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63B1 -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63B1
KR102362063B1 KR1020200103943A KR20200103943A KR102362063B1 KR 102362063 B1 KR102362063 B1 KR 102362063B1 KR 1020200103943 A KR1020200103943 A KR 1020200103943A KR 20200103943 A KR20200103943 A KR 20200103943A KR 102362063 B1 KR102362063 B1 KR 10236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fixing
pipe
fix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산
Original Assignee
김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산 filed Critical 김동산
Priority to KR102020010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용 승강통로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위해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것으로 장선, 횡재 및 수직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선에 슬라이딩 돌출 가능하게 내삽되는 고정유닛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크기에 맞게 상기 고정유닛을 돌출시킨 후, 고정유닛의 단부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W)에 고정함에 따라 시스템 서포트를 고정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SYSTEM SUPPOR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용 승강통로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위해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것으로 장선, 횡재 및 수직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선에 슬라이딩 돌출 가능하게 내삽되는 고정유닛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크기에 맞게 상기 고정유닛을 돌출시킨 후, 고정유닛의 단부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W)에 고정함에 따라 시스템 서포트를 고정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시공할 때 안전사고 위험이 많지만, 특히 가장 많은 곳중의 하나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이다. 엘리베이터 승강통로는 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할 때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한 후에 엘리베이터 설치까지는 바닥에서 상층부까지 통공을 이루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한 번 실족으로 귀중한 생명을 잃게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부에서 수행되는 제반작업 뿐만 아니라 그 콘크리트벽체작업 등을 안정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89367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작업대"(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공개특허 제10-2010-0123012호 "건축용 비계"(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0140904호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르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종래기술1은 4각상자 형상으로 되어 승강통로에 배치되고, 승강통로에서 크레인에 매달려 승강되며, 승강통로 벽면에 설치한 앙카볼트에 착탈 가능케 고정되는 고정작업부와 고정작업부 상측에 배치되어 형틀 설치용 받침형틀의 체결구에 형성된 걸고리에 결합하는 추락방지걸대와 슬라브 상면에 접촉하는 개폐형 스토퍼가 구비된 설치물 시공작업부와, 설치물 시공작업부 상측에 배치되어 작업대를 크레인고리에 연결하고, 분리하는 준비작업부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장치되고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되어 승강통로 시공이 용이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2는 길이방향을 관통하는 통공(12a)이 형성되는 한편, 통공(12a)으로부터 열십자 방향으로 결합홈(12b)이 형성된 연결판(12)이 길이방향에 하나이상 간격을 두고 용접되어 부착된 제1수직바(10)와; 상기 연결판(12)의 결합홈(12b)에 안내 결합되도록 양단에 절개홈(21)이 형성되고, 절개홈(21)에는 결합돌편(22)이 안내되어 용접 부착된 수평바(20)와; 상기 결합돌편(22)이 안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에 하나 이상 간격을 두고 결합고리(31)가 용접 부착된 제2수직바(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제1수직바의 길이방향에 용접 설치된 연결판의 결합홈 및 제2수직바의 결합고리에 수평바의 양단측에 마련된 쇄기형태의 결합돌편을 꽂아 결합하여 건축공사시 사용하기 위한 임시 가설물인 건축용 비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크기 및 용도, 설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건설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또한 설계의도에 따라 다양한 너비를 갖게 되며, 종래기술들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통로의 너비 크기에 따라 작업대의 크기를 달리 설계하여 설치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즉, 엘리베이터 통로의 넓이, 폭 등의 차이로 인하여 각 현장마다 엘리베이터 치수에 맞게 각 파이프를 절단 및 용접하여 설치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3은 직육면체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을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편(11)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이음부(12)가 일체로 부착되는 수직봉(10)들과, 상기 연결편(11)들에 연결촉(21)들이 끼워져서 상기 수직봉들을 지지시켜 주는 수평봉(20)들과, 상기 연결촉(21)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30)과, 상기 수평봉과 가동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부(40)로 구성하되, 상기 가동봉(30)은 연결편(11)에 고정되는 외관(31)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수평으로 기둥이 되며 그 외축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지지되는 내관(32)과, 상기 내관의 가동길이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밸브(33)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 타설시 내부 거푸집판넬을 지지하여 주면서도 제반작업 수행시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나,
상기 종래기술3은 승강통로 내부 벽면에 단순히 밀착 방식으로 흔들림을 고정하고, 승강통로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은 수직봉의 하부에 해당함에 따라, 승강통로 또는 피트의 깊이가 깊으면 상기 수직봉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멍에, 장선 및 수직재를 포함하되, 상기 장선에 내삽되어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유닛을 더 구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크기(폭)에 따라 상기 고정유닛을 인출시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W)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프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재에는 발판부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에서 손쉽고 안전하게 제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은 고정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W)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시스템 서포트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수직재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W) 사이에 낙하물방지부재가 더 구비되어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멍에;
상기 멍에 상부에 상기 멍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장선;
상기 장선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장선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재;
상기 장선에 내삽되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파이프과, 상기 인출파이프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파이프 및 상기 고정파이프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크기에 맞게 상기 고정유닛의 인출파이프를 상기 장선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돌출시킨 후, 상기 고정파이프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내벽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시스템 서포트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통로용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타설 등의 제반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선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W)에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너비 또는 폭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고정하여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현장 상황에 맞게 파이프 등을 절단 및 용접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고정부재 및 고정파이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W)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시스템 서포트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정파이프와 수직재 사이 공간에 낙하물방지부재를 더 도입함으로서 작업도구 및 작업자가 떨어져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의 서로 다른 방향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의 서로 다른 방향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의 고정유닛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의 밀착유닛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S)는 장선(10), 멍에(20), 수직재(30) 및 고정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제작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부에 위치시킨 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인양고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장선(10)과 멍에(20)를 직교하게 구비하여 하부틀(F)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장선(10)과 멍에(20)는 각각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유닛(40) 및 후술하는 밀착유닛(50)을 위하여 상기 장선(10) 및 멍에(20)는 내부가 비어있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멍에(20)와 장선(10)은 하부틀(F)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멍에(20)가 복수개로 구비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멍에(20)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두 멍에(20) 중간에 또 다른 멍에(20)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멍에(20) 상부에는 상기 멍에(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선(10)이 구비되게 되는데, 이 장선(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멍에(20) 각 단부 쪽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외측장선(11)과, 이 외측장선(11) 내부에 구비되는 내측장선(1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측장선(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외측장선(11) 사이에 2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한 쌍의 멍에(20) 양측에는 각각 인양고리(21)가 볼팅결합을 통하여 구비되게 되는데, 이 인양고리(2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레인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양고리(2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층의 승강통로의 건설이 완료되면,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한 층 위로 올린 후, 다시 고정하여 다음 층의 승강통로를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인양고리(21)에 크레인이 상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장선(10)에는 수직재(30)가 더 구비되게 되어 시스템 서포트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수직재(30) 또한 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재(30)를 상기 장선(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장선(10) 상부에는 별도의 연결부재(14)가 더 구비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한 쌍의 멍에(20)와 외측장선(11)의 교차점(C) 및 상기 한 쌍의 외측장선(11)의 각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14)가 구비되고, 이 각각의 연결부재(14)에 수직재(30)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총 6개의 수직재(30)가 상기 장선(10) 상부에 구비되어 작업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외측장선(11)의 각 중앙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4)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중앙이 아닌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4)는 장선(10) 상부에 볼팅결합되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재(30)에 내삽되는 내삽부(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41)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링(R)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지지부재(60)가 끼움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재(30)의 상부에는 상기 내삽부(143)와 마찬가지로 내격이 작은 내장부(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수직재(30)를 상하방향으로 중첩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직재(30)의 외면에도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결합링(R)이 구비되어 현장 상황에 맞게 지지부재(60)의 위치를 선택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6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동일높이의 결합링(R)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양단부에 상기 결합링(R)이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재(6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재(60)는 서로 이격된 수직재(30) 중 인접하는 수직재(30)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 수직재(30)들 상부에 발판부재(70)가 안착되어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발판부재(70)의 테두리가 상기 수직재(30)의 상면에 높이는 구조로, 상기 수직재(30)들의 내부 공간을 채우게 되며, 이는 도7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새(G)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재(30)들을 대각선 방향으로 더 고정함으로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새(G)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부에서 제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부에 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유닛(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거푸집 등의 제반작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층의 하부층(제반작업이 완료된 층)에 고정되고, 작업 완료 후, 이를 내벽(W)으로부터 다시 분리시킨 후 크레인을 동작하여 상승시켜 다음층에 고정하는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먼저, 상기 고정유닛(40)은 도1 및 도2, 도4[A]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선(10)에 내삽되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파이프(41)과, 상기 인출파이프(41)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파이프(42) 및 상기 고정파이프(42)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5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유닛(40)만 분리하여 살펴보면, 상기 고정유닛(40)은 상기 장선(10)에 인입되는 인출파이프(41)가 구비되고, 이 인출파이프(41) 상부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인출파이프(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파이프(42) 및 상기 고정파이프(42)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출파이프(41)는 각각의 장선(10)에 내삽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장선(1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인출파이프(41) 또한 4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인출파이프(41) 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인출파이프(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파이프(42)가 상부에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파이프(42)와 인출파이프(41)는 볼팅결합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나, 용접 등의 결합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고정파이프(42)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밀착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고정파이프(42)가 이격부(421)를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고, 이 한 쌍의 고정파이프(42)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파이프(41)와 고정파이프(42)를 연결하는 볼트(422) 중 이격부(421)를 관통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421)에는 고정부재(43)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파이프(42)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밀착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43)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구비되는 앙카볼트(A)에 일측이 결합되는 조인너트(431)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 방향으로 이격부(421)를 관통하여 상기 조인너트(431)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볼트(432) 및 상기 고정볼트(432)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43)의 내측을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너트(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인너트(431)의 타측에 고정볼트(432)를 체결할 때 상기 고정볼트(432)를 상기 조인너트(431) 타측에 체결한 후 용접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으며, 상기 고정볼트(432)는 헤드가 없는 무두볼트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433)가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가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고정너트(433) 이전에 고정와셔(435)를 더 끼우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조인너트(431)를 이격부(421)를 관통시켜 상기 앙카볼트(A)에 체결한 후, 상기 고정너트(433)를 조여 상기 고정파이프(42)를 고정와셔(435) 및 고정너트(433)가 가압하여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밀착 고정하게 되고,
제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너트(433)를 풀어 상기 조인너트(431)를 앙카볼트(A)에서 푼 다음에 다음 층 앙카볼트(A)에 재결합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고정유닛(40)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폭에 맞게 상기 고정유닛(40)을 상기 장선(10)으로부터 인출시켜 고정할 수 있어, 설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40)이 인출된 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홀딩하기 위하여 상기 장선(10)에는 장홀(LH)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파이프(41)에는 상기 볼트공(BH)이 형성되며, 이 장홀(LH)과 볼트공(BH)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홀딩볼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 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 중 다른 벽면, 즉 상기 고정유닛(40)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방향의 벽면(내벽(W))에 밀착 고정하는 밀착유닛(50)을 더 구비하고 있다.(도4[B] 및 도6 참조)
상기 밀착유닛(50)은 상기 각각의 멍에(20)에 내삽되는 복수의 연장파이프(51)와, 상기 연장파이프(51)의 단부에 상기 연장파이프(5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밀착파이프(5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유닛(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너비에 맞게 상기 연장파이프(51)를 상기 멍에(20)로부터 인출시켜 상기 밀착파이프(52)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밀착되도록 하고, 앞서 언급한 장선(10)과 고정파이프(42)에 구비되는 장홀(LH) 및 볼트공(BH)이 상기 멍에(20)와 연장파이프(51)에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홀딩볼트를 통하여 고정함에 따라 인출상태, 즉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벽(W)에 밀착파이프(52)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통로로, 그 틈새로 작업도구나 작업자가 떨어져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낙하물방지부재(N)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낙하물방지부재(N)는 그물망으로 제작되며, 설치 위치는 상기 수직파이프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의 내벽(W)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낙하물방지부재(N)의 일단을 상기 장선(10)과 멍에(20) 단부에 고정하고, 상기 낙하물방지부재(N)의 또 다른 단부를 상기 고정파이프(42)와 밀착파이프(52)에 고정하여, 고정유닛(40)과 밀착유닛(50)을 인출시키면 자연스럽게 낙하물방지부재(N)가 펼쳐져 그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현장 상황에 따라 낙하물방지부재(N)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유닛(40) 및 밀착유닛(50)을 통해 시스템 서포트를 승강통로에 고정한 후, 별도로 틈새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시스템 서포트 P :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F : 하부틀 C : 교차점
R : 결합링 A : 앙카볼트
G : 가새 LH : 장홀
BH : 볼트공 N : 낙하물방지부재
10 : 장선 11 : 외측장선
12 : 내측장선 14 : 연결부재
141 : 몸체 143 : 내삽부
20 : 멍에 21 : 인양고리
30 : 수직재 31 : 내장부
40 : 고정유닛 41 : 인출파이프
42 : 고정파이프 421 : 이격부
422 : 볼트 43 : 고정부재
431 : 조인너트 432 : 고정볼트
433 : 고정너트 435 : 고정와셔
50 : 밀착유닛 51 : 연장파이프
52 : 밀착파이프
60 : 지지부재 61 : 끼움부재
70 : 발판부재

Claims (4)

  1.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멍에(20);
    상기 멍에(20) 상부에 상기 멍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장선(10);
    상기 장선(10)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4)에 결합되어, 상기 장선(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재(30);
    상기 장선(10)에 내삽되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파이프(41)와, 상기 인출파이프(41)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파이프(42) 및 상기 고정파이프(42)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유닛(40);
    상기 고정유닛(40)의 고정파이프(42)는, 이격부(421)를 형성하도록 상하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파이프이고, 상기 이격부(421)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43)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재(43)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에 구비되는 앙카볼트에 일측이 결합되는 조인너트(431)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 방향으로 상기 이격부(421)를 관통하여 상기 조인너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볼트(432) 및 상기 고정볼트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을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내벽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너트(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크기에 맞게 상기 고정유닛(40)의 인출파이프(41)를 상기 장선(10)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돌출시킨 후, 상기 고정파이프(42)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내벽(W)에 고정함으로서 시스템 서포트를 엘리베이터 승강통로(P) 내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14) 및 수직재(30)에는 결합링(R)이 구비되고,
    인접하는 동일 높이에 있는 한 쌍의 결합링이 양측에 끼워지는 지지부재(60) 및 상기 지지부재(60) 상부에 안착되는 발판부재(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42)와 상기 수직재(30) 사이에는 낙하물방지부재(N)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KR1020200103943A 2020-08-19 2020-08-19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KR10236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43A KR102362063B1 (ko) 2020-08-19 2020-08-19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43A KR102362063B1 (ko) 2020-08-19 2020-08-19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063B1 true KR102362063B1 (ko) 2022-02-11

Family

ID=8026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943A KR102362063B1 (ko) 2020-08-19 2020-08-19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0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4A (ko) * 1993-06-26 1995-01-03 김태희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방법 및 그 장치
JP3158414U (ja) * 2009-12-15 2010-04-02 株式会社ハマックス 足場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安全ネット支持具
JP2012241473A (ja) * 2011-05-23 2012-12-10 Daifuzi Co Ltd 仮設足場板の支持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仮設足場の設置方法
KR20130063524A (ko) * 2013-05-27 2013-06-14 코리아디엠주식회사 화물선의 파형격벽 공사용 시설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4A (ko) * 1993-06-26 1995-01-03 김태희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방법 및 그 장치
JP3158414U (ja) * 2009-12-15 2010-04-02 株式会社ハマックス 足場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安全ネット支持具
JP2012241473A (ja) * 2011-05-23 2012-12-10 Daifuzi Co Ltd 仮設足場板の支持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仮設足場の設置方法
KR20130063524A (ko) * 2013-05-27 2013-06-14 코리아디엠주식회사 화물선의 파형격벽 공사용 시설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US9506266B2 (en) Concrete deck with lateral force resisting system
KR101980304B1 (ko) 배관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KR200417438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KR102362063B1 (ko)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JP201323809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躯体の構築工法及びrc造構造躯体
KR20090032478A (ko)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KR101772468B1 (ko) 건축물용 pc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모듈식 지지구조체 및 시공방법
CN112593717B (zh) 降板区域预制墙板斜支撑的固定装置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KR20130104923A (ko) 조립식 갱폼
JP2001329700A (ja) ジャッキシステムによる建物解体時に於ける柱仮接合方法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JPH10299290A (ja) 超高筒状構造物の頂部撤去方法および撤去作業用足場
CN102720341B (zh) 框架柱施工操作架及其安装方法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KR102599396B1 (ko) 갱폼의 안전 인양을 위한 자동 해체장치 및 이를 갖는 갱폼 시스템
KR101854159B1 (ko) 외부 비계 결합구조
CN209942195U (zh) 一种高层中空区的施工操作平台
KR200465039Y1 (ko) 높은 기둥 설치작업용 비계
CN214885399U (zh) 一种钢柱可调节操作施工装置
CN213087392U (zh) 一种电梯井提升式施工钢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