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90B1 -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90B1
KR102355090B1 KR1020200043795A KR20200043795A KR102355090B1 KR 102355090 B1 KR102355090 B1 KR 102355090B1 KR 1020200043795 A KR1020200043795 A KR 1020200043795A KR 20200043795 A KR20200043795 A KR 20200043795A KR 102355090 B1 KR102355090 B1 KR 10235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layer
bonding
tape
water tank
uni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247A (ko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이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환 filed Critical 이종환
Priority to KR102020004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9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물탱크 실리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 체결방법이 제공된다. 물탱크 실릴용 접합형 접합 테이프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제1 접합층; 상기 제1 접합층 상에 배치된 이형 필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ADHESIVE TAPE FOR SEALING WATER TANK AND METHOD FOR ASSEMBLING UNIN PANELS OF WATER TAN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패널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합 물품, 예컨대 접합 테이프는 다양한 분야에서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접합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접합층을 포함하여 접합층이 갖는 점착력 내지는 접착력을 이용해서 피부착물과 접합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접합층의 점착 내지는 접착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박리가 용이한 이형 필름을 부착하여 접합층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접합 테이프는 크게 양면형 접합 테이프와 일면형 접합 테이프로 대별할 수 있다. 양면형 접합 테이프는 이형 필름이 제거된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을 중심으로 양측에 접합층이 배치되어 마주보는 두개의 피부착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면 일면형 접합 테이프는 이형 필름이 제거된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의 일측면에만 접합층이 배치되어 이웃하는 두개의 피부착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4182호 (2017.01.03)
특허문헌 1은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의 접합 테이프는 접합 부재와 이형 라이너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은 접합 부재의 표면이 미세 구조화되어 피부착물과 접합 부재 간의 접합력이 향상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또, 특허문헌 1은 접합 테이프가 길이 방향으로 롤링되어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접합 테이프가 롤링되어 보관되는 경우 롤이 쉽게 풀리는 문제가 있다. 즉, 접합 테이프가 권취된 상태를 온전히 유지할 수 없어서 보관 및 작업의 불편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접합 테이프가 권취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접합 테이프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접합 테이프는 물탱크를 실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는 물과 접촉하여 수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투습성이 낮아야 할 뿐 아니라 물에 대한 용해도가 실질적으로 없어야 한다. 만일 접합 테이프가 물에 용해될 경우 유해 물질을 인간이 섭취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양면형 접합 테이프의 경우, 물탱크의 실링에 이용되는 경우, 물(water)과의 접촉면에 접합물질(접합층)이 존재하므로, 담수시 수질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접합 테이프를 이용하여 물탱크의 단위 패널을 체결 또는 접합시키는 경우, 단위 패널 사이의 볼트 또는 리벳 체결 시,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 너비(면적 범위) 또는 단위 패널의 두께 밖으로 접합 테이프가 노출되어 물(water)과의 접촉 및 이로 인한 물(음용수 등)의 수질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보관이 용이하며 접합 테이프의 구조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실질적으로 없고 친환경성을 가지며 방수 특성이 우수한 일면 접합형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보관이 용이하며 접합 테이프의 구조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롤링된 상태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보관이 용이하며 접합 테이프의 구조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체에 유해성을 나타내지 않는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이용한 단위 패널이 조립된 물탱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제1 접합층; 상기 제1 접합층 상에 배치된 이형 필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폴리에틸렌 폼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폴리염화비닐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접합층은 아크릴 코폴리머, 톨루엔(toluene) 및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층은 상기 아크릴 코폴리머 25 중량%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층은 상기 톨루엔 14 중량% 내지 19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접합층은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47 중량% 내지 6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층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모듈러스 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접합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 필름은 상기 제2 접합층과 맞닿는 일면, 및 상기 제1 접합층과 맞닿는 타면을 가지고, 상기 이형 필름은 상기 타면 측에만 코팅 처리된 상태로서, 실리콘 코팅, 폴리에틸렌 코팅, 또는 폴리올레핀 코팅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복수의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접합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접합층은 상기 제1 접합층 및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과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는 길이 방향을 따라 롤링된다.
여기서 상기 접합 테이프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제1 접합층; 상기 제1 접합층 상에 배치된 이형 필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롤링된 접합 테이프는, 상기 제2 접합층이 외측을 향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이 내측을 향하도록 롤링되고, 상기 접합 테이프가 롤링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합층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과 맞닿아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베이스 필름, 제1 접합층, 이형 필름과 제2 접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합 테이프에서 상기 이형 필름과 상기 제2 접합층을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접합층으로 구성되는 실링 테이프로서 제1 실링 테이프와 제2 실링 테이프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링 테이프를 제1 단위 패널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실링 테이프를 제2 단위 패널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가 서로 맞대도록 상기 제1 단위 패널과 상기 제2 단위 패널을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합된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를 두께 방향으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합층은, 아크릴 코폴리머 25 중량% 내지 35 중량%, 톨루엔 14 중량% 내지 19 중량%, 및 에틸아세테이트 47 중량% 내지 6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 테이프의 제1 접합층이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실링 테이프의 제1 접합층이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는 볼트 체결 또는 리벳 체결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성이 향상되고 보관이 용이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롤링된 상태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합 테이프의 구조에 손상을 발생하지 않고 친환경성과 방수 특성이 우수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롤링된 상태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면에 대하여 접합층이 형성되고, 물과의 접촉면에 대하여 접합층이 형성하지 않으므로, 물탱크내 음용수(물)에 대하여 접합층 내 존재하는 유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합 테이프가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과 대비되는 구조의 접합 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과 대비되는 구조의 접합 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이용하는 물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물탱크의 측벽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단위 패널이 체결된 개념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단위 패널이 체결된 부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단위 패널 체결된 부분 상세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물탱크(400)의 단위 패널 체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7에 따라 준비된 접합 테이프의 사진이다.
도 18은 실시예 7에 따라 준비된 접합 테이프를 이용하여 물탱크 모듈을 구성한 사진이다.
도 19는 비교예 18에 따라 준비된 접합 테이프의 사진이다.
도 20은 비교예 19에 따라 준비된 접합 테이프의 사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에 대하여 음용수용 유해물질을 시험한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접합'은 '점착'과 '접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는 베이스 필름(100), 제1 접합층(310) 및 이형 필름(200)을 포함하고, 제2 접합층(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는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0)이 제거되는 경우 베이스 필름(100)과 제1 접합층(310)만이 잔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는 일면 접합형 접합 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리용 접합 테이프(10)는 일면 접합형 접합 테이프로서, 물과의 접촉면에는 접합층(310, 320)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음용수 등에 접합층 내 존재하는 유해 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접합 테이프는 테이프 양면에 대하여 접합층이 형성되어 있어, 양면 중 어느 한 면의 접합층이 물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접합층내 존재하는 유해 물질이 음용수 등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1에는 접합 테이프(10)의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평면 상에서 확장된 시트 형상이거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도 1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접합 테이프(10)는 롤링되어 권취된 상태일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접합 테이프(10) 전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상부의 구성요소, 예컨대 제1 접합층(310)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제1 접합층(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고 탄성이 낮을 수 있다. 또, 베이스 필름(100)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 필름(10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폼 필름(form film),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발포폼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폼 필름은 다른 필름, 예컨대 우레탄 폼, 아크릴 폼,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등에 비해 방수성이 높고 수분 투습률과 수분 흡수율이 낮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를 물탱크의 실링(sealing)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00)이 폴리염화비닐 등을 포함할 경우, 물탱크의 실링에 사용할 경우 베이스 필름(100) 내의 염소 성분이 물에 용해되어 위생 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면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100)이 염소를 불포함하여 위생상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폼 필름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제2 접합층(320)과의 박리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형 필름(200)은 베이스 필름(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형 필름(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필름(100)과 이격되며, 그 사이에 제1 접합층(310)이 개재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필름(100)과 이형 필름(200)은 제1 접합층(3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합층(310)은 베이스 필름(100) 및 이형 필름(200)과 직접 맞닿을 수 있다.
이형 필름(200)은 제1 접합층(31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즉, 제1 접합층(310)이 감압성 접합층인 경우 제1 접합층(310)은 상온에서 적절한 접착력 내지는 점착력과 지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접합층(310)의 접합력은 표면의 오염 정도, 표면 에너지, 표면의 탄성, 표면의 수분률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합층(310) 상에 이형 필름(200)을 배치하여 제1 접합층(310)을 보호할 수 있다.
이형 필름(200)은 종이나 플라스틱 등의 기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필름(200)은 제1 접합층(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고 탄성이 낮을 수 있다. 또, 이형 필름(200)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형 필름(2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소재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부텐(polybut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술할 제2 접합층(320)과의 부착성 측면에서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형 필름(200)은 제1 접합층(310)과의 박리가 용이하도록 표면 처리된 상태이거나, 코팅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 필름(200)은 상면(도 1 기준)은 표면 처리 내지는 코팅되지 않고, 하면(도 1 기준)만 표면 처리 내지는 코팅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형 필름(200)과 제1 접합층(310) 간의 박리는 용이하도록 하는 반면,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0) 간의 박리는 어렵도록 할 수 있다. 즉, 이형 필름(200)과 제1 접합층(310) 간의 접합력은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0) 간의 접합력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코팅은 실리콘 코팅(또는 라미네이트), 폴리에틸렌 코팅(또는 라미네이트), 및/또는 폴리올레핀 코팅(또는 라미네이트)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필름(200)의 두께는 베이스 필름(10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제1 접합층(310)은 베이스 필름(100)과 이형 필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합층(310)은 베이스 필름(100) 및 이형 필름(200)과 접합될 수 있다. 제1 접합층(310)은 이형 필름(200) 및 제2 접합층(320)이 제거된 후 접합 테이프(10)에서 실질적으로 접합 기능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즉, 접합 테이프(10)를 사용할 경우 피부착물과의 최종적인 접합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합층(310)은 충분한 모듈러스와 접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접합층(310)과 베이스 필름(100) 간의 접합력은 제1 접합층(310)과 이형 필름(200) 간의 접합력 보다 클 수 있다.
제1 접합층(310)은 감압 점착층 또는 감압 접착층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합층(310)은 공지의 접착 또는 점착 기능을 수행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meth)acrylate) 폴리머, 비닐(vinyl) 폴리머, 뷰틸(butyl) 폴리머, 실리콘(silicon) 폴리머, 스티렌(styrene) 폴리머,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층(320)은 이형 필름(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이형 필름(20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합층(320)은 이형 필름(200)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의 제2 접합층(320)의 상면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접합층(320)의 상부에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 테이프(10)가 롤링되어 권취된 상태에서, 제2 접합층(320)은 원주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접합 테이프(10)의 베이스 필름(100)과 맞닿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접합 테이프(10)를 사용하기 위해 접합 테이프(10)를 권출할 경우 제2 접합층(320)의 상면이 노출되는 것은 마찬가지임을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접합층(320)은 접합 테이프(10)가 롤링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시 접합층 또는 임시 부착층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합층(320)은 상대적으로 작은 모듈러스와 접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접합층(310)과 제2 접합층(320)은 상이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합층(320)의 모듈러스는 제1 접합층(310)의 모듈러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접합층(320)과 이형 필름(200) 간의 접합력은 제2 접합층(320)과 베이스 필름(100) 간의 접합력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접합층(320)의 두께는 제1 접합층(310)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접합층(32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제2 접합층(320)과 베이스 필름(100) 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제1 접합층(31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피부착물과의 우수한 결합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접합층(320)은 아크릴 코폴리머,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접합 테이프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한 접합층, 즉 제2 접합층(320)을 발명하였다. 또, 종래의 접합 테이프와 달리 접합 테이프(10)가 롤링된 상태에서 제2 접합층(320)이 이형 필름(200)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는 반면 제2 접합층(320)이 베이스 필름(100)과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제2 접합층(320)의 조성과 베이스 필름(100)의 소재를 연구 개발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접합층(320)은 아크릴 코폴리머,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하되, 이들 간의 중량비는 특정한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합층(320)은 상기 아크릴 코폴리머 25 중량% 내지 35 중량%, 상기 톨루엔 14 중량% 내지 19 중량%,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47 중량% 내지 6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에틸아세테이트의 중량이 61 중량%를 초과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접합층(320)과 베이스 필름(100), 특히 베이스 필름(100)이 폴리에틸렌 폼 필름일 경우 제2 접합층(320)과 폴리에틸렌 폼 필름의 배면의 박리가 용이하지 않고, 제2 접합층(320)이 부분적으로 폴리에틸렌 폼 필름의 배면에 잔존할 수 있다.
반면 에틸아세테이트의 중량이 47 중량%를 미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접합층(320)과 베이스 필름(100), 특히 베이스 필름(100)이 폴리에틸렌 폼 필름일 경우 제2 접합층(320)과 폴리에틸렌 폼 필름의 배면 간에 접합력이 지나치게 약해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톨루엔의 중량이 14 중량%를 미달하면 에틸아세테이트와의 혼화성이 저하되어 온전한 접합력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반면 톨루엔의 중량이 19 중량%를 초과하면 제2 접합층(320)이 안정적인 접합력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에 따라 제2 접합층(320)의 접합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아크릴 코폴리머와 톨루엔 간의 중량비는 약 8:12 내지 9:12, 또는 약 8:11 내지 9:11일 수 있다.
한편, 제2 접합층(320)의 두께는 약 5㎛ 내지 15㎛, 또는 약 8㎛ 내지 12㎛, 또는 약 10㎛일 수 있다. 제2 접합층(320)의 두께가 15㎛ 이상일 경우 제2 접합층(320)과 베이스 필름(100)의 박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 테이프(10) 전체의 두께는 약 2mm 내지 5mm, 또는 약 3mm 내지 4 mm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접합 테이프(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2)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2)의 이형 필름(200)의 상면은 홈 또는 그루브(groove)를 가지는 점이 도 1에 따른 접합 테이프(10)와 상이한 점이다.
이형 필름(200)의 제2 접합층(322)과 대면하는 상면은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이형 필름(200)의 최대 두께는 베이스 필름(10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형 필름(200)의 최소 두께는 베이스 필름(100)의 두께 보다 작을 수도 있다. 상기 그루브는 접합 테이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일 수 있다. 또, 상기 그루브는 접합 테이프(12)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제2 접합층(322)은 이형 필름(200) 상에 배치되되, 이형 필름(200)의 그루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합층(322)은 그루브의 내측벽과 맞닿을 수 있다. 또, 제2 접합층(322)의 최소 두께는 제1 접합층(310)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2)는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2) 간의 접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링된 상태의 접합 테이프(12)를 권출할 경우, 제2 접합층(322)이 베이스 필름(100)과 쉽게 박리되고 제2 접합층(322)이 이형 필름(200) 상에 온전히 잔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4)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4)의 이형 필름(200)은 관통홀을 가지는 점이 도 1에 따른 접합 테이프(10)와 상이한 점이다.
이형 필름(200)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접합 테이프(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일 수 있다. 또, 상기 관통홀은 접합 테이프(14)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일 수 있다.
제2 접합층(324)은 이형 필름(200) 상에 배치되되, 이형 필름(200)의 관통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합층(324)은 관통홀의 내측벽과 맞닿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접합층(324)은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1 접합층(310)과 맞닿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초기 상태에서 제1 접합층(310)과 이형 필름(200) 간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 접합층(324)의 최소 두께는 제1 접합층(310)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4)는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4) 간의 접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링된 상태의 접합 테이프(14)를 권출할 경우, 제2 접합층(324)이 베이스 필름(100)과 쉽게 박리되고 제2 접합층(324)이 이형 필름(200) 상에 온전히 잔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8을 더 참조하여,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가 갖는 효과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접합 테이프가 갖는 효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접합 테이프(10)가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과 대비되는 구조의 접합 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구조의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접합 테이프가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과 대비되는 구조의 접합 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과 대비되는 다른 구조의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접합 테이프가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접합 테이프의 구조는 종래의 기술 내지는 배경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본 발명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대체 구조로 생각해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부각하기 위해 나타낸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도 5 내지 도 8의 구조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는 롤링되어 권취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는 권취된 롤의 2개 층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에 표현된 접합 테이프(10)는 원주 외측 방향(도 4 기준 상측)으로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접합층(320)이 원주 외측 방향(도 4 기준 상측)을 향하고, 베이스 필름(100)이 원주 내측 방향(도 4 기준 하측)을 향하도록 롤링될 수 있다.
하측에 위치한 접합 테이프(10)의 제2 접합층(320)의 상면은 상측에 위치한 접합 테이프(10)의 베이스 필름(10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 하측의 제2 접합층(320)의 상면은 상측의 베이스 필름(100)의 하면과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롤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 테이프(10)는 롤링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가 팽팽하게 당겨진 장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가해진 상태에서도 권취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테이프(10)에 가해지는 물리적 힘을 줄일 수 있어 구조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권취된 롤 접합 테이프(10)를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있어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본 비교 구조를 갖는 필름은 최상측에 위치한 제2 접합층을 포함하지 않는 점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와 상이한 점이다. 도 6은 권취된 롤의 2개 층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5에 표현된 필름은 원주 외측 방향(도 6 기준 상측)으로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
하측에 위치한 필름의 이형 필름(201)의 상면은 상측에 위치한 필름의 베이스 필름(101)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필름이 롤링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름이 팽팽하게 당겨져 장력이 가해져야 한다. 따라서 필름에 과도한 물리적 힘이 가해져 구조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력이 사라질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측 필름의 이형 필름(201)과 상측 필름의 베이스 필름(101)의 하면이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취된 롤 필름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본 비교 구조를 갖는 필름은 최상측에 위치한 제2 접합층을 포함하지 않고, 베이스 필름(101)의 하측에 배치된 제2 접합층(351)을 더 포함하는 점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와 상이한 점이다. 도 8은 권취된 롤의 2개 층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7에 표현된 필름은 원주 외측 방향(도 8 기준 상측)으로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
하측에 위치한 필름의 이형 필름(201)의 상면은 상측에 위치한 필름의 제2 접합층(351)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 하측의 이형 필름(201)의 상면은 상측의 제2 접합층(351)의 하면과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롤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필름은 롤링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 및 도 8에 따른 비교 구조를 갖는 필름을 사용하기 위해 이형 필름(201)을 제거할 경우 베이스 필름(10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1 접합층(311) 및 제2 접합층(351)이 모두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제1 접합층(311)을 피부착물과의 접합에 이용하기 위한 층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할 경우, 제2 접합층(351)은 피부착물의 반대 방향, 즉 작업자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 도구에 제2 접합층(351)이 부착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테이프 필름을 제거하기도 곤란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는 도 5 내지 도 8에 표현된 필름 구조와 달리 이형 필름(200) 상에 제2 접합층(320)을 구비하고, 접합 테이프(10)를 사용시에 이형 필름(200)과 함께 제2 접합층(320)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비교 구조를 갖는 필름에 비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는 후술하는 물탱크 단위 패널 체결에 이용하는 경우, 이웃하는 단위 패널의 볼트 결합 또는 리벳 결합 시에 접합 테이프(10)가 단위 패널 밖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 면적 범위(영역) 외로 접합 테이프(10)가 노출되지 않아 물탱크 내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제2 접합층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S100),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200), 제1 접합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이형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S400), 제2 접합층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2 접합층을 형성하는 단계(S500), 접합 테이프 필름을 권취하는 단계(S600) 및 접합 테이프 필름을 에이징하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2 접합층 조성물을 준비한다(S100).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접합층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완성한 것이다. 제2 접합층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S100)는 아크릴 코폴리머,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110) 및 상기 혼합물을 에이징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코폴리머,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조성 및 혼합비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혼합물을 에이징하는 단계(S120)는 40℃ 내지 50℃에서 48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다. 혼합물을 충분한 시간 동안 에이징되지 않을 경우 제2 접합층과 베이스 필름(특히 베이스 필름을 폴레에틸렌 필름으로 하는 경우) 간의 박리력이 저하되고, 롤을 권출하는 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제2 접합층이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에이징 온도가 40℃를 미달할 경우 마찬가지로 제2 접합층과 베이스 필름 간에 박리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에이징 온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접합층의 접합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 필름(100)을 준비하고(S200),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 상에 제1 접합층 조성물(310a)을 도포하여 제1 접합층(310)을 형성함(S300)과 동시에 베이스 필름(100)과 이형 필름(200)을 부착하여 베이스 필름(100) 상에 이형 필름(200)을 배치한다(S40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 필름(100) 및 이형 필름(200)은 각각 제1 권출롤(910) 및 제2 권출롤(930)에 권취된 상태일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과 이형 필름(200)은 제1 권출롤(910) 및 제2 권출롤(930)로부터 권출되고 한쌍의 이송롤(950)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또, 베이스 필름(100)과 이형 필름(200) 사이에 제1 접합층 조성물(310a)을 도포하여 베이스 필름(100)과 이형 필름(200) 사이에 개재된 제1 접합층(31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형 필름(200) 상에 준비된 제2 접합층 조성물(320a)을 도포한다(S50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접합층 조성물(320a)은 코팅롤(970)에 도포되고, 코팅롤(970)을 이용하여 이형 필름(200) 상에 제2 접합층(3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제2 접합층 조성물(320a)을 롤 코팅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 접합층(320)이 형성된 접합 테이프를 권취롤(990)을 이용하여 권취한다(S600). 이 경우 권취롤(990)은 제2 접합층(320)이 원주 외측 방향을 향하고, 베이스 필름(100)이 원주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2 접합층(32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필름(100)의 하면과 접합되고, 제2 접합층(320)의 적어도 일부(최외곽)는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제2 접합층(320)이 원주 내측 방향을 향하고, 베이스 필름(100)이 원주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권취될 경우,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접합층(320)에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100)에 비해 더 큰 벤딩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합층(320)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필름(100)을 내측을 향하도록 할 경우 베이스 필름(100)에 상대적으로 큰 벤딩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제2 접합층(320) 보다 더 큰 두께를 갖기 때문에 벤딩 인장력을 원주 방향으로 분산하기 용이하며 필름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잇다.
다음으로 권취롤(990)에 권취된 접합 테이프 필름을 에이징한다(S700). 접합 테이프 필름을 에이징하는 단계(S700)는 35℃ 내지 50℃에서 48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접합 테이프 필름이 충분한 시간 동안 에이징되지 않을 경우 제2 접합층(320)과 베이스 필름(100)이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박리 내지는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에이징 온도가 35℃를 미달할 경우 마찬가지로 제2 접합층(320)과 베이스 필름(100) 간에 박리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에이징 온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접합층(320)의 접합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를 이용한 물탱크의 체결 구조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를 이용한 물탱크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물탱크(400)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물탱크는 측벽, 바닥면 및 상부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은 물탱크의 둘레를 형성하여 내벽을 구성하는 것이며, 바닥면은 물탱크 내부에 물(water)이 저장될 수 있는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부면은 물탱크에 저장되는 물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물탱크의 측벽, 하부면 또는 상부면은 각각의 독립적인 단위 패널(panel)(410)들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독립적인 단위 패널(410)들의 조립에 의하여 하나의 물탱크(water tank)(400)를 형성한다.
도 12는 물탱크의 측벽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단위 패널이 체결된 개념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는 도 12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단위 패널(410)은 서로 이웃한 단위 패널(410a, 410b)과 체결되는 것이며, 접합 시 각각의 단위 패널(410a, 410b) 사이를 체결함으로써 물탱크의 측벽, 하부면 또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단위 패널(410)의 형상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형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각형의 단위 패널(410)의 체결은 단위 패널(4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단위 패널(41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flange)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단위 패널이 체결된 부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단위 패널 체결된 부분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위 패널(410) 체결은 단위 패널(410)의 플랜지부(411)가 서도 맞대는 구조로 체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패널(410) 체결 시 결합되는 단위 패널(410) 사이에는 본 발명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위 패널(410)에 하나의 접합 테이프(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접합 테이프(10)는 본 발명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로서 세부 구성은 상술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의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합 테이프(10)는 이형 필름(200) 및 제2 접합층(320)이 제거되어 베이스 필름(100)과 제1 접합층(310)으로 구성되는 실링 테이프(10a, 10b)일 수 있으며, 실링 테이프(10a, 10b)의 제1접합층(310)이 단위 패널(410)의 플랜지부(411) 외측 표면에 형성되고, 제1접합층(310) 상에 베이스 필름(100)의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단위 패널(410) 사이의 체결은 볼트 결합 또는 리벳(revet) 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단위 패널(410)의 플랜지부(411)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미도시)을 통하여 볼트 결합 또는 리벳 결합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볼트 결합(413)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는 일면 접합형 테이프이며, 상술한 접합 테이프(10)의 구조 및 조성으로 인하여, 단위 패널(410)의 체결시 각 단위 패널(4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합 테이프(10)는 볼트 결합 또는 리벳 결합 시, 플랜지부(411)의 면적 범위 밖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접합 테이프는 단위 패널의 볼트 결합 또는 리벳 결합 시 플랜지부 내지 단위 패널 면적 범위 밖으로 노출됨으로써, 물과의 접촉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음용수 등에 접합층 내 존재하는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2 이상의 단위 패널(410)의 체결은 단위 패널(410a, 410b) 사이에 2개의 실링 테이프(10a, 10b)가 형성되는 것이며, 2개의 실링 테이프(10a, 10b) 각각의 베이스 필름(100)을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물탱크(400)의 단위 패널 체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탱크(400)의 단위 패널 체결방법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베이스 필름(100), 제1 접합층(310),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를 준비하는 단계(S1000); 접합 테이프(10)에서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0)을 제거하여 베이스 필름(100)과 제1 접합층(310)으로 구성되는 실링 테이프를 형성하며, 상기 실링 테이프로서 제1 실링 테이프(10a)와 제2 실링 테이프(10b)를 마련하는 단계(S2000); 제1 실링 테이프(10a)를 제1 단위 패널(410a) 플랜지부(411a)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S3000); 제2 실링 테이프(10b)를 제2 단위 패널(411b) 플랜지부(411b)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S4000);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와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가 서로 맞대도록 제1 단위 패널(410a)과 제2 단위 패널(410b)을 접합시키는 단계(S5000); 및 상기 접합된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와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를 두께 방향으로 체결하는 단계(S6000)를 포함한다.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를 준비하는 단계(S1000)에서 접합 테이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를 의미한다. 따라서, 접합 테이프(10b)의 세부 구성은 상술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10)의 내용으로 대체한다. 이에 따라, 본 단계(S1000)에서 접합 테이프(10)의 제2 접합층(320)은 아크릴 코폴리머 25 중량% 내지 35 중량%, 톨루엔 14 중량% 내지 19 중량%, 및 에틸아세테이트 47 중량% 내지 6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접합 테이프(10)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접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 대체한다.
접합 테이프(10)는 소정의 길이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길이는 단위 패널(410)의 플랜지부(411)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랜지부(411)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실링 테이프(10a)와 제2 실링 테이프(10b)를 마련하는 단계(S2000)에서, 제1 실링 테이프(10a)와 제2 실링 테이프(10b)는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며, 각각 접합 테이프(10)에서 이형 필름(200)과 제2 접합층(320)에 제거된 베이스 필름(100)과 제1 접합층(310)으로 구성되는 실링 테이프이다.
제1 실링 테이프(10a)를 제1 단위 패널(410a) 플랜지부(411a)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S3000)에서, 제1 실링 테이프(10a)의 제1 접합층(310)이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제1 실링 테이프(10a)의 베이스 필름(100)의 플랜지부(411a)와 이격되어 형성하게 된다.
제2 실링 테이프(10b)를 제2 단위 패널(411b) 플랜지부(411b)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S4000)에 제2 실링 테이프(10b)의 제1 접합층(310)이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제2 실링 테이프(10b)의 베이스 필름(100)의 플랜지부(411b)와 이격되어 형성하게 된다.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와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가 서로 맞대도록 제1 단위 패널(410a)과 제2 단위 패널(410b)을 접합시키는 단계(S5000)에서,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와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 사이에는 제1 실링 테이프(10a)와 제2 실링 테이프(10b)가 위치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실링 테이프(10a)의 베이스 필름(100)과 제2 실링 테이프(10b)의 베이스 필름(100)이 서로 맞대는 구조를 형성한다.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와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를 두께 방향으로 체결하는 단계(S6000)에서,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와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는 볼트 체결 또는 리벳 체결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볼트 체결(413)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볼트 체결 또는 리벳 체결을 위하여,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와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에는 다수개의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411a, 411b)의 체결공과 대응되도록 제1 실링 테이프(10a) 및 제2 실링 테이프(10b)에도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볼트 체결 또는 리벳 체결은 제1 단위 패널(410a)의 플랜지부(411a), 제1 실링 테이프(10a), 제2 실링 테이프(10b) 및 제2 단위 패널(410b)의 플랜지부(411b)를 관통하여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1: 제2 접합층 조성물]
하기 표 1과 같이 접합층용 조성물을 준비하고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50mm×100mm 크기의 제1 기재를 준비하고, 슬릿 코팅을 이용하여 제2 접합층 조성물을 대략 10㎛ 두께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제2 접합층 조성물 상에 50mm×100mm 크기의 제2 기재를 부착하였다.
제1 기재
(이형 필름에 대응)
제2 접합층 조성물 제2 기재
(베이스 필름에 대응)
아크릴 코폴리머
(중량%)
톨루엔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중량%)
실시예 1 PVC 25 15 60 PE form
실시예 2 PVC 28 15 57 PE form
실시예 3 PVC 31 17 52 PE form
실시예 4 PVC 34 19 47 PE form
실시예 5 PET 25 15 60 PE form
실시예 6 PET 35 18 47 PE form
비교예 1 PVC 23 13 64 PE form
비교예 2 PVC 20 11 69 PE form
비교예 3 PVC 27 15 58 PA form
비교예 4 PVC 29 16 55 PA form
비교예 5 PVC 26 14 60 PU form
비교예 6 PVC 32 18 50 PU form
비교예 7 PVC 24 16 60 PVC form
비교예 8 PVC 32 18 50 PVC form
비교예 9 PET 22 13 65 PE form
비교예 10 PET 25 15 60 PU form
비교예 11 PET 25 15 60 PVC form
상기 표 1에서 PVC는 폴리염화비닐을,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PA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PU는 폴리우레탄을 의미한다.
그 다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1에 따른 필름의 제1 기재와 제2 기재를 박리하여 박리 상태를 살펴보는 실험을 하였다. 박리는 상온 하에서 제1 기재의 일단을 일측으로 잡아당기고 동시에 제2 기재의 일단을 타측으로 잡아당기면서 박리하여 180도 박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이때 박리 속도는 300mm/min이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필름은 접합층(제2 접합층)이 제1 기재의 상면 상에 잔존하고, 제2 기재의 하면에는 전혀 잔존하지 않아 깨끗한 상태였다.
반면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9에 따른 필름의 경우, 제2 기재의 하면에 접합층이 잔존하고, 제1 기재 상의 접합층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2 접합층 조성물의 에틸아세테이트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일 수 있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필름의 경우, 제2 기재와 접합층 간의 결합이 지나치게 약한 문제가 있었다.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2 기재와 접합층의 계면이 너무 쉽게 박리되었다.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 비교예 10, 및 비교예 11에 따른 필름의 경우, 제2 기재의 하면에 접합층이 잔존하고, 제1 기재 상의 접합층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층 조성물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염화비닐 폼 간에 결합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일 수 있다.
실험예 1의 결과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접합층 조성물은 제1 기재로서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의 접합력이 우수한 반면, 제2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폼 필름과의 박리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기존 접합층과의 비교]
제1 기재로서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제2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폼 필름을 사용하되, 제2 접합층을 종래의 공지의 점착제로 사용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점착제는 부림케미칼社의 용제계 점착제를 이용하였다.
제1 기재
(이형 필름에 대응)
제2 접합층 제2 기재
(베이스 필름에 대응)
비교예 12 PVC BA-720 PE form
비교예 13 PVC BA-1030 PE form
비교예 14 PVC BA-1960 PE form
비교예 15 PET BA-270 PE form
그 다음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5에 따른 필름을 박리하여 박리 상태를 살펴보는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 12, 비교예 14 및 비교예 15에 따른 필름의 경우, 제2 기재의 하면에 점착층이 잔존하고, 제1 기재 상의 점착층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 비교예 13에 따른 필름의 경우 박리 과정에서 제2 기재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3: 제2 접합층 두께에 따른 영향 확인]
하기 표 3과 같이 접합층의 두께를 달리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및 비교예 17에 사용된 제2 접합층 조성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제2 접합층 두께
실시예 1 10㎛
실시예 2 10㎛
비교예 16 20㎛
비교예 17 50㎛
그 다음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6 및 비교예 17에 따른 필름을 박리하여 박리 상태를 살펴보는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 16 및 비교예 17에 따른 필름의 경우, 제2 기재의 하면에 접합층이 잔존하고, 제1 기재 상의 접합층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접합 테이프 필름 제조]
<실시예 7>
실시예 1에 따른 소재를 이용하여 도 1과 같은 구조의 접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즉, 베이스 필름으로 폴리에틸렌 폼 필름을 이용하고, 이형 필름으로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이용하였다. 제1 접합층으로는 부림케미칼社의 BA-720을 이용하고, 제2 접합층은 표 1과 같이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도 17에 도시하였다.
또, 제조된 접합 테이프를 이용하여 단위 패널을 체결하였으며, 이러한 단위 패널로 물탱크 모듈을 구성한 사진을 도 18에 나타내었다. 물탱크 모듈은 10L 크기의 복수의 물탱크 유닛을 준비하고, 단위 패널 사이를 접합 테이프로 실링하였다.
<비교예 18>
도 5와 같은 구조의 접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베이스 필름, 이형 필름 및 제1 접합층은 실시예 7과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접합 테이프를 도 19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19>
도 7과 같은 구조의 접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베이스 필름, 이형 필름, 제1 접합층 및 제2 접합층은 실시예 7과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접합 테이프를 도 20에 도시하였다.
우선 도 19를 참조하면, 비교예 18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베이스 필름과 이형 필름 간에 접합되지 않은 상태여서 롤링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즉, 도 19와 같이 권취 롤이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풀어져 작업 상의 불편함이 있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비교예 19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베이스 필름과 이형 필름이 제2 접합층을 통해 결합된 상태여서 안정적으로 롤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다만,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난 후 베이스 필름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접합층이 잔존하여 접합 테이프를 이용한 작업 시 불편함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접합층에 계면활성제(세제 등) 등을 도포하여 접합력을 제거하여야 하는 작업 상의 불편함이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 7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베이스 필름과 이형 필름이 제2 접합층을 통해 결합된 상태여서 안정적으로 롤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제2 접합층이 이형 필름과 함께 제거되어 단면 접합형 접합 테이프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서 작업 편리성이 명백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투습도가 낮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접합 테이프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물탱크 모듈을 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음용수용 유해물질 시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접합 테이프에 대하여 음용수용 유해물질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수행기관으로 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방법으로 “수도용 자재 및 제품의 위생안전기준 공정시험방법(환경부고시 제2018-172호)”에 의하여 수행(1. 접촉면적비는 50 cm2/L이며, 2. 컨디셔닝은 생략하였음)하였으며, 성적서 번호는 'T2020-01039'이다.
시험 수행 결과를 하기 표 4, 도 21a 및 도 21b에 정리하였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치 검출한계
- 이상없음 -
냄새 이상없음 -
색도 0.4 -
탁도 NTU 0.02 이하 -
mg/L 불검출 0.0001
아연 0.015 0.001
과망간산칼륨소비량 0.3 이하 -
페놀류 불검출 0.0004
증발잔류물 불검출 2
잔류염소의 감량 0.31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접합 테이프
100: 베이스 필름
200: 이형 필름
310: 제1 접합층
320: 제2 접합층

Claims (10)

  1. 접합 테이프에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제1 접합층;
    상기 제1 접합층 상에 배치된 이형 필름; 및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접합층은 상기 접합 테이프가 롤링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시 접합층 또는 임시 부착층인 것이고,
    상기 제1 접합층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모듈러스 보다 크고, 상기 제1 접합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두께 보다 큰 것이며,
    상기 이형 필름은 상기 제2 접합층과 맞닿는 일면, 및 상기 제1 접합층과 맞닿는 타면을 가지고, 상기 이형 필름은 상기 타면 측에만 코팅 처리된 상태로서, 실리콘 코팅 또는 폴리올레핀 코팅된 상태이며,
    상기 이형 필름은 복수의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2 접합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접합층은 상기 제1 접합층 및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과 맞닿는 것이고,
    상기 접합 테이프는 물탱크 실링 시, 물과의 접촉면에는 접합층이 존재하지 않아, 상기 물에 접합층 내 존재하는 유해 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폴리염화비닐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층은 아크릴 코폴리머, 톨루엔(toluene) 및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층은,
    상기 아크릴 코폴리머 25 중량% 내지 35 중량%,
    상기 톨루엔 14 중량% 내지 19 중량%,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47 중량% 내지 6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따른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베이스 필름, 제1 접합층, 이형 필름과 제2 접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합 테이프에서 상기 이형 필름과 상기 제2 접합층을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접합층으로 구성되는 실링 테이프로서 제1 실링 테이프와 제2 실링 테이프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링 테이프를 제1 단위 패널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실링 테이프를 제2 단위 패널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가 서로 맞대도록 상기 제1 단위 패널과 상기 제2 단위 패널을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합된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를 두께 방향으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테이프는 물탱크 실링 시, 물과의 접촉면에는 접합층이 존재하지 않아, 상기 물에 접합층 내 존재하는 유해 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층은,
    아크릴 코폴리머 25 중량% 내지 35 중량%,
    톨루엔 14 중량% 내지 19 중량%, 및
    에틸아세테이트 47 중량% 내지 6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테이프의 제1 접합층이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실링 테이프의 제1 접합층이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플랜지부는 볼트 체결 또는 리벳 체결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KR1020200043795A 2020-04-10 2020-04-10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KR10235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95A KR102355090B1 (ko) 2020-04-10 2020-04-10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95A KR102355090B1 (ko) 2020-04-10 2020-04-10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47A KR20210126247A (ko) 2021-10-20
KR102355090B1 true KR102355090B1 (ko) 2022-01-25

Family

ID=7826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795A KR102355090B1 (ko) 2020-04-10 2020-04-10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969A (en) 1990-02-28 1991-12-03 Morgan Adhesives C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with central release liner
KR101612081B1 (ko) 2015-11-13 2016-04-12 박연우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진 조립식 물탱크
CN106987217A (zh) 2017-04-11 2017-07-28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防水泡棉双面胶带
KR102186008B1 (ko) 2020-01-13 2020-12-03 이종환 물탱크 시일링용 일면 접합형 접합 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539B1 (ko) * 2003-07-25 2005-11-22 박광민 바닥장식재용 보양재
KR20130002195U (ko) * 2011-09-29 2013-04-08 이종환 물탱크 실링제(wts-3070.wts-30160)
KR101694182B1 (ko) 2015-04-20 2017-01-09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927851B1 (ko) * 2017-01-16 2018-12-12 율촌화학 주식회사 점착제용 이형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969A (en) 1990-02-28 1991-12-03 Morgan Adhesives C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with central release liner
KR101612081B1 (ko) 2015-11-13 2016-04-12 박연우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진 조립식 물탱크
CN106987217A (zh) 2017-04-11 2017-07-28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防水泡棉双面胶带
KR102186008B1 (ko) 2020-01-13 2020-12-03 이종환 물탱크 시일링용 일면 접합형 접합 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47A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703B1 (ko) 감압 접착제용 이형 라이너 및 사용 방법
EP1715013B1 (en) Waterproof and airtight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1495972B1 (ko) 롤 안정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조립체
US8329275B2 (en) Sealing tape for sealing a gap
AU4371201A (en) Doubled-sided self-adhesive reinforced foam tape
US2010009273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170025636A1 (en) Laminated sheet for sealing electronic elements and produ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JP2007154144A (ja) 粘着加工シート及び粘着剤付剥離紙
KR102186008B1 (ko) 물탱크 시일링용 일면 접합형 접합 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모듈
GB2453309A (en) Protective sheet for exterior damage prevention
KR102355090B1 (ko)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JP2010215900A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52730A1 (ja) 塗装膜保護用フィルム
JPH10156994A (ja) シート状気密部材
JP3142132U (ja) 片面粘着テープ巻物製品
JP3797625B2 (ja) 両面粘着テープ
WO2016059932A1 (ja) 易貼付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3540387B2 (ja) 防水テープ
JP2001031918A (ja) 粘着シート
CN220201824U (zh) 一种防止膨胀位移的导电胶布
JP3035870U (ja) 表面保護化粧シート
JPH0417594Y2 (ko)
JP2012087195A (ja) 施工性の優れた防水テープ
JPH08323920A (ja) 表面保護化粧シート
JP2001038262A (ja) マスキング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