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122B1 -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122B1
KR102391122B1 KR1020160094058A KR20160094058A KR102391122B1 KR 102391122 B1 KR102391122 B1 KR 102391122B1 KR 1020160094058 A KR1020160094058 A KR 1020160094058A KR 20160094058 A KR20160094058 A KR 20160094058A KR 102391122 B1 KR102391122 B1 KR 10239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adjacent
exposed
open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451A (ko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20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handr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복수의 항장체의 전기 저항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은, 무단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10)와, 도전성을 가지며, 본체부(1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장되고, 본체부(10)의 긴 길이 방향에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고 대향하고,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촉하지 않고 늘어놓여진 항장체(11)를 구비하며, 본체부(10)의 내측면(10b)에는, 모든 항장체(11)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AND MEASUREMENT JIG}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에 관한 것이다.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이 열화(劣化)하면, 내장된 항장체(抗張體)의 마모 및 단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열화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5-126175호 공보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항장체가 열화한 것은, 예를 들면, 항장체의 전기 저항의 변화에 근거하여 검출할 수 있다. 1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복수의 항장체의 전기 저항을 개별로 측정하는 경우, 다대(多大)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그 목적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복수의 항장체의 전기 저항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은, 무단(無端)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도전성을 가지며, 본체부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장되고, 본체부의 긴 길이 방향에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게 대향하고,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촉하지 않게 늘어놓여진 항장체(抗張體)를 구비하며,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모든 항장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측정 지그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은 기판과, 결선용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에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의 쌍방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결선용 단자와, 접촉용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에 배치된 접촉용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대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서,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모든 항장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복수의 항장체의 전기 저항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긴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항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측정 지그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접촉구가 장착된 항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연결구가 장착된 항장체의 단면도이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서는, 승객 컨베이어의 일례로서,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움직이는 보도 등의 다른 승객 컨베이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는, 트러스(truss)(1)를 구비하고 있다. 트러스(1)는,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트러스(1)의 내부에는, 구동기(2), 메인 스프로켓(3), 스텝용 하부 스프로켓(4) 및 도시하지 않은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기(2), 메인 스프로켓(3) 및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은, 상층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텝용 하부 스프로켓(4)은, 하층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은, 메인 스프로켓(3)과 동축(同軸)에 마련되어 있다.
구동기(2)는, 구동 스프로켓(2a)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켓(2a) 및 메인 스프로켓(3)에는, 무단(無端) 모양의 구동 체인(5)이 감아 걸려져 있다.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 및 스텝용 하부 스프로켓(4)에는, 무단 모양의 스텝 체인(6)이 감아 걸려져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복수의 스텝(7), 난간(8) 및 난간 구동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스텝(7)은,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향해 늘어서도록, 스텝 체인(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난간(8)은, 무단 모양으로 형성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이다. 난간(8)은, 복수의 스텝(7)이 늘어서는 방향을 따라서, 스텝(7)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난간 구동 장치(9)는, 트러스(1)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난간 구동 장치(9)는, 1개의 난간(8)에 대해서 적어도 1개 마련된다.
트러스(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난간용 상부 스프로켓이 마련되어 있다. 난간용 상부 스프로켓은, 메인 스프로켓(3) 및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과 동축에 마련되어 있다. 난간 구동 장치(9)는, 복수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 및 복수의 난간 구동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난간 구동 롤러는, 각각의 난간 구동 스프로켓에 대응하여 동축에 마련되어 있다. 난간 구동 스프로켓에는, 난간 체인이 감아 걸려져 있다.
구동기(2)는, 구동 스프로켓(2a)을 회전시킨다. 구동 스프로켓(2a)의 회전에 의해, 구동 체인(5)은, 구동 스프로켓(2a)과 메인 스프로켓(3)의 사이를 순환하도록 이동한다. 구동기(2)의 동력은, 구동 스프로켓(2a)으로부터 구동 체인(5)을 매개로 하여 메인 스프로켓(3)으로 전달된다. 메인 스프로켓(3),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 및 난간용 상부 스프로켓은, 구동 스프로켓(2a)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스텝 체인(6)은, 스텝용 상부 스프로켓과 스텝용 하부 스프로켓(4)과의 사이를 순환 이동한다. 즉, 스텝(7)은,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를 순환 이동한다.
난간용 상부 스프로켓의 회전에 따라서, 난간 구동 장치(9)의 난간 체인이 순환 이동한다. 난간 체인의 순환 이동에 따라서, 난간 구동 스프로켓 및 난간 구동 롤러가 회전한다. 난간(8)은, 회전하는 난간 구동 롤러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를 순환 이동한다. 난간(8)은, 스텝(7)의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긴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에서의 상하 방향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짧은 길이 방향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난간(8)은, 본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는다. 본체부(1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는, 긴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형상이 C자 모양을 나타낸다. 즉, 본체부(10)는, 난간(8)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형상이 C자 모양을 나타낸다. 본체부(10)는, 외측면(10a) 및 내측면(10b)을 가지고 있다. 외측면(10a)은, 승객 컨베이어의 이용자가 난간(8)을 잡을 때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내측면(10b)은, 난간 구동 롤러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에는, 항장체(抗張體)(11)가 내장되어 있다. 항장체(11)는, 본체부(1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매립되어 있다. 항장체(11)는, 도전성을 가진다. 항장체(11)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항장체(11)는, 예를 들면, 직경 1mm 정도의 굵기로 형성되어 있다.
항장체(11)는, 1개의 난간(8)에 대해서, 적어도 3개 마련되어 있다. 항장체(11)는, 1개의 난간(8)에 대해서, 예를 들면, 10개 이상 마련된다. 도 2는, 1개의 난간(8)에 10개의 항장체(11)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항장체(11)는, 서로 접촉하지 않게,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늘어놓여져 있다.
이하, 복수의 항장체(11) 중,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것을 외측 항장체(11a)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항장체(11) 중, 위로부터 세어 1번째 및 10번째는, 외측 항장체(11a)이다. 또, 복수의 항장체(11) 중, 2개의 외측 항장체(11a)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내측 항장체(11b)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항장체(11) 중, 위로부터 세어 2번째로부터 9번째까지는, 내측 항장체(11b)이다.
도 3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항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장체(11)는, 예를 들면, 와이어(12)를 합쳐서 꼬아 형성된 와이어 로프이다. 1개의 항장체(11)는, 예를 들면, 4개의 와이어(12)를 7세트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난간(8)을 우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의 상하 방향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짧은 길이 방향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내측면(10b)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면(10b)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결선용 개구부(13) 및 접촉용 개구부(14)가 포함된다. 결선용 개구부(13)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개구부 중 장방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접촉용 개구부(14)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개구부 중 원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도 4에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4개의 결선용 개구부(13) 및 2개의 접촉용 개구부(14)를 「H측」의 개구부라고 한다. 또, 도 4에서의 우측에 위치하는 5개의 결선용 개구부(13)을 「J측」의 개구부라고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측의 복수의 개구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정렬 순서로 연속하는 2개가 본체부(10)의 긴 길이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J측의 복수의 개구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정렬 순서로 연속하는 2개가 본체부(10)의 긴 길이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각의 개구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른 개구부와 인접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로부터는, 본체부(10)에 내장된 항장체(11)가 노출되어 있다.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가 노출되어 있다. 즉, 결선용 개구부(13)는, 예를 들면, 난간(8)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간격 이상 또한 상기 간격의 2배 미만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는, 1개의 항장체(11)가 노출되어 있다. 즉, 접촉용 개구부(14)는, 예를 들면, 난간(8)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간격 미만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에서의 상하 방향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짧은 길이 방향이다. 도 5에는, 도 4에 나타내는 개구부의 위치가 가상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장체(11)는, 무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항장체(11)는, 본체부(10)의 긴 길이 방향에서 양단이 접촉하지 않고 대향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항장체(11)의 양단의 사이에는 간극(15)이 존재한다. 복수의 항장체(11)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간극(15)끼리가 서로 이웃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개구부와 항장체(11)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1개의 항장체(11) 전체 중에서, 도면 중에서 간극(15)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일단부라고 하고, 도면 중에서 간극(15)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타단부라고 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항장체(11) 중, 위로부터 세어 1번째 및 10번째는, 외측 항장체(11a)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항장체(11) 중, 위로부터 세어 2번째로부터 9번째까지는, 내측 항장체(11b)이다.
위로부터 세어 1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는, H측의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1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2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J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2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3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H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3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4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J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4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5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H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5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6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J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6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7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H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7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8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J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8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9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H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9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는, 위로부터 세어 10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J측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10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는, H측의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항장체(11)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본체부(10)의 내측면(10b)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노출된다. 결선용 개구부(13)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의 세트 또는 타단부끼리의 세트를 노출시킨다. 접촉용 개구부(14)는, 항장체(11)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측을 노출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 항장체(11b)의 일단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된다. 상기 내측 항장체(11b)의 일단부는,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내측 항장체(11b)의 타단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된다. 상기 내측 항장체(11b)의 타단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외측 항장체(11a)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서로 이웃하는 내측 항장체(11b)의 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측은,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측정 지그의 모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지그는, 기판(16)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16)은,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가지지 않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16)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복수의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는, 예를 들면, 기판(16)에 대해서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는, 난간(8)의 내측면(10b)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에 대해서 동시에 삽입 가능한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기판(16)에는, 결선용 단자(17) 및 접촉용 단자(18)가 마련되어 있다. 측정 지그는, H측용 기판(16) 및 J측용 기판(16)을 구비하고 있다. H측용 기판(16)에는, 4개의 결선용 단자(17) 및 2개의 접촉용 단자(18)가 마련되어 있다. J측용 기판(16)에는, 5개의 결선용 단자(17)가 마련되어 있다. 결선용 단자(17)는, 내측면(10b)에 형성된 결선용 개구부(13)에 대응하여 기판(16)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용 단자(18)는, 내측면(10b)에 형성된 접촉용 개구부(14)에 대응하여 기판(16)에 배치되어 있다.
결선용 단자(17)는, 결선용 개구부(13)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2개의 항장체(11)의 쌍방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선용 단자(17)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간격과 동일한 정도의 간격으로 늘어놓여진 2개의 침상(針狀)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 이라도 좋다. 또, 결선용 단자(17)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간격과 동일한 정도의 굵기로 형성된 1개의 침상 부재라도 좋다.
접촉용 단자(18)는, 접촉용 개구부(14)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1개의 항장체(11)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용 단자(18)는, 복수의 항장체(11)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은 형상 및 굵기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측정 지그는, 난간(8)의 내측면(10b)에 형성된 각 개구부에 대해서, 동시에 각 단자가 삽입되도록 하여 사용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4개의 결선용 단자(17)는, H측의 결선용 개구부(13)의 각각에 삽입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2개의 접촉용 단자(18)는, H측의 접촉용 개구부(14)의 각각에 삽입된다. J측용 기판(16)에 마련된 5개의 결선용 단자(17)는, J측의 접촉용 개구부(14)의 각각에 삽입된다.
측정 지그가 사용되면, 접촉용 단자(18)는, 삽입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1개의 항장체(11)에 접촉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접촉용 단자(18)의 일방은, 위로부터 세어 1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에 접촉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접촉용 단자(18)의 타방은, 위로부터 세어 10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에 접촉한다.
측정 지그가 사용되면, 결선용 단자(17)는, 삽입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2개의 항장체(11)의 쌍방에 접촉한다. 즉, 결선용 단자(17)는, 동일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2개의 항장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J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1번째 및 2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J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3번째 및 4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J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5번째 및 6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J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7번째 및 8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J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9번째 및 10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2번째 및 3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4번째 및 5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6번째 및 7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 중 하나는, 위로부터 세어 8번째 및 9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측정 지그가 사용되면, 상기와 같이, H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에 의해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J측용 기판(16)에 마련된 결선용 단자(17)에 의해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전기적으로는, 위로부터 세어 1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로부터 10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까지가 직렬 접속된 상태가 된다. 즉, 일방의 외측 항장체(11a)의 일단부로부터 타방의 외측 항장체(11a)의 일단부까지가, 모든 내측 항장체(11b)를 순차적으로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2개의 접촉용 단자(18)의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 경우,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이 측정된다. 또,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동일한 항장체(11)에 접촉하고 있는 2개의 단자의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 경우, 1개의 항장체(11)의 전기 저항이 측정된다.
실시 형태 1에서, 본체부(10)의 내측면(10b)에는, 모든 항장체(11)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모든 항장체(11)는,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으로부터 본체부(10)를 제거하지 않아도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복수의 항장체(11)의 전기 저항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1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으로서 정상적인 값이 측정된 경우, 상기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는 열화한 항장체(11)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1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으로서 이상(異常)한 값이 측정된 경우, 상기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는 열화한 항장체(11)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1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대해 전기 저항의 측정을 1회 행하는 것만으로, 열화한 항장체(11)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항장체(11)의 열화 진단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열화한 항장체(11)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각각의 항장체(11)의 전기 저항을 개별로 측정하면, 열화한 항장체(11)를 특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결선용 개구부(13)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의 세트 또는 타단부끼리의 세트를 노출시킨다. 접촉용 개구부(14)는, 항장체(11)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측을 노출시킨다. 내측 항장체(11b)는, 일단부가,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으며, 타단부가,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타단부와 함께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외측 항장체(11a)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서로 이웃하는 내측 항장체(11b)의 단부와 함께 상기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측이 상기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동일한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는 2개의 항장체(11)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용이하게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항장체(11)의 열화 진단을 효율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각각의 개구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른 개구부와 인접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개구부는,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늘어서지 않고,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난간 구동 롤러가 개구부에 들어가거나 걸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순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복수의 항장체(11)의 전기 저항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대해서 이용되는 측정 지그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은 기판(16)을 구비하고 있다. 측정 지그는, 결선용 단자(17) 및 접촉용 단자(18)를 구비하고 있다. 결선용 단자(17)는, 결선용 개구부(13)에 대응하여 기판(16)에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쌍방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용 단자(18)는, 접촉용 개구부(14)에 대응하여 기판(16)에 배치되어 있다. 측정 지그를 사용하면, 동일한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는 2개의 항장체(11)끼리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측정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항장체(11)의 열화 진단을 더 효율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측정 지그는, H측용 기판(16)의 단자 및 J측용 기판(16)의 단자가 1개의 기판(16)에 마련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라도, 각 단자가 각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용이하게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전기 저항을 측정할 때에는, 측정 지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라도,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다음,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되는 외측 항장체(11a)의 단부에 측정 기기의 단자를 직접 접촉시키면,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이하,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에서의 상하 방향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의 짧은 길이 방향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서, 난간(8)에는, 접촉구(19) 및 연결구(20)가 미리 마련되어 있다. 접촉구(19) 및 연결구(20)는, 도전성을 가진다. 접촉구(19) 및 연결구(20)는, 항장체(11)에 장착되어 있다.
접촉구(19)는, 도 5에 가상적으로 나타낸 접촉용 개구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접촉구(19)는,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연결구(20)는, 도 5에 가상적으로 나타낸 결선용 개구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연결구(20)는,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서의 접촉구가 장착된 항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서의 연결구가 장착된 항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구(19)는, 대향하는 2방향으로부터 1개의 항장체(11)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구(20)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의 쌍방에 맞물려지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즉, 연결구(20)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를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위로부터 세어 1번째 및 2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3번째 및 4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5번째 및 6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7번째 및 8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9번째 및 10번째의 항장체(11)의 타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2번째 및 3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4번째 및 5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6번째 및 7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로부터 세어 8번째 및 9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끼리는,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서의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은, 연결구(20)에 의해, 위로부터 세어 1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로부터 10번째의 항장체(11)의 일단부까지가 직렬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미리, 일방의 외측 항장체(11a)의 일단부로부터 타방의 외측 항장체(11a)의 일단부까지가, 모든 내측 항장체(11b)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2개의 접촉구(19)의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 경우,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이 측정된다. 또, 예를 들면, 동일한 항장체(11)에 장착되어 있는 접촉구(19)와 연결구(20)와의 사이 또는 2개의 연결구(20)의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 경우, 1개의 항장체(11)의 전기 저항이 측정된다.
실시 형태 2에서, 내측 항장체(11b)는, 일단부가,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일단부와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며, 타단부가, 본체부(10)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타단부와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항장체(11)의 타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동일한 결선용 개구부(13)로부터 노출되는 2개의 항장체(11)끼리가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측정시에 항장체(11)끼리를 접속하거나 측정 지그를 이용하거나 하지 않아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내장된 항장체(11)의 열화 진단을 효율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서, 접촉구(19)는,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라도, 예를 들면, 접촉용 개구부(14)로부터 노출되는 외측 항장체(11a)의 단부에 측정 기기의 단자를 직접 접촉시키면,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도, 전기 저항을 측정할 때에 측정 지그를 사용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1 및 2에 의하면, 항장체(11)의 마모 및 단선이 아닌 이상(異常)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항장체(11)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 또는 1개의 항장체(1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 등에도, 모든 항장체(11)의 합성 저항으로서 이상(異常)한 값이 측정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각각의 항장체(11)의 전기 저항을 개별로 측정하면, 문제가 있는 항장체(11)를 특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및 2의 설명에서는, 도면 중에서 간극(15)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일단부라고 하고, 도면 중에서 간극(15)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타단부라고 하고 있지만, 일단부와 타단부를 바꾸어도 괜찮다. 즉, 1개의 항장체(11) 전체 중에서, 도면 중에서 간극(15)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일단부라고 하고, 도면 중에서 간극(15)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타단부라고 해도 괜찮다.
1 : 트러스 2 : 구동기
2a : 구동 스프로켓 3 : 메인 스프로켓
4 : 스텝용 하부 스프로켓 5 : 구동 체인
6 : 스텝 체인 7 : 스텝
8 : 난간 9 : 난간 구동 장치
10 : 본체부 10a : 외측면
10b : 내측면 11 : 항장체
11a : 외측 항장체 11b : 내측 항장체
12 : 와이어 13 : 결선용 개구부
14 : 접촉용 개구부 15 : 간극
16 : 기판 17 : 결선용 단자
18 : 접촉용 단자 19 : 접촉구
20 : 연결구

Claims (5)

  1. 무단(無端)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긴 길이 방향에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고 대향하고, 상기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촉하지 않게 늘어놓여진 항장체(抗張體)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모든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장체는,
    상기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외측 항장체와,
    2개의 상기 외측 항장체의 사이에 배치된 내측 항장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끼리의 세트(set) 또는 타단부끼리의 세트를 노출시키는 결선용 개구부와,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상기 결선용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측을 노출시키는 접촉용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항장체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결선용 개구부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결선용 개구부로부터 노출하지 않으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결선용 개구부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결선용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상기 외측 항장체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내측 항장체의 단부와 함께 상기 결선용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측이 상기 접촉용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항장체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타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타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일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항장체의 타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부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른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5. 도전성을 가지지 않은 기판과,
    상기 결선용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항장체의 쌍방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결선용 단자와,
    상기 접촉용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된 접촉용 단자를 구비하며,
    청구항 2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에 대해서 이용되는 측정 지그.

KR1020160094058A 2015-11-04 2016-07-25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 KR102391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6351A JP6103019B1 (ja) 2015-11-04 2015-11-04 乗客コンベア用手摺及び測定治具
JPJP-P-2015-216351 2015-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51A KR20170052451A (ko) 2017-05-12
KR102391122B1 true KR102391122B1 (ko) 2022-04-28

Family

ID=5874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058A KR102391122B1 (ko) 2015-11-04 2016-07-25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03019B1 (ko)
KR (1) KR102391122B1 (ko)
CN (1) CN1068297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5235B (zh) * 2018-10-12 2023-10-31 三菱电机株式会社 乘客输送机的扶手抗拉体检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175A (ja) 2003-10-22 2005-05-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スカレーターハンドレールの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6347C3 (de) * 1971-07-21 1974-07-11 Bergwerksverband Gmbh, 4300 Essen Leiterschleifen für die Überwachung von Stahlseilförderbändern
US4618387A (en) * 1985-03-08 1986-10-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licing methods for an extruded handrail
JPS61171789U (ko) * 1985-04-16 1986-10-24
JPH04137323A (ja) * 1990-09-27 1992-05-1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押しボタン装置
US6015038A (en) * 1995-12-19 2000-01-18 Otis Elevator Company Handrail monitoring system
JP3299911B2 (ja) * 1997-05-01 2002-07-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用ハンドレール接続部の異常判定方法
JP5091464B2 (ja) * 2006-11-28 2012-12-05 東北ゴム株式会社 ハンドレ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8958B2 (ja) * 2008-10-31 2012-12-1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装置、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1925B2 (ja) * 2011-04-05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チールコードを含む移送機構用長尺部材の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JP5463320B2 (ja) * 2011-04-07 2014-04-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ハンドレールの検査方法
JP5986935B2 (ja) * 2013-02-01 2016-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175A (ja) 2003-10-22 2005-05-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スカレーターハンドレールの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03019B1 (ja) 2017-03-29
CN106829712A (zh) 2017-06-13
JP2017088266A (ja) 2017-05-25
KR20170052451A (ko) 2017-05-12
CN106829712B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3912B (zh) 检测电梯的悬挂构件设备的劣化状态的方法和装置
US20120090924A1 (en) Contacting device
CN106536384B (zh) 多功能带
KR20110084422A (ko) 지지 벨트
JP4558034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検査装置
ES2360527T3 (es) Dispositivo conector eléctrico para utilizar con miembros de soporte de carga de ascensores.
US9385447B2 (en) Electrical contacting of tensile carriers in support components
KR102391122B1 (ko) 승객 컨베이어용 난간 및 측정 지그
CN114803773A (zh) 用于电梯受拉构件的检查***的连接器
CN115611115A (zh) 用于电梯的悬吊构件装置和用于监控悬吊构件的监控设备
US10611604B2 (en) Elevator system
US20190345004A1 (en) Suspension member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monitor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suspension member
WO2017090470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支援装置及びコネクタバー
CN206208817U (zh) 电梯复合钢带检测装置
JP6485572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
WO2017090469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6485573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
JP6337807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
JP6696492B2 (ja) 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伸び率測定ゲージ
KR100861639B1 (ko)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의 상태 감시용 전기 신호 적용전략
KR100827180B1 (ko)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KR20070018864A (ko)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WO2017090526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支援装置及びコネクタバー
CN114988250A (zh) 曳引构件的检测装置、检测方法以及电梯***
BR112019013785B1 (pt) Arranjo de membro de suspensão para um elevador, entidade membro de suspensão e elev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