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953B1 - Bowl recovery equipment - Google Patents

Bowl recovery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953B1
KR102348953B1 KR1020190095199A KR20190095199A KR102348953B1 KR 102348953 B1 KR102348953 B1 KR 102348953B1 KR 1020190095199 A KR1020190095199 A KR 1020190095199A KR 20190095199 A KR20190095199 A KR 20190095199A KR 102348953 B1 KR102348953 B1 KR 10234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accommodating part
unit
detect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6870A (en
Inventor
김동용
Original Assignee
김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용 filed Critical 김동용
Priority to KR102019009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953B1/en
Publication of KR2021001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그릇을 손쉽게 반납할 수 있고 반납 상태에서 그릇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깔끔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그릇을 적재할 수 있고 그릇 반출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그릇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탑재되어 수직방향으로 그릇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릇 수용부가 마련된 몸체부와, 그릇 수용부에 위치하여 그릇을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상하로 신축되는 승강부와, 그릇 수용부 상단에 위치하여 그릇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그릇 적재 기능시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승강부를 수축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 내로 하향 적재하고, 그릇 반출 기능시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지 않으면 승강부를 신장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이용자가 그릇을 손쉽게 반납할 수 있고 반납 상태에서 그릇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깔끔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그릇을 적재할 수 있고 그릇 반출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져 운영비용을 낮추고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wl collecting device in which a user can easily return a bowl, and the bow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turned state, so that the bowl is not only neat overall, but also can load a large amount of bowls and take out the bowl automaticall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part manufactured to be movable, a body part provided with at least one bowl accommodating part mounted on the base part to accommodate a bowl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bowl accommodating part to load or take out bowls A lifting part that expands and contracts up and down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moved, a sensor part located at the top of the bowl accommodating part to detect the presence of a bowl, and when a bowl is detected from the sensor part during the bowl loading function, the lifting part is contracted to move the bowl into the bowl accommodating part A control unit is provided for loading the bowl downward, and extending the elevating unit to withdraw the bowl from the bowl accommodating part if the bowl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during the bowl unloa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user can return the bowl easily, and the bow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turned state, so it is not only neat overall, but also the bowl can be loaded in large quantity, and the bowl is taken out automatically, thereby lowering the operating cost and reducing the operation cos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그릇 수거장치{BOWL RECOVERY EQUIPMENT}Bowl collection device {BOWL RECOVERY EQUIPMENT}

본 발명은 그릇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그릇을 손쉽게 반납할 수 있고 반납 상태에서 그릇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깔끔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그릇을 적재할 수 있고 그릇 반출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그릇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 coll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user can easily return a bowl, and the bow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turned state, so it is not only neat overall, but also a large amount of bowls can be loaded and the bowl is taken out automatically It relates to a bowl collection device consisting of.

일반적으로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 예컨대 고속도로 휴게소, 급식소, 구내식당, 패스트푸드점, 할인마트의 경우 일시에 많은 그릇(식기, 쟁반, 바구니 등)이 배출될 경우 바로 처리가 어렵다는 점에서 그릇 수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facilities used by multiple people, such as highway rest stops, food service centers, cafeterias, fast food restaurants, and discount marts, if a lot of dishes (dishware, trays, baskets, etc.) are discharged at once,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process them, so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077호(2013. 9. 10.등록)는 식탁 위의 빈그릇이 크기별로 자동으로 분류되어 이송대차에 놓여지도록 구성되는 식기수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테이블 및 다리로 구성되는 식탁과; 테이블의 하측에 구비되며,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릇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슈트와; 배출슈트의 바닥면에 가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릇 바닥면이 접하여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바닥롤러와; 낮은그릇의 테두리가 접하도록 하여 낮은그릇의 배출을 안내하는 1층롤러와; 1층롤러보다 높은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세로로 설치되어, 높은그릇의 테두리가 접하도록 하여 높은그릇의 배출을 안내하는 2층롤러와; 수저 이동을 안내하는 수저레인과; 배출슈트의 하단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배출슈트에 낙하된 오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홀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배출슈트를 통해 배출되는 그릇과 수저가 낙하되어 놓여지는 식기대차 등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9077 (Registered on September 10, 2013) relates to a tableware collection system configured so that empty dishes on the table are automatically sorted by size and placed on a transfer cart, which includes tables and legs. a dining table consisting of; a discharge chut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able and installed at an angle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bowl; a bottom roller which is horizontal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chute and guides the bowl bottom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chute to be easily discharged; a first-floor roller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lower bowl so that the rim of the lower bowl is in contact; a second-layer roller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rotatably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floor roller and guides the discharge of the high bowl so that the rim of the high bowl is in contact; and a spoon lan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poon; a drain hol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chute so that the dirt falling on the discharge chute is discharged;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and the configuration is described, such as a dish tray on which a bowl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chute and a cutlery are dropped and placed.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배출슈트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릇 배출을 하측으로 유도하는데 이때 유리나 사기로 제작된 그릇의 경우에는 서로 부딪혀 파손될 우려가 있고, 배출슈트 끝단에 그릇을 적재하기 위한 다이가 설치되는데, 이 경우 배출슈트의 높이만큼 그릇을 적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릇을 대량으로 적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In 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ischarge chute is installed inclinedly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bowl to the lower side. 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a limit to loading a large amount of bowls in that it could not be loaded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chut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용자가 그릇을 손쉽게 반납할 수 있고 반납 상태에서 그릇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깔끔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그릇을 적재할 수 있고 그릇 반출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져 운영비용을 낮추고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그릇 수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can easily return the bowl, and the bow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turned state, so it is not only neat overall, but also can load the bowl in large quantities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single bowl collection device so that the unloading is also performed automatically, thereby lowering operating costs and further improving work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탑재되어 수직방향으로 그릇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릇 수용부가 마련된 몸체부와, 그릇 수용부에 위치하여 그릇을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상하로 신축되는 승강부와, 그릇 수용부 상단에 위치하여 그릇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그릇 적재 기능시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승강부를 수축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 내로 하향 적재하고 센서부로부터 그릇 감지가 해제되면 승강부의 수축을 정지시키며, 그릇 반출 기능시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지 않으면 승강부를 신장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로부터 인출시키고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승강부의 신장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base part manufactured to be movable, a body part provided with at least one bowl accommodating part mounted on the base part to accommodate the bow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wl accommodating part A lifting unit that expands and contracts vertically to load or take out a bowl, a sensor unit located at the top of the bowl accommodating part to detect the presence of a bowl, and a container when a bow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during the bowl loading function. When the bowl is loaded down into the bowl accommodating part, when the bowl detection is released from the sensor unit, the contraction of the elevating part is stopp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stop the elongation of the lifting unit when the bowl is detected from the.

상기의 몸체부는 원통형으로 그릇 수용부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축봉을 매개로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dy portion is cylindrical and the bowl receiving portion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shaft rod.

상기의 몸체부를 회전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는 저면에 좌우로 탄지된 스토퍼가 마련되고, 베이스부는 내주면상에 스토퍼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안착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maintain the state after rotating the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supported from side to side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as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seating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topper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의 승강부는 주름관 튜브로 이루어져 에어가 공급될 경우 신장되고 에어가 배출될 경우 수축하여 그릇 수용부 내를 승강하도록 에어의 공급과 배출을 단속하는 전자밸브가 컴프레서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그릇이 놓이는 트레이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vating part consists of a corrugated tube tube, which expands when air is supplied and contracts when air is dischar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y is detachably provided.

그리고 상기의 그릇 수용부는 저면에 베이스부와 연통하는 배수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bowl accommodat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ase part is perforated on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가 그릇을 손쉽게 반납할 수 있고 반납 상태에서 그릇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깔끔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그릇을 적재할 수 있고 그릇 반출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져 운영비용을 낮추고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return the bowl, and the bow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eturned state, so it is not only neat overall, but also the bowl can be loaded in a large amount, and the bowl can also be taken out automatically, thereby lowering the operating cost and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It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릇 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릇 수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릇 수거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릇 수거장치의 승강부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릇 수거장치의 승강부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w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bow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w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of the bow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unit of the bow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릇 수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w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탑재되어 수직방향으로 그릇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릇 수용부(20)가 마련된 몸체부(30)와, 그릇 수용부(20)에 위치하여 그릇을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상하로 신축되는 승강부(40)와, 그릇 수용부(20) 상단에 위치하여 그릇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50) 및, 그릇 적재 기능시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승강부(40)를 수축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20) 내로 하향 적재하고, 그릇 반출 기능시 센서부(50)로부터 그릇이 감지되지 않으면 승강부(40)를 신장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20)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제어부(100)가 구비된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 manufactured to be movable, and a body portion ( 30),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and the lifting part 40 that expands and contracts up and down to load or unload the bowl,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owl located at the top of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When a bow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during the portion 50 and the bowl loading function, the lifting unit 40 is contracted to load the bowl downward into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and the bowl is removed from the sensor unit 50 during the bowl unloading function. If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for extending the lifting unit 40 to withdraw the vessel from the vessel receiving unit 20 is provided.

미설명부호 110은 제어부(100)를 내측에 수용하는 조작패널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그릇 적재 기능과 그릇 반출 기능을 각 선택하기 위한 운전스위치, 이들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 및 그릇 수용부의 구동을 단독 또는 그룹으로 지정하기 위한 선택버튼 등이 마련된다.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n operation panel housing the control unit 100 inside, an on/off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an operation switch for selecting each of the bowl loading function and the bowl unloading function, and displaying these operating states A selection button, etc. for designating the driving of the indicator light and the bowl accommodating part alone or as a group are provided.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베이스부(10)는 하부에 바퀴(11)가 장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다. In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base portion 10 is manufactured to be movable by mounting the wheels 11 on the lower portion.

몸체부(30)는 베이스부(10)에 탑재되는데, 수직방향으로 그릇을 수용하기 위한 그릇 수용부(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The body part 30 is mounted on the base part 10, and at least one bowl accommodating part 20 for accommodating the bowl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그릇 수용부(20)는 수거하고자 하는 그릇 사이즈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지는데, 그릇이 상하로 적재된 상태에서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그릇 수용부(20)를 따라 승강하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The size of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wl to be collect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wl is manufactur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without collapsing sideways in a state in which the bowl is stacked up and down.

따라서 이용자의 그릇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크기에 따라 그릇을 회수할 수 있도록 몸체부(30)에는 다양한 크기의 그릇 수용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s bowl siz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body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bowl accommodating portions 20 of various sizes so that the bowl can be recovered according to the size.

승강부(40)는 그릇 수용부(20)에 위치하여 그릇이 적재되는 부분으로 수축으로 더 많은 그릇을 적재할 수 있고, 신장으로 적재된 그릇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The lifting unit 40 is located in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so that more bowls can be loaded by contraction as a portion where bowls are loaded, and the loaded bowls can be withdrawn by extension.

센서부(50)는 그릇 수용부(20) 상단에 위치하여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에 따라 그릇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는데, 접촉식의 경우 그릇이 그릇 수용부(20)에 놓일 때 그 접촉에 의해 감지하는 리밋스위치로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고, 비접촉식의 경우 그릇이 그릇 수용부(20)에 놓일 때 감응되는 근접센서에 의해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5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to detect the presence of a bowl according to a contact or non-contact method. It can be well implemented as a limit switch, and in the case of a non-contact type, it can be well implemented by a proximity sensor that is sensitive when the bowl is placed on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

제어부(100)는 그릇 적재 기능과 그릇 반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릇 적재 기능시에는 센서부(50)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승강부(40)를 수축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20) 내로 하향 적재하고, 그릇 반출 기능시에는 센서부(50)로부터 그릇이 감지되지 않으면 승강부(40)를 신장시켜 그릇을 그릇 수용부(20)로부터 인출시키게 된다. The control unit 100 makes it possible to select a bowl loading function and a bowl unloading function, and when a bow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 during the bowl loading function, the lifting unit 40 is contracted to move the bowl into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 When the bowl is loaded downward, and the bowl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 during the bowl unloading function, the elevating unit 40 is extended to withdraw the bowl from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그릇 수거장치는 베이스부(10)에 바퀴(11)가 장착되어 그릇을 반납받기 위해 퇴식구로 이동시키거나 회수한 그릇을 설거지하기 위해 개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bowl collect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wheel 11 on the base portion 10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sink to receive the bowl returned or moved to the sink to wash the recovered bowl.

그릇 수거장치가 퇴식구에 위치한 경우 그릇 적재 기능을 실행하는데, 이용자가 그릇을 그릇 수용부(20)에 올려놓게 되면 센서부(50)에 의해 그릇이 감지되고, 이때 제어부(100)가 승강부(40)를 수축시키고 다시 센서부(50)로부터 그릇 감지가 해제되면 제어부(100)가 승강부(40)의 수축을 정지시킴에 따라 그릇들은 센서부(50)보다 낮은 상태로 그릇 수용부(20)에 적재되게 된다. When the bowl collecting device is located in the pit, the bowl loading function is executed, and when the user puts the bowl on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the bow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 an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 is the lifting unit When the bowl detection is released from the sensor unit 50 again after the contraction 40, the control unit 100 stops the contraction of the lifting unit 40 so that the bowls are lower than the sensor unit 50 and the bowl receiving part ( 20) will be loaded.

따라서 외부에서는 그릇 수용부(20)를 통해 최상단의 그릇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전체적으로 깔끔한 인상을 준다. Therefore, only the uppermost bow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from the outside, giving a neat overall impression.

또한 그릇 수거장치가 개수대에 위치한 경우 그릇 반출 기능이 실행되는데, 작업자가 그릇을 그릇 수용부(20)로부터 들어내면 센서부(50)에 의한 그릇 감지가 해제되고, 이때 제어부(100)가 승강부(40)를 신장시키고 다시 센서부(50)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제어부(100)가 승강부(40)의 신장을 정지시킴에 따라 상단 그릇이 센서부(50)와 같은 상태로 그릇 수용부(20)에 대기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bowl collecting device is located in the sink, the bowl unloading function is executed. When the operator lifts the bowl from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the bowl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50 is released, an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lifting unit. When the bowl is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50 again after extending 40, the control unit 100 stops the elongation of the lifting unit 40 so that the upper bowl is placed in the same state as the sensor unit 50, and the bowl receiving part ( 20) will wait.

따라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그릇 수용부(20)로부터 그릇을 하나씩 꺼내어 설거지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by taking out the dishes one by one from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20 and washing the dishes without the worker bending the waist.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의 몸체부(30)는 원통형으로 그릇 수용부(20)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축봉(60)을 매개로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Next, referring to FIG. 3 , the body part 3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bowl receiving part 20 is circularly disposed,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rt 10 via the shaft rod 60 .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10)는 그 중심에 축봉(60)이 직립 설치되고, 이 축봉(60)에 몸체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In more detail, the base portion 10 has a shaft rod 60 installed upright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body portion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rod 60 .

물론, 몸체부(30)는 외측으로 그릇 수용부(20)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기계실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주름관 튜브(자바라)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콤프레서 및 에어 공급이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전자밸브 등이 탑재될 수 있고, 이러한 콤프레서 등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슬립링 구조가 축봉상에 마련될 수 있다. Of course, the body part 30 has a bowl accommodating part 20 disposed on the outside and a machine room on the inside, such as a compressor for supplying air to a corrugated tube tube (jabara)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ischarge, etc. This may be mounted, and a slip ring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may be provided on the shaft.

다음으로, 상기의 몸체부(30)를 회전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30)는 저면에 좌우로 탄지된 스토퍼(35)가 마련되고, 베이스부(10)는 내주면상에 스토퍼(35)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안착홈부(15)가 구비된다. Next, the body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35 supported from side to side on the bottom surface to maintain its state after rotating the body portion 30, and the base portion 10 is a stopp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response to (35), the seating grooves 15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상세하게는, 그릇 수용부(20)가 여러개 마련된 경우 몸체부(30)를 돌려가면서 다른 그릇 수용부에도 그릇을 적재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거지시에도 활용할 수 있다.In detail, when a plurality of bowl accommodating parts 20 are provided, the body part 30 is rotated to load bowls in other bowl accommodating parts, and it can be utilized even when washing dishes.

이를 위하여, 몸체부(30)는 저면에 회전방향으로 젖혀지고 힘이 제거되면 원상태를 유지하는 탄지된 스토퍼(35)가 마련되고, 베이스부(10)는 내주면상에 스토퍼(35)가 타고 넘거나 스토퍼(35)가 안착되는 안착홈부(15)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To this end, the body portion 30 is til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a stopper 35 that maintains the original state when the force is removed is provided, and the base portion 10 is equipped with a stopper 35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lternatively, the seating grooves 15 in which the stoppers 35 are seate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따라서 몸체부(30)가 회전 상태에서 스토퍼(35)가 안착홈부(15)를 타고 넘다가 힘이 제거되면 그 상태로 스토퍼(35)가 안착홈부(15)에 안착됨으로써 몸체부(30)를 회전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topper 35 rides over the seating groove 15 in the rotating state of the body 30 and the force is removed, the stopper 35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5 in that state, thereby removing the body 30. After rotating, you can maintain that state.

다음, 도 2 및 4, 5를 참조하면 상기의 승강부(40)는 주름관 튜브로 이루어져 에어가 공급될 경우 신장되고 에어가 배출될 경우 수축하여 그릇 수용부(20) 내를 승강하도록 에어의 공급과 배출을 단속하는 전자밸브(70)가 컴프레서(80)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그릇이 놓이는 트레이(9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Next, referring to FIGS. 2 and 4 and 5 , the lifting unit 40 is made of a corrugated tube tube, and when air is supplied, it expands and contracts when air is discharged. The solenoid valve 70 for controlling over-discharge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80, and the tray 90 on which the bowl is placed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주름관 튜브는 에어가 공급될 경우 신장되고 에어가 배출될 경우 수축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자바라 구조로 승강부(40)를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corrugated tube is stretched when air is supplied and contracted when air is discharged, and the elevating section 40 can be well implemented with a conventional bellows structure.

즉, 주름관 튜브(40)가 신장되게 에어를 공급한 상태에서 그 위에 그릇(1)을 놓고 그릇이 쌓이는 만큼 에어를 배출하면 주름관 튜브(40)가 수축되어 그 만큼 그릇(1)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그릇(1)의 적재로 주름관 튜브(40)가 수축된 경우에는 상단의 그릇을 꺼내고 그 높이 차만큼 에어를 공급하면 주름관 튜브(40)가 신장되어 그릇(1)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corrugated tube 40 is supplied with air to be elongated and the bowl 1 is placed on it and the air is discharged as much as the bowls are piled up, the corrugated tube 40 is contracted and the bowl 1 can be loaded by that much. there will be Conversely, when the corrugated tube 40 is contracted due to the loading of the bowl 1, when the upper bowl is taken out and air is supplied by the height difference, the corrugated tube 40 is extended and the bowl 1 is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

또한 승강부(40)인 주름관 튜브는 상단에 그릇이 놓이는 트레이(9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는 트레이(90) 바닥면에 나사공을 천공하여 주름관 튜브(40) 상단 볼트와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rrugated tube tube, which is the lifting unit 40, is provided with a tray 90 on which a bowl is placed on the top is detachably provided. It can be implemented detachably by

이러한 트레이(90)는 외경이 그릇 수용부(20)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제작함으로써 승강부(40)가 그릇 수용부(20)를 따라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릇에 남은 잔반 등이 그릇 수용부(20) 내로 낙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되었을 경우에도 쉽게 분리되므로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tray 90 has an outer diameter that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so that the lifting unit 40 can smoothly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and the leftovers in the bowl are removed from the bowl. Not only can it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accommodating part 20, but also when it is contaminated, it is easily separated so that it is easy to clean.

그리고 상기의 그릇 수용부(20)는 저면에 베이스부(10)와 연통하는 배수공(21)이 천공된다.And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is perforated with a drain hole 21 communicating with the base part 10 on the bottom surface.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릇 수용부(20)가 오염된 경우 트레이(90)를 제거하고 물을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그릇 수용부(20) 저면에 베이스부(10)와 연통하는 배수공(21)이 천공된다.This is a drain hole 21 communicating with the base part 1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so that the tray 90 can be removed and washed by spraying water when the bowl accommodating part 20 is contamin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erforat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그릇 수거장치는 세척이 용이하고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다중 이용시설에서 위생적으로 관리, 사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bow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ygienically managed and used in a multi-use facility by being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that is easy to clean and has strong corrosion resistance.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an embodiment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will be able to carry out

1 : 그릇
10: 베이스부
11: 바퀴
15: 안착홈부
20: 그릇 수용부
21: 배수공
30: 몸체부
35: 스토퍼
40: 승강부(주름관 튜브)
50: 센서부
60: 축봉
70: 전자밸브
80: 컴프레서
90: 트레이
100: 제어부
110: 조작패널
1: bowl
10: base part
11: wheel
15: seating groove
20: bowl receiving part
21: drain hole
30: body
35: stopper
40: elevating part (corrugated tube tube)
50: sensor unit
60: shaft
70: solenoid valve
80: compressor
90: tray
100: control unit
110: operation panel

Claims (5)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탑재되어 수직방향으로 그릇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릇 수용부가 마련된 몸체부와,
상기 그릇 수용부에 위치하여 그릇을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상하로 신축되는 승강부와,
상기 그릇 수용부 상단에 위치하여 그릇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그릇 적재 기능시 상기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부를 수축시켜 그릇을 상기 그릇 수용부 내로 하향 적재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그릇 감지가 해제되면 상기 승강부의 수축을 정지시키며, 그릇 반출 기능시 상기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부를 신장시켜 그릇을 상기 그릇 수용부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그릇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부의 신장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수거장치.
a base part made to be movable;
a body part mounted on the base part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bowl accommodating part so as to receive a bowl in a vertical direction;
An elevating part that is located in the bowl accommodating part and expands and contracts up and down to load or take out the bowl;
A sensor unit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bowl receiving part to detect the presence of a bowl; and
When a bow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during the bowl loading function, the lifting part is contracted to load the bowl downward into the bowl receiving part, and when the bowl detection is released from the sensor unit, the contraction of the lifting part is stopped, and the sensor when the bowl unloading function is performed If the bowl is not detected from the unit, the lifting unit is extended to withdraw the bowl from the bowl rece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extension of the lifting unit when the bow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으로 상기 그릇 수용부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축봉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수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wl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cylindrical and the bowl receiving portion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via a shaft ro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는 저면에 좌우로 탄지된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내주면상에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안착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수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art is provided with a stopper supported from side to side on the bottom surface to maintain its state after rotating the body part, and the base part is provided with seating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llec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주름관 튜브로 이루어져 에어가 공급될 경우 신장되고 에어가 배출될 경우 수축하여 상기 그릇 수용부 내를 승강하도록 에어의 공급과 배출을 단속하는 전자밸브가 컴프레서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그릇이 놓이는 트레이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수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vating part is made of a corrugated tube tube, and when air is supplied, it expands and contracts when air is discharged. Dishes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y is detachably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 수용부는 저면에 상기 베이스부와 연통하는 배수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수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wl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ase portion is perforated on the bottom of the bowl receiving portion.
KR1020190095199A 2019-08-05 2019-08-05 Bowl recovery equipment KR102348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99A KR102348953B1 (en) 2019-08-05 2019-08-05 Bowl recovery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99A KR102348953B1 (en) 2019-08-05 2019-08-05 Bowl recovery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70A KR20210016870A (en) 2021-02-17
KR102348953B1 true KR102348953B1 (en) 2022-01-11

Family

ID=7473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99A KR102348953B1 (en) 2019-08-05 2019-08-05 Bowl recovery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95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894Y1 (en) * 1997-06-26 2001-04-02 어수곤 Rotable bowl container
KR101323806B1 (en) * 2011-11-24 2013-10-31 문수진 Apparatus for automatical ascent and descent of rice cooker for food service
KR101555044B1 (en) * 2014-07-01 2015-09-22 명형진 Dishwashing auto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894Y1 (en) * 1997-06-26 2001-04-02 어수곤 Rotable bowl container
KR101323806B1 (en) * 2011-11-24 2013-10-31 문수진 Apparatus for automatical ascent and descent of rice cooker for food service
KR101555044B1 (en) * 2014-07-01 2015-09-22 명형진 Dishwashing auto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70A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9175B2 (en) Dish washing apparatus and dish drying apparatus
JP2019182658A (en) Tableware and tableware tray turnover device and dishwashing system using the same
US7168905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KR102424278B1 (en) Serving apparatus
KR102074467B1 (en)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for creating a wash zone with selectable position
CN109199292B (en) Robot system for collecting, cleaning and classifying tableware
US8839910B2 (en) Food and drink conveyance device
CN108577733A (en) A kind of dining room dish separation cleaning machine
KR102348953B1 (en) Bowl recovery equipment
KR101728982B1 (en) Lift apparatus of bag for rice polishing machine
CN108482754A (en) A kind of restaurant with dividing congee device automatically
KR102286532B1 (en) Rotating washing system of tableware and food tray
KR102030524B1 (en) Dishwashing system
TWI621418B (en) Tableware washing apparatus and thereof methods
CN210124729U (en) Novel vertical commercial dish washer
KR200477139Y1 (en) Separation devices that tray bowl
KR101323806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 ascent and descent of rice cooker for food service
CN208573652U (en) Water basin dish-washing machine
CN208573657U (en) Water basin dish-washing machine
KR102624955B1 (en) Noodle Cooking System for Meal Service
JP2020075230A (en) Basket washing apparatus
CN218978677U (en) Full-automatic frying device
CN219971206U (en) Linen loading and conveying device
CN211834112U (en) Bowl jacking device
CN218402054U (en) Wall-mounted garbage 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