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95B1 -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395B1
KR102360395B1 KR1020200072740A KR20200072740A KR102360395B1 KR 102360395 B1 KR102360395 B1 KR 102360395B1 KR 1020200072740 A KR1020200072740 A KR 1020200072740A KR 20200072740 A KR20200072740 A KR 20200072740A KR 102360395 B1 KR102360395 B1 KR 10236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oving
unit
vehic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474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고, 후방 장애물 충돌시 전방의 회피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장애물 충돌 해지시 후방의 대기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차량의 주행 구동부를 정지시키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주행 구동부를 주행 가능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차량의 후륜측 바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나 장애물 감지시 차량의 후진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전 미숙이나 후방 시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차량 파손과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토목, 건설 분야 등 산업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화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지게차를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부주의와 후방 시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장애물이나 주변의 작업자와 충돌할 염려가 있었고, 이로 인해 차량이 파손되거나 인명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5-0000317호(공개일: 2015년 01월 2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지게차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는 사람이나 장애물 감지시 차량의 후진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전 미숙이나 후방 시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차량 파손과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는 차량에 설치되고, 후방 장애물 충돌시 전방의 회피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장애물 충돌 해지시 후방의 대기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차량의 주행 구동부를 정지시키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주행 구동부를 주행 가능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차량의 후륜측 바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프레임과,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감지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감지측 슬라이드바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단에 상기 제동부가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감지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동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동측 탄성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측 슬라이드바의 전단에는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는 감지측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시 상기 감지측 스토퍼의 위치 또는 상기 감지측 스토퍼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주행 구동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바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제동측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보조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보조측 슬라이드바 및,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보조측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측 슬라이드바의 전단에는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는 보조측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부의 전단에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시 상기 바퀴에 밀착되도록 마찰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에 의하면, 사람이나 장애물 감지시 차량의 후진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미숙이나 후방 시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차량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파손이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에서 이동부가 회피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에서 이동부가 회피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는 차량(10)의 차체(11)에 설치되는 이동부(100)와, 이동부(10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어부(200) 및, 차량(10)의 바퀴(12)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동부재(300)를 포함한다.
이동부(100)는 차량(10)에 설치되고, 후방에 장애물(1) 충돌시 전방의 회피위치(B)로 이동되며, 장애물(1) 충돌 해지시 후방의 대기위치(A)로 탄성 복귀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00)는 이동 프레임(110)과,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와, 감지측 슬라이드바(130)와, 연결바(140) 및, 감지측 탄성부재(132)를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110)은 차량(10)의 후방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 프레임(110)은 차량(10)의 후방에 일정 거리로 이격 위치되며, 이동 프레임(110)의 형상은 차량(10)이 후진시 후방의 장애물(1)에 접할 수 있는 형태라면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프레임(110)은 차량(10)의 후방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일부분이 개방된 사각 틀 형상 등을 가질 수 있고,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작업자 등과의 충돌을 고려해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작업자 등과의 충돌을 고려하여 쿠션부(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쿠션부는 작업자의 인체와 접하는 높이에 일정 폭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감지측 가이드부재(120)는 차량(10)의 차체(1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에는 후술 될 감지측 슬라이드바(13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감지측 가이드부재(120)는 차체(11)의 상부(루프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차체(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감지측 슬라이드바(130)는 이동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감지측 슬라이드바(130)는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의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측 슬라이드바(130)의 전단에는 감지측 스토퍼(131)가 구비되며, 감지측 스토퍼(131)는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동부(100)가 대기위치(A)로 이동시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
연결바(140)는 이동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단에 후술 될 제동부(300)가 결합되며, 연결바(140)의 전방에 차량(10)의 후륜측 바퀴(12)가 위치될 수 있다.
감지측 탄성부재(132)는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와 이동 프레임(110)의 사이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바(140)는 이동 프레임(1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바(140)에는 제동측 탄성부재(142)가 결합될 수 있다. 제동측 탄성부재(142)는 후술 될 제동부(300)와 이동 프레임(110)의 사이에 위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바(140)의 후단에는 제동측 스토퍼(14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동측 스토퍼(141)는 이동 프레임(1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이동부(100)가 대기위치로 이동시 이동 프레임(110)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어 연결바(140)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어부(200)는 감지측 가이드부재(120)의 전방에 위치되며, 이동부(100)의 이동 프레임(110)이 회피위치(B)로 이동시 감지측 스토퍼(131)의 위치 또는 감지측 스토퍼(131)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차량(10)에 설치된 주행 구동부(엔젠, 모터 등, 13)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차량(10)의 주행 구동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200)에는 감지측 스토퍼(131)의 위치 또는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210)는 이동 프레임(110)이 회피위치(B)로 이동시 감지측 스토퍼(131)의 미는 힘에 의해 회동되는 감지 방식 또는 감지측 스토퍼(131)가 감지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와, 이동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보조측 슬라이드바(160) 및,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와 이동 프레임(110)의 사이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보조측 탄성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측 가이드부재(150)는 차량(10)의 차체(1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에는 보조측 슬라이드바(16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보조측 가이드부재(150)는 차체(1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차체(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보조측 슬라이드바(160)는 이동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조측 슬라이드바(160)는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의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보조측 탄성부재(162)는 보조측 가이드부재(162)와 이동 프레임(110)의 사이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측 슬라이드바(160)의 전단에는 보조측 스토퍼(161)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측 스토퍼(161)는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의 전방에 위치되며, 이동부(100)가 대기위치(A)로 이동시 보조측 가이드부재(15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어 이동 프레임(110)의 위치를 제한한다.
제동부(300)는 이동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이동 프레임(110)이 회피위치(B)로 이동시 차량(10)의 후륜측 바퀴(12)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동부(300)의 전면은 바퀴(12)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면이 형성된다.
또한, 제동부(300)의 전단에는 이동 프레임(110)이 회피위치(B)로 이동시 바퀴(12)에 밀착되도록 마찰부재(310)가 더 결합될 수 있고, 마찰부재(310)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즉 마찰부재(310)가 바퀴(12)와 접촉시 마찰력을 증가시키므로 제동부(300)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부(300)와 연결바(140)는 차량(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바퀴(12)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동부(300)는 후륜측 바퀴(12)들의 후방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동부(300)는 전술한 연결바(14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제동부(300)와 차량(10)의 바퀴(12)가 밀착된는 경우, 제동측 탄성부재(142)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동부(300)의 밀착력이 일정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1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이동 프레임(110)의 후방에 장애물(1)이 충돌하는 경우, 이동 프레임(110)이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대기위치(A)에서 전방의 회피위치(B)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감지측 슬라이드바(130)와 연결바(140) 및 보조측 슬라이드바(16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감지측 스토퍼(131)가 제어부(200)의 센서(210)가 감지측 스토퍼(131)를 감지하며, 센서(210)의 감지신호에 의해 주행 구동부(13)의 구동이 중지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바(140)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30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제동부(300)의 전면이 후륜측 바퀴(12)의 외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방생시킨다. 이때 제동부(300)로부터 바퀴(12)로 전달되는 마찰력에 의해 바퀴(12)의 회동이 중지되고, 차량(10)은 장애물(1)이 감지된 위치에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동측 탄성부재(142)가 압축되면서 연결바(140)의 후단이 이동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제동측 탄성부재(142)의 전후 방향측 양단이 제동부(300)와 이동 프레임(110)의 마주보는 방향을 각각 탄성 지지하므로, 바퀴(12)와 밀착되는 제동부(300)의 가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장애물(1)이 이동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감지측 탄성부재(132)와 제동측 탄성부재(142) 및 보조측 탄성부재(162)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이동 프레임(110)이 대기위치(A)로 복귀되고, 감지측 스토퍼(131)가 센서(210)의 감지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위치되며, 제동부(300)가 후륜측 바퀴(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위치된다. 이때 주행 구동부(13)는 차량(10)이 주행할 수 있도록 구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차량(10)의 후륜측 바퀴(12)에는 마찰력이 해지되므로, 차량(10)이 주행 가능 상태로 신속히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는 사람이나 장애물 감지시 차량(10)의 후진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미숙이나 후방 시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차량(10)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차량(10)의 파손이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장애물 10: 차량
11: 차체 12: 바퀴
13: 주행 구동부 100: 이동부
110: 이동 프레임 120: 감지측 가이드부재
130: 감지측 슬라이드바 131: 감지측 스토퍼
132: 감지측 탄성부재 140: 연결바
141: 제동측 스토퍼 142: 제동측 탄성부재
150: 보조측 가이드부재 160: 보조측 슬라이드바
161: 보조측 스토퍼 162: 보조측 탄성부재
200: 제어부 210: 센서
300: 제동부 310: 마찰부재
A: 대기위치 B: 회피위치

Claims (9)

  1. 차량에 설치되고, 후방 장애물 충돌시 전방의 회피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장애물 충돌 해지시 후방의 대기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차량의 주행 구동부를 정지시키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주행 구동부를 주행 가능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차량의 후륜측 바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프레임과,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감지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감지측 슬라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측 슬라이드바의 전단에는,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는 감지측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단에 상기 제동부가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감지측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제동부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동측 탄성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측 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시 상기 감지측 스토퍼의 위치 또는 상기 감지측 스토퍼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주행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제동측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보조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보조측 슬라이드바 및,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보조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측 슬라이드바의 전단에는,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 상기 보조측 가이드부재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는 보조측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의 전단에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회피위치로 이동시 상기 바퀴에 밀착되도록 마찰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KR1020200072740A 2020-06-16 2020-06-16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KR10236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40A KR102360395B1 (ko) 2020-06-16 2020-06-16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40A KR102360395B1 (ko) 2020-06-16 2020-06-16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74A KR20210155474A (ko) 2021-12-23
KR102360395B1 true KR102360395B1 (ko) 2022-02-08

Family

ID=7917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740A KR102360395B1 (ko) 2020-06-16 2020-06-16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774B1 (ko) * 2023-09-07 2024-01-19 (주)탑이엔텍 다목적 계측용 리프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186Y1 (ko) 2000-01-13 2000-06-15 변상복 개량 범퍼
KR101941915B1 (ko) 2018-05-30 2019-04-11 권대현 안전 시스템이 설치된 지게차
KR102078150B1 (ko) 2018-08-10 2020-02-17 김동하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KR200493112Y1 (ko) 2020-06-11 2021-02-02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60B1 (ko) * 2006-02-06 2006-11-30 송광헌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20120084868A (ko) * 2011-01-21 2012-07-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KR20150019899A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186Y1 (ko) 2000-01-13 2000-06-15 변상복 개량 범퍼
KR101941915B1 (ko) 2018-05-30 2019-04-11 권대현 안전 시스템이 설치된 지게차
KR102078150B1 (ko) 2018-08-10 2020-02-17 김동하 후방감지기를 구비하는 지게차
KR200493112Y1 (ko) 2020-06-11 2021-02-02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74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0756B2 (en) Collision mitigation system
CA2758371C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 fifth wheel coupling sliding device having detection of the bent position of towing vehicles and trailers
JP4124812B2 (ja) 荷重検知装置
US11814050B2 (en) Method for reversing a vehicle combination
US20190176749A1 (en) Seatbelt assembly
US6971727B2 (en) Vehicle brake system
KR102360395B1 (ko)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JP4702044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US10493949B2 (en) Seatbelt assembly
US5894905A (en) Driver restraint device for an industrial truck
US20180093632A1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KR20150019899A (ko)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CN109131270B (zh) 车辆的带有踏板阻滞识别能力的制动机构
US8938336B2 (en) Occupant safety system and method with optical fiber grid sheet
WO2018163753A1 (ja) 無人搬送車
CN212075432U (zh) Amr搬运机器人防撞急停装置
KR100666360B1 (ko) 차량 동역학에 근거한 충돌예방 안전장치
CN108068664B (zh) 机动车驾驶员座椅
JP2022520503A (ja) クランプ要素を有する安全スイッチ装置
JP2564816Y2 (ja) 車両用バンパー装置
JP6745698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H0825446B2 (ja) 自動車事故用安全装置
KR102461814B1 (ko) 전동 핸드 팔레트 트럭 장착형 안전보호장치
JP7496136B2 (ja) 作業車用安全制御装置
KR20240017177A (ko) 자율 주행 지게차용 작업자 안전을 위한 안전 감지 범퍼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율 주행 지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