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261B1 -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261B1
KR102371261B1 KR1020160016425A KR20160016425A KR102371261B1 KR 102371261 B1 KR102371261 B1 KR 102371261B1 KR 1020160016425 A KR1020160016425 A KR 1020160016425A KR 20160016425 A KR20160016425 A KR 20160016425A KR 102371261 B1 KR102371261 B1 KR 10237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application surface
tool
receiving space
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998A (ko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1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261B1/ko
Priority to PCT/KR2017/001285 priority patent/WO2017138726A1/ko
Priority to CN201780011030.4A priority patent/CN108602302B/zh
Priority to TW106104014A priority patent/TWI746507B/zh
Publication of KR2017009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998A/ko
Priority to HK18114010.7A priority patent/HK1254911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 및 피부와 접촉하는 도포면을 가지며,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에 흡수된 화장료가 상기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Cosmetic applicator having improved releasing property}
본 발명은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피부, 특히 얼굴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도구는 적절하게 잘 흡수한 후 피부에 적절한 양으로 전달하는 특성이 중요하다.
화장 후에 화장료가 화장도구에 남아있게 되면 위생상 및 외관상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저점도 화장료를 피부에 전달하는 발포폼 재질의 화장도구에서 더욱 문제된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87,915호(2003년 10월 31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 및 피부와 접촉하는 도포면을 가지며,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에 흡수된 화장료가 상기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기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공은 상기 도포면을 향할수록 큰 부피를 차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화장료 수용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화장료 수용공간은 상기 도포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층에는 내부의 화장료를 외부로 펌핑 전달하는 펌핑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펌핑구조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화장료와 친화성이 증가하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화장료와의 친화성 분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 및 피부와 접촉하는 도포면을 포함하며,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의 화장 동작에 의해 내부에 흡수된 화장료가 전달될 경우, 잔존 화장료의 농도가 상기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지는 농도구배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기공은 상기 도포면을 향할수록 큰 부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장료 수용 공간은 상기 도포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장료 수용 공간은 상기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큰 부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층에는 내부의 화장료를 외부로 펌핑 전달하는 펌핑구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화장료와 친화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화장료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두께에 따른 화장료 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장도구로서 퍼프를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모든 화장도구에 적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다.
화장도구(1)는 퍼프라고도 불리며 본체(10)와 손잡이띠(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납작하고 둥근형상이며 탄성을 가지고 있다. 본체(10)의 하부면은 도포면이라 불리며 피부접촉면으로서 화장료 및 피부(특히, 얼굴)과 직접 접촉한다.
손잡이띠(20)는 본체(10)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천 재질 및/또는 탄성이 있는 수지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다양한 구간의 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또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는 화장료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와 직접 접촉한다. 본체(10)의 재질은 다공질일 수 있으며, 특히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또는 네오프렌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에는 기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기공(111)은 단독기공 및/또는 연속기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기공(111)의 단위부피당 개수가 많아진다. 즉,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기공(111)이 차지하는 부피가 늘어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공(111)의 크기가 도포면의 두께를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의 화장료 전달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장료를 흡수하면 도 3의 (a)와 같이 본체(10)에 화장료가 흡수되며, 구체적으로는 기공(111)에 화장료가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는 본체(10)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뒤 여러 번에 걸쳐 화장도구(1)를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료를 전달시킨다.
도 3의 (b), (c) 및 (d)는 사용자가 1회, 2회 및 3회 화장료를 전달시켰을 때 화장료의 전달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화장료를 전달하면 본체(10)에서는 화장료가 감소한다. 이 때,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는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기공(111)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잔존하는 화장료는 도포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더 많은 화장료를 포함하고 있는 큰 기공(11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포면을 향할수록 높은 화장료 농도분포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에서는 사용자의 전달동작에 따라 화장료가 도포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이 따라 사용자가 잔존 화장료를 충분히 전달하기 용이해져, 화장도구(1)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기공(111)의 분포가 저점도 화장료를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구조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전달 동작에 따른 본체(10) 내의 화장료 농도 분포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도 4는 본체(10)의 처음 화장료 흡수 시부터 3회의 전달 동작까지 반대면에서 도포면을 향한 두께방향, 즉 도 2에서 A에서 B 방향으로의 두께에 따른 화장료 농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10)에서 화장료 농도는 도 4의 (a) 내지 (c)와 같이 선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도포면에서의 화장료 농도는 도 4의 (a) 및 (b)와 같이 화장료가 완전히 전달될 때까지는 유사한 값을 가지거나 도 4의 (c)와 같이 전달횟수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처음 화장료 흡수시 화장료가 A면까지 분포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4의 (b)와 (c)는 처음 화장료 흡수시 화장료가 도포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 분포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체(10)에서 화장료 농도는 도 4의 (d) 및 (e)와 같이 곡선형태로 변화할 수도 있다. 도 4의 (d)와 같이 도포면에 가까워지면 최대값에 수렴하거나 도 4의 (e)와 같이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화장료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 4의 다양한 화장료 분포에서 화장료 전달 회수에 따라 화장료는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잔존 화장료를 충분히 전달하기 용이해져, 화장도구(1)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서는, 기공(111)의 크기가 도포면을 향할수록 커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전달 동작시 화장료는 기공(111)의 크기가 큰 도포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제2실시예에서는 기공(111)의 분포가 저점도 화장료를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구조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공(111)의 크기 및 개수가 모두 변화하여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기공(111)의 큰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서는 본체(10)가 제1층(11)과 제2층(12)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기공(111)은 본체(10)의 전체 두께에 걸쳐 도포면 방향을 향할수록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서는 본체(10) 내부에 화장료 수용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화장료 수용공간(112)은 빈 공간이며, 기공과는 구별되는 공간이다.
화장료 수용공간(112)은 본체(10)의 하부에 가깝게, 즉, 본체(10)의 두께 중 도포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흡수된 화장료는 서로 뭉치고자 하는 화장료의 특성 상 화장료 수용공간(11)으로 모이게 된다. 화장료가 전달되면 잔존 화장료는 도포면에 가까운 화장료 수용공간(112)으로 모이게 된다. 이는 서로 모여 큰 액적을 형성하고자 하는 화장료의 특성 상, 큰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화장료 수용공간(11)내의 화장료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에서는 화장료 수용공간(112)으로 인해 화장료가 전달되면 잔존 화장료는 도포면을 향할수록 높은 농도로 위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4실시예에서는 도포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화장료 수용공간(112)이 저점도 화장료를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구조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전달특성 향상을 위한 화장료 수용공간(112)의 부피는 주변의 기공보다 커야 한다. 독립되어 있는 각 화장료 공간(112)의 부피는 기공의 평균 부피의 5배 내지 100배, 10배 내지 100배 또는 10배 내지 1000배일 수 있으며 본체(10)의 전체 기공 부피의 0.2배 내지 10배 또는 0.5배 내지 100배일 수 있다. 또는 각 화장료 수용공간(112)의 전체 부피는 전체 본체(10) 부피의 1/200 내지 1/5 또는 1/100 내지 1/10이거나 실질적으로 화장료가 흡수되는 본체(10) 부피의 1/200 내지 1/5 또는 1/100 내지 1/10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10)가 상부에 위치하는 제1층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층으로 구성되고, 화장료 수용공간(112)은 제1층과 제2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위치한 제1층의 상부에 오목 패턴을 형성하고 제1층과 제2층을 결합하여 화장료 수용공간(112)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층과 제2층의 재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제1층은 다공성이 아닌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10)가 3층 이상의 구조이면서, 화장료 수용공간(112)은 가장 하부층(즉, 도포면을 가지는 층)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제5실시예에서는 기공(111)은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면서 도포면에 가까운 위치에 화장료 수용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서는 기공(111) 분포와 도포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화장료 수용공간(112)이 저점도 화장료를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구조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9에 도시한 제6실시예에서는 도포면에 화장료 친화층(1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화장료 친화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화장료 친화층(113)은 본체(10)의 도포면에 화장료 친화성분을 별도로 추가하거나 표면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장료 친화성분을 본체(10)의 내부까지 투입하되,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화장료 친화 성분의 농도가 높아지도록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장료 친화층(113)은 코팅 등 별도의 층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달에 따른 잔존화장료는 도포면의 높은 화장료 친화성으로 인해,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6실시예에서는 화장료 친화층(113)을 통해 얻어진 도포면을 향할수록 증가하는 화장료 친화성 증가가 저점도 화장료를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구조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서는 도포면이 별도의 필름층으로 만들어지며 필름층에는 내부의 화장료를 외부로 전달시키는 펌핑구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펌핑구조가 이동구조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이동구조부는 화장도구에서 실질적으로 화장료가 흡수 및 전달되는 영역에 한정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화장료를 전혀 흡수하지 않는 제2층과 도포면을 가진 제1층이 있는 화장도구의 경우, 제2층의 기공 구조 등과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화장료가 흡수 및 전달되는 제1층에 이동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 및 피부와 접촉하는 도포면을 가지며,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에 흡수된 화장료가 상기 도포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구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기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공은 상기 도포면을 향할수록 큰 부피를 차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화장료 수용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화장료 수용공간은 상기 도포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층에는 내부의 화장료를 외부로 펌핑 전달하는 펌핑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펌핑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화장료와 친화성이 증가하며,
    상기 이동구조부는 상기 화장료와의 친화성 분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6.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 및 피부와 접촉하는 도포면을 포함하며,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의 화장 동작에 의해 내부에 흡수된 화장료가 전달될 경우, 잔존 화장료의 농도가 상기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지는 농도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기공을 형성하며,
    상기 기공은 상기 도포면을 향할수록 큰 부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화장료 수용 공간은 상기 도포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장료 수용 공간은 상기 도포면에 가까울수록 큰 부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층에는 내부의 화장료를 외부로 펌핑 전달하는 펌핑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화장료와 친화성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0160016425A 2016-02-12 2016-02-12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37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25A KR102371261B1 (ko) 2016-02-12 2016-02-12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PCT/KR2017/001285 WO2017138726A1 (ko) 2016-02-12 2017-02-06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CN201780011030.4A CN108602302B (zh) 2016-02-12 2017-02-06 传递特性上升的化妆工具
TW106104014A TWI746507B (zh) 2016-02-12 2017-02-08 化妝品施用器
HK18114010.7A HK1254911A1 (zh) 2016-02-12 2018-11-02 傳遞特性上升的化妝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25A KR102371261B1 (ko) 2016-02-12 2016-02-12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98A KR20170094998A (ko) 2017-08-22
KR102371261B1 true KR102371261B1 (ko) 2022-03-07

Family

ID=5956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425A KR102371261B1 (ko) 2016-02-12 2016-02-12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371261B1 (ko)
CN (1) CN108602302B (ko)
HK (1) HK1254911A1 (ko)
TW (1) TWI746507B (ko)
WO (1) WO20171387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62Y1 (ko) 2013-10-24 2015-05-04 (주)스피어테크 액체화장품용 퍼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9483B2 (ja) * 1980-02-08 1985-11-02 タキロン株式会社 化粧用パフ並びにその製造法
JPS60122509A (ja) * 1983-12-08 1985-07-01 中村 憲司 化粧用塗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059Y2 (ja) * 1988-10-12 1994-01-12 憲司 中村 化粧用パフ
JPH061059A (ja) * 1992-06-17 1994-01-11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圧記録紙用発色剤シート
JP3487915B2 (ja) 1994-07-19 2004-01-1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連通気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187673B2 (ja) * 1994-12-13 2001-07-11 憲司 中村 化粧用塗布具
JP2949284B1 (ja) * 1998-06-30 1999-09-13 ジェクス株式会社 パウダーパフ及びパウダーパフ体
JP2003231197A (ja) * 2002-02-07 2003-08-19 Inoac Corp 多層通気性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853820B1 (fr) * 2003-04-15 2006-05-26 Oreal Applicateur destine a etre fixe sur un doigt
KR101241697B1 (ko) * 2006-03-15 2013-03-0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미용용구
AU2009282461B2 (en) * 2008-08-12 2012-09-13 Anisa International, Inc. Dual sided cosmetic brush
KR200456829Y1 (ko) * 2009-05-21 2011-11-23 (주)아모레퍼시픽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저장부가 설치된 퍼프
US9492370B2 (en) * 2012-01-13 2016-11-15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ntaining urethane foam layer structure
TWI632880B (zh) * 2012-04-13 2018-08-21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裝有包含化妝品組成物的發泡體之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62Y1 (ko) 2013-10-24 2015-05-04 (주)스피어테크 액체화장품용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2302B (zh) 2020-12-29
KR20170094998A (ko) 2017-08-22
TWI746507B (zh) 2021-11-21
CN108602302A (zh) 2018-09-28
WO2017138726A1 (ko) 2017-08-17
HK1254911A1 (zh) 2019-08-02
TW201728284A (zh)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7602T3 (es) Artículo impregnado con fibras y red de protección
KR102544620B1 (ko) 화장용 퍼프
JP2018508307A (ja) 非透過層を含む化粧料組成物塗布具
KR20170064995A (ko) 화장용 퍼프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552056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371261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EP3415309B1 (en) Cosmetic tool with improved transferring performance
KR20180094322A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430792B1 (ko) 화장도구
TWI719135B (zh) 化妝品施用器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JP3212566U (ja) 化粧品の詰め替え用キット
KR20180121864A (ko) 화장용 퍼프
KR102429073B1 (ko)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KR102499658B1 (ko) 하니컴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946517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KR101566473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20180000258A (ko)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