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819B1 -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19B1
KR102370819B1 KR1020190143465A KR20190143465A KR102370819B1 KR 102370819 B1 KR102370819 B1 KR 102370819B1 KR 1020190143465 A KR1020190143465 A KR 1020190143465A KR 20190143465 A KR20190143465 A KR 20190143465A KR 102370819 B1 KR102370819 B1 KR 10237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wearer
endothelium
fine dust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706A (ko
Inventor
박재희
Original Assignee
박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희 filed Critical 박재희
Priority to KR102019014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4Removable 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8Ca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41D2400/422Foldable into a p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기능성 의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상체보호부와, 그리고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보호부는 상기 착용자의 양팔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팔 통과공이 형성되는 조끼 형상의 내피와,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망토 형상의 외피로 구성되고,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시 상기 착용자의 상체는 내피와 외피의 이중 구조에 의해 미세먼지 및 비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착용자의 양팔은 일정한 활동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팔 통과공으로 통과되어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상체보호부에 의해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 상태에서 장시간 야외 활동시 상체로 미세먼지 및 빗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진성, 방수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에 형성되는 트임부의 개방을 통해 양팔의 활동범위를 넓힐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의류{FUNCTIONAL CLOTHES}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악화의 기후 및 우천으로 인한 상황에서 야외 활동시 방수성과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비(이하 ‘판초’라 함)는 비가 올 때 우산 대신 의류처럼 착용하여 비로부터 인체 및 의복이 젖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장비를 말한다. 그러나 본 기능성 의류는 이와 더불어, 최근의 환경문제인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 상태에 대비할 목적으로 고안된 제품이다.
이와 같은 판초는 군인이나 경찰 등 우산을 사용할 수 없는 특수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우산 휴대가 번거로운 야외 활동시 우산을 대체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판초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착용자의 신체(보편적으로 상체 전체 및 하체 일부를 포함)를 감싸는 몸통부(10)와, 이 몸통부(10)의 상단양측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양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팔소매부(20)와, 상기 몸통부(10)의 상단중앙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씌우는 모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10)는 전면 중앙을 좌우로 이분하고 이 이분된 각각의 분리단부(10a)에 버튼 등의 착탈구(10b)를 마련하여 상기 분리단부(10a)가 양측으로 벌려 열고 겹쳐 닫을 수 있는 전면 개방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같은 판초는 미세먼지가 심하거나 비가 오는 날 착용하게 되는데, 미세먼지나 빗물이 착용자의 인체나 의복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착용 후에도 미세먼지나 빗물을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진 섬유에 방수 가공을 한 소재로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판초는 착용자의 신체를 몸통부로 감싸는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우천 상태에서 장시간 야외 활동시 빗물 및 미세먼지가 겉옷에 침투되어 방진성, 방수성 및 보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4283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미세먼지 및 빗물이 겉옷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장시간 야외 활동시 신체를 이중 구조로 보호하여 미세먼지 및 빗물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방진성, 방수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양팔을 활동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의류를 벗은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에 걸어 휴대하거나 또는 소형의 지갑 구조로 접어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상체보호부; 및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보호부는, 상기 착용자의 양팔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팔 통과공이 형성되는 조끼 형상의 내피와, 그리고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상기 내피의 외부에 일체형 망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부는 제1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외피로 구성되고,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시 상기 착용자의 상체는 내피와 외피의 이중 구조에 의해 비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착용자의 양팔은 일정한 활동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팔 통과공으로 통과되어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모자부는 상기 외피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는 양팔의 활동성이 용이하도록 양측면이 제2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트임부가 형성되되, 상기 트임부는 상기 제2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외피 양측부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형성 가능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상체보호부를 상기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어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팔 통과공과 인접되는 내면에 어깨 걸이끈이 형성되며, 상기 상체보호부는, 상기 내피와 외피를 접어 소형의 지갑 구조로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내피에 형성되는 주머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의류는 상기 상체보호부 또는 상기 모자부에 자석부재가 설치되고, 철재로 형성되는 출입문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상체보호부에 의해 미세먼지 및 빗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진성, 방수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에 형성되는 트임부의 개방을 통해 양팔의 활동범위를 넓힐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내피에 형성되는 어깨 걸이끈에 의해 상체보호부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어 휴대 가능함으로써 미세먼지가 해제되거나 비가 멈추는 경우 신체에 결속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가 다시 활성화되거나 비가 멈춘 상태에서 다시 내리는 불규칙한 기후 변화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또한, 내피에 형성되는 주머니부에 내피와 외피를 접어서 넣은 후 소형의 지갑 구조로 휴대 가능함으로써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휴대성과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판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내피와 외피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주머니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착용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착용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를 착용자의 어깨에 걸어 휴대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를 소형의 지갑 구조로 접어 휴대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보호부(100)와, 그리고 모자부(200)를 포함한다.
상체보호부(100)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서 미세먼지 및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내피(110)와, 그리고 외피(120)를 포함한다.
내피(110)는 상체보호부(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내피(110)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부 양측에 착용자의 양팔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팔 통과공(112)을 갖는 조끼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외피(120)는 상체보호부(100)의 외부에 형성된다. 즉, 외피(120)는 내피(110)를 감쌀 수 있도록 내피(110)의 외부에 일체형 망토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내피(110)와 외피(120)는 전면부에 제1개폐부재(121)가 설치되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개폐부재(121)는 상체보호부(100)를 신속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스냅단추 또는 지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체보호부(100)는 내피(110)와 외피(120)로 구성되는 이중 구조에 의해 착용자의 상체를 미세먼지 및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으로 인한 장시간 야외 활동시 방진성, 방수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체보호부(100)의 착용시 착용자의 양팔은 팔 통과공(112)을 통해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일정한 활동성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피(120)는 양측면에 제2개폐부재(123)에 의해 일정상태로 개폐되는 트임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트임부(122)는 외피의 양측면을 일부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제2개폐부재(123)는 스냅단추, 지퍼 및 벨크로테이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외피(120)에 형성되는 트임부(122)의 개방을 통해 상체보호부(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양팔의 활동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됨으로써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으로 인한 장시간 야외 활동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피(110)는 팔 통과공(112)과 인접되는 내면에 어깨 걸이끈(114)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어깨 걸이끈(114)은 상체보호부(100)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어깨 걸이끈(114)을 통해 상체보호부(100)를 벗은 상태로 어깨에 걸어 휴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세먼지 해제 및 비가 멈추는 경우 신체에 결속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가 활성화되거나 비가 멈춘 상태에서 다시 내리는 불규칙한 기후 변화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체보호부(100)는 내피(110)의 내면에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주머니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미세먼지 해제 및 비가 멈춘 경우 내피(110)와 외피(120)를 접어서 주머니부(130)에 넣어 소형의 지갑 구조로 휴대 가능함으로써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휴대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자부(200)는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모자부(200)는 외피(1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미세먼지 활성화 및 비가 내리는 경우 모자부(200)에 의해 머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상체보호부(100) 또는 모자부(200)에 자석부재(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자석부재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체보호부(100)의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모자부(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부재는 의류를 철재로 형성되는 현관문 등의 출입문에 자력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외출 후 의류를 출입문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옷걸이가 없는 상태에서도 보관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미세먼지 활성화 상태 및 우선시 미세먼지와 비로부터 착용자의 상체부위와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시 착용자의 상체부위에 상체보호부(100)를 착용하게 되고, 머리부위에 모자부(200)를 덮어씌우게 된다. 이때, 착용자의 상체는 내피(110)와 외피(120)로 구성되는 이중 구조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비로부터 안정적인 방진성, 방수성 및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양팔은 내피(110)에 형성된 팔 통과공(112)을 통해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으로 인한 장시간 야외 활동시에도 팔의 일정한 활동성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보호부(100)의 착용시 착용자의 양팔은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위치되는데, 외피(12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트임부(122)의 개방을 통해 팔의 활동범위를 넓일 수 있게 됨으로써 양팔의 사용시에도 불편함이 없는 다양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내피(110)에 형성되는 어깨 걸이끈(114)에 의해 상체보호부(100)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어 휴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세먼지 해제 및 비가 멈추는 경우 신체에 결속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해제 및 비가 멈춘 상태에서 다시 내리는 불규칙한 기후 변화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미세먼지 해제 및 비가 멈추는 경우 내피(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주머니부(130)에 내피(110)와 외피(120)를 접어서 넣은 후 소형의 지갑 구조로 휴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휴대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내피(110)와 외피(120)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상체보호부(100)에 의해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으로 인한 장시간 야외 활동시 상체로 미세먼지 및 빗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진성, 방수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120)에 형성되는 트임부(122)의 개방을 통해 양팔의 활동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내피(110)에 형성되는 어깨 걸이끈(114)에 의해 상체보호부(100)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어 휴대 가능함으로써 미세먼지 해제 및 비가 멈추는 경우 신체에 결속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해제 및 비가 멈춘 상태에서 다시 내리는 불규칙한 기후 변화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내피(110)에 형성되는 주머니부(130)에 내피(110)와 외피(120)를 접어서 넣은 후 소형의 지갑 구조로 휴대 가능함으로써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휴대성과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상체보호부
110: 내피
112: 팔 통과공
114: 어깨 걸이끈
120: 외피
122: 트임부
130: 주머니부
200: 모자부

Claims (5)

  1.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상체보호부; 및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보호부는, 상기 착용자의 양팔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팔 통과공이 형성되는 조끼 형상의 내피와, 그리고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상기 내피의 외부에 일체형 망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부는 제1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외피로 구성되고,
    미세먼지 활성화 및 우천시 상기 착용자의 상체는 내피와 외피의 이중 구조에 의해 비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착용자의 양팔은 일정한 활동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팔 통과공으로 통과되어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모자부는 상기 외피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는 양팔의 활동성이 용이하도록 양측면이 제2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트임부가 형성되되, 상기 트임부는 상기 제2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외피 양측부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형성 가능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상체보호부를 상기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어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팔 통과공과 인접되는 내면에 어깨 걸이끈이 형성되며,
    상기 상체보호부는, 상기 내피와 외피를 접어 소형의 지갑 구조로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내피에 형성되는 주머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상기 상체보호부 또는 상기 모자부에 자석부재가 설치되고, 철재로 형성되는 출입문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KR1020190143465A 2019-11-11 2019-11-11 기능성 의류 KR10237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65A KR102370819B1 (ko) 2019-11-11 2019-11-11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65A KR102370819B1 (ko) 2019-11-11 2019-11-11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06A KR20210056706A (ko) 2021-05-20
KR102370819B1 true KR102370819B1 (ko) 2022-03-07

Family

ID=7614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65A KR102370819B1 (ko) 2019-11-11 2019-11-11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923B1 (ko) * 1990-02-13 1992-03-07 이진우 우의에 망상내피를 부착하는 방법 및 그 우의
KR20100009332U (ko) * 2009-03-13 2010-09-27 신정철 자석을 이용한 고무장갑 걸개
KR20120001110U (ko) * 2010-08-09 2012-02-17 최광천 멜방식 우의
KR20160090001A (ko) *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브릿지 다용도 판초형 우의
KR101712646B1 (ko) * 2015-07-29 2017-03-07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앞치마로 사용가능한 레인코트
KR101754283B1 (ko) 2016-01-28 2017-07-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음이 용이한 우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06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562B2 (en) Rain garment
US8984666B1 (en) Protective outer garment apparatus with viewing window for handheld items
US20140096305A1 (en) Convertible head and face covering
US5251336A (en) Head protector for inclement weather
US9364038B2 (en) Long sleeved upper torso detachable hooded garment
CA2879259C (en) Hood
US20090235426A1 (en) Hooded garment with an integrated tubular collar having a zipper
US8904564B2 (en) Hand covering and garment combination
US20060288465A1 (en) Hooded garment with built-in skull cap, gloves, and lower face covering with mouth opening
US20160374415A1 (en) Garment
US20130318679A1 (en) Moisture-Resistant Cape
US20170135422A1 (en) Hooded scarf with combination side pockets and closure option
WO2005018359A2 (en) Multi-purpose hat
EP2211647B1 (en) Scarf
US20210037904A1 (en) Garment with selective hood retention and method of selectively retaining a hood
KR102370819B1 (ko) 기능성 의류
US20200107602A1 (en) Attachable Hooded Garment Through the Use of Straps and Clips
JP5108140B1 (ja) 衣服
US20080120762A1 (en) Multi-function hood
KR200406869Y1 (ko) 망토우비
EP2989916B1 (en) Clothing accessory that protects from the cold
KR20140023063A (ko) 주머니 착탈식 상의
KR101519102B1 (ko) 다용도 코트형 우의
JP3189089U (ja) 衣料
KR200235983Y1 (ko) 방제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