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200B1 -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200B1
KR102374200B1 KR1020200123077A KR20200123077A KR102374200B1 KR 102374200 B1 KR102374200 B1 KR 102374200B1 KR 1020200123077 A KR1020200123077 A KR 1020200123077A KR 20200123077 A KR20200123077 A KR 20200123077A KR 102374200 B1 KR102374200 B1 KR 10237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expanded graphite
composition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박용수
황인찬
박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Priority to KR102020012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열전도도가 우수한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 열전도성 필러 10 내지 70중량부 및 고방열 입자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COMPOSITION FOR HEAT DISSIPATION FOR DISPLAY BY CA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ND PAD FOR HEAT DISSIPATION COMPRI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전도성 합성수지, 열전도성 필러, 고방열 입자를 적절한 함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미래형 자동차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고성능 방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디스플레이가 경량화, 소형화, 슬림(Slim)화 되고, 고속화를 위하여 고집적화 됨에 따라 단위 체적당 발열량이 증가하면서 열 부하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체적당 발열량이 증가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성능, 성능 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쳐 발열량을 조절하는 것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무인자동차, 자율 주행 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카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방열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개질된 팽창 그라파이트를 충전제에 함유시켜 열전도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 하지만 LCD의 출력이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더욱 높아지며 그에 따라 방출하는 열이 증가하여 종래의 개질된 팽창 그라파트와 충전제를 혼합한 것만으로는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발광효율 감소를 막기 어려워지기 시작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열전도성 합성수지, 열전도성 필러, 팽창 그라파이트의 적절한 조성비를 찾는 것에 관한 연구가 지속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도성 합성 수지, 열전도성 필러, 고방열 입자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배합함으로써,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 합성 수지, 열전도성 필러, 고방열 입자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배합함으로써,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을 포함하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 합성 수지, 열전도성 필러, 고방열 입자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배합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 열전도성 필러 10 내지 70중량부 및 고방열 입자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도성 합성 수지, 열전도성 필러, 고방열 입자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배합함으로써,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 합성 수지, 열전도성 필러, 고방열 입자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배합함으로써,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을 포함하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 합성 수지, 열전도성 필러, 고방열 입자를 적절한 조성비로 혼배합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팽창 그라파이트의 평균입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입자의 평균입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의 형상을 배율 1,000배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의 형상을 50,000배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방열이란, 열을 내보내거나 내뿜는 일, 또는 그 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기계 따위에서 발생한 열을 방산하는 일을 이른다. 전자제품의 방열체(heat sink)의 소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대략 1 내지 30 W/mK 값을 가져야 하고 방열 소재로는 금속, 세라믹, 카본 등의 열전도성 필러와 고분자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 열전도성 필러 10 내지 70중량부 및 고방열 입자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열전도성 합성수지 및 고방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합성수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리퀴드크리스탈수지,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이들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수지는 폴리비닐실록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실록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모두 포함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실록산과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비는 60:40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점도의 폴리비닐실록산의 중량비가 높아질수록 방열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는 특성이 나타난다. 고점도의 폴리비닐실록산과 저점도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필요한 점도의 방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폴리비닐실록산이 상기 90:10 보다 많이 첨가된 경우, 방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 접착제 및 코팅제로 도포되는 경우에 적합하지 않으며, 폴리비닐실록산이 상기 60:40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 방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접착제 또는 코팅제로 도포 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합성수지는 혼합 기재폴리머(Base Polymer)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기재폴리머는 폴리비닐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아닐린 간에 혼합된 고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필러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은코팅구리, 은코팅니켈, 은코팅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보놀나이트라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티타늄나이트라이드 및 이들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입자의 평균입도는 110㎛(마이크로미터) 이하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방열 입자의 평균입도는 30 내지 110㎛(마이크로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방열 입자의 평균입도는 35 내지 50㎛(마이크로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팽창 그라파이트의 평균입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입자의 평균입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입자의 평균입도는 도 1의 팽창 그라파이트의 평균입도와 달리, 40㎛(마이크로미터)이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입자는 팽창 그라파이트(Expanded Graphite),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입자는 팽창 그라파이트 및 개질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고, 열전도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각각 30 내지 70 중량부만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 팽창 그라파이트 30 내지 70 중량부, 및 개질된 탄소나노튜브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입자는 열전도성 필러 사이를 연결하는 열전도성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방열 입자는 열전도성 필러와 혼합되어 분산성이 우수하고 일정한 물성을 가지는 방열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바람직하게 부피 팽창률이 200 이상이고,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마이크로미터) 이며,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이고, 기공형상이 벌집 모양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의 부피 팽창률이 200 이상이 되어야 방열 조성물에 열이 가해진 경우 팽창 그라파이트의 부피 팽창으로 표면적이 크게 넓어지며 우수한 방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의 평균입도가 100㎛(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 부피팽창으로 인한 방열효과가 떨어지며, 200㎛(마이크로미터)보다 큰 경우에는 충전제에서 다른 조성물과 혼합될 때 분산성이 떨어지고 방열 조성물의 균일한 물성을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팽창 그라파이트의 물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소계 소재인 팽창 그라파이트(Expanded graphite)는 열전도도가 높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가벼워서 고기능성 복합재료를 요하는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 되는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팽창 그라파이트는 천연 그라파이트 또는 인조 그라파이트 등의 그라파이트에 화학처리를 거치면 그라파이트 층간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에 대해 고온처리 과정을 거치면 급속히 분해된 후 다시 팽창하여, 체적이 기존의 수십 내지 수 백배로 증가되어 얻어진 것을 말한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를 적용한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는 팽창 그라파이트가 박리된 정도, 분산상태, 종횡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주재료인 실리콘 수지 내에서 분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원통형 모양의 나노 구조를 지니는 탄소의 동소체이다. 탄소 나노튜브는 전기 방전 시에 Fe, Ni, Co 등과 같은 전이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기본적인 구조인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ingle-Wall Carbon Nanotube; SWNT),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 MWN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 MWNT)일 때, 직경은 10nm 내지 1000nm일 수 있고, 길이는 10 내지 500㎛(마이크로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높은 유연성(High Flexibility)을 가지고 있어서 휘어졌다가 원상복구되기 쉽고, 낮은 중량 밀도(Low mass Density)를 갖고 있어서 직경이 나노크기인 반면에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밀리미터까지 될 수 있기 때문에 종횡비(Aspect Ratio)가 매우 크다. 따라서 탄소 나노튜브의 화학 결합은 상대적으로 강한 sp2 결합을 가짐으로써, 탄소 나노튜브는 높은 강도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는 개질된 다중벽 나노튜브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의 형상을 배율 1,000배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의 형상을 50,000배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상기 개질된 다중벽 나노튜브의 형상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열전도성 필러, 및 고방열 입자 이외에 경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는 경화 및 공정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함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추 경화제의 함량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열전도성 필러, 및 고방열 입자 이외에 경화지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지연제는 경화 및 공정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함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경화지연제는 열전도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열전도성 필러, 및 고방열 입자 이외에 백금계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금계 촉매는 백금(Pt), 루테늄(Ru), 오스뮴(Os), Sn(주석), 이리듐(Ir), 팔라듐(Pd) 및 로듐(R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의 열전도도는 3.5W/mK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W/mK 내지 4.0 W/mK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은 전도성 나노섬유인 폴리아닐린을 기재 폴리머(Base Polymer)에 혼합하고, 개질된 탄소나노튜브 충진재를 통해 상기 범위의 열전도도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고방열 입자를 나노 크기로 1회 이상 분쇄하는 나노 분쇄 단계, 상기 나노 크기로 분쇄된 상기 고방열 입자의 표면을 개질하여 기능화기를 도입하도록 처리하도록 표면 개질 단계 및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 크기의 고방열 입자를 열전도성 합성수지에 에멀션(emulsion) 상태로 분산되는 분산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상기 나노 분쇄 단계는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도 11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의 제조방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 단계는 상기 고방열 입자의 표면에 화학적 기능화기가 도입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기능화기는 산소 함유 기능기로, 카르복실기(-COOH), 하이드록실기(-OH), 에스테르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방열 입자는 상기 화학적 기능화기들로 인하여 더욱 미립화될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방열 입자를 개질하기 위해, 먼저 수용액 상태에서 초음파 분쇄하고 강산, 고온 상태에서 소결 후 세정하는 1차 분쇄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고방열 입자를 초음파 분쇄함으로써 미립자를 균질화시켜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고방열 입자 분산시 초음파의 세기는 20 kHz 내지 40k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방열 입자 중 하나인 팽창 그라파이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팽창 그라파이트 0.5g을 증류수 100g에 넣어 초음파 분쇄를 한다. 그 뒤, 황산과 질산의 혼합용액(황산: 질산=3:1, 부피비) 240g에 넣고 60℃로 가열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강산 용액이 혼합된 팽창 그라파이트를 2차 증류수 500g에 넣어 희석시키고, 수 회에 걸쳐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을 하였다.
3볼밀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반복 교반한 후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했다. 팽창 그라파이트를 수분 상태에서 초음파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 후,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나노 크기의 팽창 그라파이트 분말에 대해서는 파우더 분산 공정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화시켜 파우더로 제조하였다.
나노 크기로 분쇄된 팽창 그라파이트의 표면을 개질하기 위해, 황산과 질산의 혼합용액 (황산: 질산=3:1, 부피비) 240g에 넣고 60℃로 가열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강산 용액이 혼합된 팽창 그라파이트를 2차 증류수 500g에 넣어 희석시키고, 수 회에 걸쳐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을 하였다.
상기 초음파의 세기가 20 kHz 미만일 경우, 미분쇄 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40 kHz를 초과할 경우 불필요한 미분화가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에멀션(emulsion) 상태는 열전도성 합성수지에 고방열 입자가 미세한 입자 상태로 작은 방울처럼 열전도성 합성수지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에멀션 상태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은 절댓값 40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타전위값은 입자 사이의 반발력과 인력의 크기를 단위로 나타낸 것으로, 분산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고 정전기 분산을 제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은 절댓값 40 이상에 해당함으로써, 열전도성 필러 및 고방열 입자가 열전도성 합성수지에 잘 분산되어 안정된 상태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조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방열패드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부 비교예1 실시예1
혼합 기재폴리머1) 100 100
팽창 그라파이트2) 100 50
개질 MWCNT 3) - 50
1) polyvinylsiloxane + polydimethylsiloxane + Polyaniline 혼합 고분자(Base Polymer)
2) Expanded Graphite
3) 개질 MWCNT(Multi-Wall Carbon Nanotube)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또는 고방열 입자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각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열전도도
열전도도 측정방법은 ASTM E1461에 따라 구미전자정보기술원에서 평가하였다. 실험 장비는 Thermal Conductivity Meter을 이용하였다.
2) 형상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에 의해 구미전자정보기술원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형상을 측정하였다. 실험 장비는 HITACHI사의 모델명 S4800 HR-SEM이다.
3) 입도분석
구미전자정보기술원 Mastersizer 2000으로 고방열 입자의 평균입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규격은 ISO 13320-1이고,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입도를 측정하였다.
4) 제타전위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장비명 Zetasizer로 제타전위를 측정하였고 규격은 ISO13099에 해당한다.
비교예1 실시예1
열전도도 1.5W/mK 3.6W/mK
형상 - 도 1 및 2 참고
입도분석 111㎛ 39㎛
제타전위 값 -23mV -32mV

Claims (14)

  1. 혼합 기재 폴리머 100 중량부;
    팽창 그라파이트 50 중량부; 및
    개질 MWCNT (Multi-Wall Carbon Nanotube)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기재 폴리머는,
    폴리비닐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아닐린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마이크로미터) 이며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의 제조방법은,
    팽창 그라파이트 입자를 1차 증류수에 넣어 20 kHz 내지 40kHz에서 초음파 분쇄를 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분쇄된 팽창 그라파이트 입자를 황산과 질산의 혼합용액에 넣고 60℃로 가열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상기 혼합용액을 2차 증류수에 넣어 희석시킨 후,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황산과 질산의 부피비는 3:1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실록산과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비는 60:40 내지 90:10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경화지연제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의 열전도도는 3.5 W/mK 이상인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23077A 2020-09-23 2020-09-23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KR10237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77A KR102374200B1 (ko) 2020-09-23 2020-09-23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77A KR102374200B1 (ko) 2020-09-23 2020-09-23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200B1 true KR102374200B1 (ko) 2022-03-15

Family

ID=8081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77A KR102374200B1 (ko) 2020-09-23 2020-09-23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20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708A (ja) * 2005-04-08 2006-11-16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成形体
KR20130091164A (ko) * 2012-02-07 201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코팅 유리섬유와 그라파이트를 함유한 기능성 나노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5209546A (ja) * 2014-04-25 2015-11-24 株式会社プランクサイエンス ナノカーボン複合材料
JP2015537063A (ja) * 2012-09-28 2015-12-24 ハンワ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放熱塗料組成物および放熱構造体
KR20160061993A (ko) * 2013-09-25 2016-06-0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열 전도성 접착 시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디바이스
KR20170081837A (ko) * 2016-01-05 2017-07-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조명용 고열전도성 복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2590A (ko) * 2016-03-02 2017-09-12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자동차 조명 하우징 적용을 위한 고열전도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1675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 패드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방열 패드
KR20200041683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콘계 방열 패드 제조 방법 및 실리콘계 방열 패드를 포함하는 방열 부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708A (ja) * 2005-04-08 2006-11-16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成形体
KR20130091164A (ko) * 2012-02-07 201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코팅 유리섬유와 그라파이트를 함유한 기능성 나노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5537063A (ja) * 2012-09-28 2015-12-24 ハンワ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放熱塗料組成物および放熱構造体
KR20160061993A (ko) * 2013-09-25 2016-06-0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열 전도성 접착 시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디바이스
JP2015209546A (ja) * 2014-04-25 2015-11-24 株式会社プランクサイエンス ナノカーボン複合材料
KR20170081837A (ko) * 2016-01-05 2017-07-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조명용 고열전도성 복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2590A (ko) * 2016-03-02 2017-09-12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자동차 조명 하우징 적용을 위한 고열전도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1675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 패드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방열 패드
KR20200041683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콘계 방열 패드 제조 방법 및 실리콘계 방열 패드를 포함하는 방열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6111B1 (ja) 炭素繊維構造体
Kim et al. Effects of surface modification on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NT/epoxy composites
Meng et al. Polymer composites of boron nitride nanotubes and nanosheets
Xin et al. Decoration of carbon nanotubes with silver nanoparticles for advanced CNT/polymer nanocomposites
Kausar et al. Effectiveness of polystyrene/carbon nanotube composite i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aterials: a review
CN101167142A (zh) 透明导电膜及透明导电膜用涂覆组合物
WO2010002004A1 (ja) 炭素繊維及び複合材料
KR102166230B1 (ko) 전도성 필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전도성 페이스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02590A (ko) 자동차 조명 하우징 적용을 위한 고열전도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ulkarni et al. Influence of surfactant assisted exfoliation of hexagonal boron nitride nanosheets on mechanical, therm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JP2012532085A (ja) 混和性が増大した複合炭素素材及びその連続的な製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
WO2006026691A2 (en) Conductive thermosets by extrusion
Haruna et al. Characterization,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minated PVC/oxidized MWCNT composites doped with nanographite
Vozniakovskii et al. Powder hybrid nanomaterial: Detonation nanodiamonds–Carbon nanotubes and its stable reversible water nanofluids
Liu et al. 2D nanosheet-constructed hybrid nanofillers for polymer nanocomposites with synergistic dispersion and function
Johnson et al. Dispersion and film properties of carbon nanofiber pigmented conductive coatings
Kesavulu et al. Compressive performance and thermal stability of alumina—graphene nanoplatelets reinforced epoxy nanocomposites
JP2007119647A (ja) 複合材料
KR102374200B1 (ko)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KR102431595B1 (ko) 자동차 전자제품 전자파 차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자제품
Geblinger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double filler polymeric nanocomposite
Desai et al. Graphite-based nanocomposites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JP6818204B2 (ja) ナノ炭素材料の分散方法、ナノ炭素材料の分散液及びナノ炭素材料複合体
KR100971372B1 (ko) 응집 방법에 의한 탄소재료와 알루미늄 복합체의 제조방법
Sharma et al. Carbon nanotube composites: critical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