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184B1 -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184B1
KR102366184B1 KR1020210010479A KR20210010479A KR102366184B1 KR 102366184 B1 KR102366184 B1 KR 102366184B1 KR 1020210010479 A KR1020210010479 A KR 1020210010479A KR 20210010479 A KR20210010479 A KR 20210010479A KR 102366184 B1 KR102366184 B1 KR 102366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camera
unit
informatio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215A (ko
Inventor
황희석
Original Assignee
황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석 filed Critical 황희석
Publication of KR2021011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et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시공물의 시공 위치를 나타내도록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를 기준으로 건설현장을 촬영하고, 건설현장의 촬영 이미지와 함께 시공순서가 표시된 시공물의 이미지를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이 건설공사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 DB가 저장된 건설공사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위치안내 표시부는 건설현장을 촬영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부가 상부에 설치 가능하며, 이동 설치가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3차원으로 파악가능하여 건설공사의 현장 관리가 용이하며, 순차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또는 시공예정인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세부명칭정보, 건설공사 세부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사관련정보를 해당 시공물과 연계하여 직관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3D 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공사현장을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토목과 건축 등 건설공사에서는, 공사 내역을 시행할 작업(Activity)들로 분류 및 정의하고, 그 정의된 작업들이 주어진 기간 내에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CPM(Critical Path Method) 기법 또는 Bar-Chart 기법 등 2차원의 공정관리도표를 사용한 관리를 하고 있다.
기존의 PERT/CPM 기법 또는 Bar-Chart 기법을 통해서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불가능하여 건설공사의 현장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시공되고 있거나 시공예정인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사관련정보를 해당 시공물과 연계하여 직관적으로 표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건축 현장에서는 현장 인원들이 상주 또는 비상주의 형태로 현장에 근무하며, 건축의 각각의 공종이 설계대로 진행되었는지 또는 설계변경이 필요한지에 대한 현장 감독, 인적 현장 감독 및 계약 이행 상황 등에 대하여 현장 감독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만약, 현장에 내방한 현장 감독자가 공종에 따라 현장 감독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 현장의 공종에 대해 자신이 휴대한 카메라로 촬영하게 되고,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공종 보고서의 문서에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해당 공종의 진행 상황을 알 수 있으며, 이를 보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출력하여 이를 문서화하여 보관하거나 보고하여야 하기에 불편하며, 촬영한 데이터와 공종 간에 혼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 인원들을 이용하여 야간이나 휴무 시에 현장을 관리하는 것은 비용적으로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며, 안전성 면에서 감독 관리가 소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3차원으로 확인 가능하여 건설공사의 현장 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예정인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세부명칭정보, 건설공사 세부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사관련정보를 시공물과 연계하여 직관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설계규격마다 복잡한 프로그래밍을 진행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공종별 작업 진행 문서의 작성 업무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촬영한 사진으로 공종에 따른 공사진행을 확인하는 자료들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야간에 공사현장의 건축물 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경우, 공사현장에 불법적인 침입자가 출입하게 되면, 침입자가 위치한 곳에서만 조명기능과 촬영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되, 침입자가 검출된 경우에만 조명기능과 촬영기능이 각각 실행되도록 하고 카메라는 탈착식으로 구성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시공영역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시공 중이거나 시공예정 중인 시공물의 시공 위치를 나타내도록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를 기준으로 건설현장을 촬영하고, 상기 건설현장의 촬영 이미지와 함께 시공순서가 표시된 시공물의 이미지를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시공물의 이미지가 건설공사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 DB가 저장된 건설공사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는 건설현장을 촬영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부가 상부에 설치되며, 이동 설치가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로 마련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건설현장에 표시되는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에 대응되는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이 표시되고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 사이에 시공물의 시공순서가 표시되는 시공물 가상 이미지가 표시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이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건설현장의 촬영 이미지와 시공물의 이미지가 포함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인입출이 가능한 렌즈가 탑재된 카메라부, 키입력부가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건설현장 촬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버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카메라부에 탑재된 렌즈를 인입출시켜 줌인아웃 기능이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과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촬영이 요청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표시되는 건설현장을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에 대응하도록 중첩 촬영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시공되는 시공물에 상기시공물 가상 이미지을 중첩 배치하여 촬영정보에 시공순서 감시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전송된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통해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DB에서 해당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을 추출하여 파일 압축하여 압축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의 압축 파일을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의 압축 파일을 암호 해제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는 공사가 진행 중인 시공물 전체를 촬영하도록 시공물 외측에 설치되며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에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모션센서를 포함하는 360도카메라, 상기 360도카메라와 결합되어 상기 360도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대, 공사가 진행중인 시공물 주변을 비추도록 시공물 외측에 설치되며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에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모션센서를 포함하는 360도조명; 및 상기 360도조명과 결합되어 상기 360도조명을 지지하는 조명지지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360도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되 상기 시공물 외측에서 공종별 작업 진행상황을 원격으로 촬영하여 공종별 원격 영상정보로 저장하는 원격감시모드, 상기 360도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되 상기 시공물 내측에서 진행되는 공종별 작업 진행상황을 수동으로 촬영하여 공종별 수동 영상정보로 저장하는 수동감시모드, 상기 360도카메라가 상기 360도조명과 연동하여 사물을 촬영하되 상기 360도조명이 상기 제2모션센서가 감지한 사물감지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사물에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상기 360도카메라가 상기 제1모션센서가 감지한 사물감지신호에 따라 사물을 촬영하도록 하는 보안모드 및 상기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및 보안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360도카메라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아이들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원격감시모드, 상기 수동감시모드, 상기 보안모드 및 상기 아이들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관리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360도카메라는 상기 제1모션센서, 렌즈로 입력되는 광학정보를 이미지정보로 변환하는 촬영모듈부,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상기 촬영모듈부가 안착되며 회전시 상기 촬영모듈부의 촬상방향을 조절하는 카메라 회동기구부, 상기 촬영모듈부의 줌기능과 틸트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모듈부에서 촬영한 이미지정보를 영상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와 수동감시모드 및 보안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회동기구부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촬영모듈부에서 변환된 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와 수동감시모드 및 보안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통신모듈부, 상기 카메라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통신모듈를 수용하는 부품수용체 및, 상기 부품수용체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접속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360도카메라는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동감시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안착판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격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안착판에 안착시켜 구성되고, 상기 360도카메라는 지피에스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카메라제어부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를 입력받는 지피에스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피에스수신부는 상기 원격감시모드, 상기 보안모드 또는 아이들모드의 모드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지피에스 위치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도난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통신모듈부의 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도난위험정보를 입력받은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도난위험정보에 대한 문자메세지 또는 알람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는,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 중 상기 시공물 가상 이미지에 중첩된 시공물에 링크되는 정보로서, 해당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표시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이 저장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목록 DB가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 중 선택된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의 출력이 요청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팝업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에 표시된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는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피에스수신부는, 위치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임계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도난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카메라통신모듈부의 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건설공사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임계치 범위는 10m 내지 50m의 범위 중 선택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센서는,
복수개로 구성하고 복수개의 센서들 각각이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정지한 객체와 동작 중인 객체를 구분하며, 상기 1주기에 상기 복수개의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모션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공사가 진행 중인 건축물 내측 공간 전체를 비추도록 건축물 내측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되, 상기 360도카메라와 동일한 지역을 비투도록 제어되는 360도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360도조명은, 적외선센서로 구성되어,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에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가 일정 각도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모션센서에 따라 상기 360도조명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3차원으로 파악 가능하여 건설공사의 현장 관리가 용이하며, 시공예정인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세부명칭정보, 건설공사 세부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사관련정보를 해당 시공물과 연계하여 직관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설계규격마다 복잡한 프로그래밍을 진행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공종별 작업 진행 문서의 작성 업무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피씨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문서를 작성하지 않고도 공종의 정상 진행여부를 판별하는 자료들이 자동적으로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야간에 공사현장의 건축물 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경우, 공사현장에 불법적인 침입자가 출입하게 되면, 침입자가 위치한 곳에 집중하여 조명 기능과 촬영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되, 침입자가 검출된 경우에만 조명기능과 촬영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에 시공물 위치표시를 나타낸 설치 가상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시공구조물과 시공구조물의 시공 순차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구조물 순차 시공 여부 감시화면이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된 출력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구조물별 건설공사 관련정보 팝업화면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출력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에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건축 현장 감시 및 보안 시스템이 적용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360도카메라를 확대하여 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360도조명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360도카메라에 외장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감시용앱이 실행된 상태의 초기 화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감시용앱의 원격감시모드가 실행된 상태의 화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감시용앱의 수동감시모드가 실행된 상태의 화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감시용앱의 보안모드가 실행된 상태의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장치는, 크게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 사용자 단말기(200) 및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이루어진다.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는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시공 중이거나 시공예정 중인 시공물의 시공위치 또는 그 경계를 나타내며, 시공현장의 관리를 위하여 침입 등과 같은 불법 행뤼를 감시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는 시공현장의 원격 감독 관리의 편리성을 위해서 감시카메라 및 조명장치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작업 즉, 시공물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3차원으로 파악가능하도록 촬영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감독자가 건설공사의 현장 관리를 위해 소유하는 스마트폰 또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전용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세부구성은 데이터 저장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카메라부(230), 키입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210)는 건설현장에 표시되는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에 대응되는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121)이 표시되고,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121) 내에 시공 중이거나 시공예정 중인 시공물의 시공순서가 표시되는 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 122b, 123a, 123b, 124, 125)가 표시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기억매체이다.
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 122b, 123a, 123b, 124, 125)는 일 예로 도면에 표시된 것처럼, 순차별로 첫 번째 시공되어야 할 시공물인 양측의 베이스에 해당하는 제1차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122b), 순차별로 두 번째 시공되어야 할 시공물인 다리에 해당하는 제2차시공물 가상 이미지(123a,123b), 순차별로 세 번째 시공되어야 할 시공물인 우수받이구에 해당하는 제3차시공물 가상 이미지(124) 및 순차별로 네 번째 시공되어야 할 시공물인 교량에 해당하는 제4차시공물 가상 이미지(125)로서, 시공 중이거나 시공예정인 건설현장의 각 시공물의 배치가 이를 통해 시공 과정을 알 수 있다.
시공물의 양측에 각 설치되는 예컨대 한 쌍으로 설치되는 제1차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 122b)의 도면부호는 다르게 명기되어 있다. 그 이유는 양측의 동일한 한 쌍의 시공물이라 하더라도 시공되는 순서가 존재할 경우, 명확한 표현을 하기 위함이다. 만약, 어느 쪽이 먼저 시공되는지 상관없는 경우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작업 즉, 시공물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3차원으로 파악가능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출력되는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220)은 터치스크린으로서, 후술되는 키입력부의 기능도 겸용으로 수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액정표시기(Liquid Crystal Display)와 터치패널이 적층 구성되어 제공된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정보입력은 사용자가 손이나 필기구 등을 통해 스크린 위의 일정 부위를 터치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인식하여 이를 터치패널 데이터로 가공하고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250)가 인지하여 데이터 명령이 수행된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건설현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줌 기능이 렌즈가 탑재된 것으로서, 그 탑재된 렌즈를 통해 건설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미지센서가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부(230)는 통상적으로,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및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가 구비된다.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주로 사용하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구현하는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카메라부(230)에는 추가적으로, 카메라부(2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모듈이 탑재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모듈은 카메라부(2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2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영상처리모듈은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240)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작업 즉, 시공물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3차원으로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요청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복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키입력부(240)에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줌인 및 줌아웃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키버튼이 마련된다.
제어부(250)는 키입력부(240) 또는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의 출력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210)에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되는 건설현장 촬영정보가 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 122b, 123a, 123b, 124, 125)에 대해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오버랩되도록 제어하며, 키입력부(240)를 통해 줌 인/아웃 기능이 요청되면 카메라부(230)에 탑재된 렌즈가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초점을 맞추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와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121)이 중첩된 상태에서 키입력부(240)를 통해 촬영이 요청되면 카메라부(230)를 통해 표시되는 건설현장에 순차별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이 중첩되어 촬영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건설현장에서 시공되는 시공물에 상기 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 122b, 123a, 123b, 124, 125)가 중첩되는 상태로 촬영되는 정보인 시공순서 감시화면(130)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생성된 시공순서 감시화면(130)을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키입력부(240)를 통해 시공순서 감시화면(130)의 저장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추후에도 열람가능하게 만든다.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의 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 122b, 123a, 123b, 124, 125) 상에 표시되는 시공순서는 도면에서처럼 숫자이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문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50)는 시공순서 감시화면(130)을 통해 건설되고 있는 시공물의 건설순서가 올바른지 또는 그른지를 이용자에게 안내한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 상에 출력된 시공순서 감시화면(130)을 보게 되면, 순차별로 세번째 시공되어야 할 우수받이구에 해당하는 제3차시공물 가상 이미지(124)에 대응하는 시공물이 설치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면 단말기(200) 이용자인 건설관리자가 우수받이구를 설치하여 실제 건설현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장치에서는, 순차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또는 시공예정인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명칭정보, 건설공사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시방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사관련정보를 시공순서 감시화면(130) 상에 표현되는 시공물의 선택에 의해 볼 수 있다. 감시화면(130)에서 시공물이 선택되면, 팝업화면 형태의 직관적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10)에는,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 중 순차별 시공물 가상 이미지(122a, 122b, 123a, 123b, 124, 125)에 중첩된 시공물에 링크된 정보로서, 해당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표시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140)이 저장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목록 DB가 저장된다.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이 출력된 상태에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 중 키입력부(240) 또는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임의의 하나의 시공물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의 출력이 요청되면,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목록 DB에서 해당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팝업방식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에 팝업 출력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140)에 표시된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는 3차원의 시공물에 대한 건설공사 명칭정보, 건설공사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를 제공하며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건설공사 시방서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사용자 단말기는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와 같은 다양한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을 외부로부터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는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이 건설공사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 DB가 저장된다.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건설공사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260)가 탑재된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50)는 키입력부(240)를 통해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부(26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걸설공사관리서버(300)는 전송된 다운로드 요청신호에 의해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 DB에서 해당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50)는 무선통신망 및 무선통신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20)을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하고, 이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전송된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통해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DB에서 해당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을 추출하여 파일 압축하여 압축 파일을 생성하고,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의 압축 파일을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어부(250)는 무선통신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130)의 압축 파일을 암호 해제하여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저장부(210)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상기에서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가상 시공물 데이터의 전송 시에 전송 효율과 보안을 위해서 파일 압축과 암호화를 사용함으로써 가상 시공물 데이터의 외부 노출이나 해킹에 의한 시공작업 노하우의 외부 탈취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와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는 파일 압축 프로그램과 해제를 위한 압축 프로그램과 암호화 및 암호 해제를 위한 암호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한편, 암호화 해제에는 단순하게 비밀번호를 파일에 숨기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밀번호는 별도의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중첩 출력되는 시공물 가상 이미지와 건설 영역의 촬영 실사 이미지를 통해 3차원적 이미지로 볼 수 있게 구성시킴으로써 건설공사의 현장 관리가 용이하며, 순차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시공예정인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명칭정보, 건설공사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시방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사관련정보를 해당 시공물과 연계하여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에 장착된 카메라와 조명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건설현장을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는 장점이 더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건설현장의 시공영역의 양측에 설치되는 카메라, 조명 및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를 자세하게 설명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는, 360도카메라(1), 카메라지지대(2), 360도조명(3), 조명지지대(4)를 포함하며, 교류어댑터부(7), 외장배터리(8) 및, 걸이용끈(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지부(110)는 시공물의 위치 및 경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시공물의 시작점과 끝점을 포함하는 영역을 표시한다.
360도카메라(1)는 공사가 진행 중인 건축물 전체를 촬영하도록 건축물 외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 360도카메라(1)는 후술하는 카메라지지대(2)에 안착되어 구동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360도카메라(1)는 제1모션센서(1a), 촬영모듈부(1b), 카메라 회동기구부(1c), 카메라제어부(1d), 카메라통신모듈부(1e), 부품수용체(1f) 및, 접속소켓(1g)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피에스수신부(1h)를 포함한다.
제1모션센서(1a)는 복수개로 구성하고 복수개의 센서들 각각이 360도카메라(1)의 전체 방향에 대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 방향 변화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모션센서(1a)는 적외선센서와 같은 발광부와 수광부가 구성되어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수광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객체의 존재 여부 및 객체의 동작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제1모션센서(1a)는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적외선센서로 구성하여 정지한 객체와 동작 중인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A위치에서 감지된 객체가 A위치에서 계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정지한 객체로 감지하고 A위치에서 감지된 객체가 A위치에서 사라진 후에 B위치에서 감지되고 이어서 B위치에서 사라지고 C위치에서 감지되는 경우, 즉 2상 이상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움직이는 객체로 감지한다. 즉,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3개 또는 그 이상의 적외선센서가 제1모션센서(1a)의 회전 주기에서 감지된 객체의 위치가 2상 이상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모션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적외선센서를 설치하여 제1모션센서(1a)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지만, 4개 또는 5개의 적외선센서를 설치하여 제1모션센서(1a)의 모션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물건이 바람과 태풍 또는 그 이외의 자연현상에 의해 낙하하는 경우에는 1상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나, 제1모션센서(1a)의 주기에서에의 소정의 객체 1상의 변화는 살아있는 생명체의 움직임이 아니기 때문에 감지하지 않는다.
즉, 360도카메라(1)는 시공물의 경계에 위치한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에 설치되므로 전술한 제1모션센서(1a)의 동작에 따라 시공물 설치 내의 지점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시공물 전체 영역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모션센서(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움직이는 객체를 추적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촬영모듈부(1b)에 객체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송시키면, 360도카메라(1)는 촬영모듈부(1b)를 촬영방향에 따른 상대적인 방향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촬영모듈부(1b)는 렌즈로 입력되는 광학정보를 이미지정보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촬영모듈부(1b)는 렌즈로 입력되는 광학정보를 이미지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엑추에이터에 의해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로부터 광학정보를 입력받아 이미지센서로 전달하고, 이미지센서에서 입력받은 광을 영상정보인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한편, 촬영모듈부(1b)는 줌기능과 틸트기능을 구비하며, 줌기능은 객체의 거리 또는 초점을 맞추며 틸트 기능은 객체의 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촬영모듈부(1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움직이는 객체를 지향할 수 있다.
카메라 회동기구부(1c)는 상부에 제1모션센서(1a) 및 촬영모듈부(1b)가 안착되며 제1모션센서(1a)로부터 객체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모듈부(1b)의 촬상방향을 조절하도록 회전시킨다.
카메라 회동기구부(1c)는 촬영모듈부(1b)가 지표면과 수평한 360도 방향의 전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촬영모듈부(1b)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모터가 구성되되 회동모터의 축단에 촬영모듈부(1b)가 안착되는 안착베이스(1f1)가 결합될 수 있다.
안착베이스(1f1)에는 촬영모듈부(1b)의 촬영각도를 변환시키기 위한 촬영각변환모터(미도시됨)가 더 구성되어 촬영모듈부(1b)의 촬영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회동기구부(1c)는 촬영모듈부(1b)의 촬영각이 반구형 영역 전체에 대해 촬영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카메라 회동기구부(1c)를 포함하는 부분을 투명한 반구형 부품수용체(1f)가 커버 형태로 덮어 카메라 회동기구부(1c)에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카메라제어부(1d)는 중앙연산장치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제어 명령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제어부(1d)는 제1모션센서(1a)로부터 모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모듈부(1b)의 줌기능과 틸트기능을 제어하고 촬영모듈부(1b)에서 촬영한 이미지정보를 영상정보로 변환하며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에 따라 카메라 회동기구부(1c)의 회전 구동을 제어한다.
카메라제어부(1d)는 각각의 모드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른 구동을 수행하거나 외부 조작에 의해 원격조작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통신모듈부(1e)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3G, 4G, 5G와 같은 각각에 세대에 따른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통신모듈부(1e)는 촬영모듈부(1b)에서 변환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통신모듈부(1e)는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를 입력받아 카메라제어부(1d)로 전송한다.
이 경우, 카메라통신모듈부(1e)는 MAC주소나 모뎀 고유번호와 같은 카메라ID를 포함하며, 건설공사관리서버(300)와 통신 수행시에 카메라ID를 전송하여,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서 복수개의 360도카메라(1)의 접속 시에 각각에 대한 영상정보를 카메라ID에 따라 분류하여 카메라제어부(1d)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품수용체(1f)는 투명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카메라제어부(1d) 및 카메라통신모듈(1e)을 수용함으로써, 카메라제어부(1d) 및 카메라통신모듈(1e)이 먼지나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또한, 부품수용체(1f)는 내측영역에 카메라 회동기구부(1c)가 안착되는 안착베이스(1f1)가 마련되어 카메라 회동기구부(1c)가 회전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접속소켓(1g)은 부품수용체(1f)의 하부에 결합되며, 부품수용체(1f)의 하부에서 내의 전기 접점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접속소켓(1g)은 360도카메라(1)후술하는 교류어댑터부(7) 또는 외장배터리(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360도카메라(1)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지피에스수신부(1h)는 지피에스수신부(1h)가 위치한 지피에스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며 카메라제어부(1d)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를 입력받는다.
지피에스수신부(1h)는 원격감시모드, 보안모드 또는 아이들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입력받는 경우, 지피에스 위치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지피에스수신부(1h)의 위치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임계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도난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카메라통신모듈부(1e)의 통신기능을 통해 건설공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임계치 범위를 10m 내지 50m의 범위 중 선택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도난위험정보를 입력받은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도난위험정보에 대한 문자메세지 또는 알람정보를 송출함으로써, 관리자 이외의 다른 누군가가 360도카메라(1)를 원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도난으로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건설공사 관리서버(300)를 통해
도난 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그에 따른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카메라지지대(2)는 카메라안착판(2a), 카메라폴대(2b) 및, 카메라지지다리(2c)를 포함한다. 카메라지지대(2)는 360도카메라(1)와 결합되어 360도카메라(1)를 지지한다.
카메라안착판(2a)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교류어댑터부(7)가 볼트 등에 의해 체결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즉, 카메라안착판(2a)는 360도카메라(1)가 교류어댑터부(7)에 접속 시에 360도카메라(1)가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카메라안착판(2a)은 교류어댑터부(7)가 결합된 상태에서 360도카메라(1)의 부품수용체(1f)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켓통과용홀(2a1)이 더 형성된다.
카메라폴대(2b)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카메라안착판(2a)에 결합되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카메라폴대(2b)는 두 개의 막대가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형태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폴대(2b)는 360도카메라(1)가 카메라안착판(2a)에 결합되는 경우, 후술하는 카메라지지다리(2c)와 함께 360도카메라(1)가 일정높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360도카메라(1) 및 교류어댑터부(7)가 건축 현장의 바닥에 존재하는 시멘트 가루 등과 같은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게 만든다.
카메라지지다리(2c)는 삼각다리 형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카메라폴대(2b)의 하부에 연결되어 3개 또는 4개의 다리가 360도카메라(1)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360도카메라(1)는 카메라지지대(2)로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360도카메라(1)를 건축 현장의 특정 지점에서 휴대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켜 영상 촬영한 관한 감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360카메라(1)를 카메라지지대(2)에 결합시켜 시공물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360도조명(3)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공사가 진행 중인 건축물 내측 공간 전체를 비추도록 건축물 내측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되, 360도카메라(1)와 같은 지역을 비투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360도조명(3)은 제2모션센서(3a), 발광모듈부(3b), 조명 회동기구부(3c), 조명제어부(3d) 및, 연동케이블(3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모션센서(3a)는 적외선센서와 같은 센서로 구성되어,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에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2모션센서(3a)는 제1모션센서(1a)와 마찬가지로 복수개로 구성하고 복수개의 센서들 각각이 360도조명(3)의 전체 방향에 대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 방향 변화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광모듈부(3b)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집적된 형태로 구성되며, 제2모션센서(3a)에 의해 모션이 감지되면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조명 회동기구부(3c)는 발광모듈부(3b)가 지표면과 수평한 상태에서 360도 방향의 전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발광모듈부(3b)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명용 회동모터가 구성되되 조명용 회동모터의 축단에 발광모듈부(3b)가 안착됨과 동시에 발광모듈부(3b)를 커버하는 조명안착용 베이스(3c1)가 결합될 수 있다. 조명안착용 베이스(3c1)에는 발광모듈부(3b)의 상하 촬영각도를 변환시키기 위한 조명각변환모터가 더 구성되어 발광모듈부(3b)의 조명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조명제어부(3d)는 발광모듈부(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모듈부(3b)에 공급되는 전력을 턴 온 또는 턴 오프 제어한다. 또한, 조명제어부(3d)는 제2모션센서(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모션센서(3a)에서 사물을 감지하여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물감지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또한, 조명제어부(3d)는 조명 회동기구부(3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 회동기구부(3c)의 조명용 회동모터에 대한 수평 회동각을 조절하며, 조명각 변환모터의 수직 회전각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조명제어부(3d)는 유선케이블에 의해 360도카메라(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통신모듈부(1e)와 연동하며, 카메라통신모듈부(1e)로부터 보안모드가 실행되고 있다는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그램으로 구동을 실행한다. 이때, 조명제어부(3d)는 제2모션센서(3a)가 인지한 모션 위치와 제1모션센서(1a)가 인지한 모션 위치가 일정 각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제1모션센서(1a)에서 감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로 조명을 비추도록 조정된다. 즉, 카메라제어부(1d)는 제2모션센서(3a)가 인지한 모션 위치와 제1모션센서(1a)가 인지한 모션 위치가 일정 각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제1모션센서(1a)가 측정한 위치로 정정하는 조명위치정정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조명제어부(1d)로 전송하고 조명제어부(1d)는 조명위치정정신호에 따라 조명의 비추를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즉, 제1모션센서(1a)와 제2모션센서(3a)가 측정한 위치에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1모션센서(1a)에서 측정한 모션위치로 정정하여 360도조명(3)을 비추도록 제어한다. 조명제어부(3d)는 카메라통신모듈부(1e)로부터 보안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360도조명(3)의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여기서의 일정범위는 10도 내지 30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15도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제어부(3d)는 야간에 보안모드가 실행되면, 우선적으로 발광모듈부(3b)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제2모션센서(3a)로부터 사물감지신호를 계속적으로 입력받게 되는 경우, 제2모션센서(3a)가 사물을 검출한 위치로 조명 회동기구부(3c)를 회전시킨상태에서 발광모듈부(3b)로 공급되는 전력을 턴 온 시킴으로써, 움직이는 사물을 추적하면서 조명이 조사되도록 하되 움직이는 사물이 검출된 경우에만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제2모션센서(3a)는 제1모션센서(1a)와 유사한 매커니즘으로 모션을 검출한다. 제2모션센서(3a)에 대한 동작은 전술한 제1모션센서(1a)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동케이블(3e)은 360도조명(3)의 조명제어부(3d)와 360도카메라(1)의 카메라통신모듈부(1e)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연동케이블(3e)은 보안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보안모드의 실행에 관한 구동 신호가 카메라통신모듈부(1e)에서 조명제어부(3d)로 입력되도록 전달한다.
보안모드의 실행에 관한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은 360도조명(3)이 조명제어부(3d)의 기프로그램된 설정에 의해 구동되며, 카메라통신모듈부(1e)로부터 360도카메라(1)의 보안모드를 중지시키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조명제어부(3d)의 기프로그램된 구동이 중지된다. 또한, 카메라제어부(1d)는 연동케이블(3e)을 통해 입력된 제2모션센서(3a)의 모션의 위치를 수신하여 제1모션센서(1a)에서 감지된 위치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1모션센서(1a)에서 측정한 모션위치로 정정하여 정정위치정보를 360도조명(3)으로 전송하여 해당 정정위치로 조명을 비추도록 한다.
연동케이블(3e)은 360도카메라(1)의 전원공급부(7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7a)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360도조명(3)의 발광모듈부(3b), 조명 회동기구부(3c) 및, 조명제어부(3d)로 공급하여, 360도조명(3)이 구동되게 만든다.
조명제어부(3d)는 연동케이블(3e)에 의해 전원공급부(7a)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움직이는 사물을 추적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연동케이블(3e)을 통해 조명작동신호를 360도카메라(1)로의 카메라통신모듈부(1e)로 송출한다. 조명제어부(3d)는
카메라통신모듈부(1e)에서는 조명작동신호를 건설공사 관리서버(300)에 전송하며, 관리서버(5)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 앱의 실행시 조명작동신호를 전송하여 감시용앱의 보안모드 상태에서 360도조명(3)의 정상작동에 관한 정상 실행여부를 아이콘이나 문자로 표기한다. 이에 따라 감독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사용자는 360도조명(3)에 대한 정상 구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조명지지대(4)는 조명안착판(4a), 조명폴대(4b) 및, 조명 지지다리(4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명지지대(4)는 360도카메라(1)와 결합되어 360도카메라(1)를 지지한다.
조명안착판(4a)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360도조명(3)이 체결결합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해준다.
조명폴대(4b)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조명안착판(4a)에 결합되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조명폴대(4b)는 두 개의 막대가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형태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폴대(4b)는 360도조명(3)이 조명안착판(4a)에 결합되는 경우, 후술하는 조명 지지다리(4c)와 함께 360도조명(3)이 일정높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360도조명(3)이 건축 현장의 바닥에 존재하는 시멘트가루등과 같은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만든다.
조명 지지다리(4c)는 삼각다리 형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조명폴대(4b)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조명폴대(4b)가 건설 현장의 바닥면과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360도조명(3)을 지지한다.
조명지지대(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360도조명(3)을 건축 현장의 특정지점에서 이동시켜 사물에 대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지지대(4)는 360도조명(3)의 위치가 360도카메라(1)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 예를 들면, 건축 현장 바닥 위치에서 360도카메라(1)의 위치 가운데 중간 아래 부군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360도카메라(1)가 움직이는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 360도조명(3)에 의해 움직이는 사물이 가려지지 않도록 만든다.
도 6과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서버(5)는 건설현장의 시공 관리 및 감시업무를 수행하기 서버로서, 360도카메라(1)의 카메라ID, 공사지구명, 공종별과 날짜 및 시간에 따라 360도카메라(1)가 촬영한 영상을 DB 형태로 저장하되,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및, 보안모드에 따라 DB를 분리하여 저장한다.
먼저,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원격감시모드의 경우, 360도카메라(1)가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되 건축물 내측에서 공종별 작업 진행상황을 원격으로 촬영하여 공종별 원격 영상정보를 날짜, 시간, 수행모드 및, 공종 내용을 DB형태로 저정하게 된다.
다음,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수동감시모드의 경우, 360도카메라(1)가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되 건축물 내측에서 공종별 작업 진행상황을 수동으로 촬영하여 공종별 수동 영상정보를 날짜, 시간, 수행모드 및 공종 내용을 DB형태로 저정하게 된다.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보안모드의 경우, 360도카메라(1)가 360도조명(3)과 연동하여 사물을 촬영하되 360도조명(3)이 제2모션센서(3a)가 감지한 사물감지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사물에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360도카메라(1)가 제1모션센서(1a)가 감지한 사물감지신호에 따라 사물을 촬영하도록 하며, 360도카메라(1)가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되 보안이 수행되는 상황의 날짜, 시간, 수행모드 및, 보안 내용을 DB형태로 저장한다. 이와 같은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각각을 선택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건설공사관리서버(300)와 연동하여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360도카메라(1)와 360도조명(3)이 각각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실행되도록 건설공사관리서버(30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관리서버(5)와 연동하여 각각의 모드정보를 실행하기 위하여 관리서버(300)와 연동하는 감시용앱이 설치되어 운용된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감시용앱은 앱의 화면에 원격감시모드, 수동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각각에 대한 실행버튼이 터치패널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감시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여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 저장시킨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는 영상에 어떠한 공종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있는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화면을 손가락으로 특정 방향을 가리켜 드래그하는 경우에 드래그된 방향으로 360도카메라(1)의 촬영방향이 회전되도록 드래그 프로그램이 연동하여 360도카메라(1)의 촬영방향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이 데스크탑 피씨 또는 노트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피씨용 또는 노트북에 대한 피씨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여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부터 입력받고,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360도카메라(1)의 촬영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360도카메라(1)와 신호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동감시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는 영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되어 수동감시모드가 실행된 경우, 사용자는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는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확인한 상태에서 360도카메라(1)를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로 공종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감시용앱은 수동감시모드의 실행시에 동영상 및 정지영상에 대한 녹화버튼 및 촬영버튼이 설정되어 사용자가 녹화버튼 및 촬영버튼의 영역에 대한 터치패널을 터치하여 실행하는 경우에 동영상 및 정지영상이 관리서버(5)에 저장되도록 하고, 정지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에 동영상 및 정지영상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60도카메라(1)를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110)에 안착시키는 경우에는 수동감시모드가 종료되고 아이들모드가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감시용앱의 보안모드에 대한 실행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에 실행되고, 보안모드 중지아이콘을 중지하는 경우에 보안모드가 정지되며, 아이들모드가 된다. 보안모드의 실행시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360도카메라(1) 및 360도조명(3)이 제1모션센서(1a) 및 제2모션센서(3a)에 의해 건축 현장에 진입하는 침입자의 모션을 감시한 상태에서 모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모션센서(1a)의 모션에 따라 제어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교류어댑터부(7)는 전원공급부(7a), 교류접속코드부(7b), 전원부커버체(7c) 및, 전원측접속단자(7d)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7a)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원공급부(7a)는 접속소켓(1g)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모듈부(1b)와 카메라 회동기구부(1c)와 카메라제어부(1d) 및 카메라통신모듈부(1e)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교류접속코드부(7b)는 일단에 교류전원단자가 연결된 코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원공급부(7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교류접속코드부(7b)는 건설 현장에 있는 건설용 전원단자함과 전원공급부(7a)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전원부커버체(7c)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전원부커버체(7c)는 내측에 전원공급부(7a)를 안착시켜 수용함으로써, 전원공급부(7a)가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부커버체(7c)는 접속소켓(1g)이 삽입되도록 접속소켓(1g) 삽입영역이 하방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원부커버체(7c)는 카메라지지대(2)의 카메라안착판(2a)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 경우, 전원부커버체(7c)는 카메라안착판(2a)의 소켓통과용홀과 접속소켓(1g) 삽입영역이 일치되도록 하여 접속소켓(1g)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측접속단자(7d)는 접속소켓(1g) 삽입영역에 배치되며 접속소켓(1g) 삽입영역에 접속소켓(1g)이 삽입되는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전원측접속단자(7d)는 전원공급부(7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7a)가 변환한 직류전력을 360도카메라(1)로 공급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외장배터리(8)는 배터리부(8a), 배터리커버체(8b) 및, 배터리접속단자(8c)를 포함하며, 이 외장배터리(8)로 동작하는 경우 360도카메라(1)가 탈착 가능하다. 배터리부(8a)는 접속소켓(1g)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촬영모듈부(1b)와 카메라 회동기구부(1c)와 카메라제어부(1d) 및 카메라통신모듈부(1e)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배터리부(8a)는 재충전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명이 다하면 후술하는 배터리커버체(8b)에서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배터리커버체(8b)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배터리부(8a)를 수용함으로써, 배터리부(8a)가 외부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커버체(8b)는 카메라안착판(2a)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360도카메라(1)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는 지피에스수신부(1h)가 작동되어 360도카메라(1)의 도난 등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커버체(8b)에 형성되는 소켓삽입용 영역은 전원부커버체(7c)의 접속소켓(1g) 삽입영역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접속단자(8c)는 소켓삽입용 영역에 배치되며 소켓삽입용 영역에 접속소켓(1g)이 삽입되는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배터리접속단자(8c)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접속소켓(1g)측으로 공급하여 360도카메라(1)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교류어댑터부(7)와 외장배터리(8)는 접속소켓(1g) 삽입영역과 소켓삽입용 영역이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교류어댑터부(7)에 의해 유선으로 전력으로 공급받거나 또는 외장배터리(8)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게 되는데, 360도카메라(1)를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 교류어댑터부(7)로부터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이용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360도카메라(1)를 카메라안착판(2a)으로부터 이탈시켜 휴대하여 사용할 경우, 360도카메라(1)가 외장배터리(8)로부터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휴대하여 이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종별 작업 상황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여 원격감시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교류어댑터부(7)로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종별 작업 상황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여 수동감시모드로 수행되는 경우, 360도카메라(1)에 외장배터리(8)가 장착된 상태로 휴대함으로써, 공정별 작업 상황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걸이용끈(9)은 양단이 외장배터리(8)에 결착된 상태로 외장배터리(8)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이용끈(9)은 사용자가 카메라안착판(2a)으로부터 이탈시켜 360도카메라(1)를 휴대한 상태로 공종별 작업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360도카메라(1)에 외장배터리(8)를 접속한 상태로 휴대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에 감기도록 하여, 사용자가 매우 용이하게 감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건축 현장 감시 및 보안 시스템이 적용된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 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360도카메라(1)의 카메라ID를 관리서버(5)로 전송하고, 관리서버(5)에서 입력된 카메라ID에 따른 공사지구 공종별 작업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앱에 전송하여 감시용앱의 화면에서 공사지구 공종별 작업 내용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감시용앱과 연동하는 문자입력기에 의해 카메라ID에 따른 공사지구 공종별 작업 내용을 신규로 입력하거나 수정하여 관리서버(5)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감시가 수행되는 건축 현장의 내측에 360도카메라(1)를 배치하되, 360도카메라(1)를 카메라지지대(2)의 카메라안착판(2a)에 결합시킨 상태로 카메라폴대(2b) 및 카메라지지다리(2c)에 의해 일정 높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360도조명(3)을 조명지지대(4)의 조명안착판(4a)에 결합시킨 상태로 조명폴대(4b) 및 조명 지지다리(4c)에 의해 일정 높이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감시용앱의 기설정된 프로그램의 아이콘들 가운데, 원격감시모드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터치패널상에서 터치하게 되면 원격감시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환되어 원격감시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감시용앱의 기설정된 프로그램의 아이콘들 가운데 수동감시모드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터치패널상에서 터치하게 되면 수동감시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환되어 수동감시모드를 실행하게 되고, 사용자가 감시용앱의 기설정된 프로그램의 아이콘들 가운데 보안모드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터치패널상에서 터치하게 되면 보안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환되어 보안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원격관리모드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감시용앱의 기설정된 프로그램의 아이콘들 가운데 사용자 단말기(200)의 터치패널상에서 원격감시모드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200)가 건설공사관리서버(300)와 연동하게 되고, 360도카메라(1)에서 촬영하여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 기록되는 영상정보를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원격감시모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360도카메라(1)의 영상정보가 출력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터치패널 화면을 일방향으로 드래그하게 되면, 360도카메라(1)는 드래그된 방향으로 드래그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함으로써 촬영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촬영 방향이 변경된 것을 확인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공종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서 존재하는 원격감시모드의 종료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원격감시모드가 중지되고 건설공사관리서버(30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중지된다.
다음, 사용자는 수동감시모드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360도카메라(1)를 교류어댑터부(7)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외장배터리(8)를 360도카메라(1)에 접속시키고, 360도카메라(1)를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케이블로 연결시키게 되며, 걸이용끈(9)을 이용하여 몸체 휴대한 상태로 이용하게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감시용앱의 기설정된 프로그램의 아이콘들 가운데 사용자 단말기(200)의 터치패널상에서 수동감시모드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는 영상정보가 신호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출력되고, 감시용앱에 형성된 동영상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행하게 되면, 현재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고 있는 영역에 대한 영상정보를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본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
)의 감시용앱에 형성된 사진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행하게 되면, 360도카메라(1)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사진정보로 하여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송출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수동감시모드의 종료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수동감시모드가 중지된다.
다음, 사용자는 보안모드를 실행하고자 하여 건설 현장의 일과 시간 이후의 야간의 경우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앱의 보안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감시용앱의 보안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감시용앱에는 보안모드의 실행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되고, 보안모드의 시작정보를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송출하게 되고, 건설공사관리서버(300)에서는 카메라통신모듈부(1e)를 통해 360도카메라(1)와 360도조명(3)으로 보안모드 실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360도카메라(1)와 360도조명(3) 각각은 제1모션센서(1a)와 제2모션센서(3a)를 통해 건설 현장 주변에 침입하는 사람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게 되고, 건설 현장에 사람이 침입하게 되는 경우 각각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물감지신호가 생성되면, 360도조명(3)에서는 조명제어부(3d)에 의해 발광모듈부(3b)를 턴 온시켜 주위를 밝히게 되고, 움직이는 사물측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제2모션센서(3a)가 사물을 추적하고 제2모션센서(3a)가 사물을 검출한 방향측으로 조명회동기구부가 회전하여 움직이는 사물을 추적하여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 경우, 360도 카메라는 제1모션센서(1a) 및 카메라 회동기구부(1c)에 의해 움직이는 사물을 추적하면서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보안모드 실행시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한 바와 같은 보안모드를 실행시키는 중에는 360도카메라(1)부의 지피에스수신부(1h)가 구동되어 360도카메라(1)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위치정보가 변화되는 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위치정보가 변화되는 경우 도난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카메라통신모듈부(1e)를 통해 건설공사관리서버(300)로 도난위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도난위험정보를 입력받은 건설공사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도난위험정보에 대한 문자메세지 또는 알람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가 보안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원격감시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및 수동감시모드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아이들모드로 진행되며, 이 경우에는 360도카메라(1)는 동작하지 않고, 지피에스수신부(1h)만 작동하여 도난 여부만을 감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 : 360도카메라
1a : 제1모션센서 1b : 촬영모듈부
1c : 카메라 회동기구부 1d : 카메라제어부
1e : 카메라통신모듈부 1f : 부품수용체
1g : 접속소켓 1h : 지피에스수신부
2 : 카메라지지대
2a : 카메라안착판
2b : 카메라폴대 2c : 카메라지지다리
3 : 360도조명
3a: 제2모션센서 3b : 발광모듈부
3c : 조명 회동기구부 3d : 조명제어부
3e : 연동케이블
4 : 조명지지대
4a : 조명안착판 4b : 조명폴대
4c : 조명 지지다리
5 : 관리서버 6 : 사용자 단말기
7 : 교류어댑터부
7a : 전원공급부 7b : 교류접속코드부
7c : 전원부커버체 7d : 전원측접속단자
8 : 외장배터리
8a : 배터리부 8b : 배터리커버체
8c : 배터리접속단자
9 : 걸이용끈
100 :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110 :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
120 :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
121 :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
122a, 122b, 123a, 123b,1 24, 125 : 시공물 가상 이미지
130 : 시공순서 감시화면
140 :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데이터 저장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카메라부
240 : 키입력부 250 : 제어부
260 : 무선 통신부 300 : 건설공사관리서버

Claims (6)

  1. 건설현장의 시공영역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시공 중이거나 시공예정 중인 시공물의 시공 위치를 나타내도록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를 기준으로 건설현장을 촬영하고, 상기 건설현장의 촬영 이미지와 함께 시공순서가 표시된 시공물의 이미지를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시공물의 이미지가 건설공사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 DB가 저장된 건설공사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는 건설현장을 촬영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부가 상부에 설치되며, 이동 설치가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로 마련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건설현장에 표시되는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에 대응되는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이 표시되고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 사이에 시공물의 시공순서가 표시되는 시공물 가상 이미지가 표시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이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건설현장의 촬영 이미지와 시공물의 이미지가 포함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인입출이 가능한 렌즈가 탑재된 카메라부, 키입력부가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건설현장 촬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버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카메라부에 탑재된 렌즈를 인입출시켜 줌인아웃 기능이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와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중첩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촬영이 요청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표시되는 건설현장을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에 대응하도록 중첩 촬영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시공되는 시공물에 상기시공물 가상 이미지를 중첩 배치하고 촬영정보에 시공순서 감시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는 전송된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통해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목록DB에서 해당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을 추출하여 파일 압축하여 압축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의 압축 파일을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된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의 압축 파일을 암호 해제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시공물 위치표시 및 감시부는 공사가 진행 중인 시공물 전체를 촬영하도록 시공물 외측에 설치되며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에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모션센서를 포함하는 360도카메라, 상기 360도카메라와 결합되어 상기 360도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대, 공사가 진행중인 시공물 주변을 비추도록 시공물 외측에 설치되며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에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모션센서를 포함하는 360도조명; 및 상기 360도조명과 결합되어 상기 360도조명을 지지하는 조명지지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는 상기 360도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되 상기 시공물 외측에서 공종별 작업 진행상황을 원격으로 촬영하여 공종별 원격 영상정보로 저장하는 원격감시모드, 상기 360도카메라가 상기 360도조명과 연동하여 사물을 촬영하되 상기 360도조명이 상기 제2모션센서가 감지한 사물감지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사물에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상기 360도카메라가 상기 제1모션센서가 감지한 사물감지신호에 따라 사물을 촬영하도록 하는 보안모드 및 상기 원격감시모드 및 보안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360도카메라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아이들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원격감시모드, 상기 보안모드 및 상기 아이들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360도카메라는 상기 제1모션센서, 렌즈로 입력되는 광학정보를 이미지정보로 변환하는 촬영모듈부,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상기 촬영모듈부가 안착되며 회전시 상기 촬영모듈부의 촬상방향을 조절하는 카메라 회동기구부, 상기 촬영모듈부의 줌기능과 틸트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모듈부에서 촬영한 이미지정보를 영상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 및 보안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회동기구부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촬영모듈부에서 변환된 영상정보를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 및 보안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통신모듈부, 상기 카메라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통신모듈를 수용하는 부품수용체 및 상기 부품수용체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접속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360도카메라는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격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인 경우 카메라안착판에 안착시켜 구성되고,
    상기 360도카메라는 지피에스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카메라제어부에 설정된 원격감시모드, 보안모드 및 아이들모드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정보를 입력받는 지피에스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피에스수신부는 상기 원격감시모드, 상기 보안모드 또는 아이들모드의 모드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지피에스 위치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도난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통신모듈부의 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도난위험정보를 입력받은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도난위험정보에 대한 문자메세지 또는 알람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제1모션센서는,
    복수개로 구성하고 복수개의 센서들 각각이 일정한 시간을 회전 주기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정지한 객체와 동작 중인 객체를 구분하며, 제1모션센서의 회전 주기에서 감지된 객체의 위치가 2상 이상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모션으로 감지하는 것인 하는 것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는,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 중 상기 시공물 가상 이미지에 중첩된 시공물에 링크되는 정보로서, 해당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표시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이 저장된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목록 DB가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기 가상 시공물 표시화면 중 선택된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의 출력이 요청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팝업출력되도록 제어하는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물별 관련정보 팝업화면에 표시된 시공물의 건설공사 관련정보는 3차원의 시공물에 관한 건설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에스수신부는,
    위치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임계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도난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카메라통신모듈부의 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건설공사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임계치 범위는 10m 내지 50m의 범위 중 선택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공사가 진행 중인 건축물 내측 공간 전체를 비추도록 건축물 내측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되, 상기 360도카메라와 동일한 지역을 비투도록 제어되는 360도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360도조명은, 적외선센서로 구성되어, 사물이 움직이는 경우에 사물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가 일정 각도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모션센서에 따라 상기 360도조명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KR1020210010479A 2020-03-13 2021-01-25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KR102366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1097 2020-03-13
KR1020200031097 2020-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215A KR20210116215A (ko) 2021-09-27
KR102366184B1 true KR102366184B1 (ko) 2022-02-23

Family

ID=7792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79A KR102366184B1 (ko) 2020-03-13 2021-01-25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285B1 (ko) 2022-11-09 2023-12-1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 공사의 기성 금액 계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119B1 (ko) * 2021-11-01 2022-09-01 (주)지오엔티 건설공사 공정별 일정 및 위치정보를 갖는 선형공정표 기반 4d cad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102434192B1 (ko) * 2022-01-19 2022-08-18 박장호 주거 공간의 인테리어 시공 방법
KR102464140B1 (ko) * 2022-01-26 2022-11-09 (주)하늘천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CN116489592B (zh) * 2023-05-26 2024-01-26 安徽江澜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三维模型的装配式建筑施工监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8971B2 (ja) * 2003-12-25 2008-05-21 船井電機株式会社 監視カメラ、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745598B1 (ko) * 2017-01-17 2017-06-09 주식회사 경림이앤지 이상행동 탐지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9622B1 (ko) * 2016-05-26 2017-07-20 주식회사 이지티 가스터빈 유지보수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1890823B1 (ko) * 2018-04-03 2018-08-22 (주)케이티피테크 360도 영상을 지원하는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18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글로텍 3차원 건설 공사 작업용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8971B2 (ja) * 2003-12-25 2008-05-21 船井電機株式会社 監視カメラ、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759622B1 (ko) * 2016-05-26 2017-07-20 주식회사 이지티 가스터빈 유지보수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1745598B1 (ko) * 2017-01-17 2017-06-09 주식회사 경림이앤지 이상행동 탐지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0823B1 (ko) * 2018-04-03 2018-08-22 (주)케이티피테크 360도 영상을 지원하는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285B1 (ko) 2022-11-09 2023-12-1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 공사의 기성 금액 계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215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184B1 (ko)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KR102128696B1 (ko)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건축 현장 감리 및 보안 시스템 구동 방법
KR102232181B1 (ko) 건설 감리 및 침입 감시 시스템
KR102201614B1 (ko) 건설 감리 및 침입 감시 시스템
JP6851137B2 (ja) 安全スキャナ
EP303834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9288452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shutter
US984372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210407266A1 (en) Remot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20222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ata thereof
US20150093102A1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JP2020035293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KR102148367B1 (ko)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건축 현장 감리 및 보안 시스템
KR20110119116A (ko) 로봇 청소기,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CN112527170A (zh) 设备可视化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157649B2 (ja) 携帯端末機器、情報管理機器、及び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10124652A (ko) 로봇 청소기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50035108A (ko)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 및 방범 시스템
JP4143969B2 (ja) 監視システム
JP2012186591A (ja)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及び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
JP6708384B2 (ja)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5229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설치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594195B (zh) 信息处理装置、成像装置、成像***、用于控制信息处理装置的方法、用于控制成像装置的方法和程序
JP5115496B2 (ja) コンテンツ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端末
KR102518863B1 (ko)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