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19B1 - 지게차 캐빈의 도어 - Google Patents

지게차 캐빈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019B1
KR102356019B1 KR1020190177123A KR20190177123A KR102356019B1 KR 102356019 B1 KR102356019 B1 KR 102356019B1 KR 1020190177123 A KR1020190177123 A KR 1020190177123A KR 20190177123 A KR20190177123 A KR 20190177123A KR 102356019 B1 KR102356019 B1 KR 10235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cabin
elevato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128A (ko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김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성 filed Critical 김학성
Priority to KR102019017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2Rectilinearly movin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지게차의 도어가 개방되어 폴딩된 상태에서의 벌어짐을 최소화하여 장애물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구조를 간소화하여 잠금장치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쉽게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캐빈틀에 도어가 개폐장치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어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로 분할 형성되어 폴딩이 이루어지되, 도어에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 중 어느 일측의 외면에 락킹대를 장착하고 타측의 외면에는 걸림대를 형성하되, 개방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락킹대와 걸림대가 상호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락킹대가 장착된 내면에는 락킹대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가 장착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락킹대는 브라켓의 수용관에 승강대를 내장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가 걸림대의 걸림바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거나 레버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가 걸림바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구조를 간소화함은 물론, 개방식 도어가 고정식 도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폴딩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게차 캐빈의 도어{Door of forklift cabin}
본 발명은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도어가 개방되어 폴딩된 상태에서의 벌어짐을 최소화하여 장애물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구조를 간소화하여 잠금장치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쉽게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 차량의 운전실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의 캐빈이 차량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비,바람으로부터 운전실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으로, 캐빈의 사방으로는 운전자가 운전하는데 충분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창이 구비되며, 캐빈의 측면에는 경첩에 장착된 도어가 도어 손잡이에 형성된 개폐장치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져 운전자가 승,하차 할 수 있도록 된다.
그런데 캐빈에 장착되는 도어가 최대 개폐각이 180°로 개방되기 때문에 도어의 크기를 너무 크게 제작하면 개방되는 선회반경이 지나치게 커져서 사용이 번거롭고, 도어를 개폐하거나 운행 중에 장애물 간섭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가 필요이상으로 개방됨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는 그 폭이 매우 좁게 형성되는데, 이 경우 배터리를 정비하는 등 캐빈룸 내부의 부속을 정비하기가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2도어 방식으로 도어를 분할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정도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도어가 제공된다.
이러한 2도어 방식의 도어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로 분할 구성되는 것으로, 캐빈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식 도어가 설치되고(캐빈으로부터 별도로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식 도어의 일측에는 선회 가능하게 개방식 도어가 설치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지게차 작업이나 승,하차 등을 목적으로 개방식 도어만을 사용하고, 고정식 도어는 평상시에는 개방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다가 지게차 정비 등이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에는 각각 잠금장치가 장착되는 것으로, 고정식 도어의 잠금장치는 지게차의 캐빈틀에 락킹되도록 구비되고, 개방식 도어의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에 락킹되도록 구비되어 개방식 도어를 개방하여 폴딩된 상태를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도어(30a)의 외부측으로는 축핀(1)을 장착하고, 개방식 도어(30b)에는 그 축핀(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더(2)을 장착하여 개방식 도어(30b)를 개방할 때 축핀(1)이 홀더(2)에 삽입되면서 그 홀더(2)에 내장된 잠금수단에 의하여 일시 고정되도록 한 구조가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폴딩방식의 도어는 개방식 도어 개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에 축핀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 및 잠금 해제를 위한 구조가 모두 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축핀(1)과 홀더(2)가 외부측으로 지나치게 많이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방식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식 도어에 잠금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식 도어가 고정식 도어에 밀착되지 못하고, 고정식 도어로부터 개방식 도어가 들뜬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지게차 운전자는 캐빈의 폭을 차량폭으로 인식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개방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방식 도어와 고정식 도어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들뜬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지게차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적재물이나 장애물에 부딪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개방식 도어가 열린상태에서 그 모서리 부분에 적재물이나 장애물이 걸려 개방식 도어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개방식 도어의 잠금장치에 충격이 전달되면서 정위치가 틀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와 같이 축핀이 홀더에 끼워지는 잠금장치는 정위치에 각각의 부속을 조립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개방식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식 도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위치를 조정하면서 조립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데, 위와 같이 잠금장치의 정위치가 틀어지는 경우 지게차 운전자는 잠금장치의 정위치를 다시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문 제작업체로 다시 보내서 수리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이 적재물이나 장애물이 걸려 개방식 도어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이 심하면 개방식 도어의 경첩 부분에 까지 충격이 전달되면서 개방식 도어는 물론, 고정식 도어에도 충격이 전달되어 비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이 경우 부분 수리가 불가능하고 도어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는 물론, 수리기간동안 지게차 자체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는 매우 큰 손실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축방식으로 고정되는 잠금장치는 개방식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지게차 외부, 즉 축핀(2)에 연동되어 있는 잠금장치의 버튼(3)을 눌러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지게차 운전자는 캐빈에 탑승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방식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지게차에서 완전히 하차한 이후에 지게차 후방의 버튼을 눌러 닫아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게차 도어의 개방식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식 도어에 근접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작업을 하더라도 적재물이나 장애물에 의한 도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의 잠금장치 구조를 간소화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잠금장치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정위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지게차 운전자가 지게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캐빈룸 내부에서 개방식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빈틀에 도어가 개폐장치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어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로 분할 형성되어 폴딩이 이루어지되, 도어에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 중 어느 일측의 외면에 락킹대를 장착하고 타측의 외면에는 걸림대를 형성하되, 개방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락킹대와 걸림대가 상호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락킹대가 장착된 내면에는 락킹대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가 장착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락킹대는 브라켓의 수용관에 승강대를 내장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가 걸림대의 걸림바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거나 레버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가 걸림바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구조를 간소화함은 물론, 개방식 도어가 고정식 도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폴딩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고정식 도어에는 고정식 도어를 캐빈틀에 잠금하기 위한 보조 잠금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중 구조로 도어가 잠금되도록 한 것으로, 보조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의 내면 상단 또는 하단에 보조 락킹대를 장착하여 고정식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 락킹대가 캐빈틀의 프레임 관체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보조 락킹대가 장착된 측방향으로 보조 락킹대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를 장착하여 캐빈룸 내부에서 락킹 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의하면, 개방식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식 도어와의 이격된 간격을 최소화하고 거의 밀접하게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거나 작업을 하더라도 캐빈의 외경과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운전자 인식하에서 주변 적재물이나 장애물에 부딪칠 우려가 거의 없다.
또한, 적재물이나 장애물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여 잠금장치에 비틀림이 발생하더라도 걸림대의 장착위치의 미세 조정만으로도 간편하게 보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사에 입고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운전자도 간단한 수리가 가능하여 불필요하게 수리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지연 및 작업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캐빈틀에 피스작업을 하는 등 프레임관체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잠금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차체 손상에 따른 안전도 재검사가 불필요하고, 안전도 재검사에 따른 시간이나 비용 손실 없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구조개선이 가능하므로 소비자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게차 캐빈의 도어의 잠금장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방식 도어가 개방되어 고정식 도어에 폴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게차 캐빈의 도어의 잠금장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잠금장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락킹대와 레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락킹대에 의한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의 잠금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에 의한 개방식 도어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레버 장착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레버 제어에 따른 잠금해제 구조를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승강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보조 잠금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보조 잠금장치의 세부 구조도
도 18은 도 14의 보조 잠금장치의 레버 작동상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보조 잠금장치에 의한 고정식 도어의 락킹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보조 잠금장치의 레버에 의한 락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0) 상부에 운전자의 탑승공간을 구획하는 캐빈틀(20)이 장착되어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그 캐빈틀에 창호를 덧씌워져 캐빈룸을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비,바람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캐빈틀(20)의 측면에는 도어(30)를 장착하고, 도어(30)에는 개폐장치(40)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도어(30)를 이용하여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30)는 캐빈틀(20)에 고정되는 고정식 도어(30a)와 승,하차를 목적으로 하는 개방식 도어(30b)로 구성한다.
즉, 도어(30)를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로 분할 형성하여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어(30)에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고정식 도어(30a) 또는 개방식 도어(30b)를 락킹 또는 락킹 해제하여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작동을 하는 락킹대(100)와, 그 락킹대의 대상물이 되는 걸림대(200)와, 락킹대(100)의 락킹 언락킹 여부를 조작하는 레버(300)와, 잠금장치가 락킹될 때 도어의 근접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락킹대(100)와 레버(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잠금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잠금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로 분할 구성된 상태에서 고정식 도어(30a)의 외면에는 락킹대(100)를 장착하고, 개방식 도어(30b)에는 걸림대(200)를 장착한다.
락킹대(100)와 걸림대(200)는 개방식 도어(30b)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식 도어(30a)와 서로 맞닿게 되는 면에 서로 대응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락킹대(100)와 걸림대(200)의 장착위치는 서로 뒤바뀌어 구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빈룸 내부에서 운전자가 잠금해제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고정식 도어(30a)에 락킹대(100)를 장착하고, 개방식 도어(30b)에 걸림대(200)를 장착하여 락킹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락킹대(100)가 장착된 고정식 도어(30a)의 내면, 즉 캐빈룸 내부측으로 고정식 도어(30a) 내측에는 캐빈룸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락킹대(100)의 락킹 상태를 조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3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 레버(300)는 운전자의 수동 조작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전자장치와 연동하여 별도의 버튼(미도시)에 의하여 잠금 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캐빈룸 내부에서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락킹대(100)는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 승강대(140)가 내장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1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140)가 걸림대(200)의 걸림바(240)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거나 레버(300)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걸림바(24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락킹대(100)는 승강바(140)의 상단이 일측으로 경사진 래치헤드(142)가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142)의 경사면이 걸림대(200)의 걸림바(240)에 접촉되면서 승강바가 탄성으로 누름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락킹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대(200)는 도어의 외면에 장착되는 장착판(220)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 또는 밴딩 구성되어 내입공간(242)을 갖도록 외부측으로 돌출되게 걸림바(240)가 형성되고, 그 내입공간(242)에 승강대(140)의 래치헤드(142)가 삽입되면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판(220)은 볼트 방식으로 도어에 조립되어 간단하게 조립되는 것이고, 이때 장착판(220)이 장착되는 개방식 도어(30b)의 내면에는 와셔를 이용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개폐장치의 장착틀을 활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개방식 도어(30b)의 내면에는 도어를 보강하거나 개폐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판재가 내장되는데, 이때, 상기 판재를 활용하여 걸림대(200)가 유동되지 않도록 장착판(220)을 볼트 방식으로 조립 구성할 수 있으며, 걸림대(200)의 위치가 틀어진 경우에는 볼트를 풀고 위치를 다시 조정한 후 간단하게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승강대(140)가 상,하로 승강 작동하면서 래치 구조로 걸림 고정되므로 락킹대(100)와 걸림대(200)의 맞물림 간격이 매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가 폴딩된 상태에서 잠금장치의 맞물림 부분의 폭이 매우 좁게 이루어지므로 개방식 도어(30b)가 고정식 도어(30a)에 수평에 가깝게 매우 근접하게 폴딩이 가능하며, 경첩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이격폭 내에서 잠금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킹대(100)는 고정식 도어(30a)의 외면에, 걸림대(200)는 개방식 도어(30b)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고, 고정식 도어(30a)의 내면에 잠금장치의 해제를 위한 레버(300)가 장착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잠금장치의 락킹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300)는 승강바(140)와 연계되어 승강바(140)의 승강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래치헤드(142)가 걸림바(240)에 걸림된 상태를 이탈시키고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식 도어(30b)에는 도 6과 같이 수용홀(32)을 형성하고, 그 수용홀에는 내입된 공간을 갖는 매립형 장착틀(34)을 장착하여 매립형 장착틀(34)에 도어 개폐장치(40)의 개폐핸들(42)을 장착함으로써 개폐핸들(42)이 도어의 외측으로 거의 돌출되지 않거나 전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개폐핸들(42)이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가 폴딩될 때 개폐핸들(42)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가 밀착된 상태로 폴딩상태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폐핸들(42)이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가 폴딩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락킹대(100)와 걸림대(200)의 맞물림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동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버(300)는 승강대(140)의 위치를 가변시켜 락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14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동부(320)와 레버 조작을 위한 조작부(340)가 형성되되, 작동축(360)에 의하여 레버(300)가 유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120)에는 용접 등에 의한 방식으로 레버 장착대(126)가 마련되어 작동축(360)에 의하여 레버(300)가 축결합되어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140)는 레버(300)의 가동부(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44)가 형성되고,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는 슬롯홀(124)이 형성되어 가동부(320)가 슬롯홀(124)을 관통하여 삽입부(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부(340)를 이용한 레버(300) 조작에 의하여 승강대(140)의 승강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잠금수단 또는 보조 잠금수단의 락킹 해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탄성수단(1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걸림대(200)의 걸림바(240)에 걸림 고정되어 락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레버(300)의 조작부(340)를 당겨서 가동부(320)를 들어올리면 가동부(320)가 승강대(140)를 들어올려서 승강대(140)가 걸림바(240)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340)에는 운전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찰력이 높은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탄성 소재의 캡이 덧대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방식 도어(30b)가 잠금된 상태에서는 개방식 도어(30b)가 고정식 도어(30a)의 스토퍼(40)에 밀착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스토퍼(40)를 자체탄성을 갖는 고무로 제작하면 고무의 탄발력에 의하여 개방식 도어(30b)의 락킹 상태가 해제될 때 스토퍼(40)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방식 도어(30b)가 밀려나면서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스토퍼(40)는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가 폴딩된 상태에서 그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개방식 도어(30b)가 폴딩될 때 완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방식 도어(30b)의 폴딩 상태가 해제될 경우에는 스토퍼(40)의 반발력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스토퍼(40)는 선단부의 재질을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요소를 더 부가하여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바(140)는 금속이나 고강도의 플라스틱, 또는 압착고무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어(30)의 개폐시 잠금되는 부분에서의 래치헤드(142)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강도의 플라스틱이나 압착고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강도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경우 원가절감을 위하여 다층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다층 구조로 조립함으로써 부분 파손시에도 파손된 부위만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판상을 다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을 서로 달리하여 양 끝부분에 위치한 판을 제외한 내측에 위치하는 판에는 탄성수단(160)이 내입될 수 있도록 홈(146)을 마련하여 탄성수단의 간단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탄성수단(160)은 승강대(140)의 홈(146)에 삽입되는 일부분의 직경만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나머지 탄성 복원력을 부가하는 부분의 직경은 승강대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을 간소화하면서도 반복 작동에 의한 탄성수단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식 도어(30a)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도어(30a)를 캐빈틀(20)에 잠금하기 위한 보조 잠금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조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30a)의 내면에 장착되며, 고정식 도어(30a)의 상단 또는 하단에 보조 락킹대(100-1)가 장착되어 고정식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 락킹대(100-1)가 캐빈틀(20)의 프레임 관체(22)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락킹대(100-1)가 장착된 측방향으로는 보조 락킹대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300)가 장착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락킹 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락킹대(100-1)는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 승강대(140)가 내장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1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140)가 캐빈틀(20)의 프레임 관체(22)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보조 락킹대의 락킹 상태는 운전자의 레버(300)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걸림바(24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락킹대(100-1)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 승강대(140)가 내장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1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140)가 캐빈틀(20)의 프레임 관체(22)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거나 레버(300)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프레임 관체(22)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락킹대(100-1)는 승강바(140)의 상단이 일측으로 경사진 래치헤드(142)가 형성되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142)의 경사면이 프레임 관체(22)에 접촉되면서 승강바가 탄성으로 누름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락킹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 관체(22)는 사각형의 각재로 구성되어 프레임 관체(22)의 내면에 승강대(140)의 래치헤드(142)가 삽입되면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락킹대(100)가 고정식 도어(30a)의 외면에 장착되어 캐빈룸 외부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면서도 슬롯홀(124)이 락킹대(1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잠금수단의 수동제어를 위한 레버(300)가 캐빈룸 내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도록 하고, 보조 잠금수단은 보조 락킹대(100-1)가 고정식 도어(30a)의 내면에 장착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슬롯홀(124)을 보조 락킹대(100-1)의 측방에 형성함으로써 잠금수단의 수동제어를 위한 레버(300)가 캐빈룸 내측에 구비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개방식 도어(30b)는 물론, 고정식 도어(30a)까지도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조작을 운전자가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잠금수단의 레버(300)는 보조 락킹대(100-1)의 승강바(140)와 연계되어 승강바(140)의 승강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래치헤드(142)가 프레임 관체(22)에 걸림된 상태를 이탈시키고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버(300)는 승강대(140)의 위치를 가변시켜 락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대(14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동부(320)와 레버 조작을 위한 조작부(340)가 형성되되, 작동축(360)에 의하여 레버(300)가 유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120)에는 레버 장착대(126)가 마련되어 작동축(360)에 의하여 레버(300)가 축결합되어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140)는 레버(300)의 가동부(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44)가 형성되고,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는 슬롯홀(124)이 형성되어 가동부(320)가 슬롯홀(124)을 관통하여 삽입부(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부(340)를 이용한 레버(300) 조작에 의하여 승강대(140)의 승강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잠금수단 또는 보조 잠금수단의 락킹 해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탄성수단(1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걸림대(200)의 걸림바(240)에 걸림 고정되어 락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조 락킹대(100-1)가 고정식 도어(30a)의 상단에 장착되어 프레임 관체(22)에 락킹 되는 경우에는 레버(300)의 조작부(340)를 당겨서 가동부(320)를 작동시키면 가동부(320)가 승강대(140)를 강제로 하강시켜서 승강대(140)가 프레임 관체(22)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340)에는 운전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찰력이 높은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탄성 소재의 캡이 덧대어 구성될 수 있으며, 조작부(340)에는 레버의 작동방향, 즉 락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작동방향을 조작부(340)에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나 타공한 형상으로 화살표 형상등을 표시한 표시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레버의 작동방향을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잠금장치에 의하여 고정식 도어(30a)가 캐빈틀(20)에 고정될 때, 보조 락킹대(100-1)가 형성되는 부분의 고정식 도어(30a)의 타측 변에는 고정식 도어(30a)가 잠금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접착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접착부(500)는 자석이나 밸크로 테이프 방식에 의하여 고정식 도어(30a)와 캐빈틀(20)이 임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식 도어(30a)가 닫힌 상태에서 부분적인 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분적으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500)를 밸크로 테이프로 형성하는 경우 고정식 도어(30a)를 강한 힘으로 닫을 때 마찰력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면서도 완충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잠금장치의 조립 부속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캐빈의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10: 지게차
20: 캐빈틀 22: 프레임 관체
30: 도어 30a: 고정식 도어 30b: 개방식 도어
32: 수용홀 34: 장착틀
40: 개폐장치 42: 개폐핸들
100: 락킹대
120: 브라켓 122: 수용관 124: 슬롯홀
126: 레버 장착대
140: 승강대 142: 래치헤드 144: 삽입부
146: 홈
160: 탄성수단
200: 걸림대
220: 장착판
240: 걸림바
300: 레버
320: 가동부
340: 조작부
360: 작동축
400: 스토퍼
500: 접착부

Claims (7)

  1. 지게차(10)의 캐빈틀(20)에 도어(30)가 개폐장치(40)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어(30)는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로 분할 형성되어 폴딩이 이루어지되, 도어의 개폐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 중 어느 일측의 외면에 락킹대(100)가 장착되고 타측의 외면에는 걸림대(200)가 형성되되, 개방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락킹대(100)와 걸림대(200)가 상호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고,
    락킹대가 장착된 내면에는 락킹대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300)가 장착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락킹대(100)는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 승강대(140)가 내장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1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고,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140)가 걸림대(200)의 걸림바(240)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거나 레버(300)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걸림바(24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락킹대(100)는 승강바(140)의 상단이 일측으로 경사진 래치헤드(142)가 형성되어 래치헤드의 경사면이 걸림대(200)의 걸림바(240)에 접촉되면서 승강바가 탄성으로 누름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락킹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300)는 승강바(140)와 연계되어 승강바(140)의 승강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래치헤드(142)가 걸림바(240)에 걸림된 상태를 이탈시키고 락킹 해제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대(100)는 고정식 도어(30a)의 외면에, 걸림대(200)는 개방식 도어(30b)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고, 고정식 도어(30a)의 내면에 잠금장치의 해제를 위한 레버(300)가 장착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잠금장치의 락킹 해제가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식 도어(30b)에는 수용홀(32)이 형성되고, 그 수용홀에는 내입된 공간을 갖는 매립형 장착틀(34)이 장착되며, 매립형 장착틀에 도어 개폐장치(40)의 개폐핸들(42)이 장착되어 개폐핸들(42)의 측방향 돌출길이가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가 폴딩된 상태에서 락킹대(100)와 걸림대(200)의 맞물림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이루어져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가 밀착된 상태로 폴딩상태 잠금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도어(30a)는 고정식 도어(30a)를 캐빈틀(20)에 잠금하기 위한 보조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고,
    보조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의 내면 상단 또는 하단에 보조 락킹대(100-1)가 장착되어 고정식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 락킹대(100-1)가 캐빈틀(20)의 프레임 관체(22)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고,
    보조 락킹대(100-1)가 장착된 측방향으로 보조 락킹대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300)가 장착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락킹 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락킹대(100-1)는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 승강대(140)가 내장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1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140)가 캐빈틀(20)의 프레임 관체(22)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거나 레버(300)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걸림바(24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
  6. 지게차(10)의 캐빈틀(20)에 도어(30)가 개폐장치(40)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도어(30)는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로 분할 형성되어 폴딩이 이루어지되, 도어의 개폐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고정식 도어와 개방식 도어 중 어느 일측의 외면에 락킹대(100)가 장착되고 타측의 외면에는 걸림대(200)가 형성되되, 개방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락킹대(100)와 걸림대(200)가 상호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고,
    락킹대가 장착된 내면에는 락킹대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300)가 장착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락킹대(100)는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 승강대(140)가 내장되고, 승강대는 탄성수단(1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고, 승강대의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대(140)가 걸림대(200)의 걸림바(240)에 맞물려 걸림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거나 레버(300)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140)가 걸림바(24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300)는 승강대(140)의 위치를 가변시켜 락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가동부(320)와 조작부(340)가 형성되되, 작동축(360)에 의하여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승강대(140)는 레버(300)의 가동부(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44)가 형성되고, 브라켓(120)의 수용관(122)에는 슬롯홀(124)이 형성되어 가동부(320)가 슬롯홀(124)을 관통하여 삽입부(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부(340)를 이용한 레버(300) 조작에 의하여 승강대(140)의 승강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잠금수단 또는 보조 잠금수단의 락킹 해제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락킹대(100)가 고정식 도어(30a)의 외면에 장착되어 캐빈룸 외부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되, 슬롯홀(124)이 락킹대(1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잠금수단의 수동제어를 위한 레버(300)가 캐빈룸 내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보조 잠금수단은 보조 락킹대(100-1)가 고정식 도어(30a)의 내면에 장착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되, 슬롯홀(124)이 보조 락킹대(100-1)의 측방에 형성되어 잠금수단의 수동제어를 위한 레버(300)가 캐빈룸 내측에 구비되어 캐빈룸 내부에서 고정식 도어(30a)의 캐빈틀(20) 잠금상태 또는 고정식 도어(30a)와 개방식 도어(30b)의 잠금 해제 조작을 캐빈룸 내부에서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캐빈의 도어.
KR1020190177123A 2019-12-27 2019-12-27 지게차 캐빈의 도어 KR10235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123A KR102356019B1 (ko) 2019-12-27 2019-12-27 지게차 캐빈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123A KR102356019B1 (ko) 2019-12-27 2019-12-27 지게차 캐빈의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128A KR20210084128A (ko) 2021-07-07
KR102356019B1 true KR102356019B1 (ko) 2022-01-25

Family

ID=7686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123A KR102356019B1 (ko) 2019-12-27 2019-12-27 지게차 캐빈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08B1 (ko) * 2021-08-04 2022-04-22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2단 바닥식 적재함을 구비하는 저상탑차의 적재함 도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185A (ja) * 1990-02-15 1991-10-28 Iseki & Co Ltd パワーシヨベルのキヤビンのドアオープンロック装置
JPH06247145A (ja) * 1993-02-23 1994-09-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キャビン車
JP5043200B2 (ja) * 2008-10-30 2012-10-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用のキャブ
CN103370478B (zh) * 2011-02-24 2015-07-01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128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528B2 (en) Load-floor latch
JP41300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EP0686746B1 (en) A latch mechanism for a vehicle
US7191860B2 (en) Apparatus for vehicle hood
US5451089A (en) Tailgate handl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AU706807B2 (en) Door hold-open latch release and method
KR102356019B1 (ko) 지게차 캐빈의 도어
US5001861A (en) Automatic universal deadbolt locking device
US4206939A (en) Latch assembly for vent windows and the like
KR101192049B1 (ko) 록킹 장치
WO2006094368A1 (en) Locking mechanism
US6616199B1 (en) Two stage latch for heavy duty engine cover
US7390036B2 (en) Apparatus for vehicle hood
US7070016B1 (en) Apparatus for vehicle hood
CN108779654A (zh) 用于将窗户、门等安全锁定在锁定板上的装配组件
US20060261599A1 (en) Cover lock mechanism
KR20190089400A (ko)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US20070245517A1 (en) Door check assembly
KR102593961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US20080251305A1 (en) Engine hood door including variable door handle
US5310228A (en) Security door bolting mechanism
CN218206257U (zh) 一种铁路工程车辆栏杆门锁止装置
JP4279106B2 (ja) 開き窓の開閉体用ロック装置
KR200260746Y1 (ko) 화물차의 적재함 캐치 어셈블리
GB2291461A (en) Cupboard door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