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619B1 -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 Google Patents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619B1
KR102377619B1 KR1020200124481A KR20200124481A KR102377619B1 KR 102377619 B1 KR102377619 B1 KR 102377619B1 KR 1020200124481 A KR1020200124481 A KR 1020200124481A KR 20200124481 A KR20200124481 A KR 20200124481A KR 102377619 B1 KR102377619 B1 KR 10237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gle
bracket system
woo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태
Original Assignee
박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태 filed Critical 박기태
Priority to KR102020012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83Fibrous blanket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f the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의 배치된 보드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는 픽싱 유닛(fixing unit); 픽싱 유닛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돌출되는 수직 밀착 유닛; 및 수직 밀착 유닛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울(wool)을 관통하여 고정 홀딩하는 텐션 홀딩 유닛(tension holding unit)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Bracket system for fixing wool by using tension force of angle}
본 발명은 울 고정을 위한 브라켓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건축 자재인 단열, 내화 울(wool)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으로서 자체 앵글 텐션 포스를 발현시키는 위한 소정의 각도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건설업에서는 그 동안 공사 수주나 마케팅이 최대의 관심사였으며, 건자재 조달 업무는 필요한 건자재를 적기에 공급하는 것이 주요 역할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저가 낙찰제의 도입 등 건설업의 대내외적 환경이 급변하면서 건자재 조달의 역할이 적기 공급이라는 소극적 역할에서 벗어나 원가 절감과 수익성 제고라는 적극적 역할로 변화되고 있다. 건설공사 원가에서 자재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외주비에 포함된 자재비를 포함할 때 35 내지 50퍼센트에 달하고 있다. 이는 건자재 조달 부문의 원가 절감이 건설 비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설업체의 수익성과 수주 경쟁력에 직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자재 조달 기능의 강화가 요구되며, 장기적으로 조달 체계의 틀을 새로 짜야 할 필요성이 있다. 건설업체에서 건자재의 구매·조달에 있어 능동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행하기 위하여는 건자재 시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건자재 품목별로 시장 구조, 소비 행태, 기술 동향 등에 대한 자료가 미흡하여 효율적인 의사 결정이 어렵고, 나아가 가격 협상력이 취약해지고 있다. 또한, 건설 기술의 발전은 건자재 측면의 기술 개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나, 설계 단계에서 신제품, 신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건자재 기술 동향에 대한 자료가 극히 미흡하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 측면에서는 신제품이나 신기술의 활용이 미흡해지는 한편, 우수한 성능을 갖춘 건자재의 조달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다.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등록번호 제10-0841565호, 특허문헌1)"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외부로 볼트나 체결부재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면서 외장 마무리가 가능한 패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특허문헌1의 경우, 단면을 따라 만곡되어 만곡부를 형성하는 소정길이의 수평바아; 수평바아를 건물 외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일측이 만곡부에 걸어 맞춰지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이동 브라켓; 및 양면중 건물 외벽을 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브라켓이 고정된 외장용 패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아울러,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등록번호 제10-1664359호, 특허문헌2)"가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건물의 내, 외측 벽면에 설치되는 테라코타 타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된 고정 브래킷의 선단에 연결부재가 체결되고, 연결부재에 클립이 결합되는 건축용 고정장치로서, 연결부재는 하측에 고정 브래킷의 고정부와 맞대어 고정되는 연결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의 상측에는 지지판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지지판에는 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멍 및 리벳을 고정하기 위한 리벳구멍이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지지판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테라코타 타일의 전면에 밀착되어 충격흡수 및 실링을 행하는 패킹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패킹 삽입홈이 구비되며, 클립은 지지판의 결합구멍 내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고 선단에는 훅부가 구비된 하부 결합부와, 상측에 형성되어 테라코타 타일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 내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고 선단에는 훅부가 구비된 한 쌍의 상부 결합부와, 연결부재의 리벳구멍에 결합되는 리벳을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연결부재의 결합부는 배수통로를 가지는 차수판이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그리고,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등록번호 제20-0410714호, 특허문헌3)"도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고안의 경우, 주로 건축물의 외벽 시공과 관련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외벽 보호와 장식 등을 위한 외벽재의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을 장식함에 있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외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벽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브라켓과; 프레임에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종래의 기술들의 경우, 완전한 강성체 즉, 견고한 물체를 홀딩하는데 적합한 기술에 해당하나, 울(wool)과 같은 불완전 강성체 즉, 미세한 조직들의 다발로 이루어진 건축자재를 홀딩하고 그 홀딩력을 유지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존재한다.
미세한 조직들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상호 뭉침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조직의 불균일한 부분으로 변형 혹은 브라켓과의 이격되는 상황 등으로 인해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어 그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등록번호 제10-0841565호 등록번호 제10-1664359호 등록번호 제20-0410714호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자중에 의하여 하향되는 울 자재의 고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울 자재의 자중에 의하여, 외향 쏠림 발생시 브라켓의 하중 부담이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부의 배치된 보드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는 픽싱 유닛(fixing unit); 상기 픽싱 유닛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돌출되는 수직 밀착 유닛; 및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울(wool)을 관통하여 고정 홀딩하는 텐션 홀딩 유닛(tension hol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은, 내면이 상기 보드에 수직 기립하게 설치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며, 내면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밀착 플레이트에 타공되어, 상기 울을 이루는 섬유 다발을 홀딩하는 복수 개의 그랩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그랩 홀 각각은, 외향 타공을 통해 형성되어, 외향 불규칙 표면을 통해 상기 섬유 다발을 홀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텐션 홀딩 유닛은, 내측이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는 주몸체를 이루는 돌출 보디; 및 상기 돌출 보디의 외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출 보디 대비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벤딩되는 앵글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향 벤딩되어, 상기 섬유 다발의 자중을 지탱하는 상향 텐션 포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앵글 웨지는, 상기 섬유 다발에 의해 가압되면, 상향 벤딩 각도는 일시 증가하여 상기 텐션 포스가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앵글 웨지는, 상면에 미리 설정된 각도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돌출 핀을 형성하는 리버스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앵글 웨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을 향하도록 내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상기 리버스 홀더는, 상기 섬유 다발의 자중에 의해 하향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섬유 다발을 국소적으로 홀딩하여, 상기 섬유 다발의 외향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직 기립되고 파이프에 밀착된 수직 밀착 유닛을 통해, 울의 자중에 의한 하향 저항력이 증대된다.
둘째, 텐션 홀딩 유닛이 상향 돌출되어, 자체적인 앵글의 텐션 포스를 통해 울의 자중에 의해 다소 하향되어도 울이 외향 혹은 하향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셋째, 그랩 홀의 불규칙 표면의 홀딩력을 통해 섬유다발을 쥐는 기능을 구현하여, 섬유 다발의 외향 이탈을 방지한다.
넷째, 리버스 홀더를 통해, 섬유 다발의 외향 흘러 내림 현상이 원천 차단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중, 수직 밀착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중, 텐션 홀딩 유닛의 작동 상태와 제2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중, 수직 밀착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중, 텐션 홀딩 유닛의 작동 상태와 제2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상판에 해당하는 보드(1)가 있고, 이러한 보드(1)에 수직 관통 혹은 수직 장착되는 파이프(2)가 있는 상황에서, 파이프(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울(wool, 10) 소재를 목적하는 위치에 그대로 고정 부착 되도록 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와 파이프(2)가 연결된 부위에 인접하여 특수하게 맞춤형으로 제공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은 픽싱 유닛(fixing unit, 110), 수직 밀착 유닛(120) 및 텐션 홀딩 유닛(tension holding unit, 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픽싱 유닛(110)의 경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싱 유닛(110)의 상부에 배치된 상판인 보드(1)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는 구성이다.
픽싱 유닛(110)은 픽싱 홀(h)을 통하여, 못(미도시)이나 볼트(미도시)가 관통되고, 관통된 못이나 볼트는 보드(1)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픽싱 유닛(110)의 픽싱 홀(h)은 한 쌍, 즉, 2개 정도로 형성되어, 한 쌍의 픽싱 홀(h) 사이에 후술하는 다른 요소를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직 밀착 유닛(120)의 경우, 픽싱 유닛(11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돌출되는 구성이다.
수직 밀착 유닛(120)은 픽싱 유닛(110) 중 파이프(2)에 인접한 측면인 일면에서 하향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밀착 유닛(120)은 픽싱 유닛(110)과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몸체로 시작하되 픽싱 유닛(110)과 본딩(bonding), 웰딩(welding)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수직 밀착 유닛(120)의 경우, 내면이 상기 보드에 수직 기립하게 설치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어야 한다. 수직 밀착 유닛(120)은 파이프(2)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지 않고, 처음부터 밀착성이 유지가 된 상태가 되면, 후술하게 되는 텐션 홀딩 유닛(130)이 방사상으로 외향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력의 손실이 방지된다.
텐션 홀딩 유닛(130)의 경우,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밀착 유닛(120)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외향이라 함은, 파이프(2)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게 된다.
텐션 홀딩 유닛(13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울(wool, 10)을 관통하여, 울(10)을 하향하지 않도록 홀딩하게 된다.
수직 밀착 유닛(120)의 경우, 밀착 플레이트(121), 및 그랩 홀(grab hole, 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 플레이트(121)의 경우, 도 1,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밀착 유닛(120)의 주된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밀착 플레이트(121)는 얇은 판상의 재료를 활용하며 제작할 수 있는데, 좌측면으로 보았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으나, 파이프(2)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에 맞추어 완만한 곡면으로 될 수도 있다.
그랩 홀(122)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플레이트(121)에 외향 타공되는 개구이다.
그랩 홀(122)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외향 즉, 파이프(2)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향 타공되어, 타공된 부분의 테두리 부분은 외향 돌출되는 불규칙 표면(도 6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불규칙 표면은 울(10)을 형성하는 섬유 다발을 붙잡는 기능을 구비하게 되어, 섬유 다발을 홀딩하게 되고, 울(10)은 수직 밀착 유닛(120)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하향 슬라이딩 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하향 슬라이딩 되지 않는 효과로 인해, 텐션 홀딩 유닛(130)에 인가되는 하중 또한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의 경우, 텐션 홀딩 유닛(130)은 돌출 보디(131) 및 앵글 웨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돌출 보디(131)의 경우, 내측이 수직 밀착 유닛(120)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는 주몸체를 이루는 구성이다.
즉, 돌출 보디(131)는 수직 밀착 유닛(120)의 하단에 부착되어, 외향 즉, 파이프(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외향하도록 돌출되는 구성이다.
돌출 보디(131)는 수직 밀착 유닛(120)과 일체의 몸으로 형성되어 벤딩되거나, 별도의 몸체이되 본딩 혹은 웰딩 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아울러, (132)의 경우, 돌출 보디(131)의 외측에 연장 형성되며, 돌출 보디(131)가 이루는 각도에 대비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벤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의 소정의 각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벤딩되어, 섬유 다발의 자중을 지탱하는 상향 텐션 포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앵글 웨지(132)의 경우,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의 외주면에 섬유다발이 감겨지면서 섬유 다발에 의한 내향 가압력이 인가되면 상향 벤딩 각도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 증가하게 된다. 이후, 섬유다발로 이루어진 울(10)의 자중에 저항하는 텐션 포스는 증대되고, 이를 통해 울(10)의 자중에 의한 하향 침하 현상이 방지된다.
앵글 웨지(132)의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돌출 핀으로 이루어진 리버스 홀더(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버스 홀더(133)의 경우,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앵글 웨지(13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각도는 수직 밀착 유닛(120)을 바라보는 방향 즉, 내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리버스 홀더(133)는 섬유 다발의 자중에 의해 하향 압력이 앵글 웨지(132)로 인가되면, 섬유 다발을 국소적으로 홀딩 또는 저항력을 형성하여, 섬유 다발의 외향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섬유 다발이 외향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흘러내리면 앵글 웨지(132) 혹은 텐션 홀딩 유닛(130)에 걸리는 하향 자중력은 더 커지기 때문에 리버스 홀더(133)는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보드(board) 2: 파이프(pipe)
10: 울(wool) 100: 브라켓 시스템
110: 픽싱 유닛(fixing unit) 120: 수직 밀착 유닛
121: 밀착 플레이트 122: 그랩 홀(grab hole)
130: 텐션 홀딩 유닛(tension holding unit) 131: 돌출 보디
132: 앵글 웨지(angle wedge) 133: 리버스 홀더(reverse holder)

Claims (10)

  1. 상부의 배치된 보드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는 픽싱 유닛(fixing unit);
    상기 픽싱 유닛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돌출되는 수직 밀착 유닛; 및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울(wool)을 관통하여 고정 홀딩하는 텐션 홀딩 유닛(tension hold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은,
    내면이 상기 보드에 수직 기립하게 설치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며,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며, 내면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밀착 플레이트에 타공되어, 상기 울을 이루는 섬유 다발을 홀딩하는 복수 개의 그랩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그랩 홀 각각은,
    외향 타공을 통해 형성되어, 외향하는 불규칙 표면을 통해 상기 섬유 다발을 홀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시스템.
  5. 상부의 배치된 보드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는 픽싱 유닛(fixing unit);
    상기 픽싱 유닛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돌출되는 수직 밀착 유닛; 및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울(wool)을 관통하여 고정 홀딩하는 텐션 홀딩 유닛(tension hold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 홀딩 유닛은,
    내측이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 배치되는 주몸체를 이루는 돌출 보디; 및
    상기 돌출 보디의 외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출 보디 대비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벤딩되는 앵글 웨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향 벤딩되어, 상기 섬유 다발의 자중을 지탱하는 상향 텐션 포스를 구비하고,
    상기 앵글 웨지는,
    상기 섬유 다발에 의해 가압되면, 상향 벤딩 각도는 일시 증가하여 상기 텐션 포스가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웨지는,
    상면에 미리 설정된 각도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돌출 핀을 형성하는 리버스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앵글 웨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직 밀착 유닛을 향하도록 내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홀더는,
    상기 섬유 다발의 자중에 의해 하향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섬유 다발을 국소적인 저항을 형성하여, 상기 섬유 다발의 외향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시스템.
KR1020200124481A 2020-09-25 2020-09-25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KR10237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81A KR102377619B1 (ko) 2020-09-25 2020-09-25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81A KR102377619B1 (ko) 2020-09-25 2020-09-25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619B1 true KR102377619B1 (ko) 2022-03-22

Family

ID=8098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481A KR102377619B1 (ko) 2020-09-25 2020-09-25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6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714Y1 (ko) 2005-12-24 2006-03-08 김근영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0841565B1 (ko) 2005-05-17 2008-06-26 김순호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100917866B1 (ko) * 2009-04-03 2009-09-16 대보하우징 주식회사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JP2012072592A (ja) * 2010-09-28 2012-04-12 Sekisui Chem Co Ltd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664359B1 (ko) 2014-06-27 2016-10-10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KR20180124620A (ko) * 2017-05-12 2018-11-21 장대관 방화자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65B1 (ko) 2005-05-17 2008-06-26 김순호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200410714Y1 (ko) 2005-12-24 2006-03-08 김근영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0917866B1 (ko) * 2009-04-03 2009-09-16 대보하우징 주식회사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JP2012072592A (ja) * 2010-09-28 2012-04-12 Sekisui Chem Co Ltd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664359B1 (ko) 2014-06-27 2016-10-10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KR20180124620A (ko) * 2017-05-12 2018-11-21 장대관 방화자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05251A1 (en) Support bracket apparatus
US10472825B2 (en) Plastic panel and structures using the same
CN107667200A (zh) 天花板安装***及相关方法
KR20200068498A (ko) 고강성구조 c형강을 적용한 방음벽지주
KR102377619B1 (ko) 앵글 텐션 포스를 이용한 울 고정 브라켓 시스템
KR101036580B1 (ko)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주름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서 모듈
JP5132773B2 (ja) フェンス
US9435465B1 (en) Bracket for utilities support hardware
CN205476447U (zh) 一种顶升平台的桁架梁与滑梁的连接结构
KR101012010B1 (ko) 골형 웨브 강판 조립보
CN210789673U (zh) 一种激光焊接房墙板型材
CN209179336U (zh) 用于屋面直立锁边的围护***
CN205276450U (zh) 一种加强型排水沟板
KR102576034B1 (ko) 외벽 패널 조립 구조
CN213268506U (zh) 一种简易的石材干挂结构
JP3877420B2 (ja) 壁パネルおよび壁パネル用補強プレート
TW444089B (en) Roof structural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of structural body
CN206693480U (zh) 一种悬挂吊件用檩条
JP7483275B1 (ja) 部材連結具
CN208618819U (zh) 一种施工电梯通道平台
KR200466580Y1 (ko) 메탈 패널 고정용 브라켓
KR101840979B1 (ko) 스티프너
CN105862590A (zh) 一种曲线独塔双索面的斜拉桥主塔用模板的拼装方法
EP1965002A2 (en) Support structure for slabs for cladding a wall to be clad
KR20210128996A (ko) 뚜껑 있는 복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