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753B1 - 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753B1
KR102362753B1 KR1020150105271A KR20150105271A KR102362753B1 KR 102362753 B1 KR102362753 B1 KR 102362753B1 KR 1020150105271 A KR1020150105271 A KR 1020150105271A KR 20150105271 A KR20150105271 A KR 20150105271A KR 102362753 B1 KR102362753 B1 KR 10236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uction port
steel sheet
hood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1860A (en
Inventor
원성연
김경석
홍완기
김재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0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753B1/en
Publication of KR2017001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6Removal of by-products, e.g. particles or vapours produced during treatment of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 B23K26/14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for the removal of by-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methods other than heat treatment or deformation
    • C21D10/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methods other than heat treatment or deformation by laser shock proc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tallur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강판의 용융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패터나 흄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강판을 용융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 일측에 배치되어 에어나이프에 의해 비산된 스패터와 흄을 흡입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연결되어 흡입압을 형성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상대적으로 스패터를 주로 흡입하는 제1 흡입구와 상대적으로 흄을 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및 집진장치를 구비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를 제공한다.In order to maximize the removal efficiency of spatters or fumes generated in the melting process of the steel sheet, a hoo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melting the steel sheet to suck the spatters and fumes scattered by the air knife, and in the hood It includes a suction pump that is connected to form a suction pressure, and the hood has a dust collector and a dust collector including a first suction port that relatively mainly sucks spatter and a second suction port that relatively mainly sucks fume. Provides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ies for electrical steel sheets.

Description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Dust collector and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for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the same

용융 공정시 발생되는 스패터나 흄을 집전하기 위한 집진장치와 집진장치를 구비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for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dust collector and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spatter or fumes generated during the melting process.

예를 들어, 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을 줄이기 위해, 강판 표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용융에 의한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자구를 미세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the iron loss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 method of refining the magnetic domain by irradiating a laser beam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o form a groove by melting is used.

자구미세화 처리를 위해, 강판을 지지하고 장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강판의 표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강판 표면을 용융시키는 공정을 거친다. 레이저 조사로 인해 강판 표면이 용융되면서 홈이 형성되고, 홈 내부에 용융철이 잔존하게 된다. 홈 내부에 용융철이 잔존하게 되면 정확한 깊이의 홈 형성이 불가하여 철손을 개선할 수 없다. 이에, 자구미세화설비 일측에는 홈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가 구비되어 홈 내부에 잔존하는 용융철을 제거하게 된다.For magnetic domain refining, a process of melting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while supporting the steel sheet and controlling the tension is performed. As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melted due to laser irradiation, grooves are formed, and molten iron remains inside the grooves. If molten iron remains inside the groove, it is impossible to form a groove with an accurate depth, so iron loss cannot be improved. Accordingly, an air knife for spraying air into the groov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to remove the molten iron remaining in the groove.

에어나이프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용융철이 홈 밖으로 제거되면서 다량의 스패터(spatter)와 흄(fume) 등이 발생된다. 스패터 형태로 날려간 용융철이 강판의 표면에 떨어져 재응고되지 않고, 흄이 레이저 장치인 광학계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패터와 흄을 적절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As the molten iron is removed from the groove by the air sprayed from the air knife, a large amount of spatter and fumes are generated.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move the spatters and fumes in order to prevent the molten iron blown out in the form of spatters from falling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re-solidifying, and to prevent fumes from flowing into the optical system, which is the laser device.

스패터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하게 되면 강판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며, 흄이 광학계쪽으로 유입되는 경우 레이저 오염으로 설비의 손상이 초래된다.If the spatter is not properly removed, the quality of the steel sheet is deteriorated, and when fume flows into the optical system, the laser contamination causes damage to the equipment.

강판의 용융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패터나 흄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집진장치 및 집진장치를 구비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for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dust collector and a dust collector to maximize the removal efficiency of spatter or fumes generated during the melting process of the steel sheet.

본 구현예의 집진장치는, 강판을 용융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 일측에 배치되어 에어나이프에 의해 비산된 스패터와 흄을 흡입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연결되어 흡입압을 형성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상대적으로 스패터를 주로 흡입하는 제1 흡입구와 상대적으로 흄을 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od disposed on one side of an irradiation area of a laser that melts a steel sheet to suck spatter and fumes scattered by an air knife, and a suction pump connected to the hood to form a suction pressure, , The hood may include a first inlet for mainly inhaling the spatter and a second inlet for mainly inhaling the fume relatively.

본 구현예의 자구미세화 설비는, 강판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자구를 미세화하는 레이저부, 레이저가 조사되는 강판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용융철을 제거하는 에어나이프, 및 상기 에어나이프에 의해 제거된 흄과 스패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후드를 포함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상대적으로 스패터를 주로 스패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구와 상대적으로 흄을 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laser unit for refining the magnetic domain by irradiating a lase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 air knife for removing molten iron by spraying ai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o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and the air knife removed by the and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 hood for suctioning and removing fumes and spatter, wherein the hood relatively comprises a first suction port for mainly inhaling the spatter and a second suction port for mainly inhaling the fume relatively. have.

상기 후드는 레이저 조사 영역을 향하는 선단에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가 분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hoo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second suction port are separately formed at a tip facing the laser irradiation area.

상기 후드는 레이저 조사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에어나이프에 대향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The hood may have a structure disposed to face the air knife with respect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상기 후드는 강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The hood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상기 후드는 강판에 대해 상기 제1 흡입구가 제2 흡입구 위쪽에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The hoo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ction port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suction port with respect to the steel plate.

상기 후드는 내부에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를 분리하는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흡입구와 연통된 제1 통로와 제2 흡입구와 연통된 제2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hood may have a partition wall configured to separate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form a firs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and a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상기 제1 흡입구는 레이저 조사 영역에서 7mm 내지 18mm 이격된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ort may have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laser irradiation area by 7 mm to 18 mm.

상기 제1 흡입구는 강판 수평면에 대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레이저 조사영역을 향해 20°내지 40°기울어진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ort may have a structure inclined by 20° to 40° toward the laser irradiation are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steel sheet.

상기 제2 흡입구는 강판 표면에서 이격되어 강판 표면을 향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suction por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formed toward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상기 제2 흡입구와 강판 표면 사이의 간격은 5mm 내지 10mm 일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and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may be 5 mm to 10 mm.

상기 제2 흡입구는 제1 흡입구쪽 선단부에 차단판이 제2 흡입구를 따라 연장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suction por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extending along the second suction port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ction port.

상기 차단판의 폭은 제2 흡입구 전체 폭에 대해 25% 내지 4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blocking plate may be formed in a range of 25% to 40% of the total width of the second inle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스패터와 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spatter and fumes.

또한, 흄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레이저 설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completely remove the fumes,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to the laser equipment.

또한, 강판을 보다 정밀하고 깔끔하게 자구 미세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fine the magnetic domain more precisely and neatly in the steel shee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후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od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 설명에서 본 실시예는 변압기 철심 소재 등에 사용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를 위한 설비에 있어서, 흄과 스패터를 제거하는 집진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구미세화 설비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패터와 흄에 대한 집진이 요구되는 다양한 설비에 모두 적용가능하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fumes and spatter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 facility for refining the magnetic domain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used for a transformer iron core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facilities requiring dust collection for spatter and fume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후드를 도시하고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2 shows a hood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구현예의 자구미세화 설비(100)는, 강판(P)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자구를 미세화하는 레이저부(10), 레이저가 조사되는 강판(P)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용융철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20), 및 상기 에어분사부(20)에 의해 제거된 흄과 스패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후드(32)를 포함하는 집진장치(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비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방향성 강판(P)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서포트롤(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100 of this embodiment removes molten iron by irradiating a laser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P to refine the magnetic domain, and by spraying ai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P to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and a dust collector 30 including an air spray unit 20 and a hood 32 that suctions and removes fumes and spatters removed by the air spray unit 20 . In addition, the equip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oll 50 configured to impart tension to the grain-oriented steel sheet P to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상기 레이저부(10)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부(12)와, 상기 레이저 발생부(12)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빔의 방향을 전환하여 방향성 강판(P)의 표면에 조사되도록 하는 광학수단(14)을 구비하여, 강판(P)에 레이저를 조사한다.The laser unit 10 includes a laser generating unit 12 that generates a laser beam, and optical means for converting the direction of the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laser generating unit 12 to irradiate the surface of the grain-oriented steel sheet P (14) is provided, and a laser is irradiated to the steel plate (P).

상기 레이저 발생부(12)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은 광학수단(14)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방향성 강판(P)의 표면에 조사되고, 이에 의해 방향성 강판(P)의 자구미세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롤(50)은 방향성 강판(P)의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레이저 조사부(10)의 반대면에 배치되어 강판(P)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generating unit 12 is irradiated to the surface of the grain-oriented steel sheet (P) after th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optical means (14), whereby the magnetic domain refinement of the grain-oriented steel sheet (P) is made. The support roll 5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aser beam irradiating part 10 of the grain-oriented steel plate P to apply tension to the steel plate P.

레이저 조사로 인해 강판(P) 표면이 용융되면서 홈이 형성되고, 홈 내부에 용융철이 잔존하게 된다. 에어분사부(20)는 에어펌프(24)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레이저 조사 영역(A)에 분사하는 에어나이프(22)를 구비하여 홈 내부에 잔존하는 용융철을 제거하게 된다.As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P is melted due to laser irradiation, a groove is formed, and molten iron remains inside the groove. The air injection unit 20 is provided with an air knife 22 for injecting high-pressure air supplied from the air pump 24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to remove the molten iron remaining in the groove.

에어나이프(22)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용융철이 홈 밖으로 제거되면서 다량의 스패터(spatter)와 흄(fume) 등이 발생된다. 상기 집진장치(30)는 에어나이프(22)에 의해 제거된 흄과 스패터를 흡입하여 제거한다.As the molten iron is removed out of the groove by the air sprayed from the air knife 22, a large amount of spatter and fumes are generated. The dust collector 30 sucks and removes the fumes and spatters removed by the air knife 22 .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30)는 레이저의 조사영역 일측에 배치되어 에어나이프(22)에 의해 비산된 스패터와 흄을 흡입하는 후드(32)와, 상기 후드(32)에 연결되어 흡입압을 형성하는 흡입펌프(34)를 포함한다.The dust collector 30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hood 32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aser irradiation area and sucks the spatter and fumes scattered by the air knife 22, and the hood 32 to increase the suction pressure. and a suction pump 34 to for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32)는 강판(P)에 대한 레이저 조사 영역(A)을 기준으로 에어나이프(22)에 대해 대향 배치된다. 즉, 레이저 조사영역을 사이에 두고 후드(32)는 에어나이프(22) 반대쪽에 배치된다. 이에, 에어나이프(22)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레이저 조사영역에서 외부로 비산된 흄과 스패터가 후드(32)를 통해 집진되어 제거된다.1, the hood 32 is disposed opposite to the air knife 22 with respect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for the steel plate (P). That is, the hood 32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knife 22 with the laser irradiation area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fumes and spatters scattered to the outside from the laser irradiation area by the air sprayed from the air knife 22 are collected and removed through the hood 32 .

상기 흡입펌프(34)는 후드(32)를 통한 흡입압을 제공한다. 흡입펌프(34)의 사양은 후드(32)의 포착 속도와 관련이 있다. 포착속도는 배출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비산 한계점 범위내 어떤 점에서 포착하여 후드(32) 속으로 끌어 들이기에 충분한 최소한의 바람의 유속을 말한다. 포착속도는 후두의 개구면에서의 유속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suction pump 34 provides suction pressure through the hood 32 . The specification of the suction pump (34) is related to the capture speed of the hood (32). The capture velocity refers to the minimum wind velocity sufficient to capture the pollutants discharged from the emission source at any point within the scattering threshold and draw them into the hood 32 . The capture velocity can be understood as the flow velocity at the opening of the larynx.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나이프(22)의 에어 분사에 의해 강판(P)에서 생성되는 스패터를 포착하여 흡입해야 하므로, 상기 흡입펌프(34)는 후드(32)의 포착속도를 2.5 내지 10m/sec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강판(P) 자구미세화 설비와 같이, 후드(32) 주위의 공기 유동이 빠르고 오염물질 자체의 운동량이 높은 경우에도 스패터의 집진 효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patter generated from the steel plate P by the air injection of the air knife 22 must be captured and sucked, the suction pump 34 sets the capture speed of the hood 32 to 2.5 to 10 m/sec. to be formed as Accordingly, even when the air flow around the hood 32 is fast and the momentum of the pollutant itself is high, like the steel plate P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patt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32)는 레이저 조사 영역(A)에서 이격되며, 선단의 개구된 부분이 레이저 조사영역을 향하도록 하여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 the hood 32 is spaced apart from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and is disposed such that an open portion of the tip faces the laser irradiation area.

상기 후드(32)는 스패터나 흄이 유입되는 선단 개구부가 슬롯 형태로 형성되어 강판(P)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The hood 3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tip opening through which spatters or fumes are introduced is formed in the form of a slot to exten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P).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드(32)는 선단의 개구부가 상대적으로 스패터를 주로 흡입하는 제1 흡입구(36)와 상대적으로 흄을 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구(38)로 분리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스패터를 주로 흡입한다는 것은 흄의 흡입도 이루어지긴 하나 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스패터를 흡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흄을 주로 흡입한다는 것 역시 스패터의 흡입도 이루어지나 스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흄을 흡입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d 32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at the tip is separated into a first suction port 36 for mainly inhaling spatter and a second suction port 38 for relatively mainly suctioning fume. Here, mainly inhaling the spatter means that although the fume is also sucked, a relatively larger amount of the spatter is inhaled compared to the fume. Inhaling fume mainly means that spatter is also inhaled, but a relatively larger amount of fume is inhaled compared to the spatter.

제1 흡입구(36)는 전체가 완전히 개방된 구조이거나 복수개의 구멍이 격자나 슬릿 형태로 뚫린 구조일 수 있다. 제2 흡입구(38) 역시 전체가 완전히 개방된 구조 또는 복수개의 구멍이 격자나 슬릿 형태로 뚫린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ort 36 may have a completely open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in the form of a grid or slit. The second suction port 38 may also have a completely open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in the form of a grid or slit.

상기 제1 흡입구(36)는 제2 흡입구(38)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라 함은 도 2에서 강판(P)을 바닥으로 하여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의미한다.The first suction port 36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suction port 38 . The upper part means an upper part along the y-axis direction with the steel plate P as the bottom in FIG. 2 .

이에 상기 후드(32)는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에서는 스패터를 주로 흡입하고, 아래쪽에서는 흄을 주로 흡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드(32)는 스패터와 흄을 별도의 부분을 통해 흡입함으로써, 스패터는 물론 흄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에어나이프(22)로부터 분사되는 에어 흐름에 의해 흄은 바닥인 강판(P) 표면을 따라 흘러나가게 되고, 스패터는 강판(P) 표면에서 상부로 튀어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패터와 흄의 흐름 방향에 맞춰 후드(32)의 제1 흡입구(36)와 제2 흡입구(38)를 배치함으로써, 흄과 스패터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hood 32 mainly sucks the spatter from the upper side along the y-axis direction, and mainly sucks the fume from the lower side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this way, the hood 32 sucks the spatter and the fumes through separate parts, so that the fumes as well as the spatters can be suctioned and removed more effectively. This is because the fume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P, which is the bottom, by the air flow sprayed from the air knife 22, and the spatters protrude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P. Therefore, by disposing the first inlet 36 and the second inlet 38 of the hood 32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spatter and the fu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ume and the spatter.

즉, 상기 제1 흡입구(36)는 스패터를 포집하기 위한 영역이고, 제2 흡입구(38)는 흄을 포집하기 위한 영역이다. 레이저가 조사된 후에 스패터는 도 2의 도면상 왼쪽 윗 방향으로 튀고, 흄은 발생시 벽면이나 어느 면에 접근하여 기류가 발생하고 그 면에 부착하여 흐르는 코안다 효과 때문에 위로 가지 않고 강판을 따라 흘러간다. 따라서 스패터와 흄의 거동은 확연히 다르다. 제2 흡입구는 코안다 효과를 따르는 흄을 포집하기 위해서 도면 상 아랫 부분에 배치되어 후드 내외의 압력 차이로 인해 제2 흡입구로 흄이 빨려 들어간다.That is, the first suction port 36 is an area for collecting spatter, and the second suction port 38 is an area for collecting fume. After the laser is irradiated, the spatter bounces in the upper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of FIG. 2, and when the fume is generated, it approaches the wall or any surface to generate an airflow. . Therefore, the behavior of spatter and fumes is markedly different. The second inlet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in order to collect the fumes following the Coanda effect, and the fumes are sucked into the second inlet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hood.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흡입구(36)는 후드(32)의 선단에 레이저 조사용역을 향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입구(38)는 후드(32) 선단의 제1 흡입구(36) 아래쪽에서 강판(P)을 향하도록 하여 형성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suction port 36 is formed to face the laser irradiation service at the tip of the hood 32 . In addition, the second suction port 38 is formed to face the steel plate P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ction port 36 at the tip of the hood 32 .

상기 후드(32)는 내부에 상기 제1 흡입구(36)와 제2 흡입구(38)를 분리하는 격벽(40)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40)은 제1 흡입구(36)와 제2 흡입구(38)의 경계지점에서부터 후드(32) 내부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후드(32) 선단부분 내측에는 격벽(40)에 의해 분리되어 제1 흡입구(36)와 연통된 제1 통로(42)와 제2 흡입구(38)와 연통된 제2 통로(44)가 형성된다. The hood 32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0 separating the first inlet 36 and the second inlet 38 therein. The partition wall 40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inside of the hood 32 from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suction port 36 and the second suction port 38 . Accordingly, insid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ood 32, a first passage 42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40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36 and a second passage 44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38 are provided. is formed

상기 격벽(40)은 후드(32) 내에서 한정된 길이로만 형성되어 있어서, 제1 통로(42)와 제2 통로(44)는 격벽(40)을 지난 후에는 후드(32) 내에서 서로 연통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후드(32)에 단일의 흡입펌프(34)가 연결되어 제1 흡입구(36)와 제2 흡입구(38) 모두 동일한 흡입력이 가해진다. 상기한 구조 외에 제1 통로와 제2 통로에 각각 별도의 흡입펌프를 연결하여,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에 서로 상이한 흡입력을 가하는 구조 역시 적용가능하다.The partition wall 40 is formed only in a limited length within the hood 32 , so that the first passage 42 and the second passage 4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the hood 32 after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40 . . In this structure, a single suction pump 34 is connected to the hood 32 so that the sam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both the first suction port 36 and the second suction port 38 . 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separate suction pumps are connected to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to apply different suction forces to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ports are also applicable.

제1 흡입구(36)를 통해 흡입된 스패터는 격벽(40)에 의해 구획된 제1 통로(42)를 지나 후드(32)로 흡입된다. 제2 흡입구(38)를 통해 흡입된 흄은 격벽(40)에 의해 구획된 제2 통로(44)를 지나 후드(3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후드(32)의 선단 흡입구 쪽에서 격벽(40)에 의해 흄과 스패터가 각각의 통로로만 흡입됨으로써, 흡입되는 과정에서 서로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The spatte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36 is sucked into the hood 32 through the first passage 42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40 . The fume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38 is sucked into the hood 32 through the second passage 44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40 . In this way, the fume and the spatter are sucked only through the respective passages by the partition wall 40 from the suction por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od 32,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ith each other during the suction process.

또한, 상기 격벽(40)은 제1 흡입구(36)로 빨려들어간 스패터가 제2 흡입구(38)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흡입구(36)를 통하여 들어간 스패터는 거의 후드 안쪽으로 빨려들어가긴 하나, 일부 크고 무거운 스패터들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 사이에는 상기 격벽(40)이 설치되어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제1 흡입구로 들어간 스패터가 자중에 의해 떨어지더라도 제2 흡입구로 떨지지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40 serves to physically block the spatter sucked into the first suction port 36 from falling toward the second suction port 38 . That is, the spatters entering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36 are almost sucked into the hood, but some large and heavy spatters may fall down due to gravity. The partition wall 4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 spatter that has entered the first inlet falls by its own weight, it does not fall to the second inlet.

상기 후드(32)의 흡입구 위치, 즉, 레이저 조사영역과 강판(P)에 대한 제1 흡입구(36)와 제2 흡입구(38)의 위치는 스패터와 흄의 제거 효율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The position of the inlet of the hood 32,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inlet 36 and the second inlet 38 with respect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and the steel plate P, is very important in relation to spatter and fume removal efficiency.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 영역(A)에 대해 상기 제1 흡입구(36)의 이격 거리(L)는 7 내지 18mm 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separation distance L of the first suction port 36 with respect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in this embodiment may be 7 to 18 mm.

많은 실험 결과, 상기 제1 흡입구(36)의 이격 거리(L)가 7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레이저 조사 영역에 너무 가까워져 레이저 조사에 방해를 주게 된다. 상기 제1 흡입구(36)의 이격 거리(L)가 18mm를 넘는 경우에는 외측으로 발산하는 스패터를 포집하기 위한 제1 흡입구의 포집 영역이 너무 커지고 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스패터 포집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또한, 물리적인 공간의 부족과 떨어진 거리만큼 더 큰 압력을 가해줘야 하므로 집진기 전체에 큰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된다.As a result of many experiments,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L of the first suction port 36 is less than 7 mm, it is too close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to interfere with laser irradiation.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L) of the first suction port 36 exceeds 18 mm, the collecting area of the first suction port for collecting the spatter radiating outward becomes too large and the pressure drops, so the spatter collection efficiency is rapidly reduced. do.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entire dust collector because it is necessary to apply a greater pressure as much as the distance and lack of physical space.

상기 제1 흡입구(36)는 강판(P) 수평면에 대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레이저 조사영역을 향해 20°내지 40°의 각도(R)로 기울어진 구조일 수 있다. 스패터를 포집하기 위해서는 제1 흡입구는 스패터 유동 방향에 대해 적정 각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질량을 가지는 물체를 포집할 때는 질량을 가지 물질의 유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에, 스패터가 튀어 이동하는 방향에 직각으로 제1 흡입구를 배치함으로써, 스패터 포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흡입구(36)의 각도(R)는 제1 흡입구와 레이저 조사영역 사이의 이격거리(L)과 관련된다. 제1 흡입구의 이격거리(L)가 먼 경우에는 상기 각도(R)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격거리(L)가 가까우면 상기 각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파티클의 발산범위 전체에 대해 제1 흡입구를 가급적 파티클 유동 방향에 직각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많은 실험을 통해, 본 실시예에서 제1 흡입구의 각도(R)는 제1 흡입구의 이격거리(L) 범위 내에서 20°내지 40°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구(36)의 각도(R)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스패터 포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The first suction port 36 may have a structure inclined at an angle (R) of 20° to 40° toward the laser irradiation are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steel plate (P). In order to collect the spatter, the first suction port should be formed at an appropriate angle with respect to the spatter flow direction. As is known, when collecting an object having a physical mass, it is most efficient to arrange the mass at a right angl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branch material. Accordingly, by arranging the first suction port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atter mov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tter collection efficiency.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R of the first suction port 36 is relat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laser irradiation area.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L of the first suction port is long,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angle R, an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L is close, the angle is increa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it the first suction port at a right angle to the particle flow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for the entire diffusion range of the particles. Through many experiments, the angle (R) of the first inlet in this embodiment can be formed to be 20 ° to 40 °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L) range of the first inlet. When the angle R of the first suction port 36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tter collection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상기 제2 흡입구(38)는 강판(P) 표면에서 이격되어 강판(P) 표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흡입구(38)와 강판(P) 표면 사이의 간격(D)은 5mm 내지 10mm 일 수 있다. 강판과 제2 흡입구 사이의 거리 관계에 대한 많은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제2 흡입구(38)와 강판(P) 표면 사이 간격(D)이 5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히려 흡입력이 더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제2 흡입구(38)와 강판(P) 표면 사이 간격(D)이 10mm를 넘는 경우에는 코안다 효과에 따라 흐르는 흄이 제2 흡입구로 흡입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uction port 38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P) is formed to face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P).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D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38 and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P may be 5 mm to 10 mm. As a result of many flow simulations for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second inlet,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second inlet 38 and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P is less than 5 mm, a problem in which the suction force is lowered rather occurs.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38 and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P exceeds 10 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mes flowing according to the Coanda effect are not sucked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흡입구(38)는 제1 흡입구(36)쪽 선단부에 차단판(46)이 제2 흡입구(38)를 따라 연장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흡입구(38)는 제1 흡입구(36)쪽 선단부쪽 일부가 차단판(46)에 의해 막혀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제2 흡입구(38)는 레이저 조사 영역(A)을 기준으로 레이저 조사 영역(A)에 가까운 쪽 부분은 차단판(46)에 의해 막혀 있고, 레이저 조사 영역(A)에서 먼 쪽 부분은 개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uction port 38 has a structure in which a blocking plate 46 is installed extending along the second suction port 38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ction port 36 side. That is, the second suction port 38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front end side toward the first suction port 36 is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 46 . Accordingly, in the second suction port 38, the part close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with respect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is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 46, and the part farther from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is is open

이에, 레이저 조사 영역(A)에서 발생된 흄은 차단판(46)을 따라 흐르다 개방된 제2 흡입구(38)를 통해 흡입된다. 상기 차단판(46)은 흄의 이동 경로 상의 앞쪽에서 흄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많은 실험 결과, 상기 차단판(46)이 없는 경우, 오히려 유체 흐름이 산발적으로 유동되면서 제2 흡입구(38)를 통한 흄 흡입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상기 제2 흡입구(38) 앞쪽에 차단판(46)을 설치한 경우, 흄이 차단판(46)의 표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흐르면서 뒤쪽의 개방된 제2 흡입구(38)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흡입되어 흡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ume generated in the laser irradiation area A flows along the blocking plate 46 and is sucked through the open second suction port 38 . The blocking plate 46 serves to guide the flow of the fume from the front on the moving path of the fume. As a result of many experiments, in the absence of the blocking plate 46 , the fume suction efficiency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38 was decreased as the fluid flow sporadically flowed. When the blocking plate 46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inlet 38, the fume flows stably along th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46 and is more smoothly sucked through the open second inlet 38 at the rear. The suc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차단판에 대한 많은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판(46)의 폭(W)은 제2 흡입구(38) 전체 폭(S)에 대해 25 내지 4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이라 함은 도 2에서 x축 방향에 대한 길이를 의미한다.As a result of many flow simulations for the blocking plate,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W of the blocking plate 46 may be formed in a range of 25 to 40% of the total width S of the second inlet 38 . . Here, the width means a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in FIG. 2 .

상기 차단판(46)의 폭(W)이 제2 흡입구(38) 전체 폭(S)의 25% 보다 작은 경우에는 흄의 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흡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차단판(46)의 폭(W)이 제2 흡입구 전체 폭(S)의 40%를 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제2 흡입구(38)의 개방된 부분이 너무 줄어 흄의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width W of the blocking plate 46 is smaller than 25% of the total width S of the second suction port 38, the induction of fume is not performed properly,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suction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width W of the blocking plate 46 exceeds 40% of the total width S of the second inlet, the open portion of the second inlet 38 is rather reduced, so that the fumes are not properly inhaled.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contemplated and encompassed by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레이저부 20 : 에어분사부
22 : 에어나이프 30 : 집진장치
32 : 후드 36 : 제1 흡입구
38 : 제2 흡입구 40 : 격벽
42 : 제1 통로 44 : 제2 통로
46 : 차단판 50 : 서포트롤
10: laser unit 20: air injection unit
22: air knife 30: dust collector
32: hood 36: first inlet
38: second inlet 40: bulkhead
42: first passage 44: second passage
46: blocking plate 50: support roll

Claims (22)

강판을 용융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 일측에 배치되어 에어나이프에 의해 비산된 스패터와 흄을 흡입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연결되어 흡입압을 형성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상대적으로 스패터를 주로 흡입하는 제1 흡입구, 및 상대적으로 흄을 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레이저 조사 영역을 향하는 선단에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가 분리 형성되고,
상기 후드는 내부에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를 분리하는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흡입구와 연통된 제1 통로와 제2 흡입구와 연통된 제2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흡입구에는 상기 제1 흡입구 선단부쪽에서 흄의 흐름을 상기 제2 흡입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을 기점으로 상기 제1 흡입구쪽 선단부에 차단판이 상기 제2 흡입구를 따라 연장 설치된 구조의, 집진장치.
A hoo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that melts the steel sheet to suck spatter and fume scattered by an air knife, and a suction pump connected to the hood to form a suction pressure,
The hood relatively comprises a first inlet for mainly inhaling the spatter, and a second inlet for mainly inhaling the fumes relatively,
In the hood,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second suction port are formed separately at the tip facing the laser irradiation area,
The hood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form a firs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and a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In the second inlet,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extending along the second inlet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let from the bulkhead so as to guide the flow of fume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let to the second inlet.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레이저 조사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에어나이프에 대향 배치된 구조의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d is a dust collector having a structure disposed opposite to the air knife with respect to the laser irradiation area.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강판에 대해 상기 제1 흡입구가 제2 흡입구 위쪽에 배치된 구조의 집진장치.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hood is a dust collec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ction port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suction port with respect to the steel plate.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는 레이저 조사 영역에서 7mm 내지 18mm 이격된 구조의 집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ction port is a dust collector having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laser irradiation area by 7 mm to 18 m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는 강판 수평면에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레이저 조사영역을 향해 20°내지 40°기울어진 구조의 집진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uction port is a dust collector of a structure inclined at 20° to 40° toward the laser irradiation are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steel pl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구는 강판 표면에서 이격되어 강판 표면을 향해 형성된 구조의 집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uction port is a dust collector of a structure formed toward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구와 강판 표면 사이의 간격은 5mm 내지 10mm 인 집진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and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5 mm to 10 mm dust collector.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폭은 제2 흡입구 전체 폭에 대해 25% 내지 40%의 범위로 형성된 구조의 집진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dust collec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in a range of 25% to 40% of the total width of the second inlet.
강판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자구를 미세화하는 레이저부, 레이저가 조사되는 강판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용융철을 제거하는 에어나이프, 및 상기 에어나이프에 의해 제거된 흄과 스패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후드를 포함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상대적으로 스패터를 주로 스패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구, 및 상대적으로 흄을 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는 레이저 조사 영역을 향하는 선단에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가 분리 형성되고,
상기 후드는 내부에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를 분리하는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흡입구와 연통된 제1 통로와 제2 흡입구와 연통된 제2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흡입구에는 상기 제1 흡입구 선단부쪽에서 흄의 흐름을 상기 제2 흡입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을 기점으로 상기 제1 흡입구쪽 선단부에 차단판이 상기 제2 흡입구를 따라 연장 설치된 구조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A laser unit that refines the magnetic domain by irradiating a lase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 air knife that removes molten iron by spraying ai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rradiated with a laser, and suction and removal of fumes and spatters removed by the air knife Including a dust collection unit including a hood to say,
The hood relatively comprises a first inlet for mainly inhaling the spatter, and a second inlet for mainly inhaling the fume relatively,
In the hood,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second suction port are formed separately at the tip facing the laser irradiation area,
The hood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form a firs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and a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In the second inlet, a blocking plate is installed extending along the second inlet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let with the bulkhead as a starting point to guide the flow of fume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let to the second inlet.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for electrical steel sheet.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레이저 조사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에어나이프에 대향 배치된 구조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od is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structure disposed opposite to the air knife around the laser irradiation area.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강판에 대해 상기 제1 흡입구가 제2 흡입구 위쪽에 배치된 구조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4,
The hood is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ction port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suction port with respect to the steel sheet.
삭제delet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는 레이저 조사 영역에서 7mm 내지 18mm 이격된 구조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suction port is a magnetic domain refinement facility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laser irradiation area by 7 mm to 18 mm.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는 강판 수평면에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레이저 조사영역을 향해 20°내지 40°기울어진 구조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suction port is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structure inclined at 20° to 40° toward the laser irradiation are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steel shee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구는 강판 표면에서 이격되어 강판 표면을 향해 형성된 구조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suction port is a magnetic domain refining facility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structure formed toward the steel sheet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steel sheet surfa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구와 강판 표면 사이의 간격은 5mm 내지 10mm 인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and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5mm to 10mm magnetic domain refinement facility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삭제delet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폭은 제2 흡입구 전체 폭에 대해 25% 내지 40%의 범위로 형성된 구조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magnetic domain refinement facility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in the range of 25% to 40% of the total width of the second inlet.
KR1020150105271A 2015-07-24 2015-07-24 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KR102362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71A KR102362753B1 (en) 2015-07-24 2015-07-24 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71A KR102362753B1 (en) 2015-07-24 2015-07-24 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60A KR20170011860A (en) 2017-02-02
KR102362753B1 true KR102362753B1 (en) 2022-02-11

Family

ID=5815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271A KR102362753B1 (en) 2015-07-24 2015-07-24 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7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865B1 (en) 2016-01-22 2017-05-25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KR101739868B1 (en) 2016-01-22 2017-05-25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KR102161208B1 (en) * 2018-01-05 2020-09-2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Laser processing system and air knife unit
KR102348569B1 (en) * 2019-11-18 2022-01-06 주식회사 포스코 Alien substance captur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thereof
JP2022075490A (en) 2020-11-05 2022-05-18 日本製鉄株式会社 Laser sputter dust collection device and laser sputter dust collection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4117A (en) * 2012-07-26 2014-02-06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Material collection method and material collec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5A (en) * 1995-06-21 1997-01-07 Amada Co Ltd Light moving type laser beam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4117A (en) * 2012-07-26 2014-02-06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Material collection method and material coll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60A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753B1 (en) Dust collector and app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the same
JP3143457U (en) Dust collector for laser processing machine
KR101552562B1 (en) Particle suction apparatus and laser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JP6647829B2 (en) Laser processing equipment
CN107552978A (en) The air draft system and laser cutting machine of a kind of laser cutting machine
JP2017100170A5 (en) Debris collection mechanism, laser processing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US20130122795A1 (en) Welding fume extractor
US10245694B2 (en) Dry machining apparatus
US10071454B2 (en) Coolant and chip separator apparatus
WO2015068649A1 (en) Dust collection device for thermal processing machine
CN207239466U (en) The air draft system and laser cutting machine of a kind of laser cutting machine
JP2017202441A (en) Dust collector
CN116713593A (en) Hierarchical progressive laser welding dust collecting equipment
JP6128101B2 (en) Laser cladding equipment
CN109414786B (en) Machine room
FI85111B (en) PUNKTVENTILATIONSFOERFARANDE OCH PUNKTVENTILATIONSANORDNING FOER ARBETSPUNKT.
KR101840669B1 (en) Contactless particle suction device
JP2008100232A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scattering object in laser machine or plasma machine
CN107378237A (en) A kind of soot processing device of laser cutting
KR202300321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JP2022158656A (en) Optical instrument protection device and laser processing device
JP2000317670A (en) Dust collecting device, dust collecting method, laser beam machining device and laser beam machining method
KR102347680B1 (en) Laser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a particle collection system generated during processing
WO2023002736A1 (en) Laser processing device and laser processing method
CN220372467U (en) Hierarchical progressive laser welding dust collec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