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00B1 -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300B1
KR102348300B1 KR1020190141504A KR20190141504A KR102348300B1 KR 102348300 B1 KR102348300 B1 KR 102348300B1 KR 1020190141504 A KR1020190141504 A KR 1020190141504A KR 20190141504 A KR20190141504 A KR 20190141504A KR 102348300 B1 KR102348300 B1 KR 10234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net
iot
contro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259A (ko
Inventor
심완보
유재면
이경석
정주오
Original Assignee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3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1One-way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은, 유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연결되고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성하는 AP에 접속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기반으로하여 사물 인터넷 기능을 가지지 않는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DIY Smart Hom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Disclosure)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가전기기에 IoT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IoT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가 불가능한 기존의 가정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홈 시스템으로 변환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그 구성원의 변화 뿐만아니라, 경제활동의 형태가 다양하게 분화, 진화함에 따라서, 최근의 주택은, 급격한 변화를 격고 있다.
그 중에 외부에서 주택 내부의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은, 5G 통신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구축되면서 더욱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의 전기요금만으로는 빈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즉, 1인 가구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가족 구성원의 생활이, 학교 및 직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가정에서 가족 구성원이 생활하는 실 시간이 짧기 때문에, 생활 수준이 높거나 또는 바쁜 사회 활동이 많을 수록 전기 사용량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장은 각종 통계를 통하여 신빙성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렇듯, 최근의 스마트홈 시스템은, 단지 몇몇 특정한 계층에서 고가의 가전지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불필요한 선택이 아니다.
오히려, 경제활동이 빈번한 계측에게는 주택의 필수 구성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하고 유용한 IoT 기능을 탑재한 가전기기는 최근들어 출시되고 있다.
기존에 판매된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현실적으로 IoT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홈 시스템을 경험할 수 없다. 최소한 수년동안 또는 10년이상 사용하는 가전기기를 교체하지 않는한 IoT 기능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IoT 기능을 탑재한 가전기기는, 대부분 고가(高價)의 하이엔드 제품으로서, 구매가 쉽지 않은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더우기, IoT 기능을 탑재한 가전기기의 IoT 기능은, 제조업체, 기기의 종류에 따라 독자적인 사용방법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동 방법은 물론이고 사용 방법이 규격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가(高價)의 IoT 기능 탑재 가전기기를 구매하였다 하더라도,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7694호
본 발명(Disclosure)은, IoT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가전기기에, 사용자가 IoT 기능을 부가할 수 있고, 다수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은, 유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연결되고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성하는 AP에 접속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기반으로하여 사물 인터넷 기능을 가지지 않는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내부 통신기; 미리 입력되고 상기 가전기기가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중 상기 제어명령에 매칭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선택하여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가전기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신호 송신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상기 내부 통신기는, 상기 AP가 제공하는 상기 LAN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상기 가전기기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는 리모컨으로 제어되며,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광하는 상기 가전기기의 기기 수광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신호로 변조된 IoT신호광을 상기 기기 수광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송신기는, 상기 적외선 신호보다 짧은 파장의 빛을 상기 제어신호로 변조한 상기 IoT신호광을 방출하는 IoT광원과, 상기 IoT신호광과 상기 리모컨에서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기 수광부에 조사하는 광결합기(beam combiner)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광결합기와 상기 기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IoT신호광 및 상기 적외선 신호가 합쳐진 광신호의 일부를 반사시켜 분할하는 광분할기(beam splitter) 및, 상기 관분할기에서 분할된 상기 IoT신호광 및 상기 적외선 신호의 일부를 수광하는 감지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가 생성한 전기신호를 기반으로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복제기를 더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망에 접속가능한 인터넷 통신부 및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기 제어부를 이용하여, IoT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가전기기에, 사용자가 IoT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장소에 비치된 서로 다른 다수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은, 인터넷 통신부(100) 및 기기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인터넷 통신부(100)는, 유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연결되고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성하는 AP(10)에 접속하여 사용자(1)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기기 제어부(200)는, 인터넷 통신부(100)에서 수신된 제어명령을 기반으로하여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능을 가지지 않는 가전기기(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기능을 갖추지 못한 가전기기(20)를, 인터넷상에서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기기 제어부(200)는, 내부 통신기(210), 신호 생성기(220) 및, 신호 송신기(230)를 가질 수 있다.
내부 통신기(210)는, 인터넷 통신부(1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신호 생성기(220)는,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 중 제어명령에 매칭하는 제어신호를 선택하여 생성한다.
제어명령은 신호 생성기(220)에 미리 입력될 수 있으며, 가전기기(20)가 판독 가능한 전기적 또는 광학적 통신 신호이다.
신호 송신기(2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가전기기(2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한다.
이때 내부 통신기(210)는, AP(10)가 제공하는 LAN을 통하여 인터넷 통신부(1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바람직하게는 무선방식으로 LAN에 접속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은, 인터넷 통신부(100)와 기기 제어부(2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인터넷 통신부(100)에 서로 다른 복수의 기기 제어부(200)가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AP(10)가 구성하는 LAN은, IP기반의 식별번호, 즉 사설 IP번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통신 기기가 연결된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터넷 통신부(100)는, AP(10)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1)와 연결된다.
인터넷 통신부(100)는, AP(10)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 제어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기기 제어부(200)는, AP(10)가 형성한 LAN 내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 즉 서로 다른 사설IP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기 제어부(2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기 제어부(200)는, 서로 다른 가전기기(20)에 배치되어 해당 가전기기(20)만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1)가 TV(21)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AP(10)로 전송하면, 인터넷 통신부(100)가 TV(21)에 배치된 기기 제어부(200)의 IP를 목적지로 하여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인터넷 통신부(100)는, AP(10)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 제어부(200)와 통신한다.
또는 사용자(1)가 에어컨(22)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AP(10)로 전송하면, 인터넷 통신부(100)가 에어컨(22)에 배치된 기기 제어부(200)의 IP를 목적지로 하여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인터넷 통신부(100)는, AP(10)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 제어부(200)와 통신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AP(10)는 가정내에서 인터넷 통신의 게이트웨이 기능을 하고 있으며, 벽으로 구획되는 서로 다른 공간 사이에서도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통신부(100)가 AP(10)에 배치되고, 각각의 기기 제어부(200)는, 각각의 가전기기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인터넷 통신부(100)를 통하여 사용자(1)는, 서로 이격되어 다양한 장소에 분산된 복수의 가전기기(20) 각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부(100)는, 바람직하게는 AP(10)와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기기 제어부(200)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사용자(1)는 단말기(1a)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a) 인터넷 통신부(100)와 통신할 수 있는 전용 어플을 설치함으로써 인터넷 통신부(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는 하나의 단말기(1a)와 하나의 어플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장소에 비치된 서로 다른 다수의 가전기기(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기능을 탑재하고 판매되는 가전기기를 구매할 경우에, 해당 가전기기의 제조사가 다를 경우에, 이를 제어하는 어플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럴 경우에, 사용자는 다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다수의 어플을 이용하기 때문에, 통합 관리가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은, 모든 가전기기를 하나의 인터넷 통신부, 하나의 어플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기기 제어부가 부착된 모든 가전기기를 통합하여 일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가전기기(20)는 적외선 신호(21c)를 방출하는 리모컨(21b)으로 제어되며, 기기 제어부(200)는, 리모컨(21b)으로부터 적외선 신호(21c)를 수광하는 가전기기(20)의 기기 수광부(21a, 22a)에 부착될 수 있다.
기기 수광부(21a, 22a)에 부착된 제어신호로 변조된 IoT신호광(231a)을 기기 수광부(21a, 22a)로 방출한다.
기기 제어부(200)를 기기 수광부에 부착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기능을 구비하지 못한 가전기기(20) 각각에 사용자(1)가 직접 IoT 기능을 장착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가전기기(20)에 IoT 기능이 내장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기(23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송신기(230)는 IoT광원(231) 및 광결합기(232)를 가진다.
IoT광원(231)는, 적외선 신호보다 짧은 파장의 빛을 제어신호로 변조한 IoT신호광을 방출한다.
또한 광결합기(beam combiner, 232)는 IoT신호광(231a)과 리모컨(21b)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신호(21c)를 결합하여 기기 수광부(21a, 22a)에 조사한다.
일반적인 가전기기용 리모컨과 가전기기는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가전기기용 리모컨은 적외선 광원을 내장하고 있으며, 특정한 신호로 변조된 적외선 광신호를 방출한다.
가전기기에 내장된 기기 수광부의 기본 구성은, 적외선을 흡수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광 다이오드(photo diode)이다.
IoT신호광(231a)이 적외선 신호(21c)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빛으로 형성되면, 가전기기(20)의 기기 수광부(21a, 22a)에 흡수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광결합기(232)를 이용함으로써,IoT신호광(231a)과 적외선 신호(21c)를 모두 기기 수광부에 조사할 수 있다.
즉, 가전기기(20)를, 리모컨(21b)과 기기 제어부(200)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수광부(21a, 22a)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낮은 에너지의 IoT신호광(231a)을 방출하여도 기기 수광부(21a, 22a)에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IoT광원(231)의 광학 설계가 단순해지며, 전력소모가 낮아질 수 있고, 소형 SMT형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신호 송신기(230) 또는 기기 제어부(200) 전체가 경박단소하게 설계될 수 있다.
더하여, 기기 제어부(200)가 기기 수광부(21a, 22a)에 부착되어도, 가전기기(20)의 리모컨(21b)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 인터넷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완성된 가전기기(20)를, 사용자가 직접(DIY) 사물 인터넷 기능을 내장한 가전기기(20)로 변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기기 제어부(200)는, 광분할기(233) 및 감지기(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분할기(beam splitter, 233)는 광결합기(232)와 기기 수광부(21a, 22a) 사이에 배치되고, IoT신호광 및 적외선 신호가 합쳐진 광신호의 일부를 반사(233b)시켜 분할한다.
또한 감지기(234)는, 관분할기(233)에서 분할된 IoT신호광 및 적외선 신호f를 포함하는 광신호(233b)의 일부를 수광한다.
광분할기(233)에 의해 분할된 광신호(233a, 233b)는, 가전기기(20)의 기기 수광부(21a, 22a)에 조사되는 신호로서, 리모컨(21b) 및 기기 제어부(200)에 의해 가전기기(20) 제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신호이다.
즉, 감지기(234)에서 감지되는 광신호(233b)를 이용하여, 리모컨(21b) 및 기기 제어부(200)에 의해 가전기기(20)를 작동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부는 감지기(234)에서 감지된 광신호(233b)를 시간 흐름에 따라 저장하는 광신호 로그 저장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1)는 자신의 단말기(1a)로 인터넷 통신부(100)와 데이터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전용 어플을 설치하고, 해당 어플을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부(100)에 특정한 가전기기(20)의 광신호 로그를 요청한다.
사용자는 광신호 로그를 열람함으로써, 외출 시에도 각 가전기기(20)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작동이 감지될 경우에, 알람을 설정함으로써 보안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기기 제어부(200)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 광센서가 생성한 전기신호를 기반으로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복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은, 신호 복제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리모컨(21b)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을 눌러 적외선 신호를 인위적으로 생성하되, 광센서를 향하도록 한다.
광센서에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기반으로 신호 복제기가 적외선 신호를 복제한다. 이렇게 복제된 제어신호는, 각각의 가전기기에서 인식될 수 있는 신호이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 기능이 없는 가전기기를 사물 인터넷 기능 탑재 가전기기로 변환하는 모든 작업을 사용자 스스로 완료할 수 있다.

Claims (7)

  1. 유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연결되고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성하는 AP에 접속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기반으로하여 사물 인터넷 기능을 가지지 않는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내부 통신기;
    미리 입력되고 상기 가전기기가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중 상기 제어명령에 매칭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선택하여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가전기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신호 송신기;를 가지고,
    상기 내부 통신기는,
    상기 AP가 제공하는 상기 LAN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가전기기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는 리모컨으로 제어되며,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광하는 상기 가전기기의 기기 수광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신호로 변조된 IoT신호광을 상기 기기 수광부로 방출하고,
    상기 신호 송신기는,
    상기 적외선 신호보다 짧은 파장의 빛을 상기 제어신호로 변조한 상기 IoT신호광을 방출하는 IoT광원과, 상기 IoT신호광과 상기 리모컨에서 방출되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기기 수광부에 조사하는 광결합기(beam combiner)를 가지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광결합기와 상기 기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IoT신호광 및 상기 적외선 신호가 합쳐진 광신호의 일부를 반사시켜 분할하는 광분할기(beam splitter) 및, 상기 광분할기에서 분할된 상기 IoT신호광 및 상기 적외선 신호의 일부를 수광하는 감지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가 생성한 전기신호를 기반으로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복제기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KR1020190141504A 2019-11-07 2019-11-07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KR10234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04A KR102348300B1 (ko) 2019-11-07 2019-11-07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04A KR102348300B1 (ko) 2019-11-07 2019-11-07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59A KR20210055259A (ko) 2021-05-17
KR102348300B1 true KR102348300B1 (ko) 2022-01-06

Family

ID=7615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04A KR102348300B1 (ko) 2019-11-07 2019-11-07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3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048B1 (ko) 1999-09-27 2002-10-05 주식회사 웹콘 전기기기 감시 및 제어 시스템
US20160197772A1 (en) * 2015-01-06 2016-07-07 Kiban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net of things (iot) remote control applications
KR101700122B1 (ko) 2016-08-10 2017-02-01 주식회사 금경 사물인터넷기반의 전자기기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775A (ko) * 2008-08-13 2010-02-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인터렉티브 ir을 이용한 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6954A (ko) * 2009-11-23 2011-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활기기 통합 원격제어 시스템
CN103905871B (zh) * 2014-03-24 2016-08-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家电控制方法、装置及终端
KR20150141129A (ko) * 2015-03-18 2015-12-17 (주) 엘케이일레븐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823766B1 (ko) * 2016-06-27 2018-03-14 주식회사 유타렉스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KR101826630B1 (ko) * 2016-07-06 2018-02-23 주식회사 세홍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67694B1 (ko) 2018-10-19 2019-04-11 (주)칩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의 무선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048B1 (ko) 1999-09-27 2002-10-05 주식회사 웹콘 전기기기 감시 및 제어 시스템
US20160197772A1 (en) * 2015-01-06 2016-07-07 Kiban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net of things (iot) remote control applications
KR101700122B1 (ko) 2016-08-10 2017-02-01 주식회사 금경 사물인터넷기반의 전자기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59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1798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でレーダを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10251243B2 (en) LED light control assembly and system
US1127233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radar with smart devices
US9655189B2 (en) LED ligh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CN111656091B (zh) 用于均匀输出的具有锥形透射部分的智能家居设备光环
US9258864B2 (en) LED ligh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JP5311470B2 (ja) リモート色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1620971B1 (ko) 씬 내에 위치해 있는 전자 기기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지니는 tof 조명 시스템 및 tof 카메라 및 동작 방법
US10116431B2 (en) Optical communic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RU2685976C2 (ru) Способы для инициирования конечных автоматов в ответ на события касания, обнаруженные в бытовых устройствах
US11664895B2 (en) LED light control assembly and system
JP2018525951A (ja) 室内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とインターネット・オブ・シングスシステム
KR102348300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Jabeena et al. Automation of home appliances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WI682639B (zh) 社群通信系統、方法及用於社群通信的光終端、現場終端
Scheianu et al. Hybrid VLC Communications system for increased security based on Raspberry Pi microcomputer
CN106940532A (zh) 家居控制器
CN108840187A (zh) 一种电梯控制***及电梯控制方法
US20210383403A1 (en) UV, SOUND POINT, iA OPERATING SYSTEM
Jaswal et al. Home Automation Using IoT and Node MCU
JP7217573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TWM630209U (zh) Wifi控制盒系統
JP2016066604A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27057A (ja) ワイヤレスキーボード方式
JP2010124343A (ja) 可視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