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978B1 -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978B1
KR102344978B1 KR1020210099957A KR20210099957A KR102344978B1 KR 102344978 B1 KR102344978 B1 KR 102344978B1 KR 1020210099957 A KR1020210099957 A KR 1020210099957A KR 20210099957 A KR20210099957 A KR 20210099957A KR 102344978 B1 KR102344978 B1 KR 10234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se frame
building
lif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태
Original Assignee
양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태 filed Critical 양기태
Priority to KR102021009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ㆍ광산ㆍ공장 등의 건설 현장에서 건축 자재나 작업 인원을 운반하는 리프트(lift)에 관한 기술로서, 건축물의 외벽에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그 위에 마스트와 케이지 등을 배치하여 리프트를 설치함으로써, 지반이 부실하거나 또는 공간이 협소한 건설 현장에서 리프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건축물의 외벽 외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부를 상측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상부 고정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부를 하측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하부 고정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부를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상측 서포트 및 하측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structure for work lift installation }
본 발명은 고층 건물ㆍ광산ㆍ공장 등의 건설 현장에서 건축 자재나 작업 인원을 운반하는 리프트(lift)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의 외벽에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그 위에 마스트와 케이지 등을 배치하여 리프트를 설치함으로써, 지반이 부실하거나 또는 공간이 협소한 건설 현장에서 리프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리프트(lift)는 고층 건물ㆍ광산ㆍ공장 등에서 화물이나 작업자를 운반하는 기기로서, 조립형 마스트(mast)를 건축할 건물의 예상 높이 이상으로 쌓아 올리고, 여기에 케이지(cage)를 설치한 다음, 다양한 권상장치로 케이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서, 건축 자재나 작업 인원을 건물의 층별로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건설용 리프트는 건축 자재나 또는 작업 인원을 운반하는 케이지에 안전도어가 설치되고, 또한 신축 건물의 각 층별로 안전도어가 설치되어 작업자나 또는 자재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최근 건설용 리프트는 지면 바닥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고, 그 위에 조립형 마스트와 케이지 및 권상장치 등을 배치하여 설치되며, 승강 또는 하강하는 케이지에 안전도어와 급제동장치 등의 각종 안전설비가 구비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기존 건설용 리프트에서 케이지의 하강 운전시 전원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9417호(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면, 구동부에 의해 운행되는 케이지를 즉시 정차시킴으로써, 케이블이 이탈하거나 또는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건설용 리프트에서 케이지의 하강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1119호(타워리프트 안전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베이스에 회동가능한 프레임부를 장착하여 평소에는 프레임부를 눕혀 놓았다가 작업시에 프레임부를 세우고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리프트의 케이지 아래에서 작업할 경우, 케이지의 하강 운전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불안감을 해소하여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건설용 리프트"는 지면 바닥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한 다음, 그 위에 조립형 마스트와 케이지 및 권상장치 등을 배치하여 설치됨으로써, 건설 현장의 여건에 따라 지반이 부실하거나 또는 이동 통로가 부족할 경우, 지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설 현장에서 지반 침하 등의 원인으로 지반이 부실하거나 또는 건설 현장의 여건에 따라 공간이 협소하여 이동 통로가 부족할 경우, 지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할 수 없으므로, 건설용 리프트를 설치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11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17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2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88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9417호.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건설용 리프트"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건축물의 외벽에 베이스 프레임이 수평상으로 배치되고, 상부 고정바와 하부 고정바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이 외벽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위에 마스트와 케이지 등을 배치하여 리프트가 설치되는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벽에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그 위에 마스트와 케이지 등을 배치하여 리프트를 설치함으로써, 지반이 부실하거나 또는 공간이 협소한 건설 현장에서 리프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리프트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축물의 외벽 외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부를 상측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상부 고정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부를 하측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하부 고정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부를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상측 서포트 및 하측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베이스 프레임은 사각 틀의 형태로 구성되며, 건축물에서 1층 슬래브의 외벽 외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측 서포트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건축물의 외벽에 다수개의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하측 서포트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건축물의 외벽에 다수개의 체결볼트로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벽에 베이스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그 위에 마스트와 케이지 등을 배치하여 리프트가 설치됨으로써, 지반 침하 등의 원인으로 지반이 부실하거나 또는 여건에 따라 공간이 협소한 건설 현장에서 리프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리프트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 프레임과 리프트가 건축물의 1층 슬래브 외벽에 배치됨으로써, 건축 자재를 적재하거나 또는 작업 인원이 케이지에 쉽게 탑승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높이는 한편 작업자나 또는 건축 자재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리프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리프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건축물의 외벽(90) 외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부를 상측 외벽(90)에 고정 설치하는 상부 고정바(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부를 하측 외벽(90)에 고정 설치하는 하부 고정바(3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를 외벽(90)에 고정 설치하는 상측 서포트(40) 및 하측 서포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은 작업 리프트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의 기능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사각 틀이나 또는 사각 패널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H-빔이나 또는 사각-빔 등의 철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은 작업 리프트를 구성하는 마스트(80)와 케이지(70) 및 권상장치 등을 상부에 배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고, 건축물에서 외벽(90)의 외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은 건축 자재를 적재하거나 또는 작업 인원이 케이지(70)에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건축물에서 1층 슬래브의 외벽(90) 외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상부 고정바(20)는 베이스 프레임(10)을 건축물의 외벽(90)에 고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상부 고정바(20)는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 상부에 부착되고, 타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 외벽(90)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부 고정바(20)는 내구성이 우수한 H-빔이나 또는 사각-빔 등의 철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 상부에 용접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체결볼트로 결합 설치된다.
한편 상부 고정바(20)의 타측 단부는 브라켓(21)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21)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외벽(90)의 내측면에 다른 하나의 브라켓(22)이 배치되며, 상기 외벽(90)을 관통하여 두개의 브라켓(21)(22)에 다수개의 체결볼트(23)가 결합됨으로써, 상부 고정바(20)의 타측 단부가 외벽(9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 고정바(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 외벽(90)에 부착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을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작업 리프트를 구성하는 마스트(80)와 케이지(70) 및 권상장치 등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하부 고정바(30)는 상부 고정바(20)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0)을 건축물의 외벽(90)에 고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하부 고정바(30)는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 하부에 부착되고, 타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하측 외벽(90)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부 고정바(30)는 내구성이 우수한 H-빔이나 또는 사각-빔 등의 철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 하부에 용접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체결볼트로 결합 설치된다.
한편 하부 고정바(30)의 타측 단부는 브라켓(31)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31)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외벽(90)의 내측면에 다른 하나의 브라켓(32)이 배치되며, 상기 외벽(90)을 관통하여 두개의 브라켓(31)(32)에 다수개의 체결볼트(33)가 결합됨으로써, 하부 고정바(30)의 타측 단부가 외벽(9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 고정바(3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하측 외벽(90)에 부착 설치됨으로써, 상부 고정바(20)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0)을 지지하여 작업 리프트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상측 서포트(40)는 건축물의 외벽(90)과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를 외벽(90)에 고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상측 서포트(4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 상부에 부착되는 한편 건축물의 외벽(9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측 서포트(40)는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L"형 앵글을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 상부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건축물의 외벽(90)에 다수개의 앵커볼트(41)로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하측 서포트(50)는 상측 서포트(40)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를 외벽(90)에 고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하측 서포트(5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건축물의 외벽(90)과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 부착되는 한편 건축물의 외벽(9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측 서포트(50)는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형 앵글을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건축물의 외벽(90)에 다수개의 체결볼트(52)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측 서포트(50)는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외벽(90)의 내측면에 브라켓(51)이 배치되고, 상기 외벽(90)을 관통하여 하측 서포트(50)와 브라켓(51)에 다수개의 체결볼트(52)가 결합됨으로써, 하측 서포트(50)가 건축물의 외벽(9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상측 서포트(40)와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 및 하측 서포트(50)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체결볼트(11)가 결합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이 상측 서포트(40)와 하측 서포트(50)를 통해 외벽(90)에 견고하게 부착 설치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90)과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가 상측 서포트(40)와 하측 서포트(50)를 통해 외벽(9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작업 리프트를 구성하는 마스트(80)와 케이지(70) 및 권상장치 등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4와 도 6 및 도 7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리프트 베이스(60)가 놓여 배치되고, 또한 리프트를 구성하는 케이지(70)와 마스트(80) 및 권상장치 등이 설치되며, 케이지(70)가 마스트(80)를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건축 자재나 또는 작업 인원을 건축물의 층별로 운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장자리 둘레에 낙하물 방지망을 조립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나 또는 건축 자재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벽에 베이스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그 위에 마스트와 케이지 등을 배치하여 리프트가 설치됨으로써, 지반 침하 등의 원인으로 지반이 부실하거나 또는 여건에 따라 공간이 협소한 건설 현장에서 리프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리프트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 프레임과 리프트가 건축물의 1층 슬래브 외벽에 배치됨으로써, 건축 자재를 적재하거나 또는 작업 인원이 케이지에 쉽게 탑승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과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베이스 프레임 11: 체결볼트
20: 상부 고정바 21(22): 브라켓
30: 하부 고정바 31(32): 브라켓
40: 상측 서포트 41: 앵커볼트
50: 하측 서포트 51: 브라켓
60: 리프트 베이스 70: 케이지(cage)
80: 마스트(mast) 90: 외벽

Claims (4)

  1. 건축물의 외벽(90) 외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부를 상측 외벽(90)에 고정 설치하는 상부 고정바(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부를 하측 외벽(90)에 고정 설치하는 하부 고정바(3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를 외벽(90)에 고정 설치하는 상측 서포트(40) 및 하측 서포트(5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사각 틀의 형태로 구성되며, 건축물에서 1층 슬래브의 외벽(90) 외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바(20)는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 상부에 부착되며, 타측 단부는 브라켓(21)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21)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외벽(90)의 내측면에 다른 하나의 브라켓(22)이 배치되며, 상기 외벽(90)을 관통하여 두개의 브라켓(21)(22)에 다수개의 체결볼트(23)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고정바(30)는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외측 하부에 부착되며, 타측 단부는 브라켓(31)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31)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외벽(90)의 내측면에 다른 하나의 브라켓(32)이 배치되며, 상기 외벽(90)을 관통하여 두개의 브라켓(31)(32)에 다수개의 체결볼트(33)가 결합되고,
    상기 상측 서포트(40)는 "L"형 앵글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 상부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건축물의 외벽(90)에 다수개의 앵커볼트(41)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측 서포트(50)는 "]"형 앵글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외벽(90)의 내측면에 브라켓(51)이 배치되고, 상기 외벽(90)을 관통하여 하측 서포트(50)와 브라켓(51)에 다수개의 체결볼트(52)가 결합되며,
    상기 상측 서포트(40)와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부 및 하측 서포트(50)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체결볼트(11)가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99957A 2021-07-29 2021-07-29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KR10234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57A KR102344978B1 (ko) 2021-07-29 2021-07-29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57A KR102344978B1 (ko) 2021-07-29 2021-07-29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978B1 true KR102344978B1 (ko) 2021-12-28

Family

ID=7917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57A KR102344978B1 (ko) 2021-07-29 2021-07-29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9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917A (ja) * 2004-01-15 2005-07-28 Sanoyas Hishino Meisho Corp 地上免震建築構造物の工事用エレベータ設置構造
KR101081119B1 (ko) 2009-05-20 2011-11-07 홍득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KR101481731B1 (ko) 2014-06-17 2015-01-27 주식회사 금강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1504235B1 (ko) 2013-07-18 2015-03-20 이상설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101528847B1 (ko) 2013-11-14 2015-06-15 건설용리프트협동조합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KR101639417B1 (ko) 2016-03-08 2016-07-15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
JP2018135190A (ja) * 2017-02-23 2018-08-30 大成建設株式会社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917A (ja) * 2004-01-15 2005-07-28 Sanoyas Hishino Meisho Corp 地上免震建築構造物の工事用エレベータ設置構造
KR101081119B1 (ko) 2009-05-20 2011-11-07 홍득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KR101504235B1 (ko) 2013-07-18 2015-03-20 이상설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101528847B1 (ko) 2013-11-14 2015-06-15 건설용리프트협동조합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KR101481731B1 (ko) 2014-06-17 2015-01-27 주식회사 금강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1639417B1 (ko) 2016-03-08 2016-07-15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
JP2018135190A (ja) * 2017-02-23 2018-08-30 大成建設株式会社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306B2 (en)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JP2015124599A (ja) 仮設風防ユニット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CN210659200U (zh) 一种高层建筑电梯井作业平台
KR20110014341A (ko)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KR102344978B1 (ko)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KR200388758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앵커 구조
JP3860813B2 (ja) 地上免震建築構造物の工事用エレベータ設置構造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JP2019112218A (ja)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JP3123656U (ja) 集合住宅用後付けエレベータのかご室昇降路の隔壁構造物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JP3990341B2 (ja) 中間免震建築構造物の工事用エレベータ設置構造
KR100201921B1 (ko) 탑-다운 리프트
KR100508125B1 (ko)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CN219952784U (zh) 一种电梯井道水平安全防护装置
KR102425363B1 (ko)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272030B1 (ko) 통기형 실외용 승강기 프레임 구조물
JP7121381B2 (ja) 落下物飛散防止装置
KR200445362Y1 (ko)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KR20230054932A (ko) 인양시스템 일체식 낙하방지망 및 그 설치방법
JP2007238315A (ja) 集合住宅用後付けエレベータのかご室昇降路の隔壁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