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층의 타설시 지지부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로 타설하여 측면 지지부재의 노출된 면을 통해 화단부를 연결함으로써 화단부의 식생을 통한 주변 경관성 개선과 더불어 화단부가 지주부와 일체화되어 지주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기초콘크리트층에 의해 고정된 지지부 및 지주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화단부가 형성되어 화단부의 파손 또는 오랜 사용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단부의 디자인 등을 변경하여 재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형 홍수방어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화단형 홍수방어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버림콘크트 형성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지지부 형성단계 및 지주부 형성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화단부 결합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버림콘크리트층(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구조물의 밑바닥에 까는 저강도 콘크리트로 밑면을 평탄하게 만들어 배근 작업 등을 돕기 위한 구조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지지부(20)는 상기 버림콘크리트층(10)의 표면에 결합하는 바닥면 지지부재(21)와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21)에 결합하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21)와 측면 지지부재(22)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20)는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주부(30)는 상술한 지지부(20)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21) 및 측면 지지부재(22)에 결합하는 지주(31)와 상기 지주(31)에 형성된 제1 화단 결합홀(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30)의 지주(31)는 도면에서는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단면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지주부(30)는 최소 2개소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콘크리트층(40)은 상기 버림콘크리트층(10)의 상측에 타설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지지부(20) 및 지주부(30)를 구성하는 지주(31)일부가 묻힐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기초콘크리트층(40)과 동일한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차수판(50)은 상술한 지주부(30) 사이에 형성되어 차수를 위해 형성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주부(30)를 구성하는 지주(31)와 결합되어 차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화단부(60)는 상술한 지주부(30)를 구성하는 지주(31)가 결합할 수 있는 지주 결합부(61)와 지주(31)에 형성된 제1 화단 결합홀(32)과 대응하여 결합수단(B)에 의해 지주(31)와 고정 결합될 수 있는 제2 화단 결합홀(62)을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식생공간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 결합부(61)는 지주(31)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지주 결합부(61)는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20)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21)는 지주부(30)를 구성하는 지주(31)와 결합하는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상기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닥면 지지부재(21b)와 상기 제2 바닥면 지지부재(21b)와 교차하되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 바닥면 지지부재(21c)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측면 지지부재(22)는 지주부(30)의 지주(31) 및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결합하는 제1 측면 지지부재(22a)와 제3 바닥면 지지부재(21c)에 결합하되 제1 측면 지지부재(22a)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측면 지지부재(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버림콘크리트층(10)의 상측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층(40)의 타설시 지지부(20)가 형성된 공간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층(40)이 지주부(30)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층(40)의 타설은 지지부(20)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22)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로 타설하여 측면 지지부재(22)의 노출된 면을 통해 화단부(6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측면 지지부재(22)의 노출된 부분과 화단부(60)에는 실링재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단형 홍수방어벽의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10)을 형성하는 버림콘크리트층 형성단계와(도 4 참조), 상기 버림콘크리트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버림콘크리트층(10)의 상측으로 바닥면 지지부재(21)를 결합하고,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21)의 일측으로 측면 지지부재(22)를 결합하여 다수의 지지부(20)를 형성하는 지지부 형성단계(도 5 참조.)와, 상기 지지부 형성단계에서의 바닥면 지지부재(21) 및 측면 지지부재(22)에 제1 화단 결합홀(32)이 형성된 지주(31)를 고정 결합하여 다수의 지주부(30)를 형성하는 지주부 형성단계(도 5 참조.)와, 상기 지주부 형성단계 이후 버림콘크리트층(10)의 상측으로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층(40)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층 형성단계(도 6 참조.)와,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이후 지주부(30)들 사이에 차수판(50)을 결합하여 형성하는 차수판 형성단계(도 1 참조.)와, 상기 차수판 형상단계 이후 상기 지주부(30)의 지주(31)와 결합하는 지주 결합부(61)와 지주부(30)에 형성된 제1 화단 결합홀(32)과 대응하는 제2 화단 결합홀(62)과 내측의 식생공간부(63)를 포함하는 화단부(60)를 지주에 결합하는 화단부 결합단계(도 7 참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 형성단계에서의 지지부(20)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21)는 지주부(30)를 구성하는 지주(31)와 결합하는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상기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닥면 지지부재(21b)와 상기 제2 바닥면 지지부재(21b)와 교차하되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 바닥면 지지부재(21c)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측면 지지부재(22)는 지주부(30)의 지주(31) 및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결합하는 제1 측면 지지부재(22a)와 제3 바닥면 지지부재(21c)에 결합하되 제1 측면 지지부재(22a)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측면 지지부재(22b)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 기초콘크리트층(40)의 타설은 지지부(20)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22)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로 타설하여 측면 지지부재(22)의 노출된 면을 통해 화단부(6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측면 지지부재(22)의 노출된 부분과 화단부(60)에는 실링재를 더 시공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차수판 형성단계와 화단부 결합단계는 순서를 바꿔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단형 홍수방어벽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화단형 홍수방어벽(100)은 버림콘크리트층(10) 타설 이후 버림콘크리트층(10)에 지지부(20) 및 지주부(30)를 결합한 이후에 기초콘크리트층(40)을 타설하게 된다.
따라서, 지주부(30)는 지지부(20)와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부(20)가 형성된 만큼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층(40)이 지주부(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물의 범람 등이 발생시 높은 수압에 의한 지주부(30)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구조의 차수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지지부(20)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21)는 지주부(30)를 구성하는 지주(31)와 결합하는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상기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닥면 지지부재(21b)와 상기 제2 바닥면 지지부재(21b)와 교차하되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 바닥면 지지부재(21c)로 형성하고, 상기 측면 지지부재(22)는 지주부(30)의 지주(31) 및 제1 바닥면 지지부재(21a)와 결합하는 제1 측면 지지부재(22a)와 제3 바닥면 지지부재(21c)에 결합하되 제1 측면 지지부재(22a)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측면 지지부재(22b)로 형성할 경우 더욱 넓은 범위에 기초콘크리트층(40)이 형성되어 더욱 큰 지지력이 형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초콘크리트층(40)의 타설시 지지부(20)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22)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로 타설하여 측면 지지부재(22)의 노출된 면을 통해 화단부(60)를 연결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럴 경우, 지지부(20)와 더불어 화단부(60)도 단순히 식생을 통한 주변경관성 개선 효과와 더불어 지주부(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20)를 구성하는 측면 지지부재(22)를 제1, 2 측면 지지부재(22a, 22b)로 형성할 경우 화단부(60)의 결합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지부(20)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층(40)과 화단부(60)가 완전히 일체화되어 지주부(30)에 높은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기초콘크리트층(40)에 의해 고정된 지지부(20) 및 지주부(30)에 탈부착 가능하게 화단부(60)가 형성되어 화단부(60)의 파손 또는 오랜 사용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단부(60)의 디자인 등을 변경하여 재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자명한 것임을 명시한다.
10 : 버림콘크리트층
20 : 지지부
21 : 바닥면 지지부재 21a : 제1 바닥면 지지부재
21b : 제2 바닥면 지지부재 21c : 제3 바닥면 지지부재
22 : 측면 지지부재 22a : 제1 측면 지지부재 22b : 제2 측면 지지부재
30 : 지주부
31 : 지주 32 : 제1 화단 결합홀
40 : 기초콘크리트층
50 : 차수판
60 : 화단부
61 : 지주 결합부 62 : 제2 화단 결합홀 63 : 식생공간부
100 : 화단형 홍수방어벽

Claims (10)

  1. 버림콘크리트층;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표면에 결합되는 바닥면 지지부재와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 및 측면 지지부재에 결합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형성되는 제1 화단 결합홀 포함하는 다수의 지주부;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상측에 타설되어, 지지부 및 지주부 일부가 묻히도록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
    상기 지주부 사이에 형성되는 차수판;
    상기 지주부의 지주와 결합하는 지주 결합부와 지주부에 형성된 제1 화단 결합홀과 대응하는 제2 화단 결합홀과 내측의 식생공간부를 포함하는 화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초콘크리트층은 지지부를 구성하는 측면 지지부재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로 타설하여 노출된 측면 지지부재를 통해 화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는 지주부를 구성하는 지주와 결합하는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닥면 지지부재와 상기 제2 바닥면 지지부재와 교차하되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 바닥면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측면 지지부재는 지주부의 지주 및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제1 측면 지지부재와 제3 바닥면 지지부재에 결합하되 제1 측면 지지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측면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부를 구성하는 지주 결합부는 지주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부에 형성되는 지주 결합부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
  6.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버림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버림콘크리트층의 상측으로 바닥면 지지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의 일측으로 측면 지지부재를 결합하여 다수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지지부 형성단계;
    상기 지지부 형성단계에서의 바닥면 지지부재 및 측면 지지부재에 제1 화단 결합홀이 형성된 지주를 고정 결합하여 다수의 지주부를 형성하는 지주부 형성단계;
    상기 지주부 형성단계 이후 버림콘크리트층의 상측으로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이후 지주부들 사이에 차수판을 결합하여 형성하는 차수판 형성단계;
    상기 차수판 형성단계 이후 상기 지주부의 지주와 결합하는 지주 결합부와 지주부에 형성된 제1 화단 결합홀과 대응하는 제2 화단 결합홀과 내측의 식생공간부를 포함하는 화단부를 지주에 결합하는 화단부 결합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형성단계에서의 기초콘크리트층은 지지부를 구성하는 측면 지지부재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로 타설하여 노출된 측면 지지부재를 통해 화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형성단계에서의 지지부를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부재는 지주부를 구성하는 지주와 결합하는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닥면 지지부재와 상기 제2 바닥면 지지부재와 교차하되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 바닥면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측면 지지부재는 지주부의 지주 및 제1 바닥면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제1 측면 지지부재와 제3 바닥면 지지부재에 결합하되 제1 측면 지지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측면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의 시공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부 결합단계에서의 화단부를 구성하는 지주 결합부는 지주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단형 홍수방어벽의 시공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부 결합단계에서의 화단부에 형성되는 지주 결합부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화단형 홍수방어벽의 시공방법.
KR1020210176346A 2021-12-10 2021-12-10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9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46A KR102391479B1 (ko) 2021-12-10 2021-12-10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46A KR102391479B1 (ko) 2021-12-10 2021-12-10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479B1 true KR102391479B1 (ko) 2022-04-27

Family

ID=8139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46A KR102391479B1 (ko) 2021-12-10 2021-12-10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826A (ja) * 1994-08-23 1996-03-05 Katagawa Kazutaka 手すり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手すりと施工用冶具
KR200234688Y1 (ko) * 2001-03-29 2001-10-10 주식회사 한경종합조경 착탈식 입체화분
KR101949265B1 (ko) * 2018-06-25 2019-02-19 김명진 홍수방어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826A (ja) * 1994-08-23 1996-03-05 Katagawa Kazutaka 手すり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手すりと施工用冶具
KR200234688Y1 (ko) * 2001-03-29 2001-10-10 주식회사 한경종합조경 착탈식 입체화분
KR101949265B1 (ko) * 2018-06-25 2019-02-19 김명진 홍수방어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43241A5 (ko)
KR20070033301A (ko) 식생형 중공블록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2391479B1 (ko)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89761B1 (ko) 식생블럭 조립체
JP2011058350A (ja) ダムの天端高を高くするための上部構造物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CN111778925B (zh) 一种河道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210113864U (zh) 一种绿化景观堆坡
CN113882212A (zh) 行道树根系树池结构及其施工工艺
KR20150019110A (ko)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200408191Y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100027677A (ko) 법면보호블록
KR20070104111A (ko) 말뚝기둥 일체형 교량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77180B1 (ko) 단위축조블록을 이용한 조경구조물
CN220394412U (zh) 急流高含沙河道导流防淤式生态边坡结构
KR102657813B1 (ko) 하이브리드 식생포장 투수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식생포장 시공방법
CN219033094U (zh) 一种水利河道生态护坡构件
KR200321439Y1 (ko)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KR200382628Y1 (ko) 옹벽용 블록
CN217810299U (zh) 一种适用于乔木古树保护与移植的园林铺地结构
JP5211010B2 (ja) 垂直面崩落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