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689B1 -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689B1
KR102343689B1 KR1020160182876A KR20160182876A KR102343689B1 KR 102343689 B1 KR102343689 B1 KR 102343689B1 KR 1020160182876 A KR1020160182876 A KR 1020160182876A KR 20160182876 A KR20160182876 A KR 20160182876A KR 102343689 B1 KR102343689 B1 KR 10234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witch
inductor
turned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965A (ko
Inventor
김근용
김기선
드미트리 닛킨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6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3/158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제1 노드 내지 제4 노드들 및 접지 노드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로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제1 인덕터와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탭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제3 인덕터와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제4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탭 인덕터, 상기 제3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제1 다이오드, 상기 제2 인덕터와 제2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및 제2 다이오드, 상기 제4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제3 다이오드, 상기 제4 인덕터와 제2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 스위치 및 제4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bidirectional DC-DC converter,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전압을 올려주는(Step-up) 단방향 부스트 모드와 전압을 내려주는(Step-down) 단방향 벅-모드로 동작한다. 비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에 비하여 부품의 수와 크기 등의 측면에서 여러 장점이 있어서 널리 사용된다. 비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를 부스트 모드로 동작시킬 때,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을 크게 증가시키면, 승압의 한계로 인해 목표 출력 전압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목표 출력 전압을 달성한다 하더라도, 듀티비(Duty ratio)가 0.8 내지 0.9 이상이 되어, 제어의 불안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의 대안으로서, 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등장하였지만, 변압기, 보조 인덕터, 공진 소자 등의 부품이 필요하여 전체 부품수가 증가하고 효율이 낮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탭 인덕터를 이용하여 제어 안정성을 갖는 비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제1 노드 내지 제4 노드들 및 접지 노드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로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제1 인덕터와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탭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제3 인덕터와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제4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탭 인덕터, 상기 제3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제1 다이오드, 상기 제2 인덕터와 제2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및 제2 다이오드, 상기 제4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제3 다이오드, 상기 제4 인덕터와 제2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 스위치 및 제4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 예에 따르면, 부스트 모드로 동작 시에,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들은 서로 교대로(interleaved) 동작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들은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일 때, 턴 온 상태이고,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일 때, 턴 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탭 인덕터는 상기 제1 스위치가 턴 오프되면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제2 노드로 전달하고, 상기 제2 탭 인덕터는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오프되면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제2 노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온, 턴 오프, 턴 온 상태로 변하는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후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들은 80% 미만의 듀티비로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노드의 제1 전압에 대한 상기 제2 노드의 제2 전압의 승압비가 6배 내지 12배 중 어느 하나의 승압비를 갖는 것을 특징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벅 모드로 동작 시에, 상기 제2 및 제4 스위치들은 서로 교대(interleaved)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및 제3 스위치들은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직류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탭 인덕터는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온되면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상기 제2 탭 인덕터는 상기 제4 스위치가 턴 온되면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4 스위치가 턴 온 상태 일 때, 턴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온 상태일 때, 턴 오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4 스위치가 턴 오프, 턴 온, 턴 오프 상태로 변하는 동안에 턴 오프 상태가 유지되고, 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및 제4 스위치들은 40% 미만의 듀티비로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탭 인덕터는 1:N의 권선비를 갖는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권선비를 증가시켜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 내의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양방향 DC-DC 컨버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제1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배터리,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제2 노드와 상기 접지 노드 사이의 상기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DC 링크, 발전 시스템, 계통 및 부하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DC 링크 사이에서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와 상기 전력 변환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이 8배인 부스트 모드로 동작할 때에도 0.8 이하의 듀티비를 갖는 제어 신호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압을 내려주는 벅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낮은 전압을 갖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비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며,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동작함에 따라 최대 전류를 절반으로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회로도를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할 때의 제어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각 구간 별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벅 모드로 동작할 때의 제어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벅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각 구간별로 도시한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주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회로도를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1 내지 제4 노드(N4) 및 접지 노드(GND)를 포함한다.
제1 노드(N1)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는 직류 전원이 연결된다. 도 1에 직류 전원은 배터리(21)로 표시되었지만,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직류 전원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노드(N1)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 직류 전원과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노드(N1)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 연결된 직류 전원은 배터리(21)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부스트 모드와 벅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1 노드(N1)의 전압을 승압하여 제2 노드(N2)에 출력한다. 이 경우, 제1 노드(N1)는 입력 노드이고, 제2 노드(N2)는 출력 노드이다. 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2 노드(N2)의 전압을 감압하여 제1 노드(N1)에 출력한다. 이 경우, 제2 노드(N2)는 입력 노드이고, 제1 노드(N1)는 출력 노드이다. 제2 노드(N2)의 제2 전압(V2)은 제1 노드(N1)의 제1 전압(V1)의 레벨보다 높다. 즉, 제1 노드(N1) 쪽은 저전압단이고, 제2 노드(N2) 쪽은 고전압단이다. 한편, 제1 노드(N1)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 배터리(21)가 연결되고 제2 노드(N2)에는 DC 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노드(N1)에 배터리(21)가 연결되고, 제2 노드(N2)에는 양방향 인버터를 통해 부하 또는 상용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노드(N1)에 연결된 배터리(21)가 방전되어, 방전된 전력은 제2 노드(N2)에 연결된 부하 또는 상용 전원에 공급될 수 있다. 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제1 노드(N1)에 연결된 배터리(21)가 충전된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1 탭 인덕터(121)와 제2 탭 인덕터(123)를 포함한다. 제1 탭 인덕터(121) 및 제2 탭 인덕터(123)는 기존 인덕터의 중간에 회로적으로 연결 가능한 탭을 만든 인덕터로서, 변압기와는 달리 '에너지의 전달’이 아니라 ‘에너지의 저장’이 목적인 인덕터이다. 제1 탭 인덕터(121)는 1:N의 권선비로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를 포함하고, 제1 인덕터(L1)와 제2 인덕터(L2) 사이(제3 노드(N3))에 탭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탭 인덕터(123)는 1:M의 권선비로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3 인덕터(L3)와 제4 인덕터(L4)를 포함하고, 제3 인덕터(L3)와 제4 인덕터(L4) 사이에 탭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인덕터(L1)는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인덕터(L2)는 제2 노드(N2)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된다. 제3 인덕터(L3)는 제1 노드(N1)와 제4 노드(N4)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인덕터(L4)는 제2 노드(N2)와 제4 노드(N4)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인덕터 내지 제4 인덕터(L1 내지 L4)는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인덕터(L3) 및 제2 인덕터(L2) 간의 결합계수와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 간의 결합계수가 서로 상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인덕터(L1) 및 제3 인덕터(L2) 또는 제2 인덕터(L2) 및 제4 인덕터(L4)의 인덕턴스는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 간의 결합계수와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 간의 결합계수도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인덕터((L1)및 제3 인덕터(L3), 제2 인덕터(L2) 및 제4 인덕터(L4)는 서로 상응한 인덕턴스를 가지고 있고,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간의 결합계수와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 간의 결합계수가 서로 상응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 간의 권선비는 1:N이다. N은 1 이상의 값이며, N값이 증가하면 승압비도 증가할 수 있다.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 간의 권선비는 제1 스위치(S1)의 듀티비(D) 및 각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값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 간의 권선비는 1:M이다. M은 1이상의 값이며, M값이 증가하면 승압비도 증가할 수 있다.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 간의 권선비는 제3 스위치(S3)의 듀티비(D) 및 각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값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N과 M은 서로 상응한 값을 가질 수 있으나, N과 M은 서로 상이한 값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 간의 권선비와,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 간의 권선비는 1:2로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3 노드(N3)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S1) 및 제1 다이오드(D1), 제2 인덕터(L2)와 제2 노드(N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S2) 및 제2 다이오드(D2), 제4 노드(N4)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치(S3) 및 제3 다이오드(D3), 제4 인덕터(L4)와 제2 노드(N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 스위치(S4) 및 제4 다이오드(D4)를 포함한다. 제1 다이오드(D1)는 접지 노드(GND)에서 제3 노드(N3)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제2 다이오드(D2)는 제2 인덕터(L2)에서 제2 노드(N2)로 전류를 흐르게 하고, 제3 다이오드(D3)는 접지 노드(GND)에서 제4 노드(N4)로 전류를 흐르게 하며, 제4 다이오드(D4)는 제4 인덕터(L4)에서 제2 노드(N2)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제1 스위치(S1) 및 제1 다이오드(D1)는 수직 확산된 MOS(Vertical Diffused MOS) 구조를 갖는 전력 MOSFET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스위치(S2) 및 제2 다이오드(D2), 제3 스위치(S3) 및 제3 다이오드(D3), 제4 스위치(S4) 및 제4 다이오드(D4)도 역시 전력 MOSFET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100)는 제2 노드(N2)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13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커패시터(130)는 DC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커패시터(130)는 제2 노드(N2)의 제2 전압(V2)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커패시터(130)는 제2 노드(N2)의 리플 전압이 제2 전압(V2) 레벨에 비해 작도록 충분히 큰 용량(커패시턴스)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할 때의 제어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각 구간 별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들은 스위칭 주기(Ts) 마다 서로 교대(interleaved)로 스위칭된다. 상기 스위칭 주기(Ts)는 제1 구간(t0-t1), 제2 구간(t1-t2), 제3 구간(t2-t3) 및 제4 구간(t3-t4)을 1회 반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들은 턴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제1 전류(I1)는 제1 노드(N1)에서 제3 노드(N3)로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하고, 제2 전류(I2)는 제3 노드(N3)에서 제2 노드(N2)로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한다. 제3 전류(I3)는 제1 노드(N1)에서 제4 노드(N4)로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하고, 제4 전류(I4)는 제4 노드(N4)에서 제2 노드(N2)로 제4 인덕터(L4)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한다.
스위칭 주기(Ts) 중 제1 구간(t0-t1) 동안, 제1 스위치(S1)는 턴 오프 상태이며 제3 스위치(S3)는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2 구간(t1-t2) 동안,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는 턴 온 상태가 된다. 제3 구간(t2-t3) 동안 제1 스위치(S1)는 턴 온 상태이고, 제2 스위치(S2)는 턴 오프 상태이다. 제4 구간(t3-t4) 동안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는 턴 온 상태이다.
제1 스위치(S1)가 턴 오프되는 제1 구간(t0-t1)과 제3 스위치(S3)가 턴 오프되는 제3 구간(t2-t3)은 서로 상응한 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칭 주기(Ts) 중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가 턴 온되는 시간의 비율이 듀티비(D)이다. 스위칭 주기(Ts)에서 제1 스위치(S1)의 턴 오프 시간과 제3 스위치(S3)의 턴 오프 시간은 서로 상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스위치(S1)와 제3 스위치(S3)의 듀티비(D)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스위치(S1)의 듀티비(D)와 제3 스위치(S3)의 듀티비(D)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들의 듀티비(D)는 서로 상응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승압비에 따라 다르지만, 제1 스위치(S1)와 제3 스위치(S3)는 80% 미만의 듀티비(D)로 턴 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의 권선비는 1:2로 가정하고,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의 권선비는 1:2로 가정한다. 예컨대, 승압비가 4인 경우,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들은 대략 50%의 듀티비(D)로 턴 온될 수 있다. 승압비가 6인 경우,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는 대략 62.5%의 듀티비(D)로 턴 온될 수 있다. 승압비가 8인 경우,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는 대략 70%의 듀티비(D)로 턴 온될 수 있고, 나아가 승압비가 12인 경우,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들은 대략 79%의 듀티비(D)로 턴 온된다.
따라서,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승압비가 4 이상 및 12 이하인 경우,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들은 50%이상 내지 80% 미만의 듀티비(D)로 턴 온 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들은 스위칭 주기(Ts)마다 서로 교대로 턴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위치(S1)가 턴 오프 상태일 때, 제3 스위치(S3)는 턴 온 상태일 수 있고, 제3 스위치(S3)가 턴 오프 상태일 때, 제1 스위치(S1)는 턴 온 상태일 수 있다. 즉, 권선비에 따라 달라지지만, 권선비가 1:2인 경우에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가 모두 턴 오프되는 상태는 없을 수도 있다.
커패시터(130)의 전압인 제2 전압(V2)은 스위칭 주기(Ts) 내에서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지만,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안정화된 후에 평균적으로 일정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평균 전압은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안정된 후에 스위칭 주기(Ts) 동안의 평균 전압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안정화된 후 제1 구간(t0-t1)에서 제4 구간(t3-t4)까지 진행되고 다시 제1 구간(t0-t1)이 반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간(t0-t1)에서, 제1 스위치(S1)는 턴 오프 상태이고, 제3 스위치(S3)는 턴 온 상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른 제1 전류(I1)는 제3 노드(N3)로 흐르고,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른 제2 전류(I2)는 제3 다이오드(D3)로 흐른다.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르는 제3 전류(I3)는 제3 스위치(S3)로 흐르고, 제4 인덕터(L4)에 흐르는 제4 전류(I4)는 제3 스위치(S3)의 턴 온으로 0이다.
제1 구간(t0-t1)에서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는, 접지 노드(GND) 및 제3 노드(N3)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없는 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방향을 갖는다.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는 제1 인덕터(L1), 제3 노드(N3), 제2 인덕터(L2), 제2 다이오드(D2), 커패시터(130), 배터리(21) 및 제1 노드(N1)를 경유하며 순환된다. 제1 인덕터(L1)는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고, 제2 인덕터(L2)는 제1 인덕터(L1)와의 자기적 결합에 따라 유기된 에너지를 방출한다. 커패시터(130)가 연결된 제2 노드 즉, 고전압단은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가 방출하는 에너지와 배터리(21)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전달받는다.
도 2의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의 그래프에서 제1 구간(t0-t1)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치(S1)가 턴 오프되는 시점(t0)에 제1 전류(I1)는 급격히 감소하면서 제2 전류(I2)는 급격히 상승하고, 제1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 일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2 인덕터(L2)에 전달된다. 이 후,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는 동일해지며 동일한 기울기로 감소하고,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된다.
제1 구간(t0-t1)에서 제3 전류(I3)는 배터리(21), 제1 노드(N1), 제3 인덕터(L3), 제4 노드(N4), 제3 스위치(S3) 및 접지 노드(GND)를 경유하여 순환한다. 제3 인덕터(L3)는 제1 구간(t0-t1) 동안 배터리(21)로부터 공급받은 에너지를 저장한다. 한편, 제4 인덕터(L4)는 전류의 흐름이 없으므로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제3 전류(I3)의 그래프에서 제1 구간(t0-t1)을 참조하면, 제3 전류(I3)는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제3 인덕터(L3)에 배터리(21)로부터 공급된 에너지가 저장된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일정한 기울기는 제2 구간(t1-t2) 및 제4 구간(t3-t4)에서의 제3 전류(I3)가 증가되는 기울기와 동일하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제1 스위치(S1)는 턴 온되고, 제2 구간(t1-t2) 동안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는 턴 온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른 제1 전류(I1)는 제1 스위치(S1)로 흐르고,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른 제3 전류(I3)는 제3 스위치(S3)로 흐른다. 제2 전류(I2) 및 제4 전류(I4)는 0이다.
제2 구간(t1-t2)에서, 제1 전류(I1)는 배터리(21), 제2 노드(N2), 제1 인덕터(L1), 제3 노드(N3), 제1 스위치(S1) 및 접지 노드(GND)를 경유하며 순환된다. 제1 인덕터(L1)는 배터리(21)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2 인덕터(L2)는 전류의 흐름이 없으므로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제1 전류(I1)의 그래프에서 제2 구간(t1-t2)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치(S1)가 턴 오프 되는 시점(t1)에서 제1 전류(I1)는 급격히 상승하고, 제2 전류(I2)는 급격히 0으로 감소되어, 제2 인덕터(L2)에 저장된 에너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1 인덕터(L1)로 전달된다. 이 후, 제1 전류(I1)는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제1 인덕터(L1)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후술 할 바와 같이, 제1 전류(I1)가 증가되는 상기 일정한 기울기는 제3 구간(t2-t3) 및 제4 구간(t3-t4)에서의 제1 전류(I1)가 증가되는 기울기와 동일하다.
제3 전류(I3)는 배터리(21), 제1 노드(N2), 제3 인덕터(L3), 제3 스위치(S3) 및 접지 노드(GND)를 경유하며 순환된다. 제3 인덕터(L3)는 배터리(21)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4 인덕터(L4)는 전류의 흐름이 없으므로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제3 전류(I3)의 그래프에서 제2 구간(t1-t2)을 참조하면, 제2 구간(t1-t2) 동안, 제3 전류(I3)는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제3 인덕터(L3)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시간에 제3 스위치(S3)는 턴 오프되고, 제3 구간(t2-t3) 동안 제1 스위치(S1)는 턴 온 상태이고, 제3 스위치(S3)는 턴 오프상태이다.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른 제1 전류(I1)는 제1 스위치(S1)로 흐르고, 제2 전류(I2)는 0 이다. 제1 전류(I1)는 배터리(21), 제1 노드(N1), 제1 인덕터(L1), 제3 노드(N3), 제1 스위치(S1) 및 접지 노드(GND)를 경유하여 순환한다. 제1 인덕터(L1)는 제3 구간(t2-t3) 동안 배터리(21)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2 인덕터(L2)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제1 전류(I1)의 그래프에서 제3 구간(t2-t3)을 참조하면, 제1 전류(I1)는 제2 구간(t1-t2)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증가되고, 제1 인덕터(L1)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른 제3 전류(I3)는 제4 노드(N4)를 통해 제4 인덕터(L4)로 흐른다. 제4 인덕터(L4)는 제3 인덕터(L3)와의 자기적 결합에 의해 제4 전류(I4)가 유도되며, 유도된 제4 전류(I4)는 제4 다이오드(D4)로 흐른다. 제3 전류(I3)와 제4 전류(I4)는 제4 노드(N4) 및 접지 노드(GND) 사이에 유출 또는 유입되는 전류가 없는바 서로 동일하다.
제3 전류(I3) 및 제 4전류는 배터리(21), 제1 노드(N1), 제3 인덕터(L3), 제4 노드(N4), 제4 인덕터(L4), 제4 스위치(S4), 제2 노드(N2) 및 커패시터(130)를 경유하여 순환된다. 제3 인덕터(L3)는 저장된 에너지를 제3 구간(t2-t3) 동안 방출하고, 제4 인덕터(L4)는 제2 시점에 제3 인덕터(L3)와의 결합에 의해 유기된 에너지를 제3 구간(t2-t3) 동안 방출한다. 고전압단(N2)은 제3 인덕터(L3)와 제4 인덕터(L4)가 방출한 에너지 및 배터리(21)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제공받는다.
도 2에 도시된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의 그래프에서 제3 구간(t2-t3)을 참조하면, 제3 스위치(S3)가 턴 오프되는 시점(t2)에 제3 전류(I3)는 급격히 감소하고 제4 전류(I4)는 급격히 상승하여, 제3 인덕터(L3)에 저장된 에너지 일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4 인덕터(L4)에 전달된다. 이 후, 제3 전류(I3)와 제4 전류(I4)는 동일해지며 동일한 기울기로 감소하고,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시간에 제3 스위치(S3)는 턴 온되고, 제4 구간(t3-t4) 동안,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는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른 제1 전류(I1)는 제1 스위치(S1)로 흐르고,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른 제3 전류(I3)는 제3 스위치(S3)로 흐른다.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가 턴 온 상태에서, 제2 전류(I2) 및 제4 전류(I4)는 0이다.
제1 전류(I1)는 배터리(21), 제1 노드(N1), 제1 인덕터(L1), 제3 노드(N3), 제1 스위치(S1) 및 접지 노드(GND)를 경유하며 순환된다. 제1 인덕터(L1)는 배터리(21)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제4 구간(t3-t4) 동안 저장한다. 제2 인덕터(L2)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제1 전류(I1)의 그래프에서 제4 구간(t3-t4)을 참조하면, 제1 전류(I1)는 제3 구간(t2-t3)에서의 제1 전류(I1)가 증가되는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제1 인덕터(L1)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제3 전류(I3)는 배터리(21), 제1 노드(N1), 제3 인덕터(L3), 제3 스위치(S3) 및 접지 노드(GND)를 경유하며 순환된다. 제3 인덕터(L3)는 제4 구간(t3-t4) 동안 배터리(21)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4 인덕터(L4)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제3 전류(I3)의 그래프에서 제4 구간(t3-t4)을 참조하면, 제3 스위치(S3)가 턴 오프 되는 시점(t3)에 제3 전류(I3)는 급격히 상승하고, 제4 전류(I4)는 0으로 급감하여, 제4 인덕터(L4)에 저장된 에너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3 인덕터(L3)로 전달된다. 이 후, 제3 전류(I3)는 제2 구간(t1-t2)의 제3 전류(I3)가 증가되는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제3 인덕터(L3)에 에너지가 저장되며, 제4 인덕터(L4)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덕터(L1)는 제2 구간(t1-t2), 제3 구간(t2-t3), 제4 구간(t3-t4)에서 배터리(21)로부터 공급받은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1 인덕터(L1)는 제1 스위치(S1)가 턴 오프가 되는 시점(t0)에서 제2 구간(t1-t2) 내지 제4 구간(t3-t4) 동안 저장한 에너지 일부를 제1 구간(t0-t1) 동안 방출한다. 한편, 제2 인덕터(L2)는 제1 스위치(S1)가 턴 오프되는 시점(t0)에 제1 인덕터(L1)에 의해 유기된 에너지를 제1 구간(t0-t1) 동안 방출하고, 제1 시점(t1)을 제외한 제2 구간(t1-t2), 제3 구간(t2-t3) 및 제4 구간(t3-t4)에서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또한, 제3 인덕터(L3)는 제1 구간(t0-t1), 제2 구간(t1-t2) 및 제4 구간(t3-t4)에서 배터리(21)로부터 공급된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3 인덕터(L3)는 제2 시간에 제3 스위치(S3)가 턴 오프되면, 제1 구간(t0-t1), 제2 구간(t1-t2) 및 제4 구간(t3-t4) 동안 저장한 에너지 중 일부를 제3 구간(t2-t3) 동안 방출한다. 한편, 제4 인덕터(L4)는 제3 스위치(S3)가 턴 오프되는 시점(t2)에 제3 인덕터(L3)에 의해 유기된 에너지를 제3 구간(t2-t3) 동안 방출하고, 제1 구간(t0-t1), 제2 구간(t1-t2) 및 제3 시점(t3)을 제외한 제4 구간(t3-t4)에서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피크 전류를 절반으로 낮출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1 탭 인덕터(121) 및 제2 탭 인덕터(123)에 저장된 에너지를 번갈아가며 커패시터(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1 구간(t0-t1)에서 제1 탭 인덕터(121)에 저장된 에너지 및 배터리의 에너지를 상기 고전압단에 에너지를 전달한 후, 제3 구간(t2-t3)에서 제2 탭 인덕터(123)에 저장된 에너지 및 배터리의 에너지를 상기 고전압단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주기(Ts) 동안 하나의 탭 인덕터가 제공할 에너지를 두 개의 탭 인덕터가 나눠서 저장 및 방출한 바,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피크 전류를 절반으로 낮출 수 있다. 한편,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3개 이상의 탭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피크 전류의 크기를 더 낮출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안정화된 상태에서 입력 전원을 공급받아 제1 구간(t0-t1) 내지 제4 구간(t3-t4)을 거쳐 미리 설정된 승압비를 갖는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이 경우, 제1 전류(I1)와 제3 전류(I3)는 스위칭 주기(Ts)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값은 동일하다.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1+N*D)/(1-D)의 승압비(V2/V1)를 갖는다. 상기 승압비(V2/V1)의 유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도 회로 및 회로 해석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바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8배의 승압비(V2/V1)로 동작하기 위해,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들은 70%의 듀티비(D)(상술한 바와 같이 권선비를 1:2로 가정할 때)로 턴 온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21)의 출력 전압인 제1 전압(V1)이 50V인 경우,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400V를 출력할 수 있고, 비절연 DC-DC 컨버터로 8배의 고 승압비를 가지더라도 80% 이내의 듀티비(D)로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피크 전류를 절반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1 탭 인덕터(121)와 제2 탭 인덕터(123)의 권선비를 조정하여 듀티비(D) 및 피크 전류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1+N*D)/(1-D)의 승압비(V2/V1)를 가지므로, 상기 권선비를 증가(N의 증가)시켜 증가시켜 듀티비(D) 및 피크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N이 2인 경우, 승압비(V2/V1)가 6일 때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2)의 듀티비는 62,5%의 듀티비(D), 승압비(V2/V1)가 8일 때에 대략 79%의 듀티비(D)를 가지나, N이 4인 경우, 승압비(V2/V1)가 6일 때에 50%, 승압비(V2/V1)가 8일 때 대략 59%의 듀티비(D)를 갖는바, N이 높아질수록 동일한 승압비를 갖도록 하는 제1 스위치(s1)와 제3 스위치(S3)의 듀티비(D)는 감소된다.
또한, 제1 탭 인덕터(121) 및 제2 탭 인덕터(123)의 권선비를 조절함으로 컨버터의 동작점에서 스위치의 듀티비(D)을 조절할 수 있어서, 스위치의 도통 손실과 다이오드의 역전압 회복 문제를 줄임으로 효율과 EMI(Elcctro-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벅 모드로 동작할 때의 제어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벅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각 구간별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들은 스위칭 주기(Ts)마다 서로 교대로 스위칭 된다.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들은 스위칭 주기(Ts) 동안 턴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 노드(N2)가 입력 노드가 되고, 제1 노드(N1)가 출력 노드가 된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2 노드(N2)의 제2 전압(V2)을 감압하여, 제1 노드(N1)에 제1 전압(V1)이 출력된다. 따라서, 제2 노드(N2) 및 접지 노드(GND) 사이에 제2 전압(V2)을 갖는 직류 전원(Vs)이 커패시터(130)와 병렬로 연결된다. 직류 전원(Vs)은 상용 전원이거나, 상용 전원을 정류한 전원이다. 제2 전압(V2)은 제1 전압(V1)의 레벨보다 높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전류(I1)는 제3 노드(N3)에서 제1 노드(N1)로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하고, 제2 전류(I2)는 제2 노드(N2)에서 제3 노드(N4)로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한다. 제3 전류(I3)는 제4 노드(N4)에서 제1 노드(N1)로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하고, 제4 전류(I4)는 제2 노드(N2)에서 제4 노드(N4)로 제4 인덕터(L4)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한다.
벅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직류 전원(Vs)의 에너지를 제1 노드(N1)에 연결된 배터리(21)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벅 모드에서 배터리(21)는 직류 전원(Vs)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이 될 수 있다.
스위칭 주기(Ts) 중 제1 구간(t0-t1) 동안 제2 스위치(S2)는 턴 오프 상태이고, 제4 스위치(S4)는 턴 온 상태이다. 제1 시간(t1)에 제4 스위치(S4)는 턴 오프되며, 제2 구간(t1-t2) 동안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모두 턴 오프 상태가 된다. 제2 시간(t2)에 제2 스위치(S2)는 턴 온되고, 제 3 구간 동안 제2 스위치(S2)는 턴 온 상태이고, 제4 스위치(S4)는 턴 오프 상태이다. 제3 시간(t3)에 제2 스위치(S2)는 턴 오프되고, 제4 구간(t3-t4) 동안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모두 턴 오프상태가 된다.
제2 스위치(S2)가 턴 온되는 구간인 제3 구간(t2-t3)의 지속 시간과 제4 스위치(S4)가 턴 온되는 구간인 제1 구간(t0-t1)의 지속 시간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주기(Ts) 중에서 제2 스위치(S2)가 턴 온되는 시간의 비율인 듀티비(D)는 제4 스위치(S4)의 듀티비(D)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스위치(S2)의 듀티비(D)와 제4 스위치(S4)의 듀티비(D)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들의 듀티비(D)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벅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D/(D+N(1-D))의 감압비(V1/V2)를 갖는다. 상기 감압비(V1/V2)의 유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도 회로 및 회로 해석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바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의 권선비와 제3 인덕터와 제4 인덕터 간의 권선비가 1:2인 것으로 가정한다.
벅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감압비(V1/V2)에 따라 다르지만, 감압비가 1/4 내지 1/16인 경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10% 이상 50% 미만의 듀티비로 턴 온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압비가 1/4인 경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들은 40% 듀티비로 턴 온 될 수 있다. 감압비가 1/8인 경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들은 대락 22.2%의 듀티비(D)로 턴 온 될 수 있다. 감압비가 1/16인 경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들은 대략 11.8%의 듀티비(D)로 턴 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스위칭 주기(Ts)마다 서로 교대로 턴 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위치(S2)가 턴 온 상태일 때, 제4 스위치(S4)는 턴 오프 상태일 수 있으며, 제4 스위치(S4)가 턴 온 상태일 때, 제2 스위치(S2)는 턴 오프 상태 일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들은 모두 턴 온되는 상태는 없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피크 전류를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리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류 전원(Vs)의 제2 전압(V2)이 400V인 경우, 제1 전압(V1)이 50V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1/8의 감압비를 갖는다. 이 경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대략 22.2%의 듀티비로 턴 온되도록 제어되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가 교대로 턴 온되므로 피크 전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구간(t0-t1) 동안 제2 스위치(S2)는 턴 오프 상태이고 제4 스위치(S4)는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르는 제1 전류(I1)는 제1 노드(N1)를 지나 배터리(21)로 향한다.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르는 제3 전류(I3)도 제1 노드(N1)를 지나 배터리(21)로 향하고, 제4 인덕터(L4)를 통해 흐르는 제4 전류(I4)는 제4 노드(N4)를 지나 제3 인버터로 흐른다.
제1 전류(I1)는 제1 인덕터(L1), 제1 노드(N1), 배터리(21), 접지 노드(GND) 및 제1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순환한다. 제1 인덕터(L1)는 저장된 에너지 일부를 방출한다. 한편, 제2 인덕터(L2)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제1 전류(I1)의 그래프에서 제1 구간(t0-t1)을 참조하면, 제1 전류(I1)는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되고, 제1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된다. 배터리(21)는 제1 인덕터가 방출된 에너지가 전달되어 충전된다.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는, 접지 노드(GND) 및 제4 노드(N4)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서로 동일하다.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는 직류 전원(Vs), 제2 노드(N2), 제4 스위치(S4), 제4 인덕터(L4), 제3 노드(N3), 제3 인덕터(L3), 제1 노드(N1) 및 배터리(21)를 경유하여 순환한다.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는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에 에너지를 저장하면서, 배터리(21)를 충전시킨다. 즉, 직류 전원(Vs)이 공급한 에너지는 제1 구간(t0-t1) 동안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에 저장되고 배터리(21)를 충전시킨다.
도 7에 도시된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의 그래프에서 제1 구간(t0-t1)을 참조하면, 제4 스위치(S4)가 턴 온되는 시점(t0)에 제3 전류(I3)는 급격히 감소하고 제4 전류(I4)는 급격히 상승하여, 제3 인덕터(L3)에 저장된 에너지 일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4 인덕터(L4)에 전달된다. 이 후, 제3 전류(I3)와 제4 전류(I4)는 동일하며, 동일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제4 스위치(S4)가 턴 오프되고, 제2 구간(t1-t2) 동안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턴 오프 상태가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른 제1 전류(I1)는 배터리(21)로 흐른다.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른 제3 전류(I3)도 배터리(21)로 흐른다.
제1 전류(I1)는 제1 인덕터(L1), 제1 노드(N1), 배터리(21), 접지 노드(GND) 및 제1 다이오드(D1)를 경유하며 순환된다. 제1 인덕터(L1)는 저장된 에너지 일부를 제2 구간(t1-t2) 동안 방출한다. 제1 전류(I1)는 제1 인덕터(L1)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배터리(21)로 전달하여 배터리(21)를 충전시킨다. 제2 인덕터(L2)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제1 전류(I1)의 그래프에서 제2 구간(t1-t2)을 참조하면, 제1 전류(I1)는 제1 구간(t0-t1)에서 제1 전류(I1)가 감소된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감소되고, 제1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된다.
제3 전류(I3)는 제3 인덕터(L3), 제1 노드(N1), 배터리(21), 접지 노드(GND) 및 제3 다이오드(D3)를 경유하며 순환된다. 제3 인덕터(L3)는 저장한 에너지 일부를 제2 구간(t1-t2) 동안 방출한다. 배터리(21)는 제3 인덕터(L3)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전달 받아 충전된다.
도 7에 도시된 제3 전류(I3) 및 제4 전류(I4)의 그래프에서 제2 구간(t1-t2)을 참조하면, 제4 스위치(S4)가 턴 오프되는 시점(t1)에 제3 전류(I3)는 급격히 증가하고 제4 전류(I4)는 0으로 급격히 감소하며, 제4 인덕터(L4)에 저장된 에너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3 인덕터(L3)로 전달된다. 이 후, 제3 전류(I3)는 점차 감소하고, 제3 인덕터(L3)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된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시간(t2)에 제2 스위치(S2)가 턴 온되고, 제3 구간(t2-t3) 동안 제2 스위치(S2)는 턴 온 상태가 유지되고, 제4 스위치(S4)는 턴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른 제1 전류(I1)는 배터리(21)로 흐르고,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른 제2 전류(I2)는 제2 노드(N2)를 통해 제1 인덕터(L1)로 흐른다.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는, 제3 노드(N3) 및 접지 노드(GND)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서로 동일하다. 제1 전류(I1) 및 제3 전류(I3)는 직류 전원(Vs), 제2 노드(N2), 제2 스위치(S2), 제2 인덕터(L2), 제3 노드(N3), 제1 인덕터(L1), 제1 노드(N1), 배터리(21), 접지 노드(GND)를 경유하여 순환한다. 제1 전류(I1) 및 제3 전류(I3)는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에 에너지를 저장하면서, 배터리(21)를 충전시킨다. 즉, 직류 전원(Vs)이 공급하는 에너지는 제3 구간(t2-t3) 동안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에 저장되고, 배터리(21)를 충전시킨다.
도 7에 도시된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의 그래프에서 제3 구간(t2-t3)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치(S2)가 턴 온되는 시점(t2)에 제1 전류(I1)는 급격히 감소하고, 제2 전류(I2)는 급격히 상승하여, 제1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 일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2 인덕터(L2)에 전달된다. 이후,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는 동일해지며, 동일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제3 전류(I3)는 제1 노드(N1), 배터리(21), 접지 노드(GND),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노드(N4)를 경유하며 순환한다. 제3 인덕터(L3)는 저장된 에너지의 일부를 제3 구간(t2-t3) 동안 방출한다. 제3 전류(I3)는 제3 인덕터(L3)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배터리(21)에 전달하여 배터리(21)를 충전시킨다. 즉, 한편, 제4 인덕터(L4)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제3 전류(I3)의 그래프에서 제3 구간(t2-t3)을 참조하면, 제3 전류(I3)는 제2 구간(t1-t2)의 제3 전류(I3)가 감소된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감소되고, 제3 인덕터(L3)는 에너지를 방출한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시간(t3)에 제2 스위치(S2)가 턴 오프되어, 제4 구간(t3-t4) 동안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턴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른 제1 전류(I1)는 배터리(21)로 흐르고, 제3 인덕터(L3)를 통해 흐른 제3 전류(I3)는 제1 노드(N1)를 통해 배터리(21)로 흐른다.
제1 전류(I1)는 제1 인덕터(L1), 제1 노드(N1), 배터리(21), 접지 노드(GND) 및 제1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순환된다. 제1 인덕터(L1)는 저장된 에너지 일부를 제4 구간(t3-t4) 동안 방출한다. 배터리(21)는 제1 인덕터(L1)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전달받아 충전된다. 제2 인덕터(L2)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의 그래프에서 제4 구간(t3-t4)을 참조하면, 제 2 스위치가 턴 오프되는 시점(t3)에 제1 전류(I1)는 급격히 증가하고 제2 전류(I2)는 0으로 급격히 감소되어, 제2 인덕터(L2)에 저장된 에너지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1 인덕터(L1)로 전달된다. 이 후, 제1 전류(I1)는 점차 감소되고, 제1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된다.
제3 전류(I3)는 제3 인덕터(L3), 제1 노드(N1), 배터리(21), 접지 노드(GND), 제3 다이오드(D3), 제4 노드(N4)를 경유하여 순환된다. 제3 인덕터(L3)는 저장된 에너지 일부를 제4 구간(t3-t4) 동안 방출한다. 배터리(21)는 제3 인덕터(L3)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전달받아 충전된다. 제4 인덕터(L4)는 전류의 흐름이 없는바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제3 전류(I3)의 그래프에서 제4 구간(t3-t4)을 참조하면, 제3 전류(I3)는 제2 구간(t1-t2) 및 제3 구간(t2-t3)의 제3 전류(I3)가 감소된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감소되고, 제3 인덕터(L3)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된다.
벅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안정화된 후라면, 제1 전류(I1) 및 제3 전류(I3)는 스위칭 주기(Ts)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값이 동일하다. 제1 인덕터(L1)가 저장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제1 구간(t0-t1), 제2 구간(t1-t2) 및 제4 구간(t3-t4) 동안, 제1 전류(I1)는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하고, 제1 인덕터(L1)가 직류 전원(Vs)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 받는 제3 구간(t2-t3) 동안 제1 전류(I1)는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제3 인덕터(L3)가 저장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제2 구간(t1-t2), 제3 구간(t2-t3) 및 제4 구간(t3-t4) 동안, 제3 전류(I3)는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하고, 제3 인덕터(L3)가 직류 전원(Vs)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 받는 제1 구간 동안 제3 전류(I3)는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한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주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발전 시스템(2), 계통(grid system)(3)과 연계하여 부하(4)에 전력을 공급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시스템(20) 및 전력 변환 시스템(Power Conversion System, 이하 'PCS'라 함)(10)을 포함한다. PCS(10)는 발전 시스템(2), 계통(3),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적절한 형태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4), 배터리 시스템(20) 및/또는 계통(3)에 공급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은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발전 시스템(2)은 발전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1)에 공급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은 예컨대 태양광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및 조력 발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발전 시스템(2)은 태양열이나 지열 등과 같은 신 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모든 발전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다수의 발전 모듈들을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대용량 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계통(3)은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통(3)이 정상 상태인 경우, 계통(3)은 부하(4)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2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배터리 시스템(20) 및/또는 발전 시스템(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계통(3)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계통(3)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1) 간의 전력 전달은 중단된다.
부하(4)는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된 전력, 및/또는 계통(3)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이 설치된 가정이나 공장의 전기 장치들이 부하(4)의 일 예일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하거나, 계통(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3)으로 공급하거나, 계통(3)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계통(3)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 예컨대,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기능을 수행하여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이나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부하(4)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전력을 변환하는 PCS(10), 배터리 시스템(20), 제1 스위치(30), 및 제2 스위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20)은 배터리(21) 및 배터리 관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PCS(10)는 발전 시스템(2), 계통(3),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적절한 형태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4), 배터리 시스템(20) 및/또는 계통(3)에 공급할 수 있다. PCS(10)는 전력 변환기(11), DC 링크(12), 양방향 인버터(13), 양방향 DC-DC 컨버터(100), 및 통합 제어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기(11)는 발전 시스템(2)과 DC 링크(12)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변환 장치일 수 있다. 전력 변환기(11)는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여 DC 링크(12)로 전달할 수 있다. 전력 변환기(11)는 발전 시스템(2)의 종류에 따라서 예컨대 컨버터 회로, 정류 회로 등과 같은 전력 변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이 직류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 전력 변환기(11)는 발전 시스템(2)에서 생성된 직류 전력을 다른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 컨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이 교류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 전력 변환기(11)는 발전 시스템(2)에서 생성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인 경우, 전력 변환기(11)는 일사량, 온도 등의 변동에 따라서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최대로 얻을 수 있도록 최대 전력 포인트 추적(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수행하는 MPPT 컨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없을 때에는 전력 변환기(11)의 동작이 중지되어 전력 변환기(11)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화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 또는 계통(3)에서의 순시 전압 강하, 또는 부하(4)에서의 피크 부하 발생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하여, 직류 링크 전압의 레벨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직류 링크 전압은 양방향 DC-DC 컨버터(100) 및 양방향 인버터(13)의 정상 동작을 위하여 안정화될 필요가 있다. DC 링크(12)는 전력 변환기(11), 양방향 인버터(13) 및 양방향 DC-DC 컨버터(100) 사이에 연결되어 직류 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C 링크(12)는 예컨대 대용량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DC 링크(12)는 도 1의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DC 링크(12)는 도 1의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제2 노드(N2)와 접지 노드(GN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직류 링크 전압은 예컨대 400V일 수 있다.
양방향 인버터(13)는 DC 링크(12)와 제1 스위치(30)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변환 장치일 수 있다. 양방향 인버터(13)는 발전 시스템(2) 및 배터리 시스템(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링크 전압을 계통(3)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양방향 인버터(13)는 충전 모드에서 계통(3)의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하기 위하여, 계통(3)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여 DC 링크(12)에 출력할 수 있다.
양방향 인버터(13)는 계통(3)으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에서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인버터(13)는 무효 전력의 발생을 억제 또는 제한하기 위하여 양방향 인버터(1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위상과 계통(3)의 교류 전압의 위상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인버터(13)는 전압 변동 범위 제한, 역률 개선, 직류 성분 제거, 과도 현상(transient phenomena) 보호 또는 감소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DC 링크(12)와 배터리 시스템(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방전 모드에서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된 전력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DC-DC 변환하여 DC 링크(1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충전 모드에서 DC 링크(12)의 직류 링크 전압을 적절한 전압 레벨(예컨대, 배터리 시스템(20)에서 요구하는 충전 전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DC-DC 변환하여 배터리 시스템(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20)의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동작이 중단됨으로써, 전력 소비가 최소화 또는 감소될 수도 있다.
통합 제어기(15)는 발전 시스템(2), 계통(3), 배터리 시스템(20), 및 부하(4)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 제어기(15)는 계통(3)에 정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발전 시스템(2)에서 전력이 생산되는지 여부,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되는 전력량, 배터리 시스템(20)의 충전 상태, 부하(4)의 소비 전력량, 시간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15)는 모니터링 결과 및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서, 전력 변환기(11), 양방향 인버터(13), 양방향 DC-DC 컨버터(100), 배터리 시스템(20), 제1 스위치(30), 제2 스위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15)는 도 1에 도시되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1-S4)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 제어기(15)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1 및 제3 스위치들(S1, S3)은 서로 교대로(interleaved) 턴 오프시키고, 제2 및 제4 스위치들(S2, S4)을 턴 오프시킬 수 있다. 통합 제어기(15)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벅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2 및 제4 스위치들(S2, S4)은 서로 교대로(interleaved) 턴 온시키고, 제1 및 제3 스위치들(S1, S3))을 턴 오프시킬 수 있다.
계통(3)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 통합 제어기(15)는 배터리 시스템(20)에 저장된 전력 또는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이 부하(4)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기(15)는 부하(4)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될 수 없을 경우에, 부하(4)의 전기 장치들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전기 장치들에 우선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부하(4)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 제어기(15)는 배터리 시스템(2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스위치(30) 및 제2 스위치(40)는 양방향 인버터(13)와 계통(3)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통합 제어기(15)의 제어에 따라서 단락 및 개방 동작을 수행하여 발전 시스템(2)과 계통(3)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발전 시스템(2), 계통(3), 및 배터리 시스템(20)의 상태에 따라서 제1 스위치(30)와 제2 스위치(40)의 단락 및 개방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 시스템(2) 및 배터리 시스템(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력을 부하(4)에 공급하거나, 계통(3)으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20)에 공급하는 경우, 제1 스위치(30)는 단락 상태가 된다. 발전 시스템(2) 및 배터리 시스템(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력을 계통(3)에 공급하거나 계통(3)으로부터의 전력을 부하(4)와 배터리 시스템(2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2 스위치(40)는 단락 상태가 된다.
계통(3)에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 스위치(40)는 개방 상태가 되고 제1 스위치(30)는 단락 상태가 된다. 즉, 발전 시스템(2)과 배터리 시스템(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력을 부하(4)에 공급하는 동시에, 부하(4)에 공급되는 전력이 계통(3)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을 단독 운전 시스템(stand alone system)으로 동작시킴으로써, 계통(3)의 전력선 등에서 작업하는 인부가 발전 시스템(2) 또는 배터리 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하여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배터리 시스템(20)은 발전 시스템(2)과 계통(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하고 있는 전력을 부하(4)와 계통(3)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20)은 도 1의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20)의 출력 전압은 예컨대 50V일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20)은 전력을 저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21), 및 배터리(21)를 제어 및 보호하는 배터리 관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2)는 배터리(21)와 연결되며, 통합 제어기(15)로부터의 제어 명령 또는 내부 알고리즘에 따라 배터리 시스템(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관리부(22)는 과충전 보호 기능, 과방전 보호 기능, 과전류 보호 기능, 과전압 보호 기능, 과열 보호 기능, 셀 밸런싱(cell balancing)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2)는 배터리(21)의 전압, 전류, 온도, 잔여 전력량, 수명,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등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관리부(22)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배터리(21)의 셀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2)는 측정된 셀 전압, 전류 및 온도를 기초로 배터리(21)의 잔여 전력량, 수명, 충전 상태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2)는 측정 결과 및 산출 결과 등을 기초로 배터리(21)를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결과 및 산출 결과 등을 통합 제어기(15)에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2)는 통합 제어기(15)로부터 수신한 충전 및 방전 제어 명령에 따라 배터리(21)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예컨대 50V의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시스템(20)과 예컨대 400V의 직류 링크 전압을 갖는 DC 링크(12) 사이에서 전압을 변환할 수 있다.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승압비는 대략 8배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80% 이하의 듀티비를 갖는 제어 신호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피크 전압을 낮춤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변환이 가능하다. 게다가,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전압을 내려주는 벅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시스템(20)의 출력 전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용량이 필요한 경우, 적은 개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21)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력 변환 시스템
11: 전력 변환기
12: DC 링크
13: 양방향 인버터
15: 통합 제어기
20: 배터리 시스템
21: 배터리
22: 배터리 관리부
100: 양방향 DC-DC 컨버터
121: 제1 탭 인덕터
L1, L2: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123: 제2 탭 인덕터
L3, L4: 제3 인덕터, 제4 인덕터
130: 커패시터
S1, S2, S3, S4: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제3 스위치, 제4 스위치
D1, D2, D3, D4: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제3 다이오드, 제4 다이오드
N1, N2, N3, N4: 제1 노드, 제2 노드, 제3 노드, 제4 노드
GND: 접지 노드

Claims (14)

  1. 제1 노드 내지 제4 노드들 및 접지 노드를 포함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로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제1 인덕터와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1 탭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제3 인덕터와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제4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2 탭 인덕터;
    상기 제3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제1 다이오드;
    상기 제2 인덕터와 제2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및 제2 다이오드;
    상기 제4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제3 다이오드;
    상기 제4 인덕터와 제2 노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 스위치 및 제4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상기 제2 인덕터와 상기 제2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상기 제4 인덕터와 상기 제4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부스트 모드로 동작 시에,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들은 서로 교대로(interleaved) 동작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들은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1 스위치는 턴 온 상태이고,
    상기 제1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3 스위치는 턴 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인덕터는 상기 제1 스위치가 턴 오프되면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제2 노드로 전달하고,
    상기 제2 탭 인덕터는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오프되면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제2 노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온, 턴 오프, 턴 온 상태로 변하는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후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들은 50% 이상 내지 80% 미만의 듀티비로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제1 전압에 대한 상기 제2 노드의 제2 전압의 승압비가 6배 내지 12배 중 어느 하나의 승압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벅 모드로 동작 시에, 상기 제2 및 제4 스위치들은 서로 교대(interleaved)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및 제3 스위치들은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스위치가 턴 온 상태 일 때, 상기 제2 스위치는 턴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온 상태일 때, 상기 제4 스위치는 턴 오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직류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탭 인덕터는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온되면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상기 제2 탭 인덕터는 상기 제4 스위치가 턴 온되면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4 스위치가 턴 오프, 턴 온, 턴 오프 상태로 변하는 동안에 턴 오프 상태가 유지되고, 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 스위치들은 50% 미만의 듀티비로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인덕터는 1:N의 권선비를 갖는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권선비를 증가시켜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 내의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양방향 DC-DC 컨버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제1 노드와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배터리;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제2 노드와 상기 접지 노드 사이의 상기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DC 링크;
    발전 시스템, 계통 및 부하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DC 링크 사이에서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와 상기 전력 변환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160182876A 2016-12-29 2016-12-29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34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76A KR102343689B1 (ko) 2016-12-29 2016-12-29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76A KR102343689B1 (ko) 2016-12-29 2016-12-29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65A KR20180077965A (ko) 2018-07-09
KR102343689B1 true KR102343689B1 (ko) 2021-12-27

Family

ID=6291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876A KR102343689B1 (ko) 2016-12-29 2016-12-29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32B1 (ko) * 2019-12-27 2021-11-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결합 인덕터를 구비한 dc-dc 변환 장치
KR102322799B1 (ko) * 2019-12-27 2021-11-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Dc-dc 변환 장치
KR102528007B1 (ko) * 2020-12-21 2023-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대용량 양방향 절연형 dc-dc 컨버터 어셈블리 및 냉각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8000A1 (en) * 2001-02-22 2002-08-29 Peng Xu Multiphase clamp coupled-buck converter and magnetic integration
JP2006223025A (ja) * 2005-02-08 2006-08-24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214B1 (ko) * 2009-12-03 2011-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8000A1 (en) * 2001-02-22 2002-08-29 Peng Xu Multiphase clamp coupled-buck converter and magnetic integration
JP2006223025A (ja) * 2005-02-08 2006-08-24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65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50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9041345B2 (en) Battery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same
Kondrath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topologies and control strategies for interfacing energy storage systems in microgrids: An overview
Lu et al. Photovoltaic-battery-powered DC bus system for comm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I221695B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EP2720358B1 (en)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battery
She et al. On integration of solid-state transformer with zonal DC microgrid
JP5676767B2 (ja) エネルギー保存システム用の電力変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84214B1 (ko)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097266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906039B2 (en) Power system for multiple power sources
KR101698771B1 (ko) 배터리 온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088900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230198261A1 (en)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dc-to-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636122A2 (en)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dc-ac power conversion
CN102355042A (zh) 一种基于超级电容的电站直流电源装置及其供电方法
KR102273767B1 (ko)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20090033304A1 (en) Low-Loss Control of DC-DC Converters In An Energy Storage System
KR102343689B1 (ko)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0844401B1 (ko)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무정전 전원투입장치
KR101643705B1 (ko) 무정전 전원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6722295B2 (ja) 電力変換システム、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Roggia et al. Comparison between full-bridge-forward converter and DAB converter
KR101043402B1 (ko) 개선된 양방향 플라이백 컨버터
KR20210133647A (ko) 계통 연계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