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595B1 -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595B1
KR102353595B1 KR1020210074924A KR20210074924A KR102353595B1 KR 102353595 B1 KR102353595 B1 KR 102353595B1 KR 1020210074924 A KR1020210074924 A KR 1020210074924A KR 20210074924 A KR20210074924 A KR 20210074924A KR 102353595 B1 KR102353595 B1 KR 10235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assembly
gea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규
Original Assignee
이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규 filed Critical 이범규
Priority to KR102021007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2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부; 상기 엔진부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바퀴구동부 및 보행형 작업기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미션부; 상기 미션부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미션부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구동부; 상기 바퀴구동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조향부; 상기 미션부의 회전력이 보행형 작업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향부와 동력전달부로 연동설치되어 상기 조향부의 상하회전각을 변환하고, 조향부와 동력전달부의 좌우 회전각을 변환하여 보행형 작업기의 원활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A direction change device for a walking type work machine that works by transmitting power in a direct gear method}
본 발명은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동력전달장치에 양수기, 분무 소독기, 잔디 깎기, 넝쿨제거기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로터리, 비닐피복 작업기, 양날 휴립기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보행형 작업기의 조향부 방향을 상하, 좌우 회전시켜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에는 농사에 필요한 모든 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많은 농작업이 기계화되었다.
일 예로서 과거 벼농사를 지을 때는 소의 힘을 이용하여 쟁기로 논을 갈고, 사람이 직접 논에 모를 심고, 다 자란 벼를 낫으로 베고, 베어낸 벼를 털어서 탈곡하는 등의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트랙터를 이용하여 논을 갈고, 사람이 모를 심던 것을 '이양기'로 대신하게 되었으며, 벼를 낫으로 베고, 털어서 탈곡하던 것을 '콤바인'이 대신하는 등 많은 농작업에 있어서 영농 기계화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농사에 사용되는 농기계로는 경운기, 트랙터, 이앙기, 양수기, 분무소독기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농기계는 단순히 정해진 작업만을 제한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
즉, 이양기는 벼를 이앙하는 데에만 사용되고, 경운기, 트랙터 등은 트레일러에 화물을 싣고 이동하거나 로터리작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들 농기계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조작함에 따라 전진과 후진 및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작업자가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즉, 농기계 자체의 중량이 무겁고 크기가 커 작업자가 조작함에 있어 강인한
근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하나의 동력전달장치에 다른 종류의 다양한 농기계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보행형 작업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69520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10824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08249호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489768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기어로 전달하여 줌으로써 큰 토크로 구동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퀴구동부에 로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동력전달부에 양수기, 분무소독기, 잔디깎기 등의 농기계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지지대 및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대에 의해 보행 중에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향부와 동력전달부를 하나의 케이블로 이중 분활하여 이루어진 방향전환장치를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락/해지함에 의해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부; 상기 엔진부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바퀴구동부 및 보행형 작업기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미션부; 상기 미션부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미션부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구동부; 상기 바퀴구동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조향부; 상기 미션부의 회전력이 보행형 작업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향부와 동력전달부로 연동설치되어 상기 조향부의 상하회전각을 변환하고, 조향부와 동력전달부의 좌우 회전각을 변환하여 보행형 작업기의 원활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가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엔진부는,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의해 구동되되, 일측에는 후방에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정화기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기의 일측에는 엔진 어셈블리에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배기가스배출구가 설치된 엔진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개스킷이 설치되고, 엔진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엔진 어셈블리의 회전력이 미션부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엔진 어셈블리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배출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 어셈블리의 상부에는 엔진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커버는 엔진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엔진 커버를 분리할 수 있도록 볼트, 플랫와셔 및 고무와셔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진커버의 전면에는 불빛을 발산시키는 헤드램프가 설치되며, 엔진커버의 전면에는 엔진커버 브래킷이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미션부는, 엔진부에는 이동 및 회전 시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상기 엔진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엔진부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바퀴구동부 및 보행기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기어박스조립체에는 엔진부와 결합되는 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클러치코어가 결합되고, 아울러 샤프트에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기어전환 어셈블리가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코어어는 샤프트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와셔, 베어링, 와셔 및 볼트가 체결되며, 아울러 샤프트에는 샤프트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스프링이 샤프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구가 고정되고, 샤프트의 양측에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씰이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이 설치되며, 기어전환 어셈블리에는 바퀴구동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더블 평 기어가 맞물리며, 상기 더블 평 기어의 내측에는 베벨기어축이 설치되며, 베벨기어축은 플랫키에 의해 더블 평 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베벨기어축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이 결합되며, 또한 기어박스조립체에는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후진샤프트가 결합되며, 상기 후진샤프트의 일측에는 밀봉되도록 씰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샤프트에는 후진기어푸시판이 결합되며, 후진샤프트에는 후진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후진기어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좌석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기어에는 후진기어 가동제한구가 설치되며, 상기 후진기어와 후진기어 가동제한구 사이에는 후진기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기어스프링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코터 및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의 일측에는 제1 마개와셔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마개와셔의 일측에는 개스킷이 설치되고, 상기 개스킷의 일측에는 오일밀봉판이 볼트에 의해 기어박스조립체에 설치되고, 아울러 기어박스조립체에는 샤프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핀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핀은 와셔, 스프링와셔 및 볼트에 의해 기어박스조립체에 결합되며, 기어박스조립체에는 클러치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라인은 너트에 기어박스조립체에 체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바퀴구동부는, 기어박스조립체의 저면에 설치되며, 바퀴구동부에는 동력전달장치가 이동되도록 타이어가 결합됨은 물론 땅을 배토시키는 로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조립체의 하부에는 동력전달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조립체에는 바퀴출력축이 설치되도록 크랭크캐비넷이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조립체의 저면에는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베벨기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조립체와 동력전달조립체 사이에는 샤프트 개스킷이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조립체에는 크랭크캐비넷이 고정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의 저면에는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오일드레인플러그가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조립체는 기어박스조립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볼트에는 스프링와셔 및 플랫와셔가 함께 설치되며, 상기 바퀴출력축에는 축스페이서, 와셔 및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바퀴출력축에는 베벨기어축에 맞물리는 워킹베벨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에 밀착되는 개스킷이 설치되며, 상기 바퀴출력축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의 외면에는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바퀴출력축을 안정되게 결합하는 기어박스가드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가드의 내면에는 오일씰이 구비되고, 상기 기어박스가드는 플랜지볼트, 스프링와셔, 플랫와셔에 의해 플랜지에 긴밀하게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조향부는, 미션부에 대하여 핸들프레임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핸들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기어, 상기 하부기어의 상면에 회전브래킷이 결합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하부기어에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저면에 상부기어가 형성된 회전브래킷, 상기 회전브래킷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기어로 구성되는 방향전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바퀴구동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조향부에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레버,상기 회전레버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엔진부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스위치를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는 정지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엔진부의 구동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레버가 포함되며, 상기 미션부의 회전력이 보행형 작업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퀴구동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상기 엔진부의 회전력을 동일한 회전수로 전달하도록 상기 미션부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는 동력전달장치가 후방으로 전도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지지대는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중심축어댑터; 상기 중심축어댑터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미션부와 상기 중심축어댑터 사이에 설치되는 후부조립체;를 포함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방향조절유닛은, 동력전달부의 암에 구비되는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과, 조향부의 조향바와 연동설치되어 상기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의 상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 및 조향바에 고정설치되는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은 힌지축에 의해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1케이블이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케이블이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관이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과,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의 각각에는 다수의 단속공이 구비되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통해 락/해지 되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각도변경케이블은 일단은 조향부의 작동레버와 연동설치되며 타단은 분배기와 접속되는 메인케이블과, 상기 분배기와 접속된 메인케이블과 연동되는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케이블의 끝단으로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의 제1고정관으로 설치되어 조향부의 좌우회전 각도를 단속하는 제1고정핀과, 상기 분배기와 접속된 메인케이블과 연동되는 제2케이블 및 상기 제2케이블의 끝단으로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의 제2고정관으로 설치되어 조향부의 상하회전 각도를 단속하는 제2고정핀으로 구비된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에는 제1 및 제2고정핀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핀과 체결구, 제2고정핀과 체결구 사이에는 고정핀이 해지된 상태에서 원상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이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의하면, 바퀴구동부에 로터리 등을 결합하여 땅을 일정 깊이로 배토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전달조립체에 양수기, 분무소독기, 잔디깎기 등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나의 동력전달장치에 다수의 농기계를 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수 있고,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지지대 및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대에 의해 동력전달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의하면, 핸들프레임에 비상정지레버가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엔진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고, 동력전달조립체의 케이싱 및 연결용부싱에 의해 다른 농기계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트레일러핀에 의해 트레일러의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고 손쉽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은 방향전환장치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조향부를 상하 및 좌우 방향 전환 및 이를 통한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을 쉽게 전환 시킬 수 있는 효과와, 방향 전환시 회전반경을 최소화시켜 작업자의 피로감을 덜어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엔진부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미션부, 전방지지대,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미션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바퀴구동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조향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방향전환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비상정지레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비상정지레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동력전달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의 제2실시예 따른 방향전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변경케이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실용등록 제0489768)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동력전달장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다시한번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동력전달장치는,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부(100), 상기 엔진부(100)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바퀴구동부(300) 및 보행형 작업기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미션부(200), 상기 미션부(200)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미션부(200)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구동부(300), 상기 바퀴구동부(300)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미션부(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조향부(400), 상기 미션부(200)의 회전력이 상기 보행형 작업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미션부(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미션부(200)는 상기 바퀴구동부(300) 및 상기 동력전달부(500)에 상기 엔진부(100)의 회전력을 동일한 회전수로 전달하도록 상기 미션부(20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는 엔진부(100)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바퀴구동부(300) 및 동력전달부(500)에 엔진의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전달함은 물론 동력전달장치를 전후 및 좌우로 자유로이 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로터리, 양날 휴립기, 비닐 피복 작업기, 양수기, 분무소독기, 넝쿨제거기, 잔디깎기, 트레일러 등에 동력을 전달하여 줌으로써, 하나의 동력전달장치에 서로 다른 종류의 보행형 농기계를 자유로이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100), 상기 엔진부(10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미션부(200), 상기 미션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력전달장치가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바퀴구동부(300),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조향부(400) 및 로터리, 양날 휴립기, 비닐 피복 작업기, 양수기, 분무소독기, 넝쿨 제거기, 잔디깎기, 트레일러 등의 농기계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미션부(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500)로 이루어진다.
한편 미션부(200)에는 엔진부(10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큰 토크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구동부(300)에는 땅을 배토시킬 수 있도록 로터리가 직접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500)에는 양수기, 분무소독기 등의 농기계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동력전달 조립체가 구비되고, 조향부(400)에는 비상정지 조립체를 설치하여 긴급 상황에서 엔진부(100)의 구동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엔진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엔진부(100)는 일측에 엔진 어셈블리(111)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 어셈블리(111)의 일측에는 개스킷(112)이 설치된다.
아울러 엔진 어셈블리(111)의 일측에는 플랜지(113)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113)는 볼트(115)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엔진 어셈블리(111)의 회전력이 미션부(200)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베어링(116)이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113)에는 엔진 어셈블리(111)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배출나사(117)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 어셈블리(111)의 상부에는 엔진커버(121)가 설치된다.
상기 엔진커버(121)는 엔진 어셈블리(111)의 상부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엔진 커버(121)를 분리할 수 있도록 볼트(118), 플랫와셔(119) 및 고무와셔(12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엔진커버(121)의 전면에는 불빛을 발산시키는 헤드램프(122)가 설치되며, 엔진커버(121)의 전면에는 엔진커버 브래킷(123)이 설치된다.
또한 엔진 어셈블리(111)의 일측에는 스타터 레버(125)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 어셈블리(111)의 상부에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126)가 설치된다.
상기 엔진 어셈블리(111)의 후방에는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정화기(127)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기(127)의 일측에는 엔진 어셈블리(111)에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배기가스배출구(128)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션부(200), 동력전달부(500)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로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엔진부(100)의 후방에는 엔진 어셈블리(1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미션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미션부(200)의 전방에는 동력전달장치가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전방지지대(150)가 구비되며, 상기 미션부(200)의 후방에는 동력전달장치가 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후방지지지대(160)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지지대(150)는 미션부(200)의 전방에 설치되는데, 상기 전방지지대(150)는 소정 높이로 구비되는 지지대(151), 미션부(200)의 저면에 설치되는 범퍼(152), 상기 범퍼(151)의 상면에 안착되는 엔진브래킷(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51)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범퍼(152)가 고정되고, 상기 범퍼(152)의 상면에는 엔진브래킷(153)이 설치된다.
상기 범퍼(152)와 엔진브래킷(153)은 수직 방향으로 너트(154)와 볼트(158)에 의해 고정됨은 물론 상기 엔진브래킷(153)은 미션부(200)에 밀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너트(156), 스프링와셔(156), 플랫와셔(157) 및 볼트(159)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 후방지지대(160)는 동력전달장치가 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후방지지대(160)는 중심축어댑터(161), 상기 중심축어댑터(16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162), 상기 미션부(200)와 중심축어댑터(161) 사이에 설치되는 후부조립체(1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축어댑터(161)는 후부조립체(166) 및 중심축(162)이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 어댑터(161)의 후방에는 소정 높이로 형성된 중심축(162)이 구비된다.
상기 중심축(162)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162)이 중심축어댑터(161)에 결합되도록 고정핀(163) 및 상기 고정핀(163)을 고정시키는 코터(164)가 구비된다.
아울러 미션부(200)와 중심축어댑터(161) 사이에는 후부조립체(166)가 설치된다. 상기 후부조립체(166)는 미션부(200)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부조립체(166)의 후방에는 트레일러 등이 결합되도록 트레일러핀(167) 및 코터(168)가 마련된다.
상기 미션부(200)는 엔진부(100)의 회전력이 바퀴구동부(300) 및 동력전달부(500)로 전달되도록 기어박스조립체(201)와 상기 기어박스조립체(201)의 하부에 바퀴구동부(300)가 설치되도록 동력전달부조립체(202)로 이루어진다.
도 5a는 미션부(200)의 기어박스조립체(201)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5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기어박스 조립체(201)에 결합되는 바퀴구동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상기 미션부(200)의 기어박스조립체(201)에는 엔진부(100)와 결합되는 샤프트(217)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17)의 일측에는 클러치코어(211)가 결합된다.
아울러 샤프트(217)에는 샤프트(217)와 함께 회전되는 기어전환 어셈블리(218)가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코어(211)는 샤프트(217)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와셔(212), 베어링(213), 와셔(214) 및 볼트(215)가 체결된다.
아울러 샤프트(217)에는 샤프트(217)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스프링(219)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스프링(219)이 샤프트(217)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구(220)가 고정된다.
또한 샤프트(217)의 양측에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씰(221)이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17)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22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어전환 어셈블리(218)에는 바퀴구동부(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더블평기어(231)가 맞물리며, 상기 더블평기어(231)의 내측에는 베벨기어축(232)이 설치된다.
상기 베벨기어축(232)은 플랫키(233)에 의해 더블평기어(231)에 결합되고, 상기 베벨기어축(232)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234)이 결합된다.
또한 기어박스조립체(201)에는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후진샤프트(241)가 결합되며, 상기 후진샤프트(241)의 일측에는 밀봉되도록 씰(242)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샤프트(241)에는 후진기어푸시판(243)이 결합된다.
상기 후진샤프트(241)에는 후진기어(244)가 설치되며, 상기 후진기어(244)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좌석스프링(245)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기어(244)에는 후진기어 가동제한구(247)가 설치되며, 상기 후진기어(244)와 후진기어 가동제한구(247) 사이에는 후진기어스프링(246)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기어스프링(246)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코터(248) 및 너트(249)가 체결된다.
상기 샤프트(217)의 타측에는 베어링(251)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251)의 일측에는 제1마개와셔(252)가 설치되며, 상기 제1마개와셔(252)의 일측에는 개스킷(254)이 설치되고, 상기 개스킷(254)의 일측에는 오일밀봉판(255)이 볼트(256)에 의해 기어박스조립체(201)에 설치된다.
아울러 기어박스조립체(201)에는 샤프트(217)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핀(261)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핀(261)은 와셔(262), 스프링와셔(263) 및 볼트(264)에 의해 기어박스조립체(201)에 결합된다.
또 기어박스조립체(201)에는 클러치라인(265)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라인(265)[0074] 은 너트(266)에 기어박스조립체(201)에 체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바퀴구동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구동부(300)는 기어박스조립체(201)의 저면에 설치되며, 바퀴구동부(300)에는 동력전달장치가 이동되도록 타이어(361)가 결합됨은 물론 땅을 배토시키는 로터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조립체(201)의 하부에는 동력전달조립체(202)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조립체(202)에는 바퀴출력축(341)이 설치되도록 크랭크캐비넷(317)이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조립체(201)의 저면에는 베벨기어(311)가 설치되고, 상기 베벨기어(311)에는 베어링(312)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조립체(201)와 동력전달조립체(202) 사이에는 샤프트 개스킷(313)이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조립체(202)에는 크랭크캐비넷(317)이 고정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317)의 저면에는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오일드레인플러그(318)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조립체(202)는 기어박스조립체(201)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볼트(319)가 체결되며, 상기 볼트(319)에는 스프링와셔(321) 및 플랫와셔(320)가 함께 설치된다.
상기 바퀴출력축(341)에는 축스페이서(342), 와셔(343) 및 베어링(344)이 설치되며, 상기 바퀴출력축(341)에는 베벨기어축(331)에 맞물리는 워킹베벨기어(345)가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317)에 밀착되는 개스킷(346)이 설치된다.
상기 바퀴출력축(341)에는 베어링(347)이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317)의 외면에는 플랜지(348)가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348)에는 바퀴출력축(341)을 안정되게 결합하는 기어박스가드(350)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가드(350)의 내면에는 오일씰(351)이 구비되고, 상기 기어박스가드(350)는 플랜지볼트(349), 스프링와셔(353), 플랫와셔(354)에 의해 플랜지(348)에 긴밀하게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361)는 바퀴출력축(34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바퀴구동부(300)는 타이어(361)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어(361)의 일측에는 타이어축(362)이 고정되고, 상기 타이어축(362)은 바퀴축(341)에 분리 가능하게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타이어축(362)에는 바퀴축(341)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고정핀(363)과 코터(366)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어축(362)은 볼트(364)와 너트(365)에 의해 타이어축(362)에 설치된다.
도 5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부(400)는 기어박스조립체(201)의 일측에 클러치포크축(411)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포크축(411)에는 클러치포크(412)가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포크(412)에는 클러치포크축(411)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볼트(413) 및 코터(414)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포크(412)의 일측에는 씰(415)이 결합되며, 상기 클러치포크(412)의 타측에는 부시(416)가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포크축(411)에는 홀더클러치(417)가 결합되고, 상기 홀더클러치(417)에는 한 쌍의 와셔(419) 및 너트(420)가 체결된다.
또한 기어박스조립체(201)의 타측에는 시프트암(431)이 설치되며, 상기 시프트암(431)의 일측에는 부시(432) 및 포크샤프트(433)가 설치된다.
상기 포크샤프트(433)에는 시프트포크(434)가 설치되며, 상기 시프트포크(434)에는 코터(436) 및 와셔(437)가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암(431)의 타측에는 플랫와셔(440), 스프링와셔(441) 및 너트(442)가 체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부(400)는 동력전달장치를 좌우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미션부(200)의 후방에 핸들프레임(451)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프레임(451)의 선단에는 고무손잡이(452)가 결합되고, 핸들프레임(451)의 일측에는 엔진부(100)의 구동을 조절하는 엑셀레이터(453)가 설치되며, 핸들프레임(451) 각각에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브레이크핸들(454, 455)이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핸들(454, 455)은 핸들프레임(451)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핀(456, 457)이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핸들(454, 455)에는 각각 와이어(458, 460)가 연결되고, 핸들프레임(451)에는 공구함(461)이 설치되며, 상기 공구함(461)은 볼트(462)에 의해 핸들프레임(451)에 고정된다.
아울러 공구함(461)에는 케이스(463)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463)에는 커버(46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464)는 힌지(46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프레임(451)의 일측에는 동력전달장치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로이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 어셈블리(470)가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 어셈블리(470)는 핸들프레임(451)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 어셈블리(470)는 프레임(472)의 상면에는 하부기어(47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어(473)의 상면에는 회전브래킷(474)이 결합되도록 고정축(473a)이 형성된다.
또 상기 회전브래킷(474)에는 하부기어(473)에 대응되게 저면에 상부기어(47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래킷(474)의 양 측면에는 각각 측면기어(476)가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핸들높이 조절레버(477)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높이조절레버(477)는 베어링(478) 및 와셔(479)에 의해 방향전환 어셈블리(4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어셈블리(470)의 타측에는 플레이트(481)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481)의 상면에는 케이스(482)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482)는 볼트(483, 484)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핸들프레임(451)에는 비상정지레버(490)가 설치되며, 상기 비상정지레버(490)는 작업 도중에 엔진부(100)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정지레버(49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레버(491)와 상기 회전레버(49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브래킷(492) 및 상기 브래킷(492)에 엔진부(100)를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493)가 설치된다.
또한 브래킷(492)에는 회전프레임(49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프레임(494)에는 스위치(493)를 전후진시키는 정지플레이트(495)가 설치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션부(200)의 후방에는 분무소독기, 양수기, 넝쿨제거기, 잔디깎기 등에 엔진부(10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동력전달부(500)가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217)의 선단에는 선(511)이 결합되고, 상기 선(511)의 일측에는 오링(512)이 설치되며, 상기 선(511)의 타측에는 스핀들슬리브(513)가 설치된다.
아울러 스핀들슬리브(513)에는 씰(514) 및 제2 마개와셔(515)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마개와셔(515)에는 라운드너트(516)가 체결되고, 상기 스핀들슬리브(513)에는 키세트(518)가 결합되며, 상기 키세트(518)는 플랫키(517)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키세트(518)의 일측에는 와셔(519) 및 너트(520)가 체결되며, 상기 스핀들슬리브(513)의 선단에는 동력전달조립체(530)가 볼트(521)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조립체(530)는 양수기, 분무소독기 등과 같이 동력을 필요로 하는 농기계를 결합하여 엔진부(100)의 구동에 의해 양수기의 펌프 또는 잔디깎기 등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조립체(530)는 기어박스조립체(201)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커버(531), 상기 고정커버(531)에 내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는 연결용샤프트(532), 상기 고정커버(531)의 외면에 체결되는 케이싱(535), 양수기 또는 분무소독기 등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용샤프트(532)에 결합되는 연결용부싱(5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커버(531)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샤프트(532)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싱(535)은 양수기 또는 분무소독기 등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용샤프트(53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체결되며, 상기 고정커버(531)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536)가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싱(535)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커버돌기(537)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부싱(54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중공에는 연결용샤프트(532)의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키홈(54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부싱(540)에는 볼트 등이 체결되도록 볼트구멍(542)이 형성된다.
상기의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실용등록 제0489768)에 개시된 공지의 기술이므로 추가적인 기술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방향 전환장치는 첨부 도면 도 12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500)의 암(501)과, 조향부(400)의 조향바(401)로 설치되는 방향조절유닛(1000)과, 조향부(400)를 포함하는 핸들에 구비된 작동레버(1300)와, 상기 방향조절유닛(1000)을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각도변경 케이블(1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레버(1300)는 하나로 이루어지며, 하기에서 설명할 각도변경케이블(1200)은 상기 작동레버(1300)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어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과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30)을 락/해지함에 의해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조절유닛(1000)은 동력전달부(500)의 암(501)에 구비되는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과, 조향부(400)의 조향바(401)와 연동설치되어 상기 좌우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의 상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1120) 및 조향바(401)에 고정설치되는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1120)은 힌지축(1121)에 의해 좌우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과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1케이블(1230)이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관(1122)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케이블(1240)이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관(1123)이 구비된다.
상기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과,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30)의 각각에는 다수의 단속공(1111)(1131)이 구비되며, 제1케이블(1230)과 제2케이블(1240)을 통해 락/해지 되어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의 단속공(1111)은 힌지축(1121)을 중심으로 원주형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단속공과 단속공의 각도는 대략 15~20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은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30)은 예각과 전면이 호형상으로 구비되며, 조향바(401)의 수직 및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의 수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속공(1131)과 단속공(1131)의 각도는 대략 8~12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변경 케이블(1200)은, 일단은 조향부(400)의 작동레버(1300)와 연동설치되며 타단은 분배기(1220)와 접속되는 메인케이블(1210)과, 상기 분배기(1220)와 접속된 메인케이블(1210)과 연동되는 제1케이블(1230) 및 상기 제1케이블(1230)의 끝단으로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1120)의 제1고정관(1122)으로 설치되어 조향부의 좌우회전 각도를 단속하는 제1고정핀(1231)과, 상기 분배기(1220)와 접속된 메인케이블(1210)과 연동되는 제2케이블(1240) 및 상기 제2케이블(1240)의 끝단으로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1120)의 제2고정관(1123)으로 설치되어 조향부의 상하회전 각도를 단속하는 제2고정핀(124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블(1230)과 제2케이블(1240)에는 제1 및 제2고정핀(1231)(1241)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1232)(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핀(1231)과 체결구(1232), 제2고정핀(1241)과 체결구(1242) 사이에는 제1, 2고정핀(1231)(1241)이 해지된 상태에서 원상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1233)(1243)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케이블(1230)의 제1고정핀(1231)은 제1고정관(1122)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체결구(1232)를 제1고정관에 체결하되, 상기 체결구의 외주연과 제1고정관의 외주연으로 나사를 형성하여 나사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케이블(1240)의 제2고정핀(1231)은 제2고정관(1123)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체결구(1242)를 제2고정관에 체결하되, 상기 체결구의 외주연과 제2고정관의 외주연으로 나사를 형성하여 나사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좌우 회전작동과, 상하 회전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작동레버(1300)를 작동시킴에 의해 각도변경케이블(1200)이 당겨지며, 이에 따른 제1, 2케이블(1230)(1240)이 당겨짐에 의해 제1, 2고정핀(1231)(1241)이 후진되어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과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30)의 해지가 이루어진다.
즉, 조향부(400)의 상하회전 조절이 필요할때, 작동레버(1300)를 작동시키면 좌우 및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1130)의 단속공(1111)(1131)에 유입된 제1,2고정핀(1231)(1241)이 해지되며, 이때 조향부(400)를 상하로 회전시켜 각도를 설정후 작동레버(1300)를 놓으면 해지된 제1,2고정핀(1231)(1241)이 인장스프링(1233)(1243)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다시 단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시,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1300)를 작동시키면 좌우 및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1110)(1130)의 단속공(1111)(1131)에 유입된 제1,2고정핀(1231)(1241)이 해지되며, 이때 조향부(400)를 좌우회전시켜 각도를 설정후 작동레버(1300)를 놓으면 해지된 제1,2고정핀(1231)(1241)이 인장스프링(1233)(1243)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다시 단속이 이루어진다.
이상태에서 조향부(4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면 최소의 회전반경을 통해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보행형 작업기의 좌회전시에는 작동레버(1300)를 작동시켜 고정핀의 해지된 상태에서 좌회전시킨 후 레버를 놓고 단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좌회전을 시도하면 되고, 우회전시는 이와 반대로 실행하면 된다.
급 코너 회전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게되면 최소의 회전반경을 통해 코너를 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최소의 회전반경을 통화여 회전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향전환장치는 레버를 작동함에 의해 제1.2고정핀(1231)(1241)이 단속공(111)(131)에서 동시에 해지되어 상하 및 좌우 방향을 동시에 전환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방향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엔진부 200 : 미션부
300 : 바퀴구동부 400 : 조향부
500 : 동력전달부 501 : 암
1000: 방향조절유닛 1110: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
1111, 1131: 단속공 1120: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
1121: 힌지축 1122: 제1고정관
1123: 제2고정관 1130: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
1200: 각도변경 케이블 1210: 메인케이블
1220: 분배기 1230: 제1케이블
1231: 제1고정핀 1232,1242 : 체결구
1233,1243: 인장스프링 1240: 제2케이블
1241: 제2고정핀 1300 : 작동레버

Claims (13)

  1.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부;
    상기 엔진부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바퀴구동부 및 보행형 작업기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미션부;
    상기 미션부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미션부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구동부;
    상기 바퀴구동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조향부;
    상기 미션부의 회전력이 보행형 작업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향부와 동력전달부로 연동설치되어 상기 조향부의 상하 회전각을 변환하고, 조향부와 동력전달부의 좌우 회전각을 변환하여 보행형 작업기의 원활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방향전환장치는,
    동력전달부의 암과, 조향부의 조향바로 설치되는 방향조절유닛과,
    조향부를 포함하는 핸들에 구비된 작동레버와 상기 방향조절유닛을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각도변경케이블로 구비되며,
    상기 방향조절유닛은,
    동력전달부의 암에 구비되는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과,
    조향부의 조향바와 연동설치되어 상기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의 상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 및 조향바에 고정설치되는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은 힌지축에 의해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1케이블이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케이블이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관이 구비되고,
    상기 좌우 회전각도 고정브라켓과, 상하 회전각도 고정브라켓의 각각에는 다수의 단속공이 구비되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통해 락/해지 되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변경케이블은,
    일단은 조향부의 작동레버와 연동설치되며 타단은 분배기와 접속되는 메인케이블과,
    상기 분배기와 접속된 메인케이블과 연동되는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케이블의 끝단으로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의 제1고정관으로 설치되어 조향부의 좌우회전 각도를 단속하는 제1고정핀과,
    상기 분배기와 접속된 메인케이블과 연동되는 제2케이블 및 상기 제2케이블의 끝단으로 좌우 회전각도 조절브라켓의 제2고정관으로 설치되어 조향부의 상하 회전 각도를 단속하는 제2고정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부는,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의해 구동되되, 일측에는 후방에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정화기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기의 일측에는 엔진 어셈블리에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배기가스배출구가 설치된 엔진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개스킷이 설치되고, 엔진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엔진 어셈블리의 회전력이 미션부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엔진 어셈블리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배출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 어셈블리의 상부에는 엔진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엔진커버는 엔진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엔진 커버를 분리할 수 있도록 볼트, 플랫와셔 및 고무와셔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진커버의 전면에는 불빛을 발산시키는 헤드램프가 설치되며, 엔진커버의 전면에는 엔진커버 브래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부는,
    엔진부에는 이동 및 회전 시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상기 엔진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엔진부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바퀴구동부 및 보행기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기어박스조립체에는 엔진부와 결합되는 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클러치코어가 결합되고, 아울러 샤프트에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기어전환 어셈블리가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코어는 샤프트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와셔, 베어링, 와셔 및 볼트가 체결되며, 아울러 샤프트에는 샤프트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스프링이 샤프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구가 고정되고, 샤프트의 양측에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씰이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이 설치되며, 기어전환 어셈블리에는 바퀴구동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더블평기어가 맞물리며, 상기 더블평기어의 내측에는 베벨기어축이 설치되며, 베벨기어축은 플랫키에 의해 더블평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베벨기어축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이 결합되며, 기어박스조립체에는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후진샤프트가 결합되며, 상기 후진샤프트의 일측에는 밀봉되도록 씰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샤프트에는 후진기어푸시판이 결합되며, 후진샤프트에는 후진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후진기어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좌석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기어에는 후진기어 가동제한구가 설치되며, 상기 후진기어와 후진기어 가동제한구 사이에는 후진기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후진기어스프링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코터 및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의 일측에는 제1 마개와셔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마개와셔의 일측에는 개스킷이 설치되고, 상기 개스킷의 일측에는 오일밀봉판이 볼트에 의해 기어박스조립체에 설치되고, 아울러 기어박스조립체에는 샤프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핀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핀은 와셔, 스프링와셔 및 볼트에 의해 기어박스조립체에 결합되며, 기어박스조립체에는 클러치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라인은 너트에 기어박스조립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구동부는,
    기어박스조립체의 저면에 설치되며, 바퀴구동부에는 동력전달장치가 이동되도록 타이어가 결합됨은 물론 땅을 배토시키는 로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조립체의 하부에는 동력전달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조립체에는 바퀴출력축이 설치되도록 크랭크캐비넷이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조립체의 저면에는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베벨기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조립체와 동력전달조립체 사이에는 샤프트 개스킷이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조립체에는 크랭크캐비넷이 고정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의 저면에는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오일드레인플러그가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조립체는 기어박스조립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볼트에는 스프링와셔 및 플랫와셔가 함께 설치되며, 상기 바퀴출력축에는 축스페이서, 와셔 및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바퀴출력축에는 베벨기어축에 맞물리는 워킹베벨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에 밀착되는 개스킷이 설치되며, 상기 바퀴출력축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캐비넷의 외면에는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바퀴출력축을 안정되게 결합하는 기어박스가드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가드의 내면에는 오일씰이 구비되고, 상기 기어박스가드는 플랜지볼트, 스프링와셔, 플랫와셔에 의해 플랜지에 긴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미션부에 대하여 핸들프레임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핸들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기어, 상기 하부기어의 상면에 회전브래킷이 결합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하부기어에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저면에 상부기어가 형성된 회전브래킷, 상기 회전브래킷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기어로 구성되는 방향전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바퀴구동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조향부에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레버,상기 회전레버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엔진부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스위치를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는 정지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엔진부의 구동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레버가 포함되며, 상기 미션부의 회전력이 보행형 작업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부는,
    바퀴구동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상기 엔진부의 회전력을 동일한 회전수로 전달하도록 상기 미션부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는 동력전달장치가 후방으로 전도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지지대는 상기 미션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중심축어댑터; 상기 중심축어댑터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미션부와 상기 중심축어댑터 사이에 설치되는 후부조립체;를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양수기, 분무소독기, 잔디깎기 등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조립체는 기어박스조립체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는 연결용샤프트;
    상기 고정커버의 외면에 체결되는 케이싱;
    양수기 또는 분무소독기 등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용샤프트에 결합되는 연결용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에는 제1 및 제2고정핀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핀과 체결구, 제2고정핀과 체결구 사이에는 고정핀이 해지된 상태에서 원상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KR1020210074924A 2021-06-09 2021-06-09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KR10235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24A KR102353595B1 (ko) 2021-06-09 2021-06-09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24A KR102353595B1 (ko) 2021-06-09 2021-06-09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595B1 true KR102353595B1 (ko) 2022-01-20

Family

ID=8005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924A KR102353595B1 (ko) 2021-06-09 2021-06-09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5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220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장 자동화 각도조절이 가능한 파종기의 핸들
KR20110008249A (ko) 2008-05-07 2011-01-2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행형 작업기
KR20130010824A (ko) 2011-07-19 2013-01-2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보행형 작업기
KR20130069520A (ko) 2011-12-16 2013-06-26 지금강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기계의 동력전달 클러치 장치
KR20170099262A (ko) * 2016-02-23 2017-08-31 한재헌 조향핸들형 파종장치
KR200489768Y1 (ko) 2018-06-18 2019-10-21 이범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259697B1 (ko) * 2021-03-08 2021-06-01 이지공업 주식회사 유압식 조향 및 제동장치가 구비된 경운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220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장 자동화 각도조절이 가능한 파종기의 핸들
KR20110008249A (ko) 2008-05-07 2011-01-2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행형 작업기
KR20130010824A (ko) 2011-07-19 2013-01-2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보행형 작업기
KR20130069520A (ko) 2011-12-16 2013-06-26 지금강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기계의 동력전달 클러치 장치
KR20170099262A (ko) * 2016-02-23 2017-08-31 한재헌 조향핸들형 파종장치
KR200489768Y1 (ko) 2018-06-18 2019-10-21 이범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259697B1 (ko) * 2021-03-08 2021-06-01 이지공업 주식회사 유압식 조향 및 제동장치가 구비된 경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74469A (en) Mower with extensible mounting frame and power transmitting means
CA1049384A (en) Implements for distributing liquids containing undissolved solids
US20100132229A1 (en) Powered Implement Machine
US20040007402A1 (en) Multipurpose power transferring device and working attachments
KR102003266B1 (ko)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US5651241A (en) Walk-behind mower controls with dual function control bracket
KR102353595B1 (ko)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KR100981652B1 (ko) 다목적 농기계
KR200489768Y1 (ko)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
JP6821123B2 (ja) 防除作業車
KR20090043642A (ko) 다목적 관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목적 트레일러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KR20190021109A (ko) 줄뿌림 비료살포기
JP2011030488A (ja) 走行作業機
CN2101359U (zh) 多功能分体组合式农机具
CN206452692U (zh) 一种履带自走式饲用苎麻中耕施肥一体机
CN209824439U (zh) 一种履带自走式甩刀除草机
US3052076A (en) Combined self-propelled, self-guiding tractor and rotary mower apparatus
CN109362263A (zh) 一种农用翻土装置
JPH09262009A (ja) 自走式施肥中耕機
KR20110091277A (ko) 살수 장치
JP2017055682A (ja) 粒状体散布装置
CN205921917U (zh) 管理式微耕机
JP4230438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3833065B2 (ja) 歩行型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