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898B1 -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98B1
KR102370898B1 KR1020210034999A KR20210034999A KR102370898B1 KR 102370898 B1 KR102370898 B1 KR 102370898B1 KR 1020210034999 A KR1020210034999 A KR 1020210034999A KR 20210034999 A KR20210034999 A KR 20210034999A KR 102370898 B1 KR102370898 B1 KR 10237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od waste
crushing
drying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욱
Original Assignee
지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현욱 filed Critical 지현욱
Priority to KR102021003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크기 이하의 입자로 파쇄된 파쇄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목재 폐기물의 파쇄효율을 증가시키며 파쇄입자가 균등한 톱밥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목재 폐기물이 저장되어 하부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제1 선별부(120); 상기 제1 선별부(120)에서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부(130); 상기 제1 건조부(130)로부터 건조된 목재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140); 및 상기 파쇄부(140)에서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제2 선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WOOD WAST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크기 이하의 입자로 파쇄된 파쇄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목재 폐기물의 파쇄효율을 증가시키며 파쇄입자가 균등한 톱밥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건설현장, 산업현장, 벌채지 등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폐목재 및 목재 폐기물을 재활용한 목재 칩이나 톱밥을 생산, 제조하는 장비 및 기술들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일정한 사이즈로 파쇄된 목재 칩은 목재가공 공장에 납품되어 압축 합판의 원료로 이용되고 생산과정의 목재 폐기물(부산물, 수피 등)은 톱밥으로 재가공되어 유기질비료공장 및 축사의 수분조절재로 사용되므로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의 목재 폐기물 재활용 수준은 연간 목재 폐기물 발생량의 36% 밖에 되지 않는다.
한편, 다양한 타입의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나, 파쇄 입자가 불규칙하여 그 상태로 재활용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분쇄기로 재분쇄하여 사용하거나 땅속에 묻어 폐기하므로 재활용율이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KR 10-0890035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크기 이하의 입자로 파쇄된 파쇄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목재 폐기물의 파쇄효율을 증가시키며 파쇄입자가 균등한 톱밥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목재 폐기물이 저장되어 하부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제1 선별부(120); 상기 제1 선별부(120)에서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부(130); 상기 제1 건조부(130)로부터 건조된 목재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140); 및 상기 파쇄부(140)에서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제2 선별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건조부(130)는, 저온 열풍을 상기 1차 선별된 목재 폐기물에 직접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시설로 이루어지고, 35∼45℃의 저온 열풍을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선별부(120) 및 제2 선별부(150)에서 배출된 소입자의 잔류물을 회수하는 회수부(160); 상기 회수부(16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된 잔류물을 건조시키는 제2 건조부(170); 및 상기 제2 건조부(17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건조부(170)에서 건조된 잔류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 선별하는 제3 선별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건조부(170)는, 고온 열풍을 상기 회수된 잔류물에 직접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시설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온 열풍의 온도는 살균시와 건조시를 구분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열풍의 온도는 살균시에는 100~110℃로 5~10분 가동하고, 건조시에는 80~90℃로 5~10분간 가동하며, 상기 제3 선별부(180)는 금속물질을 분리 선별하여 제거하는 자력선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1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목재 폐기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목재 폐기물을 예비적으로 파쇄하는 예비 파쇄부(12); 상기 예비 파쇄부(12)에서 파쇄된 파쇄물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물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이동량 검출부(13); 및 상기 이동량 검출부(13)에서 검출된 상기 파쇄물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 파쇄부(12)의 파쇄속도를 조절하는 파쇄속도 제어부(18)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량 검출부(13)는, 상기 하우징(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게 형성된 사프트부재(13a)와, 상기 샤프트부재(131)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물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부재(13b)와, 상기 회전부재(13b)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부(1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부(140)는, 투입된 목재 폐기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1차 파쇄하는 제1 파쇄기(1410); 상기 1차 파쇄기(1410)에서 1차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2차 파쇄하는 제2 파쇄기(1420); 및 상기 제2 파쇄기(1420)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다수의 타공(1431)을 갖되 타공의 사이에 돌출배치되는 고정날(1432)을 갖는 타공판(1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파쇄기(1410)는, 중심축(1411) 상에 결합되는 롤러형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1412); 및 상기 본체부(1412)의 외면 둘레에 체결하여 돌출되게 구비하되 회전방향의 원둘레를 따라 교번 배치하여 순차 배열하는 메인 파쇄날(1413) 및 보조 파쇄날(14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제1 파쇄날(1414)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축(1411)에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라인(1416)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412)에는 상기 유체공급라인(1416)에 연통되는 다수의 유체유출홀(1417)을 일정간격 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파쇄기(1420)는, 양측의 회전축(14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공간부(1425)를 갖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원형의 간격유지판(1422); 상기 간격유지판(1412) 간을 방사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1423); 및 상기 간격유지판(1422) 간의 연결샤프트(1423)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제2 파쇄날(14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파쇄날(1415) 및 다수의 제2 파쇄날(1424)은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열처리스텝을 거치게 되며, 상기 열처리스텝은, a) 진공상태에서, 73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는 스텝; b) a)스텝후, 1020℃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 c) b)스텝후, 820℃에서 5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 및 d) c)스텝후, 720℃에서 10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되, 상기 각 b)스텝, c)스텝 및 d)스텝에서는 5℃/초 ~ 100℃/초의 냉각속도로 냉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일정크기 이하의 입자로 파쇄된 파쇄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목재 폐기물의 파쇄효율을 증가시키며 파쇄입자가 균등한 톱밥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예비 파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파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파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제2 파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예비 파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파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파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제2 파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공급부(110), 제1 선별부(120), 제1 건조부(130), 파쇄부(140), 제2 선별부(150), 회수부(160), 제2 건조부(170), 및 제3 선별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10)는 목재 폐기물이 저장되어 하부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선별부(120)는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고, 상기 제1 건조부(130)는 상기 제1 선별부(120)에서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1차 건조하고, 상기 파쇄부(140)는 상기 제1 건조부(130)로부터 건조된 목재 폐기물을 파쇄하며, 상기 제2 선별부(150)는 상기 파쇄부(140)에서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2차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제1 선별부(120)는 흔들채(진동)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별부(150)에서는 입도가 큰 목재 폐기물이 다시 상기 파쇄부(140)로 피드백되어 다시 입도가 작은 목재 폐기물로 파쇄가능함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선별부(150)는 둥글채(회전)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둥글채(회전) 스크린은 선별 스크린의 메쉬망이 단계적으로 감소되어 다양한 입도를 가지는 처리물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건조부(130)는, 저온 열풍을 상기 1차 선별된 목재 폐기물에 직접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시설로 이루어지고, 35∼45℃의 저온 열풍을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건조된 목재 폐기물의 함수율을 제어함으로써 목재 폐기물의 파쇄 시 파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후 함수율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목재 폐기물의 파쇄를 위한 파쇄부(140)에서의 파쇄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건조 후 함수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제어된다. 만일 건조 후 함수율이 높으면, 상기 건조기 벨트(미도시)의 이동속도를 낮추어서, 목재 폐기물의 건조 시간을 증가시킨다. 상기 건조 후 함수율이 낮으면, 상기 건조기 벨트(미도시)의 이동속도를 높여서, 목재 폐기물의 건조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회수부(160)는 상기 제1 선별부(120) 및 제2 선별부(150)에서 배출된 소입자의 잔류물을 회수하고, 상기 제2 건조부(170)는 상기 회수부(16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된 잔류물을 건조시키며, 상기 제3 선별부(180)는 상기 제2 건조부(17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건조부(170)에서 건조된 잔류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수부(160)의 구성은 원칙적으로 제1 선별부(120) 또는 제2 선별부(150)에서의 소입자의 목재 폐기물을 최대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느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제2 선별부(150)가 둥글채(회전)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회수부(160)에는 상기 제2 선별부(150)로부터 원하는 입도(예를 들어, 대,중, 소)의 목재 폐기물이 회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후에 상기 제2 건조부(170)에서 건조 및 살균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건조부(170)는, 고온 열풍을 상기 회수된 잔류물에 직접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시설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온 열풍의 온도는 살균시와 건조시를 구분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열풍의 온도는 살균시에는 100~110℃로 5~10분 가동하고, 건조시에는 80~90℃로 5~10분간 가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건조부(170)에서의 건조 후 함수율은 입도가 작은 고결과물인 톱밥 등의 저장율을 향상시키도록 2~3% 이하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고온환경에서의 열풍에 의해 살균을 수행함으로써 결과물인 톱밥 등의 멸균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이점이 있다.
상기 제3 선별부(180)는 금속물질을 분리 선별하여 제거하는 자력선별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력선별기에서는 철 등의 금속물질들이 분리되어 제거된다. 상기 금속물질은 목재 폐기물의 파쇄 결과물인 톱밥 등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 선별기는 예를 들면 드럼식이며, 영구자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부(1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목재 폐기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목재 폐기물을 예비적으로 파쇄하는 예비 파쇄부(12); 상기 예비 파쇄부(12)에서 파쇄된 파쇄물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물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이동량 검출부(13); 및 상기 이동량 검출부(13)에서 검출된 상기 파쇄물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 파쇄부(12)의 파쇄속도를 조절하는 파쇄속도 제어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량 검출부(13)는, 우측의 원 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게 형성된 사프트부재(13a)와, 상기 샤프트부재(131)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물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부재(13b)와, 상기 회전부재(13b)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부(1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잇다.
이러한 이동량 검출부(13)에 의하면, 공급부(110)에서 목재 폐기물의 과도한 공급이 발생하거나 공급이 부족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110)는 목재 폐기물이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15)와, 상기 유도부재(15)의 하측에 배치되어 목재 폐기물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메쉬망 스크린(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 스크린(16)은 고정부재(16a)에 의해 하우징(11) 내 바닥에 고정되며, 스프링부재(16b)에 의해 선별을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쉬망 스크린(16)에서 선별된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7은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다음 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예비 파쇄부(12)는 회전가능한 회전축(12a)과, 상기 회전축(12a)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목재 폐기물의 예비파쇄를 위한 다수의 날개부(12b)와, 상기 회전축(12a)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c)와, 상기 회전축(12a)의 회전수를 센싱하는 센서부(1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파쇄부(12)는 예비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선별하여 통과시키는 분리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4)는 예비 파쇄부(12)의 하측에 위치되어, 예비 파쇄부(12)에 의해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그 하측으로 통과시키고, 파쇄되지 않은 목재 폐기물은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부(14)는 회전축(12a)의 연장 방향 또는 다수의 날개부(12b)의 나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수의 날개부(12b)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다수의 분리부재(14a)를 포함하고, 분리부재(14a) 사이에는 예비 파쇄된 목재 폐기물이 통과하는 이격 공간(14b)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예비 파쇄부(12)의 구성은 목재 폐기물을 미리 예비적으로 파쇄함으로써 목재 폐기물의 파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파쇄부(140)는, 투입된 목재 폐기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1차 파쇄하는 제1 파쇄기(1410); 상기 1차 파쇄기(1410)에서 1차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2차 파쇄하는 제2 파쇄기(1420); 및 상기 제2 파쇄기(1420)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다수의 타공(1431)을 갖되 타공의 사이에 돌출배치되는 고정날(1432)을 갖는 타공판(1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파쇄기(1410)는, 중심축(1411) 상에 결합되는 롤러형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1412); 및 상기 본체부(1412)의 외면 둘레에 체결하여 돌출되게 구비하되 회전방향의 원둘레를 따라 교번 배치하여 순차 배열하는 메인 파쇄날(1413) 및 보조 파쇄날(14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제1 파쇄날(14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1411)에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라인(1416)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412)에는 상기 유체공급라인(1416)에 연통되는 다수의 유체유출홀(1417)을 일정간격 방사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유체공급관의 형태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유체유출홀(1417)을 통해 에어와 같은 유체가 하우징(141)의 내부로, 즉 파쇄가 수행되는 공간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체공급관의 구성을 통해서는 목재 폐기물의 파쇄와 함께 에어 등의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목재 폐기물과 파쇄부(140), 특히 제1 파쇄기(1410)와의 접촉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냉각 기능을 발휘하므로 장치의 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더욱 안정적인 동작 수행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사용 수명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은 질소가스(N2)를 분사시켜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쇄날(1413) 및 보조 파쇄날(1415)은 서로간에 돌출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능을 하도록 하되, 돌출 길이가 낮은 보조 파쇄날(1415)을 통해서는 상기 본체부(1412)의 외면이 쉽게 마모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파쇄기(1420)는, 양측의 회전축(14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공간부(1425)를 갖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파쇄기(1420)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원형의 간격유지판(1422); 상기 간격유지판(1412) 간을 방사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1423); 및 상기 간격유지판(1422) 간의 연결샤프트(1423)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제2 파쇄날(14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파쇄기(1420)는 공간부(1425)를 갖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방식으로 목재 폐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제1 파쇄날(1415) 및 다수의 제2 파쇄날(1424)은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열처리스텝을 거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스텝은, a) 진공상태에서, 73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는 스텝; b) a)스텝후, 1020℃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 c) b)스텝후, 820℃에서 5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 및 d) c)스텝후, 720℃에서 10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되, 상기 각 b)스텝, c)스텝 및 d)스텝에서는 5℃/초 ~ 100℃/초의 냉각속도로 냉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속도가 5℃/초 미만인 경우에는 소재의 인성이 저하되고, 상기 냉각속도가 100℃/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내외부 온도 편차에 의한 열응력에 의하여 소재의 뒤틀림 등 형상의 변화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공급부
120 : 제1 선별부
130 : 제1 건조부
140 : 파쇄부
150 : 제2 선별부
160 : 회수부
170 : 제2 건조부
180 : 제3 선별부

Claims (7)

  1. 목재 폐기물이 저장되어 하부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제1 선별부(120);
    상기 제1 선별부(120)에서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부(130);
    상기 제1 건조부(130)로부터 건조된 목재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140); 및
    상기 파쇄부(140)에서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제2 선별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건조부(130)는, 저온 열풍을 상기 1차 선별된 목재 폐기물에 직접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시설로 이루어지고, 35∼45℃의 저온 열풍을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목재 폐기물을 건조시키고,
    상기 제1 선별부(120) 및 제2 선별부(150)에서 배출된 소입자의 잔류물을 회수하는 회수부(160);
    상기 회수부(16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된 잔류물을 건조시키는 제2 건조부(170); 및
    상기 제2 건조부(17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건조부(170)에서 건조된 잔류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 선별하는 제3 선별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건조부(170)는, 고온 열풍을 상기 회수된 잔류물에 직접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시설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온 열풍의 온도는 살균시와 건조시를 구분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열풍의 온도는 살균시에는 100~110℃로 5~10분 가동하고, 건조시에는 80~90℃로 5~10분간 가동하며,
    상기 제3 선별부(180)는 금속물질을 분리 선별하여 제거하는 자력선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목재 폐기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목재 폐기물을 예비적으로 파쇄하는 예비 파쇄부(12);
    상기 예비 파쇄부(12)에서 파쇄된 파쇄물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물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이동량 검출부(13); 및
    상기 이동량 검출부(13)에서 검출된 상기 파쇄물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 파쇄부(12)의 파쇄속도를 조절하는 파쇄속도 제어부(18)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량 검출부(13)는,
    상기 하우징(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게 형성된 사프트부재(13a)와, 상기 샤프트부재(13a)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물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부재(13b)와, 상기 회전부재(13b)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부(1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140)는,
    투입된 목재 폐기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1차 파쇄하는 제1 파쇄기(1410);
    상기 제1 파쇄기(1410)에서 1차 파쇄된 목재 폐기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2차 파쇄하는 제2 파쇄기(1420); 및
    상기 제2 파쇄기(1420)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다수의 타공(1431)을 갖되 타공의 사이에 돌출배치되는 고정날(1432)을 갖는 타공판(1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기(1410)는,
    중심축(1411) 상에 결합되는 롤러형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1412); 및
    상기 본체부(1412)의 외면 둘레에 체결하여 돌출되게 구비하되 회전방향의 원둘레를 따라 교번 배치하여 순차 배열하는 메인 파쇄날(1413) 및 보조 파쇄날(14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제1 파쇄날(1414)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축(1411)에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라인(1416)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412)에는 상기 유체공급라인(1416)에 연통되는 다수의 유체유출홀(1417)을 일정간격 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쇄기(1420)는,
    양측의 회전축(14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공간부(1425)를 갖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원형의 간격유지판(1422);
    상기 간격유지판(1422) 간을 방사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1423); 및
    상기 간격유지판(1422) 간의 연결샤프트(1423)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제2 파쇄날(14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파쇄날(1415) 및 다수의 제2 파쇄날(1424)은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열처리스텝을 거치게 되며, 상기 열처리스텝은,
    a) 진공상태에서, 73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는 스텝;
    b) a)스텝후, 1020℃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
    c) b)스텝후, 820℃에서 5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 및
    d) c)스텝후, 720℃에서 10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냉각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되, 상기 각 b)스텝, c)스텝 및 d)스텝에서는 5℃/초 ~ 100℃/초의 냉각속도로 냉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20210034999A 2021-03-18 2021-03-18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237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99A KR102370898B1 (ko) 2021-03-18 2021-03-18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99A KR102370898B1 (ko) 2021-03-18 2021-03-18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898B1 true KR102370898B1 (ko) 2022-03-08

Family

ID=8081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999A KR102370898B1 (ko) 2021-03-18 2021-03-18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35B1 (ko) 2008-06-05 2009-03-25 어드밴스테크(주) 톱밥제조장치
KR20140147481A (ko)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 엘드림월드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787666B1 (ko) * 2015-03-04 2017-10-18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폐기물 파쇄장치
KR101931252B1 (ko) * 2018-06-05 2018-12-20 최종길 산업폐기물 분쇄장치
KR102124332B1 (ko) * 2018-07-17 2020-06-19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KR102169313B1 (ko) * 2020-08-06 2020-10-23 박성민 폐pcb의 재활용 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35B1 (ko) 2008-06-05 2009-03-25 어드밴스테크(주) 톱밥제조장치
KR20140147481A (ko)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 엘드림월드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787666B1 (ko) * 2015-03-04 2017-10-18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폐기물 파쇄장치
KR101931252B1 (ko) * 2018-06-05 2018-12-20 최종길 산업폐기물 분쇄장치
KR102124332B1 (ko) * 2018-07-17 2020-06-19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KR102169313B1 (ko) * 2020-08-06 2020-10-23 박성민 폐pcb의 재활용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558B2 (en) Mechanized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for solid waste
CN110605166A (zh) 一种秸秆的粉碎干燥方法
KR100974490B1 (ko) 폐비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1379913B1 (ko) 폐콘크리트로부터 모래를 재생하는 폐콘크리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7858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의 파쇄방법 및 그 장치
JP2014501608A (ja) 固形廃棄物流における湿潤材料および乾燥材料の機械選別
KR102215582B1 (ko) 친환경 펠릿 제조방법
CN103992836B (zh) 木屑粉碎***及包括其的生物质木屑颗粒燃料生产设备
KR102148276B1 (ko) 다중 파봉 및 선별 과정을 포함하는 생활계 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1255114B1 (ko) 톱밥을 이용한 펠릿타입의 신재생연료 및 그 생산시스템과 생산방법
US970089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ixed solid waste
CN106391658B (zh) 面向大规模客户化定制的废旧轮胎资源化回收处理***
JP2003001128A (ja) 廃農業用ビニルフィルムの粉砕・回収方法
CN200980319Y (zh) 豆类及玉米冷却去皮装置
JP4915075B2 (ja) 木質系バイオマスの燃料供給システム
KR102370898B1 (ko) 목재 폐기물 처리 시스템
JP3580098B2 (ja) 廃棄物からの燃料製造方法
CN201848941U (zh) 大型轮胎回收生产线
JP2004292787A (ja) 植物ペレ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と植物混合燃料の製造方法。
KR101013576B1 (ko) 폐타이어용 분쇄기
CN213266410U (zh) 一种利用园林垃圾制造生物颗粒燃料的***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JP4910349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製造システム
KR100740556B1 (ko) 폐비닐의 유화용 전처리장치
CN209998080U (zh) 一种生活垃圾分类加工综合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