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244B1 -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244B1
KR102347244B1 KR1020150136730A KR20150136730A KR102347244B1 KR 102347244 B1 KR102347244 B1 KR 102347244B1 KR 1020150136730 A KR1020150136730 A KR 1020150136730A KR 20150136730 A KR20150136730 A KR 20150136730A KR 102347244 B1 KR102347244 B1 KR 10234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display device
plate
optical memb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773A (ko
Inventor
진미형
문정민
양승수
김보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244B1/ko
Priority to US15/145,778 priority patent/US10143094B2/en
Priority to CN201610462851.7A priority patent/CN106556890A/zh
Priority to EP16181414.0A priority patent/EP3147704B1/en
Publication of KR2017003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optical elements other than gratings,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02B6/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with fibre bundle in form of p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the ends of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63Production of light guides
    • B29D11/00721Production of light guides involving preforms for the manufacture of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1Refra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13Re-forming shaped glass by pr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판상 광학부재로서, 판상 광학부재는 하부로 개구된 입력단과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개구된 출력단을 가지는 다수의 광섬유와, 다수의 광섬유 사이를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판상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Plate-Type Optical Member with Optical Fiber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하나의 대형 영상 출력 장치로 사용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분에서 이미지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부재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업적인 목적 등에 의하여 대형 사이즈의 표시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기술에 의하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형 표시장치를 구형하기 위하여,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들을 다수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을 표현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비디오월(Video Wall)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중앙의 표시영역과, 표시영역 주위에 배치되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베젤(Bezel)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 데이터 구동회로 또는 각종 신호선이 형성되는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최근 표시장치에서 이러한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여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베젤 영역의 폭을 일정 크기 이하로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이 이중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 비표시 영역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경우, 그러한 연결부분에서 이미지가 끊어져 보이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이상적으로 제로 베젤(Zero Bezel)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구현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패널 연결부위에서 이미지의 불연속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한 해결이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 연결부분에 일정한 광학 수단을 배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서도 정면 또는 정면 부근의 시야각에서는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일부 개선되지만, 시야각이 커지는 경우 이미지 불연속 현상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수평 시야각이 큰 경우에도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입력단과 출력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광섬유와 광섬유를 지지하기 위한 레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 및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에 배치되는 판상 광학부재로서,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하부로 개구된 입력단과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개구된 출력단을 가지는 다수의 광섬유와, 상기 다수의 광섬유 사이를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상 광학부재로서,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하부로 개구된 입력단과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개구된 출력단을 가지는 다수의 광섬유와, 상기 다수의 광섬유 사이를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평면도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다중 패널표시장치에서 각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굴절 광학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시야각이 일정 이상인 사선 시선 방향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의 확대단면도로서, 개별 표시장치의 화소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포함된 광섬유를 통해 화소로부터의 광이 판상 광학부재 외부로 전파되는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포함되는 광섬유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7의 (a)는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섬유이고, 도 7의 (b)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2광섬유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2광섬유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제2광섬유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사용되는 여러 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의 여러 단면 형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a)는 평면도이고, (b)는 다중 패널 표지장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다중 패널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200)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개별 표시장치(200) 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이 형성된다.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단독으로 하나의 완전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별 표시장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표시장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개별표시장치는 경우에 따라서 개별 패널, 패널 등의 다른 표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의 (b)과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는 패널 중앙에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Active Area; A/A; 212)과, 표시영역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영역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한다. 각 개별 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210)은 베젤 영역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다시 표시패널(222)과,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24)과, 표시장치 전체를 둘러싸는 지지구조(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22)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 물론, OLED 표시장치에 의한 패널인 경우에는 상기 제2기판은 보호기판으로서의 기능만 할 수도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24)은 LED 등의 광원과 광원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광원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과, 광을 패널 영역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광판(LGP) 또는 확산판과, 빛을 표시패널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과, 광원의 On/Off 등을 제어하기 회로인 LED 연성회로와,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어 휘도 향상, 광의 확산 및 보호 등의 용도로 배치되는 1 이상의 광학필름 또는 시트(Sheet) 등과 같은 서브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를 커버하는 외부 지지부재(226)는 표시장치 단위에서 백라이트 유닛(224) 및 표시패널(222)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커버 버텀(Cover Bottom) 및/또는 가이드 패널(guide Panel) 등은 물론,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최종 전자제품인 세트 전자장치 단위에서의 백 커버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은 가장자리의 일정 영역에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하며,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200)가 다수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다중 표시패널에서 각 개별표시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에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각 개별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N/A; 210)은 표시패널(222) 자체의 비표시 영역과, 기타 백라이트 유닛(224)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 또는 표시장치 전면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Case Top) 또는 프론트 커버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 또는 비디오월(Video Wall)에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연결부분(300)에서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 2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굴절 광학부재의 일 예와, 그를 이용하는 경우 정면 시야에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어 연결부분 근처에서의 광경로를 굴절 또는 확대하는 굴절 광학부재를 사용하는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그러한 굴절 광학수단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플레이트를 이용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사용되는 굴절 광학부재인 렌즈 플레이트(240)는 일종의 광투과성 스크린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일반적인 광투과성 판상 재료인 베이스 플레이트(242)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 부근에 형성된 렌즈부(244)를 포함한다.
렌즈 플레이트(240)에 형성된 렌즈부(244)는 연결부분(300) 인근에서의 광경로를 굴절시킬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300) 정면에 사용자(250)가 있는 경우에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 상에 형성되는 렌즈 플레이트(240)의 렌즈부(244)에 의하여 인접한 표시영역의 화소(P1~P4)로부터 광이 렌즈부(240)에 굴절되어 사용자 시야로 입사된다.
따라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도 2의 하부 도면과 같이, 연결부분(300)에서도 인접한 화소의 이미지가 굴절 투사됨으로써 일정한 이미지가 표시되게 되고, 따라서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어느 정도 보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광경로 굴절이 가능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 등을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문제를 일부 극복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기존의 굴절 광학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면 시야에서만 그러한 효과를 가진다는 한계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야각이 정면(시야각=0)에서 벗어나서 약45도 이상(α)이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경로가 형성되지 않고, 패널 연결부분(300)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이 α(α>약45도)인 경우 연결부분 근처의 화소로부터 광 중 일부는 비스듬히 보고 있는 사용자에게 입사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일정 각도 이상의 시야각에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단절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개별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정면 및 고시야각 모두에서 개별표시장치들의 연결부에서의 심리스(Seamless)한 영상 제공을 위하여, 다수의 광섬유와 그를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판상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하여, 광섬유의 출력단을 통해 비표시영역으로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패널 광학부재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400)와, 다수의 광섬유(510)과 그 광섬유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의 광섬유를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520)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판상 광학부재(500)는 판상 광학부재의 하부로 개구된 입력단(도 7의 722, 742)과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개구된 출력단(도 7의 724, 744)을 가지는 다수의 광섬유(510)와, 다수의 광섬유 사이를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520)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광투과성을 가지는 판상 부재이다.
본 명세서에서 판상 광학부재의 하부는 표시패널부(400)와 대향하는 면을 의미하며,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는 광섬유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표시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가 연결되어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별 표시장치들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비표시영역(414; NA)이 연결 형성되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는 경계영역을 연결부분(300)으로 정의한다.
즉,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걸쳐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으로서, 연결부분(300)의 폭은 각 개별 표시장치(410)의 비표시영역(414)의 2배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분(300)에서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단절현상이 생기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판상 광학부재에 포함되는 광섬유 중 일부를 이용하여 표시영역의 화소로부의 영상을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광학부재 상부 영역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섬유의 세부 구성 및 이미지 단절형상 해결 원리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액정 표시장치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표시장치 등 모든 형태의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다시 화소가 형성되는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등과 같이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개별 표시장치(410)는 단순한 표시패널 및 그 구동회로만으로 이루어진 모듈이고, 케이스 등의 지지구조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체 단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개별 표시장치"는 분리되어 단독으로 완전한 표시장치로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재료층(액정재료 또는 유기발광재료 등)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그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바텀 커버 등의 지지구조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 패널이며, 액정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액정표시패널에는 다시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윈도우가 표시패널의 상부 전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가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OLED)인 경우의 표시패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 제공된 유기전계 발광 재료층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상부 보호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의 확대단면도로서, 개별 표시장치의 화소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포함되는 광섬유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7의 (a)는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섬유이고, 도 7의 (b)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500)에 사용되는 광섬유(512, 514)는 판상 광학부재(5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섬유(Optical Fiber)로서, 하부의 입력단과 상부의 출력단을 포함하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연장부는 광이 전송되는 전송단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광섬유(512, 514)는 입력단이 판상 광학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개별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해당 화소로부터의 광을 입력단으로 받아들여 내부에서 전반사시켜 출력단으로 출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별표시장치의 화소 이미지를 판상 광학부재(500)의 상부면에 맺히게 한다.
이러한 판상 광학부재에 포함되는 광섬유(512, 514)는 중앙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코어부와 코어부 주위를 둘러싸는 클래딩(Cladding)부를 포함하며, 코어부의 굴절률이 클래딩부의 굴절률보다 커서 입력단으로 입력된 광을 전반사시켜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광섬유 부재이다.
이러한 광섬유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고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500)는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의 일정 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550)과,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되는 제2영역(560)을 포함한다.
한편,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1영역(550)에는 제1광섬유(512)가 배치되며, 제2영역에(560)에는 제1광섬유와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제2광섬유(514)가 배치된다.
도 5 및 도 8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1영역(550)에 배치되는 제1광섬유(512)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크기가 동일한 직선형 광섬유로서, 해당되는 화소의 영상을 확대없이 그대로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도 5에서 제1광섬유(512)에 포함되는 광섬유인 F7, F8, F9는 모두 입력단과 출력단의 크기가 동일하며, 각각 하부에 배치된 개별표시장치의 화소인 P7, P8, P9로부터의 광을 그대로 상부로 전달한다.
반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50)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514)는 입력단보다 출력단의 크기가 더 큰 굴절형 광섬유로서, 해당되는 화소의 영상을 일정 크기만큼 확대하여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2광섬유(514)의 입력단과 출력단은 일렬로 정렬되지 않으며, 입력단은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 일부 화소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출력단은 그보다 더 외곽으로 옵셋되어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제2광섬유(514)는 연결부분(300)쪽으로 기울어진 굴절구조를 가진다.
즉, 도 5에서 제2광섬유(514)에 포함되는 광섬유인 F0 내지 F6의 입력단은 개별표시장치의 대응 화소인 P0 내지 P6에 상부에 배치되되, 제2광섬유 F0 내지 F6의 출력단은 입력단보다 외곽측으로 배치되어, 화소로부의 광을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출력한다.
이 때, 제2광섬유(514)의 입력단 크기는 개별표시장치의 화소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모둘 동일할 수 있으며, 제2광섬유(514)의 출력단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다시 설명할 바와 같이, 입력단의 크기보다 동일하거나 더 클 수도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포함되는 광섬유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7의 (a)는 제1광섬유이고, 도 7의 (b)는 제2광섬유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광섬유(720)는 판상 광학부재의 제1영역(55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입력단(724), 출력단(724) 및 그 사이의 전송단(726)으로 구성되며, 입력단(724)의 크기 WI는 출력단(724)의 크기 WO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섬유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는 입력/출력단에서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한편, 도 7의 (b)와 같이, 제2광섬유(740)는 판상 광학부재의 제2영역(56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입력단(744), 출력단(744) 및 그 사이의 전송단(746)으로 구성되며, 출력단(744)의 크기 WO가 입력단(742)의 크기 WI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2광섬유(740)의 출력단 크기(WO)과 입력단의 크기(WI)의 비율에 따라 그 광섬유에 의하여 영상이 확대되는 비율이 결정된다.
즉, 제2광섬유(740)의 입력단(742)을 통하여 입사된 광이 전반사되어 입력단 보다 큰 영역의 출력단(744)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해당 화소의 영상이 입력단과 출력단의 크기 비율만큼 확대되어 시인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제2광섬유(514)의 출력단의 크기 WO가 입력단의 크기 WI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고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광섬유(514)는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관계에도 불문하고,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전송단(746)은 일정 정도 굴절되어 있으며, 판상 광학부재의 법선방향과 전송단(746)이 이루는 각도를 제1각도(θ)로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60)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514)는 개별표시장치의 화소로부터의 광을 그보다 더 외곽측으로 이동시켜 출력하고, 그러한 제2광섬유(514)의 출력단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300) 또는 개별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414) 상부 영역으로 영상을 출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500)는 다수의 제1광섬유(512)와 제2광섬유(514) 사이에는 광섬유들 사이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520)가 구비되며, 이러한 레진 지지부(520)는 열경화 수지 또는 UV 경화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500)를 제작하기 위하여, 제1광섬유(512)와 제2광섬유(514)를 배치하고 그 사이에 지지부의 레진 재료를 충진한 후 열 또는 자외선(UV)로 레진 재료를 경화시켜 판상 부재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레진 지지부(520)는 광투과성 레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레진 지지부(520)를 구성하는 레진 재료의 굴절률은 제1광섬유(512) 및 제2광섬유(514)를 구성하는 광섬유 재료의 굴절율 보다 낮아야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포함된 광섬유를 통해 화소로부터의 광이 판상 광학부재 외부로 전파되는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1영역(550)에 배치되는 제1광섬유(512)는 해당되는 개별표시장치의 화소인 Pi로부터 출사된 광 Li을 광섬유 내부에서 전반사시켜 그대로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출사시킨다(Li')
또한,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60)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512)는 해당되는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화소인 P0 내지 P2 등으로부터 출사된 광 L0 등을 광섬유 내부에서 전반사시켜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출사시킨다(L0').
이 때, 제2광섬유(514)들의 출력단은 개별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414) 또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 상부를 모두 커버하고 있다.
따라서, 정면 또는 일정 시야각 모두에서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이 시인되지 않고, 대신 광섬유를 통해서 전달된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 화소의 영상이 시인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의 심리스(Seamless)한 영상 제공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만일 본 발명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가 없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이 블랙 음영으로 인식되고, 따라서 연결부분에서 이미지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가 사용되면 연결부분(300)에 인접한 화소의 이미지가 연결부분으로 전사되어 시인됨으로써, 도 6의 (b)와 같이, 연결부분(300)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제거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2광섬유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제1광섬유(미도시) 및 제2광섬유(F0~F4)의 입력단은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응되어 배치되되,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의 크기 WI0~WI4는 모두 동일한 반면, 제2광섬유의 제2출력단의 크기는 입력단의 크기 WIi 보다는 크되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는 구조이다.
즉, 도 8에서 제2광섬유인 F0, F1, F2, F3, F4의 입력단의 크기인 WI0~WI4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지만, 출력단의 크기에 있어서는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제2광섬유 F4의 출력단 크기 WO4가 입력단 크기보다는 크고, 외곽측으로 갈수록 그 출력단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8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60)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514)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관계를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47350-pat00001
도 8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60)에서는 개별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의 가장자리 화소의 영상이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이 때, 제2광섬유(514)의 출력단 크기의 증가율은 개별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의 크기 및 판상 광학부재의 두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가장 큰 출력단의 크기(즉, 개별표시장치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의 크기)는 입력단의 크기의 3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확대율이 연속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연속적인 심리스 이미지 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2광섬유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제2광섬유의 입력단의 크기 WI0'~WI4'는 모두 제1광섬유(미도시)의 입력단 크기와 동일한 점에서는 도 8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제2광섬유의 제2출력단의 크기는 입력단의 크기 WIi 보다는 크되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지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별화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제2광섬유인 F0, F1, F2, F3, F4의 입력단의 크기인 WI0'~WI4'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제2광섬유 F0, F1, F2, F3, F4의 출력단의 크기 WI0'~WI4' 역시 입력단의 크기보다는 크지만 그 배율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 9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60)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514)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관계를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47350-pat00002
이상과 같은 제2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60) 전체에서 이미지의 확대율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의 종류에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이 확대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보다 더 자연스러운 심리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다시, 제2실시예와 같이 비표시영역에서 모두 동일한 확대율로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개별표시장치 외곽으로 갈수록 확대율이 커져서 이미지가 왜곡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제2광섬유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크기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는, 제2광섬유의 입력단의 크기 WI0'~WI4'는 모두 제1광섬유(미도시)의 입력단 크기와 동일할 뿐 아니라, 제2광섬유의 제2출력단의 크기 역시 입력단의 크기 WIi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차별화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제2광섬유 F0, F1, F2, F3, F4의 출력단의 크기 WI0"~WI4" 가 모두 제1광섬유(미도시) 및 제2광섬유(F0~F4)의 입력단의 크기(WI0"~WI4")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제2광섬유(740")는 입력단 크기(WI")와 출력단(WO") 크기가 동일하므로 판상 광학부재(500)의 법선 방향과 전송단(746")이 이루는 제1각도(θ)에 의하여 다른 제2광섬유와 차별화된다.
즉, 제3실시예에 의하면,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광섬유일수록 제2광섬유의 전송단과 판상 광학부재의 법선 방향 사이의 제1각도(θ)가 커진다.
이상과 같은 제3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광학부재(500)의 제2영역(560)에서도 제1영역(550)에서와 같이 해당 화소의 영상이 확대없이 그대로 출력된다.
따라서, 비록 제2광섬유의 출력단(WOi") 사이의 공간인 레진 지지부 영역(WRi)이 외곽으로 갈수록 커지기는 하지만, 화소의 이미지를 그대로 전달하는 점에서 광섬유의 이미지 확대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 개별표시장치의 해상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제3실시예를 이용함으로써 확대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하면서도 심리스한 영상 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2광섬유의 입력단 크기(WIi) 및 출력단 크기(WOi)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든 제2광섬유의 출력단의 크기가 동일하고, 입력단의 크기는 출력단 크기보다는 작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입력단의 크기가 랜덤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사용되는 여러 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의 단면을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의 여러 단면 형태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판상 광학부재에 사용되는 광섬유(720, 740)는 중앙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코어부(727)와 코어부 주위를 둘러싸는 클래딩(Cladding)부(7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광섬유(720, 740)의 코어부(727)의 굴절률 A는 클래딩부(728)의 굴절률 B보다 커야 하며, 광섬유(720, 740)의 클래딩부(728)의 굴절률 B는 레진 지지부(520) 재료의 굴절율 C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굴절율 관계를 가짐으로써, 광섬유(720, 740)의 입력단으로 입력된 광이 클래딩부(728)의 내면에서 전반사되어 코어부(727) 내에서만 진행하게 된다.
또한, 광섬유 입력단으로의 입사각에 따라 일부 광이 광섬유의 클래딩부(728)을 투과하더라도 그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레진 지지부(520)에서 다시 전반사되어 클래딩부(728) 내에 갇히게 되므로, 광섬유 외부로의 광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의 광섬유 및 레진 지지부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아크릴(Acryl), 실리카(Silica), 글래스(Glass)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술한 굴절률 관계에 따라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재료는 약90%의 광투과율과 약1.49~1.50의 굴절율을 가지며,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재료는 약 86~89%의 광투과율과 약1.57 이상의 굴절률을 가진다.
또한,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재료는 약73%의 광투과율과 약1.65의 굴절율을 가지며,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재료는 약 90%의 광투과율과 약1.5677의 굴절률을 가진다. 또한, 글래스(Glass)는 약1.89이상의 굴절율을 가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광섬유(720) 및 제2광섬유(740)의 코어부(727) 재료로서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또는 글래스를 이용하고, 광섬유의 클래딩부(728)로서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를 이용하며, 레진 지지부(520)의 재료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등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판상 광학부재(500)의 광학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재료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섬유(720, 740)의 코어부(727)의 굴절률 A는 클래딩부(728)의 굴절률 B보다 커야 하며, 광섬유(720, 740)의 클래딩부(728)의 굴절률 B는 레진 지지부(520) 재료의 굴절율 C보다 커야 한다는 조건에 부합하면서, 일정 이상의 광투과율을 가지는 모든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720, 740)가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단일 코어부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코어부가 광섬유 내부에 다수의 다발로 구성되는 다중 코어 광섬유(Multi-Core Fiber)일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는 도 11의 (b)와 같이 하나의 공통 클래딩부(728') 내에 다수의 코어부(727')가 배치되는 다중코어 광섬유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중코어 광섬유를 이용하면 광전송 경로의 단위 면적당 집적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섬유의 클래딩부(728') 내부에는 다수의 블랙 비드(Black Bead; 739')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비드(729')는 광섬유 코어 내부에서 진행하지 않고 광섬유 코어를 벗어나 클래딩부 또는 매트릭스로 이탈하는 노이즈 광을 흡수하여 인접한 광섬유간 색혼합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블랙비드(729')는 클래딩부 재료의 굴절율과 상이한 광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블랙비드는 검은색을 가지는 PMMA, 실리카, P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랙 비드의 형상은 원형 비드, 사각뿔(피라미드) 비드 등의 형상일 수 있으나, 특정 형상을 가지지 않는 비정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확산 성능 및 광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블랙비드(729')는 각각 다른 굴절율 및/또는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비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1㎛ 내지 10㎛의 직경과 제1굴절율을 가지는 제1 블랙비드와, 20㎛ 내지 80㎛의 직경을 가지되 제1굴절율보다 0.02~0.2만큼 작은 제2굴절율을 가지는 제2 블랙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블랙비드와 제2 블랙비드의 단위 체적당 분포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광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의 여러 단면 형태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판상 광학부재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원형인 원형 광섬유일 수 있다.
광섬유의 광전달 효율은 광섬유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인 필-팩터(Fill Factor)와 관련이 되며, 원형 단면 광섬유가 광전단 효율이 우수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도 원형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의 (a) 또는 (b)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다각형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하부에 배치되는 개별 표시장치의 화소와 대응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화소의 개략 형태가 사각형이므로, 도 12의 (a) 또는 (b)와 같이 다각형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광섬유의 입력단과 해당 화소 영역의 매칭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의 (a) 또는 (b)와 같이 다각형 광섬유를 사용하면 인접한 광섬유와의 근접성을 증가시키고 광섬유들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판상 광학부재 전영역에서 광섬유가 차지하는 면적이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12의 (a) 또는 (b)와 같이 다각형 광섬유를 사용하게 되면 광섬유 사이의 간극이 거의 없도록 분포시킬 수 있고 광전달에 기여하지 않는 레진 지지부의 영역을 감소시켜, 판상 광학부재 전체의 광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로부터의 광을 입력받아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커버하는 영역으로 출력하는 광섬유가 포함된 판상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0 : 표시패널부 410 : 개별 표시장치
300 : 연결부분
500, 1200 : 판상 광학부재 512, 720 : 제1광섬유
514, 740 : 제2광섬유 520 : 레진 지지부
1250 : 광투과 영역

Claims (18)

  1.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 및,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에 배치되는 판상 광학부재로서,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하부로 개구된 입력단과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개구된 출력단을 가지는 다수의 광섬유와, 상기 다수의 광섬유 사이를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광섬유는 중앙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 주위를 둘러싸는 클래딩(Cladding)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진 지지부는 상기 다수의 광섬유를 둘러싸고 상기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되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과 법선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광섬유의 상기 클래딩부의 굴절률은 상기 레진 지지부의 굴절률 보다 큰 다중 패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섬유는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섬유와,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상기 비표시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되는 제2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와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제2광섬유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은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응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2광섬유의 제2출력단의 크기는 상기 제1광섬유의 제1출력단의 크기보다 큰 다중 패널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섬유의 제2출력단의 크기는 상기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은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응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출력단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2광섬유의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사이의 전송단은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법선 방향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다중 패널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섬유의 상기 전송단과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법선 방향 사이의 상기 제1각도는 상기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굴절율은 상기 클래딩부의 굴절율보다 큰 다중 패널 표시장치.
  8.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상 광학부재로서,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하부로 개구된 입력단과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상부로 개구된 출력단을 가지는 다수의 광섬유; 및,
    상기 다수의 광섬유 사이를 지지하는 레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광섬유는 중앙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 주위를 둘러싸는 클래딩(Cladding)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진 지지부는 상기 다수의 광섬유를 둘러싸고 상기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되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과 법선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광섬유의 상기 클래딩부의 굴절률은 상기 레진 지지부의 굴절률 보다 큰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섬유는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섬유와,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상기 비표시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되는 제2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와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제2광섬유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은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응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2광섬유의 제2출력단의 크기는 상기 제1광섬유의 제1출력단 크기보다 큰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섬유의 제2출력단의 크기는 상기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은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응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입력단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의 출력단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2광섬유의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사이의 전송단은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법선 방향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섬유의 상기 전송단과 상기 판상 광학부재의 법선 방향 사이의 상기 제1각도는 상기 개별표시장치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굴절율은 상기 클래딩부의 굴절율보다 큰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부는 광을 흡수하는 블랙비드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광섬유는 상기 광학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제 2 광섬유는 연결부분을 향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부는 광을 흡수하는 블랙비드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광섬유는 상기 광학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제 2 광섬유는 연결부분을 향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용 판상 광학부재.
KR1020150136730A 2015-09-25 2015-09-25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4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30A KR102347244B1 (ko) 2015-09-25 2015-09-25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US15/145,778 US10143094B2 (en) 2015-09-25 2016-05-03 Plate-type optical member with optical fiber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CN201610462851.7A CN106556890A (zh) 2015-09-25 2016-06-23 具有光纤的板型光学部件及具有该部件的多面板显示装置
EP16181414.0A EP3147704B1 (en) 2015-09-25 2016-07-27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a plate-type optical member comprising optical fib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30A KR102347244B1 (ko) 2015-09-25 2015-09-25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773A KR20170037773A (ko) 2017-04-05
KR102347244B1 true KR102347244B1 (ko) 2022-01-05

Family

ID=5655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30A KR102347244B1 (ko) 2015-09-25 2015-09-25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43094B2 (ko)
EP (1) EP3147704B1 (ko)
KR (1) KR102347244B1 (ko)
CN (1) CN1065568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0842A1 (en) * 2015-09-28 2017-03-3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10546913B2 (en) * 2017-08-01 2020-01-28 Innolux Corporation Tile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s
CN110095839A (zh) * 2018-01-30 2019-08-06 巨晰光纤股份有限公司 具影像弥补的光纤
CN111373465B (zh) * 2018-01-31 2022-07-15 索尼公司 显示设备和光学装置
CN108318960B (zh) * 2018-02-11 2020-11-0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导光模块及无缝拼接屏
JP2019139136A (ja) * 2018-02-14 2019-08-22 巨晰光纖股▲ふん▼有限公司 映像補償機能付き光ファイバー
US10620365B2 (en) * 2018-06-19 2020-04-14 Sony Corporation Overlay panel with light guides for a display device
KR102554733B1 (ko) * 2018-07-31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0974B1 (ko) 2018-10-05 2024-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47862A (ko) * 2018-10-25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타일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448564B (zh) * 2019-01-04 2021-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9828405B (zh) * 2019-03-14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092835B2 (en) * 2019-03-20 2021-08-17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light guide member with tapered optical fibers
KR102272057B1 (ko) * 2019-05-27 2021-07-05 (주)판타룩스 게임기의 이중 표시장치에 대한 결합 어셈블리
US11561342B1 (en) 2019-09-25 2023-01-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optical and radio-frequency components
US11231814B1 (en) * 2019-10-31 2022-01-2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urved display surfaces
US11215752B1 (en) * 2019-12-13 2022-01-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image transport layers
CN111025461A (zh) * 2019-12-30 2020-04-17 广州宏晟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面板及其制造方法
US11067745B1 (en) * 2020-07-20 2021-07-20 Seamless Technology Inc. Display assembly including at least two display devices
US11573450B1 (en) * 2020-09-23 2023-02-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hemically strengthened coherent fiber bundles
CN114512061A (zh) * 2020-11-16 2022-05-17 苏州矩阵光电有限公司 光波导器件、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13707035A (zh) * 2021-10-29 2021-11-26 惠科股份有限公司 光学拼接结构及其制作方法和拼接显示装置
CN114495731B (zh) * 2022-03-08 2024-05-3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3086A1 (en) * 2013-09-27 2015-04-02 Ye Xin Technology Consulting Co., Ltd.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display device and joint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9833A (ja) 1984-02-14 1985-09-03 Seiko Epson Corp パネル型表示装置
JPS61185785A (ja) 1985-02-13 1986-08-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大型液晶デイスプレイ
CA2084103C (en) * 1991-12-02 1999-07-27 Keiji Sakai A display apparatus
KR970001183B1 (ko) * 1994-07-26 1997-01-29 박홍기 열가소성 복합재료 성형체 제조방법
JP2001042777A (ja) 1999-07-28 2001-02-16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AU2002239613A1 (en) 2000-12-14 2002-07-24 University Of Florida Method for fabrication of plastic fiber optic blocks and large flat panel displays
KR101015275B1 (ko) * 2004-06-22 2011-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드방식의 대면적 표시장치
US9435939B2 (en) * 2012-08-02 2016-09-06 Apple Inc. Displays with coherent fiber bundles
CN103217831B (zh) * 2013-03-29 2015-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40139844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패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412424B (zh) 2013-08-30 2016-04-27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显示边框的显示装置
KR20150093893A (ko) * 2014-02-07 2015-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3086A1 (en) * 2013-09-27 2015-04-02 Ye Xin Technology Consulting Co., Ltd.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display device and joint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773A (ko) 2017-04-05
CN106556890A (zh) 2017-04-05
US20170094815A1 (en) 2017-03-30
EP3147704A1 (en) 2017-03-29
US10143094B2 (en) 2018-11-27
EP3147704B1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244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US10660220B2 (en) Frame-type optical member with optical fiber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same
KR102531302B1 (ko)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장치
US10120233B2 (en) Optical member including optical fibers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604342B2 (ja) 額縁被覆部材
CN105842910A (zh) 液晶显示设备
US20170059764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22623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451409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액자형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1737799B1 (ko) 차광테이프와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355832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22711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KR10212892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16887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72343B1 (ko) 표시장치
KR101321248B1 (ko) 엘이디 패널의 고휘도화 개조를 위한 광학 필름의 적층 구조
CN112684629B (zh) 显示模组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