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82B1 -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82B1
KR102349782B1 KR1020190168850A KR20190168850A KR102349782B1 KR 102349782 B1 KR102349782 B1 KR 102349782B1 KR 1020190168850 A KR1020190168850 A KR 1020190168850A KR 20190168850 A KR20190168850 A KR 20190168850A KR 102349782 B1 KR102349782 B1 KR 102349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essure
alloy element
electrochemical
energy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331A (ko
Inventor
김상태
강종윤
송현철
백승협
김성근
최지원
김진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7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4/00Electrochemical current or voltage gener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6/00 - H01M12/00; Manufactur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 F03G7/012Electro-chemic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25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its use
    • F03G7/0252Motors; Energy harvesting or waste energy reco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29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the assemb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저장되는 전해액; 상기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가압부재;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을 인가받아 이온이 탈리되는 제1이온합금소자로 구성된 제1전극; 및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서 탈리된 이온이 삽입되는 제2이온합금소자와,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에 인가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변형방지층을 갖는 제2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의 이온 이동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Energy Harvester based on Electrochemical}
본 발명은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전력수요는 매년 증가하여 전력소비량이 급증하는 여름 및 겨울철에 블랙아웃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상황으로, 미래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 및 전력수요 증대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신 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태양광, 풍력, 파력, 열, 운동 에너지 등을 전기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에 대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에너지 하베스터 (energy harvester)는 사용되지 않거나 소모되는 에너지를 수집하여, 유용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특히 대형 시스템의 전력효율 향상이나 저전력 소형 전자시스템을 위한 반영구적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piezoeletric energy harvesting) 기술은 주변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예를 들면, 진동, 충격, 소리 등)를 압전 소재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렇게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이다. 대표적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예로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들 수 있으며,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서는 탄성체가 진동하면서 압전 소자를 변형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외에도 작은 기계적 에너지에 의해서도 큰 전기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진행되어 왔다. 한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연속적인 외부의 기계적 에너지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력원으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배터리 또는 캐퍼시터 등과 같은 저장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압전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팅 만을 적용하게 되는 경우, 압전출력이 높이 못하고, 특히 진동을 이용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경우 장치의 고유 진동수를 발생되는 변위가 최대가 되는 공진주파수에 맞춰서 구조를 설계해야한다. 하지만 이 경우 공진 주파수가 장치의 고정된 고유 진동수를 벗어나게 되면, 발생 변위가 크게 감소하여 압전 출력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종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이외에, 정전, 마찰, 전자기 유도 등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미국 등록특허 US8604664, US8368285, US7298017 등에서는 전기화학적 액츄에이터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특허는 통상의 1차 전극과 2차 전극을 갖는 전지 구성에서, 전압 인가에 따른 이온 이동에 따른 부피 변화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작동원리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즉, 이러한 전기화학적 액츄에이터는 전기가 인가되면, 제1전극부분과 제2전극부분 간에 이온 이동에 따라 굽힘 응력이 작용되어 굽힘 동작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특허에서도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미국 공개특허 US2016-0315358호는 전기화학셀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고, 배터리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압전 전기 화학물질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미국 공개특허 US2016-0315358호 역시, 외부 힘에 의해 전압/전류를 생성하는 것은 압전방식이고 이러한 압전방식으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을 뿐, 인가되는 압축력에 의해 이온이 이동되면서 전압/전류를 생산하지 구성,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 전기화학 기반 액츄에이터를 응용하여, 이에 대한 역작용을 적용한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한 구성, 작용원리를 연구하였다.
미국 등록특허 US8604664 미국 등록특허 US8368285 미국 등록특허 US7298017 미국 공개특허 US20160315358 미국 공개특허 US20180241034 미국 공개특허 US2017017047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가되는 압축력에 의해 이온이 이동되면서 전압, 전류를 생산하여 전기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저장되는 전해액; 상기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가압부재;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을 인가받아 이온이 탈리되는 제1이온합금소자로 구성된 제1전극; 및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서 탈리된 이온이 이동되는 제2이온합금소자와,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에 인가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변형방지층을 갖는 제2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의 이온 이동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변형방지층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의 외면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요크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온합금소자와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는 LixSi로 구성되며, 상기 변형방지층은 TiO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슬러리 기반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연결하는 쇼트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극은 Si입자 표면에 SiO2를 형성시킨 후, SiO2 외면에 TiO2를 코팅하고, 상기 SiO2 부분을 에칭하여 요크쉘 구조의 Si@TiO2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Si@TiO2를 슬러리화하고, 리튬치환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작하는 단계; 가압부재를 통해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전해액 내에 구비된 제1이온합금소자로 구성된 제1전극이, 압력을 인가받아 이온이 탈리되는 단계;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된, 제2이온합금소자와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의 외면과 특정간격 이격된 변형방지층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요크쉘 구조의 제2전극에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은 상기 변형방지층에 의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에 인가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상기 제1전극에서 탈리된 이온이 제2이온합금소자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의 이온 이동에 의해 전력을 생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 인가는, 특정시간동안 압력을 유지하는 단계와, 특정기간동안 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이온합금소자로 구성된 제1전극을 제조하고, 제2이온합금소자와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의 외면에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는 변형방지층을 갖는 요크쉘 구조의 제2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하우징 내에 저장된 전해액에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침지시키고, 쇼트회로를 통해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단을 폐쇄하고 상기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는, Si입자는 준비하는 단계; 상기 Si입자를 슬러리화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화된 Si에 리튬치환반응 공정을 진행하여, 슬러리 기반 LixSi로 구성된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의 제조하는 단계는, Si입자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Si입자 표면에 SiO2를 형성시키는 제2단계; 상기 SiO2 외면에 TiO2를 코팅하는 제3단계; 및 상기 SiO2 부분을 에칭하여 요크쉘 구조의 Si@TiO2가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 후에, 상기 Si@TiO2를 슬러리화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슬러리화된 Si@TiO2에 리튬치환반응 공정을 진행하여, 슬러리 기반 LixSi@TiO2로 구성된 제2전극을 제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에너지 하베스터에 따르면,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인가되는 압축력에 의해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 이온이 이동되면서 전압, 전류를 생산하여 스스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의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압력이 인가된 상태의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압력이 인가된 상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 입자의 가압상태와, Li+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전극의 Si@TiO2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의 Si@TiO2의 제조공정의 각 단계에 대한 SEM(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i@TiO2의 TEM(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
도 7a는 초기상태에서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
도 7b는 압력이 유지되어 Li+이 이동되는 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
도 7c는 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
도 7d는 압력해제가 유지되는 평형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의 과정이 특정주기로 반복되는 상태에서, 쇼트회로에 흐르는 전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성, 기능, 제조방법 및 그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의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압력이 인가된 상태의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전체적으로,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저장되는 전해액(11)과, 전해액(11)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가압부재(20)와, 제1전극(30)과, 제2전극(40)과, 제1전극(30)과 제2전극(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쇼트회로(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압부재(20)는 하우징(10)의 개방단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전해액(11)이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극(30)은 입자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입자는 제1이온합금소자(31)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전극(30)의 제1이온합금소자(31)는 전해액(11) 내에 구비되며, 가압부재(20)에 의한 압력을 인가받아 이온이 탈리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30)의 제1이온합금소자(31)는 LixSi로 구성된다.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1전극(30)을 구성하는 LixSi입자는 Si 나노입자를 슬러리화 한 후, 리튬치환반응을 진행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제2전극(40)은, 전해액(11) 내에 구비되며, 제2이온합금소자(41)와, 변형방지층(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전극(40)은 요크쉘 구조를 갖는 입자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이온합금소자(41)는 제1이온합금소자(31)와 같이 LixSi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이온합금소자(41)로는 제1전극(30)에서 탈리된 이온이 이동되게 된다. 또한, 변형방지층(42)은 가압부재(20)에 의한 압력이 제2이온합금소자(41)에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제2전극(40)은 제1전극(30)에서 탈리된 Li+이 제2이온합금소자(41)로 이동되지만, 변형방지층(42)에 의해 제2이온합금소자(41)로 압력이 인가되지는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전극(30)에서 제2전극(40)으로의 이온 이동에 의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압력이 인가된 상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 입자의 가압상태와, Li+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전극(40)의 입자는 변형방지층(42)이 제2이온합금소자(41)의 외면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요크쉘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이온합금소자(41)는 LixSi로 구성되며, 변형방지층(42)은 TiO2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전극(40)은 LixSi@TiO2 요크쉘구조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이 인가되면, 제1전극(30)의 입자 LixSi는 가압되게 되나, 제2전극(40)의 입자 LixSi@TiO2는 변형방지층(42)인 TiO2에 의해 제2전극 입자의 LixS(41)i에는 압력이 인가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압력인가가 지속되면, 제1전극(30) 입자 LixSi에서 Li+이 탈리되어 Li3 - xSi가 되고, 제1전극(30)에서 탈리된 Li+는 제2전극(40)의 제2이온합금소자(41인 LixSi로 이동되어 Li3 + xSi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전극(40)의 Si@TiO2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Si@TiO2의 제조공정의 각 단계에 대한 SEM(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전극 입자를 위한 요크쉘 구조의 Si@TiO2는 먼저, Si 나노입자를 준비한다.
그리고 TEOS 코팅을 통해 Si 나노입자외면에 SiO2를 코팅하게 된다. 그리고 SiO2 코팅된 입자에 대해 TBOT코팅을 통해 그 외면으로 변형방지층인 TiO2를 코팅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TiO2와 Si 사이에 위치되는 SiO2만을 에칭하여 요크쉘 구조의 Si@TiO2를 제조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i@TiO2의 TEM(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i@TiO2는 Si와 TiO2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는 요크쉘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전극(30)을 구성하게 될 Si입자와, 제2전극(40)을 구성하게 될 Si@TiO2에 대하여 슬러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전극은 Si입자를 슬러리화하고, 리튬치환반응을 통해 LixSi를 제조하게 된다. 예를 들어, 0.05g 정도의 Si입자와, 0.1~0.3g 정도의 그라파이트와 카본, 그리고 1g 정도의 바인더(예를 들어 PCP) 그리고 1g 이하의 용제를 혼합하여 슬러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슬러리화가 완료되면, 약 10시간 정도 리튬치환반응 공정을 진행하여 LixSi를 제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전극은 Si@TiO2 입자를 슬러리화하고, 리튬치환반응을 통해 LixSi@TiO2를 제조하게 된다. 예를 들어, 0.05g 정도의 Si@TiO2 입자와, 0.1~0.3g 정도의 그라파이트와 카본, 그리고 1g 정도의 바인더(예를 들어 PCP) 그리고 0.97g 이하의 용제를 혼합하여 슬러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슬러리화가 완료되면, 약 10시간 정도 리튬치환반응 공정을 진행하여 LixSi@TiO2를 제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원리에 대해 보다 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는 초기상태에서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 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압력이 유지되어 Li+이 이동되는 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c는 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d는 압력해제가 유지되는 평형상태에서의, 제1전극 입자와 제2전극입자와, 리튬 이온 양에 따른 전기전위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 제1전극(30) 입자는 Part B, 제2전극(40) 입자는 Part A로 표시하였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그래프는 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리튬 이온 양에 대한 전기전위 곡선과, 압력이 인가되은 상태에서의 리튬 이온 양에 대한 전기전위 곡선 상에 제1전극(30, Part B) 입자와 제2전극(40, Part A) 입자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초기에서 압력이 인가되게 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 입자들(Part B, LixSi NPs)에는 압력이 인가되나, 제2전극 입자(Part B)의 변형방지층 내부에 구비되는 LixSi에는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전극(40) 입자는 A 상태를 유지하나, 제1전극(30) 입자는 압력이 인가된 B`상태로 변화되며, 그래프 상에서 제2전극(40) 입자는 변화가 없으나 제1전극(30) 입자는 가압곡선 상으로 이동(B`)되어 전기변위가 낮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압력이 특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30) 입자의 Li+은 탈리되어 Lix - ySi가 되고, 이러한 탈리된 Li+는 제2전극(40) 입자로 이동되어 Lix + ySi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30) 입자는 Li+이 탈리되어 가압곡선 상에서 B``상태로 변화되고, 제2전극(40) 입자는 No stress 곡선 상에서 Li+가 이동되어 A`상태로 변화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압력이 해제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30) 입자에 대한 압력이 해제되어 가압곡선 상에서 No stress 곡선 상으로 이동(B```)되어 전기 변위가 증가되고, 제2전극(40) 입자는 A`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압력 해제가 유지되는 평형 상태에서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40)에서 Li+가 탈리되어 Lix + ySi에서 LixSi로 복귀되고, 탈리된 리튬이온은 제1전극(30)으로 이동되어 Lix-ySi에서 LixSi로 복귀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전극(40) 입자는 No stress 곡선상에서 A 상태로 변화되고, 제1전극(30) 입자는 No stress 곡선상에서 B 상태로 변화되면서 초기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의 과정이 특정주기로 반복되는 상태에서, 쇼트회로(50)에 흐르는 전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즉 30초 동안 가압상태를 유지하고, 그 후 가압을 해제한 상태로 30초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였을 대의 전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마다 반복되는 동일한 전류 그래프를 획득하여 반복성이 우수한 에너지 하베스터로서 작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하우징
11:전해액
20:가압부재
30:제1전극
31:제1이온합금소자
40:제2전극
41:제2이온합금소자
42:변형방지층
50:쇼트회로
100: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저장되는 전해액;
    상기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가압부재;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을 인가받아 이온이 탈리되는 제1이온합금소자로 구성된 제1전극; 및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에서 탈리된 이온이 이동되는 제2이온합금소자와,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에 인가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변형방지층을 갖는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변형방지층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의 외면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요크쉘 구조를 가지며,
    가압부재를 통해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면, 제1전극은 압력을 인가받아 이온이 탈리되며, 변형방지층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요크쉘 구조의 제2전극은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이 상기 변형방지층에 의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에 인가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상기 제1전극에서 탈리된 이온이 제2이온합금소자로 이동되고, 상기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의 이온 이동에 의해 전력을 생산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인가 유지시간에 따라 전류의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온합금소자와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는 LixSi로 구성되며,
    상기 변형방지층은 TiO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슬러리 기반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연결하는 쇼트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Si입자 표면에 SiO2를 형성시킨 후, SiO2 외면에 TiO2를 코팅하고, 상기 SiO2 부분을 에칭하여 요크쉘 구조의 Si@TiO2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Si@TiO2를 슬러리화하고, 리튬치환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8.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작하는 단계;
    가압부재를 통해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전해액 내에 구비된 제1이온합금소자로 구성된 제1전극이, 압력을 인가받아 이온이 탈리되는 단계;
    상기 전해액 내에 구비된, 제2이온합금소자와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의 외면과 특정간격 이격된 변형방지층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요크쉘 구조의 제2전극에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은 상기 변형방지층에 의해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에 인가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상기 제1전극에서 탈리된 이온이 제2이온합금소자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의 이온 이동에 의해 전력을 생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 인가는, 특정시간동안 압력을 유지하는 단계와, 특정기간동안 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방법.
  10.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이온합금소자로 구성된 제1전극을 제조하고, 제2이온합금소자와 상기 제2이온합금소자의 외면에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는 변형방지층을 갖는 요크쉘 구조의 제2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하우징 내에 저장된 전해액에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침지시키고, 쇼트회로를 통해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단을 폐쇄하고 상기 전해액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는,
    Si입자는 준비하는 단계;
    상기 Si입자를 슬러리화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화된 Si에 리튬치환반응 공정을 진행하여, 슬러리 기반 LixSi로 구성된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의 제조하는 단계는,
    Si입자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Si입자 표면에 SiO2를 형성시키는 제2단계;
    상기 SiO2 외면에 TiO2를 코팅하는 제3단계; 및
    상기 SiO2 부분을 에칭하여 요크쉘 구조의 Si@TiO2가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후에,
    상기 Si@TiO2를 슬러리화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슬러리화된 Si@TiO2에 리튬치환반응 공정을 진행하여, 슬러리 기반 LixSi@TiO2로 구성된 제2전극을 제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
KR1020190168850A 2019-12-17 2019-12-17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349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850A KR102349782B1 (ko) 2019-12-17 2019-12-17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850A KR102349782B1 (ko) 2019-12-17 2019-12-17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31A KR20210077331A (ko) 2021-06-25
KR102349782B1 true KR102349782B1 (ko) 2022-01-12

Family

ID=7662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850A KR102349782B1 (ko) 2019-12-17 2019-12-17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7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5358A1 (en) * 2015-04-27 2016-10-2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Device for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through a piezoelectrochemical effect
US20170170473A1 (en) * 2014-02-03 2017-06-15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Anode compositions and alkali metal batteries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7946B2 (en) 2004-06-14 2012-08-2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chemical actuator
US7298017B1 (en) 2004-08-28 2007-11-20 Hrl Laboratories, Llc Actuation using lithium/metal alloys and actuator device
WO2012083174A2 (en) 2010-12-17 2012-06-2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chemical actuators
US20160372742A1 (en) 2013-07-05 2016-12-22 Cornell Uniiversity Yoke-shell nanoparticle, method and applications
KR101561101B1 (ko) * 2013-11-04 2015-10-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촉매슬러리조성물, 다공성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70473A1 (en) * 2014-02-03 2017-06-15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Anode compositions and alkali metal batteries comprising same
US20160315358A1 (en) * 2015-04-27 2016-10-2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Device for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through a piezoelectrochemical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31A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ok-Chennault et al. Powering MEMS portable devices—a review of non-regenerative and regenerative power supply systems with special emphasis on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s
Kim et al. Mechanical energy conversion systems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Kinematic and vibrational designs
Shen et al. A review of on-chip micro supercapacitors for integrated self-powering systems
Wang et al. Single-electrod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based on sponge-like porous PTFE thin films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and self-powered electronics
Jiang et al. Effect of graphene modified Cu current collector on the performance of Li4Ti5O12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Liao et al. Structural effects and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power harvesting
US8508108B2 (en) Polymer metal composite membranes
US7923895B2 (en) Electrochemical methods, devices, and structures
Koyama et al. Harnessing the actuation potential of solid‐state intercalation compounds
US7567056B2 (en) Quantum generator and related devices of energy extraction and conversion
KR20150104590A (ko) 다공질 실리콘 미립자의 생성을 위한 전기화학적 및 화학적 복합 에칭 방법
Anand et al. Energy harvesting using ionic electro-active polymer thin films with Ag-based electrodes
CN107799649B (zh) 压电能量收集器件及其制造方法
KR100880010B1 (ko) 에너지 추출 및 변환에 관한 양자 발생기 및 관련 장치
US20190207537A1 (en) Piezoelectric Zero-point Power Units
WO2019031075A1 (ja) 全固体電池
Yang et al. Graphene foam as a stable anode material in lithium‐ion batteries
KR102349782B1 (ko)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Zhong et al. Design Strategy of High Stability Vertically Aligned RGO@ V2O5 Heterostructure Cathodes for Flexible Quasi-Solid-State Aqueous Zinc-Ion Batteries
Tan et al. Electrodes with unique graphite sheet-supported Zn–Co–S nanoparticles for hybrid supercapacitors with high performance
JP4911902B2 (ja) 圧電発電素子
Li et al. Lithiated hybrid polymer/inorganic PAA/MnO2 protection layer for high-performance Tin oxide alloy anode
Tang et al. Piezoelectric Thick Film Based on Bonding Technologies for Energy Harvester.
KR100963571B1 (ko) Spse 결합체 기반 전기 활성 고분자 작동기 및 이의 제조 방법
Ram et al. Simple piezoelectric based mems energy harvester design and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