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438Y1 -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 Google Patents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438Y1
KR200417438Y1 KR2020060006816U KR20060006816U KR200417438Y1 KR 200417438 Y1 KR200417438 Y1 KR 200417438Y1 KR 2020060006816 U KR2020060006816 U KR 2020060006816U KR 20060006816 U KR20060006816 U KR 20060006816U KR 200417438 Y1 KR200417438 Y1 KR 200417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fixing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용
황기수
Original Assignee
박무용
황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6688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1743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용, 황기수 filed Critical 박무용
Priority to KR2020060006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4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층의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용 H-빔과 앵글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후 조립하여 브라켓 본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형상의 판 가공 및 고정 등이 필요한 종래에 비해 브라켓 본체의 제작이 간단하고, 전체적으로 브라켓의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비용 및 시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브라켓 본체가 H-빔으로 된 나란한 두 상부 빔 부재를 상호간에 연결되는 앵글부재로 고정하여서 된 상부 빔 조립체와, 상기 두 상부 빔 부재를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두 상부 빔 부재 하측에 나란히 고정되는 두 하부 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 상부 빔 부재 상측에는 이들을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나란한 두 고정용 앵글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와 상기 H-형강 기둥 사이에 필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층, 지지 브라켓, 1방향, 2방향, H-빔, 빔 부재, 골조용 기둥, 지지 거더, 스톱 플레이트

Description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Bracket structure for girder and slab constru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 브라켓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2의 선 'A-A'와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보 및 슬래브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이용하여 보 및 슬래브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2실시예에서 와이어 고정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도 9의 선 'F-F'와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보 및 슬래브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통상적인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시에 보 거푸집 및 데크 플레이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H-형강 기둥 10a : 충전 플레이트
12 : 지지거더 110 : 1방향 지지 브라켓
111 : 브라켓 본체 112 : 상부 빔 조립체
113 : 빔 부재 114 : 앵글부재
115 : 하부 빔 부재 118 : 고정용 앵글부재
119 : 필러 120 : 2방향 지지 브라켓
121 : 브라켓 본체 122, 123 : 빔 부재
124 : 내부 빔 부재 125 : 앵글부재
126 : 고정용 앵글부재 127 : 훅 판
130 : 브라켓 고정수단 131 : 스톱 플레이트
132 :커버 플레이트 133 : 현수용 와이어
134 : 체결판 135 : 와이어 고정판
G : 보 S : 슬래브
본 고안은 지하층의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 H-빔과 앵글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후 조립하여 브라켓 본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형상의 판 가공 및 고정 등이 필요한 종래에 비해 브라켓 본체의 제작이 간단하고, 전체적으로 브라켓의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비용 및 시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지하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에 흙막이 공사를 한 다음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토사를 전부 반출한 뒤 맨 아래층부터 구조물을 축조해 올라가는 순타설공법과, 흙막이를 시공하고 1층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그 구조물을 흙막이용 버팀부재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지반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축조해 내려가는 역타설공법이 그것이다.
최근 토지 이용의 극대화 차원에서 지하공사가 점차 고심도화되고 있고, 특히 순타설공법에 의한 시공시에는 흙막이 붕괴의 위험이나 주변 건물들 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 발생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불안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있어서, 근래에는 역타설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 역타설공법은 흙막이벽 및 그 안쪽 지중의 골조용 기둥을 시공한 뒤 슬래 브 및 보 등의 지하구조물을 지상 1층부터 지하층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시공해 내려가는 방식이므로, 지하구조물과 지상구조물의 시공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지상 1층의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복공판이 필요하지 않으며, 무지보 거푸집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역타설공법으로는 지반을 정지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하는 방법(Concrete on Grade)과, 지반을 어느 정도 굴착하고 지반을 고른 뒤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Form on Supporting)과, 거푸집 지지를 위한 동바리를 세우지 않는 대신에 선시공한 상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거푸집을 현수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동바리를 이용하는 공법은 상대밀도가 비교적 높은 지층에 적용하는 공법으로서, 지반을 선 굴착한 후 굴착된 지반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버림 콘크리트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동바리와 보 거푸집 및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한 뒤, 보 및 슬래브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여기서, 보 거푸집 및 슬래브 거푸집은 굴착 지반 위의 버림 콘크리트상에서 동바리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그러나, 동바리의 이용시에는 연약지반상에서의 지지가 불안정하고, 또한 콘크리트 강도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보양되지 않으면 해체가 불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중 동바리의 존치로 인하여 아래층의 굴토공사가 진행될 수 없다.
더구나, 거푸집, 동바리 등 가설자재를 굴토작업장 외부로 반출한 뒤 굴토 후 다시 아래층으로 이동하여 재설치해야 하고, 이를 각 층의 시공시마다 반복해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데 있어서 번잡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뒤 충분한 양생기간을 거쳐 구조체가 제강도를 발현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작업대기 시간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동바리나 거푸집의 소운반 및 재조립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과다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모든 작업이 인력에 의존하므로 노동집약적이어서 기능공의 인력 부족이 심화되는 현실에서 원가 절감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갖는 동바리의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최근 무지보 시공의 장점을 가진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가 개발되어 그 사용이 점차 늘고 있는 바, 도 13은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시에 보 거푸집 및 데크 플레이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가로, 세로 2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보 거푸집(2) 및 데크 플레이트(3)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흙막이벽(도시하지 않음)과 그 안쪽 지중의 골조용 기둥(1)이 시공된 상태에서, 시공될 보를 따라 그 하측으로 보 거푸집(2)을 버림 콘크리트 위 동바리로 지지시켜 설치하고, 보 거푸집(2)과 보 거푸집(2)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3)를 지지시켜 설치한 다음, 보 거푸집(2)과 데크 플레이트(3)에 콘크리트를 동시 타설하여 보와 슬래브(데크 슬래브)를 완성한다.
이때, 역타설공법이 이용되므로, 우선 보 거푸집 및 데크 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층 슬래브 및 보를 선시공하고, 상층 시공시에 이용된 보 거푸집 을 하층 높이에 맞게 하강시켜 재설치한 후 동일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층 슬래브 및 보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 거푸집 하강 및 데크 플레이트 설치, 슬래브 및 보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각 층의 시공과정에서 반복하여, 지하구조물을 지하층을 향해 단계적으로 시공해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가로, 세로 2방향의 보를 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골조용 기둥(1)을 중심으로 총 4방향으로 보 거푸집(2)을 설치해야 하고, 또한 보 거푸집을 지지시키기 위해 기둥 중심 4방향의 보 거푸집 설치공간을 따라 하측으로 버림 콘크리트 타설 및 동바리를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이 기둥 중심 4방향의 보 거푸집을 따라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사용량이 과다할 수밖에 없고, 폐기될 버림 콘크리트의 시공면적이 늘어나면서 폐기물의 발생량 및 처리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골조용 기둥을 중심으로 버림 콘크리트를 보 거푸집의 설치공간을 따라 좁은 간격으로 시공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는 흙막이벽 안쪽 지반 전 영역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동바리 사용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구조물을 축조할 때 지상 1층부터 지하 최저층을 향해 구축해 나가는 무지보 역타설 거푸집 공법(Non Supporting Formwork System for Top Down Construction)으로서,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는 대신, 선시공한 상층 콘크리트 슬래브에 거푸집을 현수시키는 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이 제시된 바 있다.
이 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은 선시공한 상층의 슬래브에 현수재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현수시킨 상태에서 이 거푸집을 이용하여 하층의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각 층의 지하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이 상층 슬래브의 시공시에 이용된 거푸집을 상층 슬래브 위의 유압 승강기를 이용하여 하강시키는 단계, 이 하강된 거푸집을 이용해 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를 각 층마다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현수식 공법은, 슬래브 거푸집 및 보 거푸집 하부에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을 상층의 슬래브에 매달아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장 확보 및 작업자의 안전 보장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고, 거푸집 작업과 상관없이 지하 터파기를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충분한 양생기간 확보로 우수한 콘크리트 품질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공기 단축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현수식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층 슬래브에 현수된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달아내리는 지하 골조공사, 하부에서의 굴토공사, 그리고 지상부 구조물 축조공사의 3단계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무지보 공법으로 개발된 상기 현수식 공법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현수재 지지방식의 공법에서는 유압 승강기 및 현수재가 모두 상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시공이 이루어진다.
즉, 하층 슬래브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이 거푸집 및 현수재를 통해 전 적으로 상층 슬래브에 지지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푸집에 타설되는 하층 콘크리트의 하중이 전적으로 상층 슬래브에 작용하면서 상층 슬래브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시공이 필연적으로 상층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후라야 가능하다.
결국, 선시공 슬래브의 완전 양생을 위하여 시간이 필요한 만큼 공기 지연의 문제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72315호에는 시공층의 보 거푸집 및 데크 플레이트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 그 콘크리트 하중을 포함하여 보 거푸집, 데크 플레이트,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철골보인 지지거더의 하중을 골조용 기둥 상에서 지지하는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을 이용한 역타설 시스템에서는 각 골조용 기둥의 해당 층 높이에 지지 브라켓이 장착되어, 이 지지 브라켓 위에 지지거더가 지지되고, 이 지지거더 위에 보 거푸집이 지지되며, 보 거푸집에 데크 플레이트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기둥 상에 쉽게 장착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해당 층에 대해 보 및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완료되면, 각 지지 브라켓들을 기둥상의 아래층 높이로 내려 재설치한 뒤 동일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 브라켓을 이용한 방법은 종래와 같이 선시공한 상층 슬래브에 현수재를 이용하여 현수 및 지지시키는 방법이 아닌 골조용 기둥에 지지시키는 방법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현수재 지지방식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바의 상기 지지 브라켓은 구성 및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적인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구성의 복잡성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지지 브라켓은 도 13에 나타낸 가로, 세로 2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시에는 각 골조용 기둥을 중심으로 총 4방향으로 지지거더 및 보 거푸집을 지지해야 하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각 지지 브라켓의 구성이 과다하여 제작비용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못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823호에서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부품수 축소와 제작비 절감, 경량화, 설치 및 해체작업의 간소화 등 여러 장점을 가지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1방향 지지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개시된 1방향 지지 브라켓은 가로, 세로 2방향이 아닌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시에 사용할 수 있는 지지 브라켓으로서, 1방향 연속 배치되는 지지거더들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지지거더를 지지하게 되는 두 브라켓 본체와, 상기 두 브라켓 본체를 H-형강 기둥의 정해진 높이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으로서, 특히 상기 각 브라켓 본체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거더를 1방향 지지하게 되는 상부판과,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각 기둥쪽 부분에는 기둥 일측을 둘러싸도록 양 측방에서 두 체결부가 나란히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두 브라켓 본체가 대응되는 양측 체결부간을 연결 및 고정하는 연결판을 매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1방향 지지 브라켓에서 브라켓 고정수단은 H-형강 기둥의 양쪽 플랜지면을 압착하면서 조립되어 조립된 위치에서 각각 해당 브라켓 본체의 하부판을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스톱 풀러와, 상기 H-형강 기둥의 각 플랜지면에 용접되어 각각 해당 스톱 풀러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는 두 스톱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톱 풀러가 양단부에 관통 삽입된 장볼트 및 이 장볼트의 양단부에 체결된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1방향 지지 브라켓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종래의 1방향 지지 브라켓에서는 상부판, 하부판, 수직판을 형상에 맞게 가공한 후 이들 각 판을 일체로 고정 및 조립하여 하나의 브라켓 본체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특정 형상의 각 판 가공 및 고정 등 지지 브라켓의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불리한 점이 있다.
2) 종래의 1방향 지지 브라켓에서는 지지 브라켓의 지지를 위하여 스톱 플레이트 외에 스톱 풀러 등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고 정 절차가 복잡하다.
3)종래의 1방향 지지 브라켓은 지지거더를 지지하는 상부면의 지지폭, 즉 상부판의 단변 폭이 좁기 때문에, 보 및 슬래브의 단차 적용이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상용 H-빔과 앵글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후 조립하여 브라켓 본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형상의 판 가공 및 고정 등이 필요한 종래에 비해 브라켓 본체의 제작이 간단하고, 전체적으로 브라켓의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비용 및 시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지거더를 지지하게 되는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를 골조용 H-형강 기둥 상에 고정 지지하는 브라켓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1방향 보 및 슬래브의 시공을 위해서 1방향 배치되는 지지거더를 지지하도록 된 1방향 지지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가 H-빔으로 된 나란한 두 상부 빔 부재를 상호간에 연결되는 앵글부재로 고정하여서 된 상부 빔 조립체와, 상기 두 상부 빔 부재를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두 상부 빔 부재 하측에 나란히 고정되는 두 하부 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 상부 빔 부재 상측에는 이들을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나란한 두 고정용 앵글부재가 고정되어서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와 상기 H-형강 기둥 사이에 필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 위에 포개진 상태로 플랜지에 볼팅 조립되는 스톱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톱 플레이트의 양 날개부가 상기 하부 빔 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상측 위치에서 양측 플랜지의 각 내측면에 볼팅 고정되는 체결판 및 각 플랜지의 내측에서 두 체결판 사이에 각각 용접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현수용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수용 와이어는 상기 H-형강 기둥에 설치된 충전 플레이트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은, 지지거더를 지지하게 되는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를 골조용 H-형강 기둥 상에 고정 지지하는 브라켓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2방향 보 및 슬래브의 시공을 위해서 2방향 배치되는 지지거더를 지지하도록 된 2방향 지지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가 H-빔으로 된 4개의 빔 부재를 사각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단부간에 연결 고정하여서 된 사각 틀 구조체와,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사각 틀 구조체 내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두 내부 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 내부 빔 부재 상측에는 이들을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나란한 두 고정용 앵글부재가 고정되어서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와 상기 H-형강 기둥 사이에 필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 위에 포개진 상태로 플랜지에 볼팅 조립되는 스톱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톱 플레이트의 양 날개부가 상기 하부 빔 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상측 위치에서 양측 플랜지의 각 내측면에 볼팅 고정되는 체결판 및 각 플랜지의 내측에서 두 체결판 사이에 각각 용접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두 내부 빔 부재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훅 판과,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훅 판 사이에 연결되는 현수용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현수용 와이어는 상기 H-형강 기둥에 설치된 충전 플레이트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훅 판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 브라켓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면부호 110은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을, 도면부호 120은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방향 배치되는 지지거더의 교차부위에는 2방향 지지 브라켓(120)이 설치되고, 1방향 배치되는 지지거더의 연결부위에는 1방향 지지 브라켓(110)이 설치되는 바, 2방향 지지 브라켓(120)은 가로, 세로 2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것이고, 1방향 지지 브라켓(110)은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2의 선 'A-A'와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110)의 제1실시예는 골조용 기둥으로 시공된 H-형강 기둥(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브라켓 본체(111)가 H-빔 및 'L'자 단면 부재인 앵글(angle)부재를 조립하여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1방향 지지 브라켓(110)의 제1실시예에서 브라켓 본체(111)를 H-형강 기둥(10) 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브라켓 고정수단(130) 역시 스톱 플레이트(131)와 커버 플레이트(132)로 구성되어 종래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111)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이는 H-빔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빔 부재(113) 2개를 나란하게 평행 배치한 후 상기 두 빔 부재(이하, '상부 빔 부재'라 함)를 앵글부재(114)로 연결하여 상호 일체 고정한 상부 빔 조립체(112)와, 역시 H-빔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상기 상부 빔 부재(113) 하측에 횡방향 배치되어 볼팅 조립되는 나란한 2개의 하부 빔 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앵글부재(114)는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113)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 앵글부재(114)는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113)의 양단부쪽에서 상, 하 플랜지의 내측으로 각각 용접 설치된 보강 플레이트(116a)에 양단부가 볼팅되어서 조립된다.
특히,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112)의 각 단부쪽에서, 두 상부 빔 부재(112)의 양측 보강 플레이트(116a) 사이에 두 개의 앵글부재(114)를 'X'자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설치하며, 상기 두 개의 앵글부재(114)가 교차하여 만나는 위치에도 두 앵글부재(114) 사이를 볼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114)가 볼팅되는 양단부쪽의 상기 보강 플레이트(116a) 외에, 상기 각 상부 빔 부재(112)의 중간 위치에도 별도의 보강 플레이트(116b)를 추가로 용접 설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간 위치에 좌우 양쪽으로 2개의 보강 플레이트(116b)가 추가로 설치됨을 볼 수 있으며, 나란한 두 하부 빔 부재(115)에도 각 하부 빔 부재 (115)의 상, 하 플랜지 내측으로 보강 플레이트(117)가 설치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형강 기둥(10)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 위에 각각 스톱 플레이트(131)와 커버 플레이트(132)를 차례로 밀착되도록 포개어 겹쳐 놓은 뒤,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 스톱 플레이트(131), 커버 플레이트(132)에 다수개의 볼트를 관통 체결하여, 각 플랜지 바깥면 위에 내측의 스톱 플레이트(131)와 외측의 커버 플레이트(132)를 함께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H-형강 기둥(10)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에 스톱 플레이트(131)가 고정 설치되고 나면, 양측 플랜지 바깥면의 스톱 플레이트(131)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 양 측방으로 돌출된 스톱 플레이트(131)의 양 날개부 위에 브라켓 본체(111)가 얹혀져 지지되게 된다.
보다 명확히는, 상기 스톱 플레이트(131)의 양 날개부 위에 브라켓 본체(111)의 하부 빔 부재(115)가 횡방향으로 얹혀져서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11)를 구성하는 상부 빔 부재(112)의 플랜지 위에는 H-형강 기둥(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고정용 앵글부재(118)가 볼팅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118)와 H-형강 기둥(10) 사이에는 필러(119)가 삽입 개재된다.
여기서, 고정용 앵글부재(118)와 필러(119)는 브라켓 본체(111)가 스톱 플레이트(131) 위에서 H-형강 기둥(10)을 중심으로 측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브라켓 본체(111)의 위치를 잡아주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118)의 볼트(상부 빔 부재와 고정용 앵글부재 사이를 체결)가 체결되는 홀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보(G) 및 슬래브(S)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11) 위에 지지거더(12)가 지지되고, 이 지지거더(12) 위에 보 거푸집(13)이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보 거푸집(13) 위에 딥 데크(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딥 데크(14)의 마구리측에는 엔드 클로우저(15)가 설치되어 마감되며, 이후 딥 데크(14) 및 보 거푸집(13)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게 된다.
한편,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이용하여 보 및 슬래브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도시한 바와 같이, 1방향 지지 브라켓(110)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브라켓 고정수단(130)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스톱 플레이트를 이용한 방식(하부 고정 방식)이 아닌 현수용 와이어(133)를 이용한 상부 고정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제2실시예서 브라켓 본체(111) 및 고정용 앵글부재(118), 필러(119) 등의 구조 및 역할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이들의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가 가능하고 또한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상부 빔 부재(112) 위에 설치된 고정용 앵글부재(118)의 길이상 중심위치에 와이어 고정홀(118a)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홀(118a)에 현수용 와이어(133)의 하단을 연결한다.
도 3b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것이나, 제1실시예의 스톱 플레이트(도 2에서 도면부호 131임) 대신 현수용 와이어(133)를 사용하는 것이 제2실시예(도 5a, 도 5b)이므로, 제2실시예의 와이어 고정홀(118a)이 고정용 앵글부재(118)에 형성되는 위치의 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3b에 와이어 고정홀(118a)을 함께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물론, 브라켓 본체(111)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의 현수용 와이어(133) 대신, 스톱 플레이트(도 2에서 도면부호 131임)를 사용하는 제1실시예의 경우, 도 3b에서 고정용 앵글부재(118)의 와이어 고정홀(118a)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즉, 도 3b에서 제2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와이어 고정홀(118a)을 도시한 것이며, 도 2의 제1실시예와 같이 스톱 플레이트를 사용해 지지시킬 경우에도 와이어 고정홀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가 사용될 수는 있으나, 이때 와이어 고정홀은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118)의 와이어 고정홀(118a)에 1개 또는 복수개의 현수용 와이어(133)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홀(118a)을, 중심위치 1개가 아닌, 고정용 앵글부재(118)의 길이상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한 후 각 와이어 고정홀에 현수용 와이어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현수용 와이어(133)는 H-형강 기둥(10)에서 지지 브라켓(110)을 현수 및 지지하는 와이어로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형강 기둥(10)으로부터 브라켓 본체(111)의 좌우 양쪽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바, 상단은 H-형강 기둥(10)에서도 시공되는 보(G)의 상측 위치에 해당되는 기둥 위치에 고정되고, 하단은 브라켓 본체(111)에 설치된 고정용 앵글부재(118)에 고정된다.
상기 현수용 와이어(133)의 상단을 H-형강 기둥(10)에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하여 H-형강 기둥(10)의 시공하는 보(G) 상측 위치에 와이어 고정판(135)이 설치되는데, 도 6은 상기 와이어 고정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형강 기둥(10)의 좌우 양측 플랜지의 내측면에 체결판(134)이 볼팅되어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된 좌우 양측의 체결판(134) 사이에는 H-형강 기둥(10)의 웹(web) 부분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와이어 고정판(135)이 용접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고정판(135)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홀(135a)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홀(135a)에는 현수용 와이어(133)의 상단이 연결 고정된다.
결국, 상기 현수용 와이어(133)는 상단이 H-형강 기둥(10)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판(135)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지 브라켓(110)의 고정용 앵글부재(118)에 연결되어 지지 브라켓을 H-형강 기둥(10)에 현수 및 지지하게 된다.
이때, H-형강 기둥9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연결되는 현수용 와이어 (133)는, 상측의 와이어 고정판(135)으로부터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 사이에 기둥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통상 설치되는 충전 플레이트(10a)의 내측을 통과하여 하측의 고정용 앵글부재(118)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고정판(135)에 3개의 현수용 와이어(133)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가운데 1개의 와이어(133)만을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118)의 중심위치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홀(118a)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따른 1방향 지지 브라켓에 따르면, 상용 H-빔과 앵글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후 조립하여 브라켓 본체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특정 형상의 판 가공 및 고정 등이 필요한 종래의 브라켓 본체에 비해 구성 및 제작이 간단하고, 따라서 제작비용 및 시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지지 브라켓의 지지를 위하여 스톱 플레이트 외에 스톱 풀러, 장볼트 등 다수의 부품들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의 구조에서는 스톱 풀러 및 장볼트 등이 삭제되므로 고정 절차가 단순해진다.
또한 브라켓 본체를 구성하는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의 간격을 넓게 조정하는 경우, 지지폭(단변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바, 보 및 슬래브의 단차 적용에 유리해진다.
또한 브라켓 지지 방식을 와이어를 이용한 상부 지지 방식으로 할 경우, 브라켓 해체 작업시 스톱 플레이트의 고정 볼트 해체를 위한 장비 투입이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브라켓 하측에서 실시되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었던 스톱 플레이트의 해체 작업이 불필요하여 안전한 브라켓 해체 작업이 가능해지며(스톱 플레이트의 해체 순간에 브라켓을 지지하는 부분이 제거되는 것이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음), 상기 현수용 와이어를 해체 후 체인 블록 및 윈치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하강 작업을 할 수 있는 바, 브라켓 하강 작업을 상측에서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용이해진다.
한편, 본 고안은 가로, 세로 2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성의 2방향 지지 브라켓을 개시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도 9의 선 'F-F'와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보(G) 및 슬래브(S)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9는 H-형강 기둥(1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취한 단면도로, 지지 브라켓의 평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120)의 제1실시예는 골조용 기둥으로 시공된 H-형강 기둥(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브라켓 본체(121)가 H-빔 및 앵글부재를 조립하여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2방향 지지 브라켓(120)의 제1실시예에서 브라켓 본체(121)를 H-형강 기둥(10) 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브라켓 고정수단(130) 역시 스톱 플레이트(131)와 커버 플레이트(132)로 구성되어 종래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121)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이는 H-빔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빔 부재(122,123) 4개를 사각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단부간에 연결 고정하여 사각 틀 구조체를 제작하되, 상기 사각 틀 구조체 내측으로는 빔 부재(124) 2개를 연결 설치하여 제작한다.
상기 내측으로 설치되는 빔 부재(124)는 H-형강 기둥(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나란히 설치되며, 이 역시 H-빔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121)를 구성하는 빔 부재들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외곽의 사각 배치되는 H-빔 부재(122,123)에서, 도 9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빔 부재(122)의 웹 부분(122a)과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빔 부재(123)의 체결판(125a)이 겹침 상태에서 볼팅되어 연결된다.
즉,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빔 부재(122)는 웹 부분(122a)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구조가 되도록 가공되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빔 부재(123)의 대응위치에는 플랜지 내측으로 체결판(125a)이 용접 설치되어, 상기 돌출된 웹 부분(122a)과 상기 체결판(125a)이 겹쳐진 상태로 볼팅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빔 부재(123)와 사각 틀 구조 내측의 빔 부재(124) 간에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방향 빔 부재(123)의 플랜지 내측에 체결판(125b)을 측방 돌출되게 용접 설치한 후, 상기 체결판(125b)을 사각 틀 구조 내측의 빔 부재 웹 부분(124a)에 겹침 상태에서 볼팅하여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H-빔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 틀 구조 내측의 두 빔 부재(이하, '내부 빔 부재'라 함)(124)와, 이에 나란한 사각 틀 구조의 빔 부재, 즉 상기 세로방향 빔 부재(122) 사이에는 경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앵글부재(125)를 용접 설치한다.
또한 상기 두 내부 빔 부재(124)의 상면에는 H-형강 기둥(10)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횡방향 배치되도록 고정용 앵글부재(126)를 볼팅하여 설치하며, 상기 두 내부 빔 부재(124)의 상면에서 상기 두 고정용 앵글부재(126) 사이의 중심위치에는 훅 판(127)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126)의 볼트(내부 빔 부재와 고정용 앵글부재 사이를 체결)가 체결되는 홀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훅 판(127)은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브라켓 본체(121)를 H-형강 기둥(10) 상측에 현수용 와이어(133)로 연결하여 지지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제1실시예와 같이 스톱 플레이트(131)를 포함한 브라켓 고정수단(130)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훅 판(127)은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 본체(121)는 H-형강 기둥(10) 상에 설치된 스톱 플레이트(131) 상측으로 지지시켜 설치하며, 이때 내부 빔 부재(124)가 스톱 플레이트(131)의 양 날개부 위에 횡방향으로 걸쳐지도록 하여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118)와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 사이에는 1방향 지지 브라켓(110)과 마찬가지로 필러(119)가 삽입 개재되는 바, 이에 의해 브라켓 본체(121)가 기둥 상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 본체(121)가 스톱 플레이트(131)를 포함하는 브라켓 고정수단(1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본체(121) 위에는 종래의 지지 브라켓과 마찬가지로 2방향 배치된 지지거더(12)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지지거더(12) 위에 보 거푸집(13)이 설치된 후 상기 보 거푸집(13)을 매개로 딥 데크(14)가 지지 및 설치되며, 이후 콘크리트 시공하여 2방향 보(G) 및 데크 슬래브(S)를 완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12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의 제2실시에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브라켓 고정수단(130)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스톱 플레이트(131)를 이용한 방식(하부 고정 방식)이 아닌 현수용 와이어(133)를 이용한 상부 고정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제2실시예서 브라켓 본체(121)의 구조 및 역할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이들의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가 가능하고 또한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제2실시예의 브라켓 고정수단(130)은 1방향 지지 브라켓(110)의 제2실시예와 비교할 때 현수용 와이어(133)의 하단이 상기 내부 빔 부재(124) 위에 설치된 훅 판(127)의 와이어 고정홀(127a)에 연결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 다.
상기 현수용 와이어(133)는 H-형강 기둥(10)에서 지지 브라켓(120)을 현수 및 지지하는 와이어로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H-형강 기둥(10)으로부터 브라켓 본체(121)의 좌우 양쪽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바, 상단은 H-형강 기둥(10)에서도 시공되는 보(G)의 상측 위치에 해당되는 기둥 위치에 고정되고, 하단은 브라켓 본체(121)에 설치된 훅 판(127)의 와이어 고정홀(127a)에 고정된다.
상기 현수용 와이어(133)의 상단을 H-형강 기둥(10)에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하여 H-형강 기둥(10)의 보 상측 위치에는 와이어 고정판(135)이 설치되는데, 상기 H-형강 기둥(10)의 좌우 양측 플랜지의 내측면에 체결판(134)이 볼팅되어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된 좌우 양측의 체결판(134) 사이에는 H-형강 기둥(10)의 웹 부분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와이어 고정판(135)이 용접 설치된다(도 6과 도 7 참조).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고정판(135)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홀(135a)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홀(135a)에 현수용 와이어(133)의 상단이 연결 고정된다.
결국, 상기 현수용 와이어(133)는 상단이 H-형강 기둥(10)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판(135)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지 브라켓(120)의 브라켓 본체(121)에 설치된 훅 판(127)에 연결되어 지지 브라켓(120)을 H-형강 기둥(10)에 현수 및 지지하게 된다.
이때, H-형강 기둥(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연결되는 현수용 와이어(133)는 상측의 와이어 고정판(135)으로부터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 사이에 통 상 설치되는 충전 플레이트(10a)의 내측을 통과하여 하측의 훅 판(127)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훅 판(127)을 1개 도시하고 있으나, 양측 옆에 훅 판을 추가로 설치하는 등 복수개의 훅 판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현수용 와이어(133)도 1개 또는 복수개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따른 2방향 지지 브라켓에 따르면, 상용 H-빔과 앵글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후 조립하여 브라켓 본체의 제작이 가능하고, 특히 종래의 2방향 지지 브라켓에 비해 구성 및 제작이 간단하며, 따라서 제작비용 및 시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2방향 지지 브라켓은 브라켓 고정수단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브라켓 지지 방식을 와이어를 이용한 상부 지지 방식으로 할 경우 브라켓 해체 작업시 스톱 플레이트의 고정 볼트 해체를 위한 장비 투입이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와이어를 이용한 상부 지지 방식의 경우, 브라켓 하측에서 실시되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었던 스톱 플레이트의 해체 작업이 불필요하여 안전한 브라켓 해체 작업이 가능해지며(스톱 플레이트의 해체 순간에 브라켓을 지지하는 부분이 제거되는 것이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음), 상기 현수용 와이어를 해체 후 체인 블록 및 윈치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하강 작업을 할 수 있는 바, 브라켓 하강 작업을 상측에서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용 H-빔과 앵글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가공한 후 조립하여 브라켓 본체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특정 형상의 판 가공 및 고정 등이 필요한 종래에 비해 브라켓 본체의 제작이 간단하고, 전체적으로 브라켓의 구성이 간단하며, 따라서 제작비용 및 시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지지 브라켓의 지지를 위하여 스톱 플레이트 외에 스톱 풀러, 장볼트 등 다수의 부품들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의 구조에서는 스톱 풀러 및 장볼트 등이 삭제되므로 고정 절차가 단순해진다.
또한 브라켓 본체를 구성하는 평행한 두 상부 빔 부재의 간격을 넓게 조정하는 경우, 지지폭(단변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바, 보 및 슬래브의 단차 적용에 유리해진다.
또한 브라켓 지지 방식을 와이어를 이용한 상부 지지 방식으로 할 경우, 브라켓 해체 작업시 스톱 플레이트의 고정 볼트 해체를 위한 장비 투입이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브라켓 하측에서 실시되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었던 스톱 플레이트의 해체 작업이 불필요하여 안전한 브라켓 해체 작업이 가능해지며(스톱 플레이트의 해체 순간에 브라켓을 지지하는 부분이 제거되는 것이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음), 상기 현수용 와이어를 해체 후 체인 블록 및 윈치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하강 작업을 할 수 있는 바, 브라켓 하강 작업을 상측에서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시 공성이 용이해진다.

Claims (8)

  1. 지지거더를 지지하게 되는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를 골조용 H-형강 기둥 상에 고정 지지하는 브라켓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1방향 보 및 슬래브의 시공을 위해서 1방향 배치되는 지지거더를 지지하도록 된 1방향 지지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가 H-빔으로 된 나란한 두 상부 빔 부재를 상호간에 연결되는 앵글부재로 고정하여서 된 상부 빔 조립체와, 상기 두 상부 빔 부재를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두 상부 빔 부재 하측에 나란히 고정되는 두 하부 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 상부 빔 부재 상측에는 이들을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나란한 두 고정용 앵글부재가 고정되어서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와 상기 H-형강 기둥 사이에 필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 위에 포개진 상태로 플랜지에 볼팅 조립되는 스톱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톱 플레이트의 양 날개부가 상기 하부 빔 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상측 위치에서 양측 플랜지의 각 내측면에 볼팅 고정되는 체결판 및 각 플랜지의 내측에서 두 체결판 사이에 각각 용접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현수용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현수용 와이어는 상기 H-형강 기둥에 설치된 충전 플레이트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5. 지지거더를 지지하게 되는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를 골조용 H-형강 기둥 상에 고정 지지하는 브라켓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2방향 보 및 슬래브의 시공을 위해서 2방향 배치되는 지지거더를 지지하도록 된 2방향 지지 브라켓에 있 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가 H-빔으로 된 4개의 빔 부재를 사각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단부간에 연결 고정하여서 된 사각 틀 구조체와,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사각 틀 구조체 내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두 내부 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 내부 빔 부재 상측에는 이들을 횡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될 수 있게 나란한 두 고정용 앵글부재가 고정되어서 상기 고정용 앵글부재와 상기 H-형강 기둥 사이에 필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양측 플랜지 바깥면 위에 포개진 상태로 플랜지에 볼팅 조립되는 스톱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톱 플레이트의 양 날개부가 상기 하부 빔 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은 상기 H-형강 기둥의 상측 위치에서 양측 플랜지의 각 내측면에 볼팅 고정되는 체결판 및 각 플랜지의 내측에서 두 체결판 사이에 각 각 용접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두 내부 빔 부재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훅 판과, 상기 H-형강 기둥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훅 판 사이에 연결되는 현수용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현수용 와이어는 상기 H-형강 기둥에 설치된 충전 플레이트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판과 상기 훅 판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2020060006816U 2006-03-14 2006-03-14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200417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16U KR200417438Y1 (ko) 2006-03-14 2006-03-14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16U KR200417438Y1 (ko) 2006-03-14 2006-03-14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438Y1 true KR200417438Y1 (ko) 2006-05-26

Family

ID=4176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16U KR200417438Y1 (ko) 2006-03-14 2006-03-14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438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31B1 (ko) * 2007-03-30 2008-06-13 박무용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100856723B1 (ko) * 2007-03-28 2008-09-04 박무용 캔틸레버형 지지거더를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방법
KR200450609Y1 (ko) 2008-01-18 2010-10-15 (주)한국건설공법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KR200454162Y1 (ko) * 2008-08-26 2011-06-20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가시설 파일용 두부연결장치
KR101335796B1 (ko) 2012-05-03 2013-12-0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현수식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지보 역타설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WO2014073838A1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14242B1 (ko) * 2012-11-07 2014-07-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78130B1 (ko) * 2013-01-28 2014-12-31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간 교차시 수직부재에 설치하는 조립식 브라켓
CN114411569A (zh) * 2022-03-04 2022-04-29 井冈山大学 一种土木工程桥梁施工支撑托架
CN114482608A (zh) * 2022-02-18 2022-05-13 长沙市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吊模施工工艺的板底加固结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23B1 (ko) * 2007-03-28 2008-09-04 박무용 캔틸레버형 지지거더를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방법
KR100837831B1 (ko) * 2007-03-30 2008-06-13 박무용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200450609Y1 (ko) 2008-01-18 2010-10-15 (주)한국건설공법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KR200454162Y1 (ko) * 2008-08-26 2011-06-20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가시설 파일용 두부연결장치
KR101335796B1 (ko) 2012-05-03 2013-12-0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현수식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지보 역타설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WO2014073838A1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414242B1 (ko) * 2012-11-07 2014-07-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CN104812973A (zh) * 2012-11-07 2015-07-29 朝鲜大学校产学协力团 H型钢柱补强装置及使用其的h型钢柱补强方法
KR101478130B1 (ko) * 2013-01-28 2014-12-31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간 교차시 수직부재에 설치하는 조립식 브라켓
CN114482608A (zh) * 2022-02-18 2022-05-13 长沙市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吊模施工工艺的板底加固结构
CN114411569A (zh) * 2022-03-04 2022-04-29 井冈山大学 一种土木工程桥梁施工支撑托架
CN114411569B (zh) * 2022-03-04 2024-04-26 井冈山大学 一种土木工程桥梁施工支撑托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438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100694503B1 (ko)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8648B1 (ko)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4427258B (zh) 一种高空大跨度悬挑混凝土构件免拆施工体系及施工方法
KR100694493B1 (ko)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KR102429105B1 (ko) 응력흐름을 보강한 코핑부를 갖는 교각
KR20100100193A (ko) Rc역타공법에서의 rc보 시공용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rc역타공법
KR200398231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KR100605514B1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하향 골조 타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하향 골조 타설 방법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KR200372315Y1 (ko)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JP2006063718A (ja) 波形鋼板ウエブを用いた張出し架設橋梁の施工方法
CN216616865U (zh) 一种超高层悬挑结构高效施工体系
JP2020016140A (ja) 水域での架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335796B1 (ko) 지하구조물의 현수식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지보 역타설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CN106032705A (zh) 一种钢筋混凝土楼盖的一体式浇筑成型施工方法
KR200402363Y1 (ko) 기둥 콘크리트 타설 구조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JP3644606B2 (ja) 逆打工法における型枠支保工の設置方法
CN113338537A (zh) 一种超高、大截面的混凝土框架柱的施工方法
KR100679986B1 (ko) 무량판 데크 설치용 현수식 지지 거더의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역타설 공법
KR100757710B1 (ko) 역타설 시공되는 지하구조물의 다월 철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83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401

Effective date: 2016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