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597B1 - 아동용 안전시트 - Google Patents

아동용 안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597B1
KR102340597B1 KR1020200020587A KR20200020587A KR102340597B1 KR 102340597 B1 KR102340597 B1 KR 102340597B1 KR 1020200020587 A KR1020200020587 A KR 1020200020587A KR 20200020587 A KR20200020587 A KR 20200020587A KR 102340597 B1 KR102340597 B1 KR 102340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upper frame
belt
frame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143A (ko
Inventor
윤승권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드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드비
Publication of KR2021008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frictio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시 또는 급정지시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아동이 시트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아동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는, 아동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0)과, 상기 아동의 하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프레임(20)과, 상기 아동의 상체와 상기 상부프레임(10)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0)에 씌워지는 상부쿠션(30)과, 상기 아동의 하체와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씌워지는 하부쿠션(40)과,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고정되는 고정벨트(51)와, 상기 고정벨트(51)가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동용 안전시트{SAFETY SEAT FOR CHIID}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시 또는 급정지시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아동이 시트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아동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에는 차량의 충돌시 또는 급정지시 상기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안전벨트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성인에 비하여 체구가 작은 아동의 경우, 상기 안전벨트에 의해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 상기 안전벨트를 그대로 착용하는 경우, 상기 안전벨트가 작동하는 상황에서 상기 아동은 상기 안전벨트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가 통상 3점식 안전벨트이기 때문에, 충돌하중이 골격과 피부가 약한 상기 아동의 신체 일부로만 전달되어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위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카시트는 자체의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겁고, 이를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에 설치 또는 분리하는 과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신체를 고정하는 버클과 같은 체결부가 신체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주행중 체결부와 접촉하여 불편하였고, 차량의 충돌, 급정지시 신체와 접촉하여 상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는 상기 체결부와 아동의 신체가 좁은 면적, 예컨대 벨트, 버클의 폭에 해당하는 좁은 면적을 통하여 접촉하므로, 아동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감이 커 불편하고, 차량의 충돌시 또는 급정지시 신체와 접촉하여 상해를 일으킨다.
또한, 상기 카시트는 아동의 신체를 감싸는 버킷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성장이 빠른 아동의 신체와 상기 카시트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아동이 상기 카시트에 착석하기를 꺼려하게 되어, 상기 카시트를 이용하지 않게 되고, 이는 충돌이나 급정지시 상해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직물을 이용하여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는 아동용 안전시트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아동용 안전시트는 직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299139 Y1 (2010.12.11 공고, 명칭 : 유아용 안전시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아동의 신체발달에 따라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아동용 안전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와 아동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를 완충할 수 있도록 한 아동용 안전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는, 아동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아동의 하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아동의 상체와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에 씌워지는 상부쿠션과, 상기 아동의 하체와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에 씌워지는 하부쿠션과,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고정되는 고정벨트와, 상기 고정벨트가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정해진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이 힌지축으로 힌지연결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지지면이 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기 상부프레임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지지면보다 후방에서 관통하고, 상기 제1지지면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면은 상기 제1지지면에 면접촉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힌지축에 인접한 부위에서는 상기 제2지지면에 접촉하고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부위에서는 상기 제2지지면과 정해진 각도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상기 고정벨트의 일단이 구속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에서 상기 고정벨트의 타단이 인접한 다른 고정벨트의 타단과 연결고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상부쿠션의 전면과 상기 하부쿠션의 전면 사이에서 노출된 상기 고정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조절벨트에 접하는 저면에 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벨트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잠금레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쿠션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는 버클과, 상기 고정벨트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버클에 체결되는 클립이고,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안전시트(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클립으로 서로 가체결된 후, 상기 버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클의 외측에는 상기 아동의 신체와 상기 버클 사이를 완충시키는 하체보호쿠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벨트에 상기 고정벨트와 상기 아동 사이를 완충시키는 어깨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아동의 신체로부터 상기 어깨패드가 슬립이 방지되도록 상기 어깨패드는 배면에 합성고무로 형성된 슬립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어깨패드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어깨패드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관통하는 패드지지벨트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패드지지벨트는 인접한 다른 패드지지벨트와 체결고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아동용 안전시트에 따르면, 상부쿠션과 하부쿠션의 내부에 각각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어서, 아동용 안전시트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연령의 아동이 사용할 수 있으면서, 어깨, 복부 및 하체를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지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이 후방으로 회전하여 폴딩되고, 전방으로 회전하지 못하므로, 전방 충돌시 아동의 상체가 과도하게 전방으로 숙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후방 추돌시에는 하부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차량의 시트에 고정된 상부프레임에 의해 상체가 앞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가 사용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의 사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힌지연결되는 부위의 측면을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하부프레임에 누름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누름부에 의해 조절벨트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어깨패드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서 어깨패드에 고정벨트와 패드지지벨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안전시트는, 아동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0)과, 상기 아동의 하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프레임(20)과, 상기 아동의 상체와 상기 상부프레임(10)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0)에 씌워지는 상부쿠션(30)과, 상기 아동의 하체와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씌워지는 하부쿠션(40)과,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고정되는 고정벨트(51)와, 상기 고정벨트(51)가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0)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정해진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아동의 신체와 접하는 전면은 매끈하게 형성되고, 배면은 상기 상부프레임(10)이 강성을 갖도록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에는 고정벨트(51) 등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0)을 관통하여 벨트관통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관통공(12)은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폭방향,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시트(1)를 사용하는 아동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고정벨트(5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에는 차량의 안전벨트가 통과하는 벨트통과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시트에 고정되도록 한다.
하부프레임(20)도 상기 상부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정해진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동의 신체와 접하는 상부면은 매끈하게 형성되고, 저면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이 강성을 갖도록 리브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복수의 벨트고정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벨트고정공(22)은 고정벨트(51)를 고정시키거나 버클벨트(54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전면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상부면은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은 힌지축(25)으로 힌지연결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이 상기 하부프레임(20)에 대하여 폴딩되도록 회전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이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후단을 관통하도록 상기 힌지축(25)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이 폴딩된다.
특히,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사용시, 상기 상부프레임(10)이 상기 하부프레임(20)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제1지지면(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상기 제1지지면(11)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21)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11)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면(21)을 상기 제1지지면(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축(25)은 상기 상부프레임(10)에서 상기 제1지지면(11)보다 후방에서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제2지지면(22)은 상기 제1지지면(12)에 면접촉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20)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12)과 상기 제2지지면(22)이 면접촉되면(도 5a 참조), 충돌시 지체없이 상기 상부프레임(10)이 전방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면(22)과 상기 제1지지면(12)은 상기 힌지축(25)에 인접한 부위은 접촉되고, 상기 힌지축(25)과 이격된 부위는 정해진 각도로 간극(c)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12)의 경사각이 제2지지면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축(25)에 인접한 부위는 접촉되고 상기 힌지축(25)과 이격된 부위는 정해진 각도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평시에 상기 힌지축(25)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제2지지면(22)이 상기 제1지지면(12)을 지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12)의 경사각을 제2지지면(22)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면, 차량의 충돌시 상기 제1지지면(12)과 상기 제2지지면(22)이 접할 때까지 상기 상부프레임(10)이 미세한 각도만큼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어 완충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1지지면(12)과 상기 제2지지면(22)이 접촉된 순간부터는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이 지지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7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0)은 후방으로 회전하여 폴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이 폴딩될 수 있으므로, 보관시 또는 운송시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후방으로 회전하여 폴딩되고, 전방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차량의 충돌시 또는 추돌시 상기 안전시트(1)에 착석한 아동의 상해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시에는 상기 아동의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데, 상기 상부프레임(10)에 상기 아동의 상체가 고정되어 있어서, 상체가 앞으로 쏠려 발생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쿠션(30)과 하부쿠션(40)은 각각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씌워져,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을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아동의 신체와 상기 상부프레임(10),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에서 완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쿠션(30)과 상기 하부쿠션(40)에 의해 착석한 아동에게 쿠션을 제공하여, 쾌적감을 갖도록 한다.
이 출원에서는 버킷형태의 프레임의 내부에 쿠션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평면의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상기 상부쿠션(30)과 상기 하부쿠션(40)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연령의 아동이 사용할 수 있다.
고정벨트(51)는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고정벨트(51)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저면에 상기 고정벨트(51)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로 노출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배면에서 상기 고정벨트(51)의 타단이 인접한 다른 고정벨트(51)의 타단과 연결고리(53)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벨트(51)는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저면에 구속된다. 상기 고정벨트(51)의 일단은 고정고리(51)와 결속된다. 상기 고정고리(51)에 의해 상기 고정벨트(51)의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벨트(51)는 상기 벨트고정공(22)을 통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0)을 관통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에 노출된다. 상기 고정벨트(51)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에 노출되는 부분에 의해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아동의 신체에 맞게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 즉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이하 '고정벨트의 길이'라고 함)를 조절한다.
상기 고정벨트(51)는 타단이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벨트관통공(12)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배면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벨트(51)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아동의 신체의 좌측과 우측을 전담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배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고정벨트(51)의 타단은 서로 연결고리(53)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고리(53)는 후술되는 조절벨트(57)에도 연결된다. 좌우 양측의 고정벨트(51)가 상기 연결고리(53)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배면에서 상기 연결고리(53)를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는 줄어든다.
그리고, 상기 고정벨트(51)에 의해 상기 아동의 상태가 고정되므로, 상기 차량의 후방 추돌시에 상기 아동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해를 줄일 수 있다.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벨트(51)를 결속시켜, 상기 고정벨트(51)의 내부에 상기 아동의 신체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20)에 고정되는 버클(54)과 상기 고정벨트(51)에 설치되어, 상기 버클(54)에 체결되는 클립(55)이 될 수 있다.
버클(54)은 상기 하부프레임(20)에 형성된 벨트고정공(22)에 버클벨트(54a)의 하단이 상기 고정벨트(51)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버클벨트(54a)의 상단에 상기 버클(54)이 고정된다.
클립(55)은 상기 고정벨트(51)의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벨트(51)는 상기 클립(55)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되는 부위가 분리된다. 즉, 상기 고정벨트(51)에서 상기 클립(55)과 상기 상부쿠션(30)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는 상기 아동의 상체를 지지하고, 상기 고정벨트(51)에서 상기 클립(55)과 상기 하부쿠션(40)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는 상기 아동의 하체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벨트(51)는 하나의 고정벨트(51)로 상기 아동의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버클(54)과 상기 클립(55)의 통상의 버클(54)과 클립(55)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버클(54)과 상기 클립(55)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벨트(51)를 체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버클(54)로부터 상기 클립(55)이 분리되고 상기 아동이 상기 안전시트(1)에 착석한 상태(도 2 참조)에서, 상기 고정벨트(51)와 상기 상부쿠션(30) 사이에 상기 아동의 상지(上旨)를 통과시킨 다음, 좌우 양측의 클립(55)을 가체결한 후, 서로 가체결된 클립(55)을 상기 버클(54)에 삽입하여, 상기 아동의 상체와 하체가 동시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클립(55)이 서로 가체결되는 과정에서 좌우 양측의 상기 고정벨트(51)가 서로 중앙으로 모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55)이 상기 버클(54)에 체결되므로, 상기 아동의 신체가 상기 아동용 안전시트(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조절벨트(57)는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53)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배면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저면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조절벨트(57)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연결고리(53)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정벨트(51)를 조절한다. 즉, 상기 조절벨트(57)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연결고리(53)가 하강하면서,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가 줄어든다. 반대로 상기 고정벨트(51)를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전면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연결고리(53)가 상승한다.
단,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조절벨트(57)가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가 줄이는 방향으로만 위해 잠금레버(58)가 구비된다.
잠금레버(58)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벨트(57)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이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전방에 상기 잠금레버(58)를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20)을 관통한 상기 조절벨트(57)가 노출되는 레버설치홈(23)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설치홈(23)이 상기 잠금레버(58)가 설치되어 상기 조절벨트(57)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잠금레버(58)는 상기 레버설치홈(2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절벨트(57)와 접하는 저면에 치형부(5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레버(58)는 상기 조절벨트(57)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잠금레버(58)는 상기 조절벨트(57)가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탄성지지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잠금레버(58)는 반시계방향(도 9 기준)으로 탄성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5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치형부(58a)가 상기 조절벨트(57)를 눌러 상기 조절벨트(57)가 우측으로 슬라이딩하지 못한다. 도 9에서는 상기 조절벨트(57)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전방으로 당겨 상기 조절벨트(57)를 좌측으로만 이동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레버(58)에 의해 상기 고정벨트(51)는 길이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상기 조절벨트를 당기지 않을 때),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를 줄이는 방향(상기 조절벨트를 좌측으로 당길 때)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서, 상기 잠금레버(58)를 눌러, 상기 치형부(58a)가 상기 조절벨트(57)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쿠션(40)에 표시된 누름부(41)를 누르면, 누름에 의한 조작력(P)이 상기 잠금레버(58)의 일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잠금레버(58)를 상기 잠금레버(58)를 탄성지지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조작력(P)은 상기 잠금레버(58)를 시계방향(도 10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잠금레버(5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치형부(58a)가 상기 조절벨트(57)와 이격되어, 상기 조절벨트(57)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쿠션(30)의 전면에서 상기 고정벨트(51)를 당기면, 상기 조절벨트(57)가 우측(도 10 기준)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고리(53)가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배면에서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가 늘어난다. 상기 고정벨트(51)가 원하는 길이로 늘어난 다음, 상기 잠금레버(58)로부터 조작력(P)을 제거하면, 다시 도 9과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고정벨트(51)의 길이가 유지된다.
어깨패드(61)는 상기 고정벨트(51)에 설치된다. 상기 어깨패드(61)는 상기 고정벨트(51)가 관통하도록 하고 설치된다. 상기 어깨패드(61)도 내부에 완충부재가 충전되어 있어, 상기 아동의 신체와 상기 고정벨트(51) 사이를 완충시킨다. 상기 어깨패드(61)는 상기 아동의 몸통 또는 견관절(肩關節)을 지지하여,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지시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한다.
상기 어깨패드(61)의 배면에 상기 아동의 신체와 상기 어깨패드(61) 상이에 슬립이 방지되도록 슬립방지부(61a)가 형성된다(도 12 참조). 상기 슬립방지부(61a)는 합성고무를 재질로 하기 때문에, 상기 아동의 신체, 즉 몸통이나 견괄절 부위와 상기 어깨패드(61)가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지지벨트(62)는 상기 어깨패드(61)가 상기 상부쿠션(30) 또는 상기 상부프레임(10)에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만약, 상기 패드지지벨트(62)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상기 고정벨트(51)는 상기 어깨패드(61)의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어깨패드(61)는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 상기 패드지지벨트(62)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지지벨트(62)는 그 하단이 상기 어깨패드(61)의 내측 상부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어깨패드(61)는 상기 패드지지벨트(62)의 해단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착용시마다 상기 어깨패드(61)를 아동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어깨패드(61)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벨트(51) 마다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어깨패드(61)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어깨패드(61)의 상단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어깨패드(61)는 정해진 위치를 유지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배면에서 상기 패드지지벨트(62)의 상단이 서로 체결고리(63)로 연결되어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패드지지벨트(62)의 하단은 상기 어깨패드(61)에 재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어깨패드(61)는 상기 고정벨트(51)를 따라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한다.
1 : 아동용 안전시트 10 : 상부프레임
11 : 제1지지면 12 : 벨트관통공
20 : 하부프레임 21 : 제2지지면
22 : 벨트고정공 23 : 레버설치홈
25 : 힌지축 30 : 상부쿠션
40 : 하부쿠션 41 : 누름부
51 : 고정벨트 52 : 고정고리
53 : 연결고리 54 : 버클
54a : 버클벨트 55 : 클립
56 : 하체보호쿠션 57 : 조절벨트
58 : 잠금레버 58a : 치형부
61 : 어깨패드 61a : 슬립방지부
62 : 패드지지벨트 63 : 체결고리

Claims (12)

  1. 아동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아동의 하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아동의 상체와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에 씌워지는 상부쿠션과,
    상기 아동의 하체와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에 씌워지는 하부쿠션과,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고정되는 고정벨트와,
    상기 고정벨트가 상기 아동의 신체를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정해진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이 힌지축으로 힌지연결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면은 상기 힌지축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지지면이 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기 상부프레임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제2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구속되지 않고, 상기 제1지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상기 제2지지면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게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지지면보다 후방에서 관통하고,
    상기 제1지지면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면은 상기 제1지지면에 면접촉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힌지축에 인접한 부위에서는 상기 제2지지면에 접촉하고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부위에서는 상기 제2지지면과 정해진 각도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상기 고정벨트의 일단이 구속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에서 상기 고정벨트의 타단이 인접한 다른 고정벨트의 타단과 연결고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상부쿠션의 전면과 상기 하부쿠션의 전면 사이에서 노출된 상기 고정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조절벨트에 접하는 저면에 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벨트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잠금레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쿠션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는 버클과,
    상기 고정벨트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버클에 체결되는 클립이고,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안전시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클립으로 서로 가체결된 후, 상기 버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외측에는 상기 아동의 신체와 상기 버클 사이를 완충시키는 하체보호쿠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벨트에 상기 고정벨트와 상기 아동 사이를 완충시키는 어깨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아동의 신체로부터 상기 어깨패드가 슬립이 방지되도록 상기 어깨패드는 배면에 합성고무로 형성된 슬립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어깨패드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어깨패드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관통하는 패드지지벨트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패드지지벨트는 인접한 다른 패드지지벨트와 체결고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안전시트.

KR1020200020587A 2019-12-26 2020-02-19 아동용 안전시트 KR102340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5572 2019-12-26
KR1020190175572 2019-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43A KR20210083143A (ko) 2021-07-06
KR102340597B1 true KR102340597B1 (ko) 2021-12-21

Family

ID=7686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587A KR102340597B1 (ko) 2019-12-26 2020-02-19 아동용 안전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5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763A (ja) * 1998-12-24 2000-07-11 Sunhyon Cho 幼児用安全椅子
JP2001287576A (ja) * 2000-02-12 2001-10-16 Britax Excelsior Ltd 子供用安全シート
JP2001310665A (ja) * 2000-04-28 2001-11-06 Noriyuki Ito チャイルドシート
JP4386534B2 (ja) * 2000-03-31 2009-12-16 リーマン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の安全ベルト長さ調整装置
KR101854546B1 (ko) * 2016-12-19 2018-05-03 최현숙 유아용 안전시트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2298A (zh) * 1997-12-16 2001-01-31 麦格纳内部***公司 约束儿童的座椅安全带组件
KR200299139Y1 (ko) 2002-09-10 2002-12-31 주식회사 소예 유아용 안전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763A (ja) * 1998-12-24 2000-07-11 Sunhyon Cho 幼児用安全椅子
JP2001287576A (ja) * 2000-02-12 2001-10-16 Britax Excelsior Ltd 子供用安全シート
JP4386534B2 (ja) * 2000-03-31 2009-12-16 リーマン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の安全ベルト長さ調整装置
JP2001310665A (ja) * 2000-04-28 2001-11-06 Noriyuki Ito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854546B1 (ko) * 2016-12-19 2018-05-03 최현숙 유아용 안전시트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43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192B2 (en) Child car seat
US5785388A (en) Seat belt pillow
US20090167065A1 (en) Reboard system
KR101225929B1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US10272808B2 (en) Seat belt device for the vehicle seat
JP2005313888A (ja) リボードシステム
KR20010015233A (ko) 컨버터블 헤드레스트
KR102340597B1 (ko) 아동용 안전시트
CN110001472B (zh) 用于设置在机动车中的儿童约束***的儿童座椅垫子
ES2360129T3 (es) Accesorio de cinturón de seguridad para vehículo.
JP4421585B2 (ja) シート着座補助装置
JP6643463B2 (ja) シートベルト用補助具
CN105270216A (zh) 儿童安全座椅及其使用方法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KR200214480Y1 (ko) 어린이용 안전벨트
JP7455887B2 (ja) ベビーカー
KR20160118917A (ko) 체간 서포트 쿠션
KR102249205B1 (ko) 아동용 안전시트
EP3413756B1 (en) A device for a child seat
KR20230071268A (ko) 쏠림 방지용 다점식 벨트가 적용된 카시트
KR20170003178U (ko) 차량용 유아 지지 시트
JP2011042345A (ja) 座面高さ可変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KR0130761Y1 (ko) 안정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20220168165A (ko) 어린이 안전 시트
AU688976B2 (en) Seat belt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