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119B1 -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119B1
KR101081119B1 KR1020090043822A KR20090043822A KR101081119B1 KR 101081119 B1 KR101081119 B1 KR 101081119B1 KR 1020090043822 A KR1020090043822 A KR 1020090043822A KR 20090043822 A KR20090043822 A KR 20090043822A KR 101081119 B1 KR101081119 B1 KR 10108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lift
safety device
frame portion
base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890A (ko
Inventor
홍득표
Original Assignee
홍득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득표 filed Critical 홍득표
Priority to KR102009004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11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8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activating the safety brakes when the elevator car exceeds a certain upper or lower position in the eleva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또는 베이스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는, 건설 현장 등에 사용되는 타워리프트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크레비스형 또는 트러니언형으로 바닥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세로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가로대 일측에 접촉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대의 타측 끝단에는 양측으로 대향하여 반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다수개의 제1고정구가 양측에 천공된 고정날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형성된 제2고정구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타워리프트의 케이지 아래에서 작업시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를 세운 후 그 아래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낙하사고시 본 발명이 버팀목 역할을 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타워리프트, 케이지, 액츄에이터

Description

타워리프트 안전장치{Tower lift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또는 베이스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리프트(Tower Lift)는 고층 건물 등의 건설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구조물로서 층별로 작업자나 자재를 운반하기 위해 고층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도 1a는 종래 타워리프트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타워리프트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종래 타워리프트의 평면도이다.
도 1a, 1b 및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타워리프트는 지상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착되고 고층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면서 상부로 층층이 쌓여 올라가는 마스트(125);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자재를 적재할 수 있는 케이지(145); 케이지(145)의 상하운행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150); 감속기(135); 제어부(140); 케이지(145)의 운행 중 기계적 이상으로 과속이 생길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어 케이지(145)를 정지시키면서 전원을 차단 하여 케이지(145)의 운행을 완전히 중단하게 하는 낙하방지장치(130); 및 안전장치 이상시 케이지(145)가 멈추지 않고 계속 하강할 경우 지상 바닥과의 충격을 완하하는 완충 스프링(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워리프트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수시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특히 케이지(145)의 하부 및 베이스 프레임(110)의 점검 등을 위해서는 케이지(145)를 지상으로부터 약 2m 가량 승강시킨 후 작업자가 케이지(145)의 하부로 들어가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케이지(145)의 하부로 들어가서 작업을 할 때 케이지(145)의 낙하사고에 대해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불안감 속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한 프레임부를 장착하여 평소에는 프레임부를 눕혀 놓았다가 작업시에는 프레임부를 세우고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불안감을 해소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는, 건설 현장 등에 사용되는 타워리프트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크레비스형 또는 트러니언형으로 바닥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세로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가로대 일측에 접촉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대의 타측 끝단에는 양측으로 대향하여 반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다수개의 제1고정구가 양측에 천공된 고정날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형성된 제2고정구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타워리프트의 케이지 아래에서 작업시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를 세운 후 그 아래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낙하사고시 본 발명이 버팀목 역할을 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는 베이스 프레임부(2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250)으로 결합되는 세로대(215)와, 상기 세로대(215)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로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부(220); 크레비스형 또는 트러니언형으로 바닥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210)에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241)와, 상기 세로대(215)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260)으로 결합되는 피스톤(243)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20)의 상기 가로대(213) 일측에 접촉센서(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부(220)는 베이스 프레임부(2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250)으로 결합되는 세로대(215)와 상기 세로대(215)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로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의 고정수단(250)은 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세로대(215)가 좌,우 1개씩 1쌍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각각 2개 이상의 다발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는 등 케이지의 낙하시 작업자의 보호에 충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245)는 크레비스형 또는 트러니언형으로 바닥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210)에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241)와, 상기 세로대(215)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260)으로 결합되는 피스톤(2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액츄에이터(245)는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압실린더는 펌프로 기름을 일정압력하에 실린더로 보내 일을 하는 장치로서 위치제어가 가능하나 기름탱크 등의 별도 장치가 필요하고, 공압실린더는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로 일을 하는 장치로서 설비가 간단하고 유압실린더에 비해 경제적이나 정확히 위치제어를 하기 어려운 면이 있으므로 경제성과 건설 현장의 공간 등을 고려하여 유압식 혹은 공압식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크레비스형 또는 트러니언형이란 액츄에이터의 지지방식으로써 두가지 방식 모두 액츄에이터가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방식인데, 크레비스형이란 실린더의 뒷쪽에 직각방향으로 홀을 뚫고 핀으로 바닥에 설치된 고정부와 연결하여 실린더가 핀을 힌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는 방식이고, 트러니언형이란 실린더의 중단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된 핀으로 바닥에 설치된 고정부와 연결하여 실린더가 핀을 힌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는 방식이다.
도 2에서는 액츄에이터(245)가 크레비스형으로 바닥에 고정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트러니언형도 가능하고 또한, 액츄에이터(245)가 베이스 프레임부(210)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피스톤(243)은 고정수단(260)에 의해 상기 세로대(215)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수단(260)은 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피스톤(243)이 세로대(215)의 끝단(즉, 세로대(215)와 가로대(213)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수단(260)으로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였는데, 피스톤(243)이 세로대(215)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는 프레임부(220)가 고정수단(25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피스톤(243)이 실린더 튜브(241)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세로대(213)와 베이스 프레임부(210) 사이의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센서(230)는 상기 프레임부(220)의 가로대(212) 일측에 추가로 구비되는데, 접촉센서(230)는 안전사고 발생으로 케이지가 낙하시 케이지의 바닥면이 접촉 센서(230)에 닿으면 제어부(140, 도 1 참조)가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150, 도 1 참조)에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하여 케이지를 멈추게 함으로써 작업자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의 접촉센서(230)는 후술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중 세로대(315)의 타측 끝단에는 양측으로 대향하여 반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다수개의 제1고정구(320a, 320b)가 양측에 천공된 고정날개부(310a, 310b)가 추가로 형성되어 고정부재(330a, 330b)가 상기 제1고정구(320a, 320b)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210)에 형성된 제2고정구(360a, 360b)를 관통고정하여 상기 고정날개부(310a, 310b)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210)를 결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날개부(310a, 310b)는 세로대(315)의 타측 끝단에 양측으로 대향하여 반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다수개의 제1고정구(320a, 320b)가 양측에 천공되어 있는데, 고정날개부(310a, 310b)는 세로대(315)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액츄에이터(245, 도 2 참조)의 지지력 이외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작업자가 세로대(315)를 수직으로 세운 후 고정부재(330a, 330b)가 고정날개부(310a, 310b)에 형성된 제1고정구(320a, 320b)와 베이스 프레임부(210)에 형 성된 제2고정구(360a, 360b)를 관통하도록 끼워넣으면 액츄에이터(245)가 세로대(315)에 제공하는 지지력에 고정부재(330a, 330b)가 세로대(315)에 제공하는 지지력을 추가시킬 수 있어 좀 더 안정적으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3b의 고정수단(370)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수단(250)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종래 타워리프트의 정면도;
도 1b는 종래 타워리프트의 측면도;
도 1c는 종래 타워리프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워리프트 안전장치의 사시도; 및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베이스 프레임 115 : 완충스프링
120 : 방호선반 125 : 마스트
130 : 낙하방지장치 135 : 감속기
140 : 제어부 155 : 케이지(Cage)
210 : 베이스 프레임부 213 : 가로대
215 : 세로대 220 : 프레임부
230 : 접촉센서 241 : 실린더 튜브
243 : 피스톤 245 : 액츄에이터
250 : 고정수단 260 : 고정수단
310a, 310b : 고정날개부 315 : 세로대
320a, 320b : 제1고정구 330a, 330b : 고정부재
360a, 360b : 제2고정구 370 : 고정수단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크레비스형 또는 트러니언형으로 바닥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세로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대의 타측 끝단에는 양측으로 대향하여 반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다수개의 제1고정구가 양측에 천공된 고정날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형성된 제2고정구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가로대 일측에 접촉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3. 삭제
KR1020090043822A 2009-05-20 2009-05-20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KR10108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22A KR101081119B1 (ko) 2009-05-20 2009-05-20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22A KR101081119B1 (ko) 2009-05-20 2009-05-20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890A KR20100124890A (ko) 2010-11-30
KR101081119B1 true KR101081119B1 (ko) 2011-11-07

Family

ID=4340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822A KR101081119B1 (ko) 2009-05-20 2009-05-20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978B1 (ko) 2021-07-29 2021-12-28 양기태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978B1 (ko) 2021-07-29 2021-12-28 양기태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890A (ko)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689B2 (en) Jacking tower
US9222277B2 (en) Scissors lift assembly for jacking tower
US8100228B2 (en) Portable anchorage assembly
AU2016367175B2 (en) Powered ladder for large industrial vehicles
CN106906994B (zh) 带无损附墙装置的导架爬升式工作平台***及其施工方法
CN108979114B (zh) 一种全自动剪叉式机器人爬架
KR200445916Y1 (ko) 압착사고 방지기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20120042115A (ko) 타워 크레인
CN105040964A (zh) 防坠装置及具有防坠装置的升降***
KR101081119B1 (ko) 타워리프트 안전장치
CN109914852B (zh) 一种土木工程施工用支护结构
CN110514537B (zh) 落锤冲击试验装置
JP4276941B2 (ja) エレベータかご上での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保守に用いる安全装置
CN104847283B (zh) 海洋丛式井钻井模块钻杆坡道
KR100778533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CN110700558B (zh) 一种防侧倾建筑脚手架
CN209799298U (zh) 一种机电安装工程高处作业用安全工作平台
CN218114958U (zh) 一种具有维修用液压缓冲器的剪叉式提升设备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200416877Y1 (ko) 직접유압식 엘리베이터 승강장치
CN214110275U (zh) 一种便于仰面钻孔的装置
JP5035850B2 (ja) 多層建築物の水平支持方法及び支持構造
CN211008473U (zh) 石油钻井井架
CN106401164A (zh) 新型导轨式防坠附墙装置
CN110640712A (zh) 一种汽车维修用的侧躺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