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30B1 -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630B1
KR101826630B1 KR1020160085782A KR20160085782A KR101826630B1 KR 101826630 B1 KR101826630 B1 KR 101826630B1 KR 1020160085782 A KR1020160085782 A KR 1020160085782A KR 20160085782 A KR20160085782 A KR 20160085782A KR 101826630 B1 KR101826630 B1 KR 10182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unit
power
hub unit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550A (ko
Inventor
박성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102016008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적외선 리모콘 방식의 가전기기를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이 되도록 스마트 허브유닛에 적외선 송신부를 설치하여 확장제어함과 동시에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주거시설 내에 전열유닛별로 불필요한 대기전력을 자동설정 및 자동차단하여 전력사용을 절감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는 스마트 허브유닛;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을 하는 스마트 탭;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실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시키는 적외선 송신부와, 상기 스마트 탭과의 전력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부,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부, 상기 스마트 탭,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Integrated network system for realizing the expan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적외선 리모콘 방식의 가전기기를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이 되도록 스마트 허브유닛에 적외선 송신부를 설치하여 확장제어함과 동시에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주거시설 내에 전열유닛별로 불필요한 대기전력을 자동설정 및 자동차단하여 전력사용을 절감시키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원거리에 있는 가전기기 및 조명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최근에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랜으로 명령을 내리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통하여 가정 내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고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환경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기내에 무선랜을 수신하고, 무선랜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별도로 장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가정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사용했는 기기에 별도의 장치가 추가되어야 하거나, 무선랜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장치가 구비된 기기를 구매해야만 사물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리모콘의 경우, 통합 리모콘 내 메모리에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코드를 가전기기에 맞게 변환하여 저장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코드를 사용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어하고 싶은 가전기기를 변경 및 등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해야만 가전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TV, 컴퓨터, 에어컨, 선풍기, 전기 밥솥, 전자레인지,오디오 등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전자기기의 경우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로 계속 사용되기 때문에 장시간 미사용하는 경우에도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설정하여, 전자기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설정된 대기전력을 기준으로 전자기기의 전원을 제어하게 되는데, 종래의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은 대기전력 설정값을 사용자가 각각의 전자기기에 대하여 수동으로 설정해야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부하변동에 따른 정확한 대기전력의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2706(발명의 명칭: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공고일: 2008년 04월 17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적외선 리모콘 방식의 가전기기를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이 되도록 스마트 허브유닛에 적외선 송신부를 설치하여 확장제어함과 동시에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주거시설 내에 전열유닛별로 불필요한 대기전력을 자동설정 및 자동차단하여 전력사용을 절감시키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는 스마트 허브유닛;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을 하는 스마트 탭;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실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시키는 적외선 송신부와, 상기 스마트 탭과의 전력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부,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부, 상기 스마트 탭,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탭은 상기 실내의 가전기기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하는 전력감시부, 상기 실내의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부 및 상기 실내의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설정하는 대기전력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탭에 전달하며, 상기 스마트 탭은 수신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에서 검출된 무선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위치인식부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존재하는 실내공간에 배치된 제 1 스마트 탭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스마트 탭과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원을 복구하는 전원복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유에스비 단자, 이웃하는 위치의 상시전력 소비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상시전원 콘센트, 이웃하는 위치의 가전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일반전원 콘센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탭에서 측정되는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을 경유하여 외부의 관리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부하패턴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자동부하패턴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상기 스마트 탭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탭은 상기 자동부하패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의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는 스마트 허브유닛에 적외선 송신부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적외선 리모콘 방식의 가전기기를 사물인터넷 환경으로 바꾸어 확장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외부의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는 스마트 허브유닛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전력선통신하는 스마트 탭을 설치함으로써 스마트 탭에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은 가전기기의 운전을 외부의 스마트 기기에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스마트 허브유닛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 사용자, 즉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에서 검출되는 무선신호를 바탕으로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스마트 탭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원을 복구시킴으로써 스마트 허브유닛 및 스마트 탭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스마트 탭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감시 및 제어함으로써 전력사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스마트 탭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력사용 패턴을 바탕으로 외부의 스마트 기기에서 스마트 탭에 연결된 가전기기들의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전원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스마트 허브유닛 및 스마트 탭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메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위치인식기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동부하패턴기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스마트 허브유닛(100), 스마트 탭(2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은 외부의 스마트 기기(500)와 wifi(Wireless fidelity)등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기기(500) 및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실내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은 무선통신부(111), 적외선 송신부(130), 전력선 통신부(113), 제어부(120), 위치인식부(140), 전원복구부(150), 스마트 탭 등록부(180) 및 계측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 상기 스마트 탭(200), 상기 무선통신부(111),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 및 상기 계측부(190)를 제어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1)는 상기 스마트 기기(50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받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무선통신부(111)는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실내의 가전기기(300)를 제어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부(111)는 상기 스마트 기기(5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120)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통신부(111)에서 수신한 제어신호를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적외선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적외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가전기기(300)가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적외선 리모콘 방식의 가전기기(300)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연결하여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가전기기(300)는 사물인터넷 환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가전기기(300)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장치의 설치 없이 상기 스마트 기기(500)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기기(500)는 댁내에 배치된 와이파이 공유기(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직접적으로 무선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500)에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마트 탭 등록부(18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서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탭(200)을 등록한다.
상기 스마트 탭 등록부(18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연결된 상기 스마트 탭(200)에 가해지는 전력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탭(200)을 자동으로 설정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탭 등록부(180)에 의해 자동등록된 상기 스마트 탭(200)은 각각의 고유번호를 갖는 제 1 스마트 탭과 제 2 스마트 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마트 탭 및 상기 제 2 스마트 탭은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는 상기 스마트 탭(200)과의 전력선 통신을 하기 위해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500)에서 입력된 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부(111)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통신부(111)를 통하여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탭(20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상기 스마트 탭(200)이 전력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혼선 및 거리 제약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무선통신과 비교하여 보다 안전한 통신이 가능해지며, 혼선과 거리의 제한이 없는 사물인터넷 환경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부(140)는 상기 가전기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500)에서 검출된 무선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상기 전원 복구부는 상기 위치인식부(140)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존재하는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탭(200)과 연결된 가전기기(300)의 전원을 복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인식부(140)를 통하여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위치인식부(140)에서 전달받은 사용자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상기 전원복구부(150)에 전달하며, 상기 전원복구부(150)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원을 복구시키는 명령을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을 통하여 스마트 탭(20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원을 복구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위치인식부(140)를 통해 가전기기(300)가 제어됨으로써 별도의 센서 없이 사용자 인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전원이 자동복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인식부(140)는 상기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사용하는 각각의 스마트 기기(500)의 무선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2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부(140)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전기기(300)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은 외부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500)와의 연결을 위한 유에스비 단자(170),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이웃하는 위치의 상시전력 소비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상시전원 콘센트(163),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이웃하는 위치의 소비기기(300)와의 연결을 위한 일반전원 콘센트(16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에스비 단자(170)는 상기 스마트 기기(500)와의 연결 뿐만 아니라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활용한 확장 제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시전원 콘센트(163)는 전화기, 인터폰 등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가전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상기전원 콘센트(163)에 연결된 가전기기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전력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구성하는 하우징은 설치 환경을 바탕으로 방수 및 단열을 고려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이 배치되는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디자인 될 수 있다.
상기 계측부(190)는 상기 일반전원 콘센트(161) 및 상기 상시전원 콘센트(163)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기기(300)의 사용전력을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을 한다.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의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에서 전달받은 상기 스마트 기기(5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의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한다.
실내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가전기기(300)는 상기 제 1 스마트 탭 및 상기 제 2 스마트 탭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있으며,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는 상기 스마트 기기(5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마트 탭 및 상기 제 2 스마트 탭에 독립적으로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에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연결된 상기 스마트 탭(200)의 일괄 제어 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가전기기(300)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탭(200)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기기(500)는 상기 스마트 탭(200)을 통해 원격으로 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탭(200)은 전력감시부(210), 대기전력 설정부(230), 대기전력 차단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감시부(210)는 실내의 가전기기(300)의 전력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하며, 이를 통해서 상기 가전기기(300)의 수리 및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대기전력 설정부(230)는 상기 실내의 가전기기(300)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300)의 대기전력을 설정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20)는 상기 대기전력 설정부(230)에서 설정된 상기 대기전력을 기준으로 상기 가전기기(300)들의 전력 사용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가전기기(300)들 중 긴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고 있는 가전기기(300)에 한해서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20)의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시전원 콘센트(163) 및 상기 일반전원 콘센트(161)의 대기전력이 상기 관리서버(4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에너지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력사용의 용량이 초과되지 않도록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20)를 통해 대기전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가전기기(300)의 사용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탭(200)에서 측정된 사용전력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경유하여 외부의 상기 관리서버(400)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가전기기(300)에서 측정된 상기 가전기기(300)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부하패턴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자동부하패턴을 생성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500)는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전달 받고, 상기 스마트 기기(50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통해 상기 스마트 탭(200)으로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가전기기(300)들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전기기(300) 사용 패턴 및 사용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전기기(3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리서버(400),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 및 상기 스마트 탭(20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격으로 가전기기(300)를 제어하거나, 가전기기(300)의 사용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으며, 가전기기(300)의 대기전력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전자기기의 전원장치에 연결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은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500)의 전원이 꺼져 있어 상기 위치인식부(140)가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감지센서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500)의 전원이 꺼져 있어 상기 위치인식부(140)가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음성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감지센서는 실내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고려하여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에 반응되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 상기 스마트 탭(200) 및 상기 관리서버(400)를 통해 제어된 가전기기(300)의 제어정보는 상기 스마트 기기(5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500)에 저장된 상기 가전기기(300)의 제어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300)를 제어하는 제어 스케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상기 제어 스케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내리는 별도의 제어명령 없이 상기 가전기기(300)는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스케쥴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행 및 정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0: 스마트 허브유닛 111: 무선통신부
113: 전력선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적외선 송신부 140: 위치인식부
150: 전원복구부 161: 일반전원 콘센트
163: 상시전원 콘센트 170: 유에스비 단자
180: 스마트 탭 등록부 190: 계측부
200: 스마트 탭 210: 전력감시부
220: 대기전력 차단부 230: 대기전력 설정부
300: 가전기기 400: 관리서버
500: 스마트 기기

Claims (8)

  1. 외부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는 스마트 허브유닛;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을 하는 스마트 탭;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실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시키는 적외선 송신부와, 상기 스마트 탭과의 전력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부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서 상기 스마트 탭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탭을 등록하는 스마트 탭 등록부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부, 상기 스마트 탭,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탭 등록부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연결된 상기 스마트 탭에 가해지는 전력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탭을 자동으로 설정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탭에서 측정되는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을 경유하여 외부의 관리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부하패턴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자동부하패턴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상기 스마트 탭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탭은 상기 자동부하패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탭은 상기 실내의 가전기기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하는 전력감시부, 상기 실내의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부 및 상기 실내의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설정하는 대기전력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탭에 전달하며, 상기 스마트 탭은 수신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에서 검출된 무선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상기 위치인식부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존재하는 실내공간에 배치된 제 1 스마트 탭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스마트 탭과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원을 복구하는 전원복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은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유에스비 단자, 이웃하는 위치의 상시전력 소비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상시전원 콘센트, 이웃하는 위치의 가전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일반전원 콘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5782A 2016-07-06 2016-07-06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82A KR101826630B1 (ko) 2016-07-06 2016-07-06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82A KR101826630B1 (ko) 2016-07-06 2016-07-06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50A KR20180005550A (ko) 2018-01-16
KR101826630B1 true KR101826630B1 (ko) 2018-02-23

Family

ID=6106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82A KR101826630B1 (ko) 2016-07-06 2016-07-06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403B1 (ko) * 2018-01-18 2020-02-11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KR102012424B1 (ko) * 2018-02-07 2019-08-20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전력 통신망을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의 작동 이력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201748B1 (ko) * 2018-09-11 2021-01-12 주식회사 티허브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리모콘 시스템
US20220019348A1 (en) * 2018-12-06 2022-01-20 Tae Ho Kang Touch interface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365095B1 (ko) * 2018-12-06 2022-02-17 강태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KR102348300B1 (ko) * 2019-11-07 2022-01-06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KR102328673B1 (ko) * 2021-03-04 2021-11-18 주식회사 지오플랜 로케이션 기반 스마트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968B1 (ko) * 2009-12-18 2013-09-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기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968B1 (ko) * 2009-12-18 2013-09-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기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50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630B1 (ko)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45841B1 (ko) 네트워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153126B2 (en) Smart switch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TWI545920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20140088779A1 (en) Smart power strip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067144A1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20220083032A1 (en) Smart factory monitoring system
US20140067143A1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TW201417539A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JP2018166284A (ja) 電力監視処理システム
KR101721585B1 (ko) 화재경보기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겸용 실내기기 제어 시스템
US20200107241A1 (en) Dynamic communication of wireless devices
WO2016117241A1 (ja)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195227A (ja) 電気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063979B1 (ko) 지능형 조명 기기
CN107852340B (zh) 集线器装置及其提供服务的方法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KR100959098B1 (ko)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KR20180022381A (ko)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89761B1 (ko)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KR20220044174A (ko)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및 상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JP7330547B2 (ja) リモコン通信を用いた節電制御システム
US10692344B1 (en) Facility device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power cords
US20150070141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the control system
KR10220174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리모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