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99B1 - Ab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b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99B1
KR102336199B1 KR1020207003535A KR20207003535A KR102336199B1 KR 102336199 B1 KR102336199 B1 KR 102336199B1 KR 1020207003535 A KR1020207003535 A KR 1020207003535A KR 20207003535 A KR20207003535 A KR 20207003535A KR 102336199 B1 KR102336199 B1 KR 10233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lation
electric power
power supply
breaks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4924A (en
Inventor
히사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18/1233Generators therefor with circuits for assuring patient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3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closed, i.e. without wound contact by th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29L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42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with feedback, i.e. closed loop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6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6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 A61B2018/00678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A61B2018/00708Power or energy switching the power on or o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14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44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898Alarms or notifications created in response to an abnorm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22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by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treatment energy directly within the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체내의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1)과, 이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 Pout를 공급하는 전원부(32)와, 이 전원부(32)에 있어서의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를 갖는 전원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3)는,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를 측정함과 함께, 이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제1 역치)를 초과한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브레이크 횟수 Nb)를 카운트하고, 이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다.An ablat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is provided. The ablation system 5 includes an electrode needle 1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into an affected part 90 in the body, and an electric power for ablation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 The power supply device 3 is provid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32 which supplies Pout, and the control part 33 which controls the supply operation|movement of the electric power Pout in this power supply part 32. FIG. At the time of ablation, the control part 33 measures the impedance value Z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and this impedance value Z exceeds the threshold value Zth (1st threshold value). The number of break states (the number of breaks Nb) is counted, and when the number of breaks Nb reaches the threshold Nth (second threshold),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is automatically stopped to automatically end the ablation.

Figure 112020012436989-pct00004
Figure 112020012436989-pct00004

Description

어블레이션 시스템Ablation system

본 발명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어블레이션(소작)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lation system comprising an electrode needle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for an affected part in the body,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for ablation (cauterization).

환자 체내의 환부(예를 들어 암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를 치료하기 위한 의료 기기의 하나로서, 그러한 환부에 대하여 어블레이션을 행하는, 어블레이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환부에 대한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As one of the medical devices for treating an affected part in a patient (for example, an affected part having a tumor such as cancer), an ablation system for performing ablation with respect to such an affected part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ference). This ablation system includes an electrode needle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with respect to an affected part in the body, and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blation of the affected part.

일본 특허 제590754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07545

그런데,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way, in such an ablation system, it is generally requested|requir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at the time of using, for example.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ablat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이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이 전원부에 있어서의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전원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의 임피던스값을 측정함과 함께, 이 임피던스값이 제1 역치를 초과한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인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 브레이크 횟수가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도록 되어 있다.An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needle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with respect to an affected part in the body,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blation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a counter electrode plate;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operation in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At the time of ablation,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and counts the number of breaks, which is the number of break states in which the impedance value exceeds the first threshold, and the number of breaks When the second threshold is reached, the ablation is automatically terminated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supply of power.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카운트됨과 함께, 이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원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자동적으로 정지됨으로써, 어블레이션이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브레이크 횟수를 눈으로 보거나 하여 확인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수동으로 종료시키는 경우나, 브레이크 횟수를 확인하지 않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자동 종료시키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number of breaks is counted in the control unit, when the number of breaks reaches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is automatically stopped, so that the ablation The session is automatically terminated. By this, for example,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manually terminating ablation after visually checking the number of breaks, or the case of automatically terminating ablation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has elapsed without checking the number of breaks, etc. ,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perform effective ab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상기 전원 장치가, 브레이크 횟수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브레이크 횟수의 카운트값을, 전원 장치의 조작자 등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성이 더 향상된다.In th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In this case, since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can be grasped at any time by the operator of the power supply device, etc., the convenience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키도록 해도 된다(제1 동작 모드). 이와 같이 한 경우(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 전력 공급의 재개도 자동적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In th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enters the brake state, the control unit counts the number of brakes and temporarily reduces or stops the supply of power, and the number of brakes reaches the second threshold value. When it does not reach, you may make it restart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automatically (1st operation mod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executed), in that power supply is automatically resumed, a series of processing from the start of ablation to the end of the abl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Further improvement is sought.

혹은, 상기 제어부가,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해도 된다(제2 동작 모드). 이와 같이 한 경우(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 전력 공급의 재개 자체는 수동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전력 공급의 재개 타이밍을 수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도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enters the brake state, it counts the number of breaks and temporarily reduces or stops the supply of power, and when the number of breaks does not reach the second threshold, the operator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input in response, you may make it restart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2nd operation mode).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executed), since the restart of the power supply itself is manually performed,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the restart timing of the power supply at any time, so even in this case Further improvement of convenience is achieved.

또한, 상기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전력 공급을 재개할 때, 예를 들어 용도나 상황 등에 따라, 이들 2종류의 동작 모드를 수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Moreover, in the said power supply device, you may make it switchable between the said 1st operation mode and the said 2nd operation mode. In this case, when the power supply is resumed, for example, the two types of operation modes can be switched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use or situation, so that further improvement in convenience is achieved.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상기 전극침에 대하여 냉각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를 추가로 마련함과 함께, 상기 제어부가,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 후에 상기 액체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어 어블레이션의 종료 후에 액체의 공급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액체 공급 정지가 실현되게 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후의 환부(조직)가 액체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어 버릴 우려가 회피되고, 환부의 소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In th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cooling liquid to the electrode needle is further provided, and when the number of breaks reaches the second threshold, the control unit , the supply of the liquid may also be automatically stopped after automatically ending the ablation. In this case, for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manually stopping the supply of the liquid after the end of the ablation, the stop of the liquid supply at an appropriate timing is realized. As a result, the fear that the affected part (tissue) after ablation is cooled more than necessary by the liquid is avoided, and the cauterization state of the affected part can be confirmed more accurately, further improving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 따르면,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이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원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unts the number of breaks and, when the number of breaks reaches the second threshold, automatically stop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Since the ablation is automatically terminated, effective ab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when using an abl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에서의 소작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어블레이션 시의 브레이크 상태 및 브레이크 횟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시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전력 공급 재개 시의 동작 모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example of an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cauterization in the affected part by ablation.
3 is a timing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break state and the number of breaks at the time of abla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of abl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display mode in the display part at the time of the ablation shown in FIG.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mode at the time of restarting the power supply shown in FIG. 4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addition, description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1. 실시 형태(전원 장치 내의 제어부에 있어서 브레이크 횟수의 자동 카운트 등을 행하는 예)1. Embodiment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unit in the power supply unit automatically counts the number of breaks, etc.)

2. 변형예2. Variations

<1. 실시 형태><1. Embodiment>

[구성][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어블레이션 시스템(5))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에 있어서의 환부(90)를 치료할 때 사용되는 시스템이며, 그러한 환부(90)에 대하여 소정의 어블레이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환부(90)로서는, 예를 들어 암(간암, 폐암, 유방암, 신장암, 갑상선암 등)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를 들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example of an ablation system (ablation system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ablation system 5 is a system used when treating the affected part 90 in the body of the patient 9,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is intended to perform ablation. In addition, as the above-mentioned affected part 90, the affected part which has tumors, such as cancer (liver cancer, lung cancer, breast cancer, kidney cancer, thyroid cancer, etc.), is mentioned, for example.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을 사용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대향 전극판(4)도 적절하게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The ablation system 5 is provided with the electrode needle 1, the liquid supply device 2, and the power supply device 3,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t the time of ablation using this ablation system 5,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shown in FIG. 1 is also used suitably, for example.

(A. 전극침(1))(A. Electrode needle (1))

전극침(1)은, 예를 들어 도 1 중의 화살표 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에 있어서의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바늘이다. 이 전극침(1)은, 상기한 어블레이션 시에 사용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11) 및 피복부(12)를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극침(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액체 공급 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L이 순환하여 흐르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The electrode needle 1 is, for example, a needle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into the affected part 90 in the body of the patient 9 as indicated by arrow P1 in FIG. 1 . This electrode needle 1 is used at the time of the above-mentioned ablation, and has the electrode part 11 and the covering part 12, as shown, for example in FIG. Moreover, the liquid L supplied from the liquid supply device 2 mentioned later circulates and flows inside this electrode needle 1 (refer FIG. 1).

전극부(11)는, 전극침(1)을 구성하는 침형 구조체 중, 절연성 피복이 되어 있지 않은 영역 부분이며, 어블레이션 시의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피복부(12)는, 상기한 침형 구조체 중, 절연성 피복이 되어 있는 영역 부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에 있어서의 선단 부근에 전극부(11)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전극부(11)의 기단부측에 피복부(12)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The electrode portion 11 is a portion of the needle-like structure constituting the electrode needle 1 that is not covered with an insulating coating, and functions as an electrode during ablation. The covering portion 12 is a region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needle-like structure that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coating.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de section 11 is disposed near the tip of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ating section 12 is disposed on the proximal side of the electrode section 11. have.

(액체 공급 장치(2))(Liquid supply unit (2))

액체 공급 장치(2)는, 상기한 전극침(1)에 대하여 냉각용 액체 L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1)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냉각용 액체 L로서는, 예를 들어 멸균수나, 멸균한 생리 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The liquid supply device 2 is a device that supplies the liquid L for cooling to the electrode needle 1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liquid supply unit 21 as shown in FIG. 1 , for example. Moreover, as this liquid L for cooling, sterilized water, sterilized physiological salin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액체 공급부(21)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2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한 액체 L을 전극침(1)에 대하여 수시로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1)는,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의 내부의 사이(소정의 유로 내)를 액체 L이 순환하도록 하여,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상기한 제어 신호 CTL2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이러한 액체 L의 공급 동작이 실행되거나, 정지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액체 공급부(21)는, 예를 들어 액체 펌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liquid supply unit 21 supplies the above-described liquid L to the electrode needle 1 at any time according to control by a control signal CTL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in the liquid supply unit 21 , the liquid L flows between the inside of the liquid supply device 2 and the inside of the electrode needle 1 (in a predetermined flow path). It circulates, and the supply operation|movement of liquid L is performed. In addition, although detailed later, this supply operation|movement of the liquid L is performed or stopped according to the control by the above-mentioned control signal CTL2. In addition, such a liquid supply part 21 is comprised including a liquid pump etc., for example.

(전원 장치(3))(Power Unit (3))

전원 장치(3)는,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 Pout(예를 들어 고주파(RF; Radio Frequency)의 전력)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한 액체 공급 장치(2)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 전원 장치(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1), 전원부(32), 제어부(33) 및 표시부(34)를 갖고 있다.The power supply device 3 supplies electric power Pout (for example, radio frequency (RF) electric power) for ablation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peration of the liquid L in one liquid supply device 2 . This power supply device 3 has an input unit 31 , a power supply unit 32 , a control unit 33 , and a display unit 34 , as shown in FIG. 1 .

입력부(31)는, 각종 설정값이나, 후술하는 소정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신호(조작 신호 Sm)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조작 신호 Sm은, 전원 장치(3)의 조작자(예를 들어 기사 등)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부(31)로부터 입력 되도록 되어 있다. 단, 이들 각종 설정값이,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품의 출하 시 등에 미리 전원 장치(3) 내에서 설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력부(31)에 의해 입력된 설정값은, 후술하는 제어부(33)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부(31)는, 예를 들어 소정의 다이얼이나 버튼,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input unit 31 is a portion for inputting various set values and an instruction signal (operation signal Sm) for instruc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Such an operation signal Sm i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31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by an operator (eg, a technician)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 However, these various setting values may not be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but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power supply device 3, for example, at the time of shipment of a product. In addition, the set value input by the input part 31 is supplied to the control part 33 mentioned later. In addition, such an input part 31 is comprised using a predetermined dial, a button, a touch panel, etc., for example.

전원부(32)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1에 따라, 상기한 전력 Pout를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원부(32)는, 소정의 전원 회로(예를 들어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력 Pout가 고주파 전력을 포함하는 경우, 그 주파수는, 예를 들어 450kHz 내지 550kHz 정도(예를 들어 500kHz)이다.The power supply part 32 is a part which supplies said electric power Pout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CTL1 mentioned later. Such a power supply part 32 is comprised using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circuit (for example, a switching regulator etc.). In addition, when electric power Pout contains high frequency electric power, the frequency is about 450 kHz - 550 kHz (for example, 500 kHz).

제어부(33)는, 전원 장치(3)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우선,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에 있어서의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전력 공급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제어부(33)는, 제어 신호 CTL2를 사용하여, 액체 공급 장치(2)(액체 공급부(21))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The control part 33 is a part which controls the whole power supply device 3 and performs predetermined|prescribed arithmetic processing, and is comprised using a microcomputer etc., for example. Specifically, first, the control unit 33 has a function (power supply control function) of controlling the supply operation of the electric power Pout in the power supply unit 32 using the control signal CTL1 . Further, the control unit 33 has a function (liquid supply control function) of controlling the supply operation of the liquid L in the liquid supply device 2 (liquid supply unit 21 ) using the control signal CTL2 .

이러한 제어부(33)에는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전극부(11)의 내부에 배치된 열전대 등의 온도 센서)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 정보 It가, 수시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3)에는, 상기한 전원부(32)로부터 임피던스값 Z(후술)의 측정값이 수시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ontrol unit 3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t measured in the electrode needle 1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thermocouple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unit 11), It is to be supplied from time to time. 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measured value of the impedance value Z (described lat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part 33 from the said power supply part 32 at any time.

또한, 상기한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포함시켜, 제어부(33)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 내지 도 6).In addition, details of the control operation and the like in the control unit 33 including the power supply control function and the liquid supply control func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later ( FIGS. 4 to 6 ).

표시부(3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부분(모니터)이다.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는 전술한 각종 설정값이나, 제어부(33)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파라미터(예를 들어 후술하는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 등), 전극침(1)으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정보 It 등을 들 수 있다. 단,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이들 정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정보로 대체하여, 혹은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표시부(34)는, 각종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display unit 34 is a part (monitor) that displays and outpu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various set values input from the input unit 31, various parameters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33 (for example,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Nb to be described later, etc.), the electrode needle (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t supplied from 1), etc. are mentioned. However,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s not limited to these information, and may be displayed by substituting other information or adding other information. Such a display part 34 is comprised using the display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CRT (Cathode Ray Tube) display,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etc.) by various systems.

(대향 전극판(4))(counter electrode plate (4))

대향 전극판(4)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시에 환자(9)의 체표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어블레이션 시에, 전술한 전극침(1)(전극부(11))과 이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서, 고주파 통전이 이루어지도록(전력 Pout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전극부(1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가 수시로 측정되고, 측정된 임피던스값 Z가, 전원 장치(3) 내에 있어서 전원부(32)로부터 제어부(33)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is used, for example, in a state attached to the body surface of the patient 9 at the time of ablation, as shown in FIG. 1 . Although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e time of ablation, high-frequency energization is made (power Pout is supplied)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electrode part 11) and this counter electrode plate 4 described above. . In addition, although detailed later, at the time of such ablation, as shown in FIG. 1, the impedance value Z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electrode part 1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is measured at any time, and , the measured impedance value Z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33 from the power supply unit 32 in the power supply device 3 .

[동작 및 작용ㆍ효과][Motion and action/effect]

(A. 기본 동작)(A. Default behavior)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서는, 예를 들어 암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90)를 치료할 때, 그러한 환부(90)에 대하여 소정의 어블레이션이 행해진다(도 1 참조). 이러한 어블레이션에서는, 우선, 예를 들어 도 1 중의 화살표 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의 환부(90)에 대하여, 전극침(1)이 선단측(전극부(11)측)으로부터 경피적으로 천자된다. 그리고, 이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전원 장치(3)(전원부(32))로부터 전력 Pout(예를 들어 고주파 전력)가 공급됨으로써, 환부(90)에 대하여, 주울 발열에 의한 어블레이션이 행해진다.In this ablation system 5, when treating the affected part 90 which has a tumor, such as cancer, for example, predetermined abl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such an affected part 90 (refer FIG. 1). In such ablation, first, for example, as indicated by arrow P1 in FIG. 1 , the electrode needle 1 is positioned on the tip side (electrode part 11 side) with respect to the affected part 90 in the body of the patient 9 . is percutaneously punctured from Then,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 the electric power Pout (eg, high-frequency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3 (the power supply unit 32 ) to the affected part 90 . , ablation by Joule heat is performed.

또한,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의 내부의 사이(소정의 유로 내)를 냉각용 액체 L이 순환하도록, 액체 공급 장치(2)(액체 공급부(21))로부터 전극침(1)에 대하여 액체 L이 공급된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1)에 대한 냉각 동작(쿨링)이 행해진다. 또한, 어블레이션의 종료 후에는, 이러한 냉각 동작도 정지된 후, 전극침(1)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 정보 It를 기초로, 환부(90)의 조직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였는지 등, 환부의 소작 상태가 확인된다.In addition, at the time of such ablation, the liquid supply device 2 (liquid supply part) so that the liquid L for cooling circulates between the inside of the liquid supply device 2 and the inside of the electrode needle 1 (in a predetermined flow path). From (21)), liquid L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needle 1 (refer to Fig. 1). Thereby, at the time of ablation, the cooling operation|movement (cooling)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needle 1 is performed. In addition, after the ablation is terminated, after this cooling operation is also stopp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t measured by the electrode needle 1, the cauterization state of the affected part, such as whether the tissue temperature of the affected part 90 has risen sufficiently is confirmed

도 2는, 이러한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90)에서의 소작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부(90)에 천자된 전극침(1)을 사용하여 상기한 어블레이션이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당초의 럭비볼형(타원구형)의 열 응고 영역 Ah1이, 점차 퍼져 감으로써, 거의 구형의 열 응고 영역 Ah2가 얻어진다(도 2 중의 파선의 화살표를 참조). 이에 의해, 환부(90) 전체로의 등방적인 어블레이션이 행해지는 결과, 환부(90)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FIG. 2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state of cauterization in the affected part 90 by such abla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above-described ablation is made using the electrode needle 1 punctured in the affected part 90, for example, the thermal coagulation area Ah1 of the original rugby ball type (oval spherical shape) is, By gradually spreading, a substantially spherical thermal coagulation region Ah2 is obtained (refer to the arrow of the broken line in Fig. 2). Thereby, as a result of isotropic ablation to the entire affected area 90 , effective treatment for the affected area 90 is achieved.

(B. 브레이크 상태 및 브레이크 횟수에 대하여)(B. About brake status and number of breaks)

여기서, 도 1, 도 2에 추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어블레이션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어블레이션 시의 브레이크 상태 및 브레이크 횟수의 일례를, 타이밍도로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도 3에서는, 전극침(1)(전극부(1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의 측정 파형예를, 시간축을 따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 중에 도시한 임피던스값 Z의 역치 Zth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역치」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3 in addition to FIGS. 1 and 2, 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ablation will be described. 3 is a timing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brake state and the number of breaks at the time of ablation. Specifically, in FIG. 3 , an example of the measurement waveform of the impedance value Z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electrode part 11 )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is shown along the time axis. In addition, the threshold value Zth of the impedance value Z shown in FIG. 3 respond|corresponds to one specific example of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this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극침을 사용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환부(90)에 있어서의 조직 내의 수분의 증발에 의해, 임피던스값 Z가 급격하게 상승해 간다. 이러한 임피던스값 Z의 급격한 상승(임피던스 라이즈)은, 환부(90)에 있어서의 조직의 열 응고의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 시의 정지 타이밍의 목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임피던스값 Z가 소정의 역치 Zth를 초과한 상태(Z>Zth)는, 「브레이크 상태」라고 불린다(도 3 참조). 또한, 이러한 브레이크 상태로 되면, 어블레이션(전력 Pout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후, 어블레이션이 재개된다. 또한, 어블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면, 주위 조직으로부터 환부(90)에 있어서의 조직 내로 수분이 공급되는 결과, 임피던스값 Z가 다시 저하되게 된다(도 3 참조). 그리고, 이러한 단속적인 어블레이션이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환부(90)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어블레이션의 일시적인 정지 시간(어블레이션의 재개까지의 대기 시간)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내지 15초 정도), 또는 임피던스값 Z가 대략 상승 전의 값으로 되돌아갈 때까지의 시간을 들 수 있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 in general, at the time of ablation using an electrode needle, the impedance value Z rises rapidly due to evaporation of moisture in the tissue in the affected part 90 . Such a sudden rise (impedance rise) of the impedance value Z serves as an index of thermal coagulation of the tissue in the affected area 90 , and thus serves as a target for stopping timing at the time of ablation. Specifically, the state in which the impedance value Z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Zth (Z>Zth) is called a "break state" (refer to FIG. 3 ). In addition, when such a break state is reached, ablation (supply of electric power Pout)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n ablation is resumed. In addition, when the ablation is temporarily stopped, as a result of supplying moisture from the surrounding tissue into the tissue in the affected part 90, the impedance value Z decreases again (refer to FIG. 3). And, by repeating this intermittent ablation a plurality of times, treatment for the affected part 90 is made. In addition, as the above-mentioned temporary stop time of ablation (waiting time until resumption of ablation), for example, a predetermined time set in advance (for example, about 10 seconds to 15 seconds), or a value before the impedance value Z rises substantially. time until it returns to .

구체적으로는, 이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타이밍 t1, t2, t3의 3회, 브레이크 상태로 되어 어블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상태가 복수회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를, 이하 「브레이크 횟수 Nb」라고 칭한다. 즉, 이 도 3의 예에서는, 타이밍 t1에 있어서 1회째 브레이크 상태로 되고(Nb=1), 타이밍 t2에 있어서 2회째 브레이크 상태로 되고(Nb=2), 타이밍 t3에 있어서 3회째 브레이크 상태로 되어 있다(Nb=3).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FIG. 3, with the lapse of time, three times at timings t1, t2, and t3, the break state is reached, and the ablation is temporarily stopped. In this way, the number of break states in the case where the break state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breaks Nb". That is, in the example of Fig. 3, the first break state at timing t1 (Nb = 1), the second break state at timing t2 (Nb = 2), and the third break state at timing t3 (Nb = 3).

덧붙여서 말하자면, 전극침(1)을 사용한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90)에 대한 치료에서는, 이 브레이크 횟수 Nb는, 일반적으로 2 내지 3회(Nb=2 또는 Nb=3) 정도가 기준으로 되어 있다. 즉, 전술한 도 2 중에 도시한 열 응고 영역 Ah1, Ah2는 각각, 일례로서 Nb=1, Nb=3인 경우에 상당한다.Incidentally, in the treatment of the affected area 90 by ablation using the electrode needle 1, the number of breaks Nb is generally about 2 to 3 times (Nb = 2 or Nb = 3). . That is, each of the thermal coagulation regions Ah1 and Ah2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case of Nb=1 and Nb=3 as an example, respectively.

(C. 비교예)(C. Comparative Example)

그런데,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 의한 어블레이션 시에,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어블레이션을 종료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브레이크 횟수 Nb를, 전원 장치(3)의 조작자가 눈으로 보거나 하여 확인하고 나서(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2 내지 3회 정도), 어블레이션을 수동으로 종료시키는 방법(비교예 1)을 들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횟수 Nb를 확인하지 않고, 소정의 대기 시간(고정값)이 경과하고 나서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함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 종료시키는 방법(비교예 2)을 들 수 있다.However, at the time of ablation by such an ablation system, in the conventional general method, ablation is terminated as follows. Specifically, first, the operator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visually confirms the number of breaks Nb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about two to three times), and then the method of manually terminating the ablation (Comparative Example 1) is mentioned. Moreover, the method (comparative example 2) of automatically ending ablation is mentioned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Pout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ixed value) elapses without checking the number of break Nb.

그런데, 상기 비교예 1의 방법에서는, 조작자에 의한 목시 등으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예를 들어 브레이크 상태의 간과 등에 의해,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가 부정확하게 되어 버릴 우려도 있고, 어블레이션 시간이 한층 더 걸려 버릴 리스크도 있다. 또한, 2회째 이후의 브레이크 상태로의 이행은, 일반적으로 단시간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3 참조), 이러한 리스크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 2의 방법에서는, 항상 일정한 대기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 시간 내에 브레이크 횟수 Nb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버릴(예를 들어 4회 이상)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비교예 1, 2 등에서는, 어블레이션에 의한 치료 시에, 환부(90)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많은 브레이크 상태가 부여되게 되는 결과, 환자(9)가 느끼는 동통이 커져, 환자(9)에 대한 부담도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method of Comparative Example 1,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unt of the number of breaks Nb may become inaccurate due to, for example, overlooking the brake state, from the viewpoint of confirmation by visual inspection by the operator, etc. There is also the risk of getting caught even more. In addition, since the transition to the break state after the second time is generally made in a short time (refer to Fig. 3 ), it can be said that such a risk is very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Comparative Example 2, there is a risk that the number of breaks Nb increases more than necessary within the ablation time (for example, 4 times or more) in that it always waits for the elapse of a constant waiting time. In this regar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tc., during treatment by ablation, more brake states are applied to the affected part 90 than necessary. As a result, the pain felt by the patient 9 increases, and the patient The burden on (9) may increase, too.

여기서, 이 동통이란, 치료 시에 환자(9)가 느끼는 통증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척수 신경을 통한 관련통으로서, 오른쪽 어깨 등이 아픈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임피던스값 Z가 급상승하기 때문에, 전력 Pout를 예를 들어 정전력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 전압도 급상승한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로의 이행 전에는, 환부(90)에서의 온도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동통에는 전기적 및 열적의 쌍방의 발생 요인이 있다고 한다.Here, this pain means pain felt by the patient 9 at the time of treatment, for example, it is said that the right shoulder etc. hurt as a related pain through a spinal nerve in many cases. In addition, since the impedance value Z rises rapidly in the brake state, when the electric power Pout is output with constant electric power, for example, the output voltage also rises sharply. In addition, before the transition to the brake state, the temperature in the affected part 90 also tends to rise. Therefore, it is said that this pain has both electrical and thermal causes.

또한, 환부(90)에 있어서의 종양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러한 동통이 커지면,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간장암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장기에서의 암과 비교하여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반복 치료가 필요하게 되지만, 환자(9)가 느끼는 통증의 기억이, 차회의 치료를 받는 데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치료 시의 마취를 강하게 하면, 그러한 동통을 경감할 수 있기는 하지만, 마취를 강하게 하는 것은 합병증 예지의 방해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최소한의 양의 마취를 사용하면서, 동통은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어블레이션에 의한 치료 시의 브레이크 횟수 Nb에 대해서도, 상기 비교예 1, 2 등과 같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umor in the affected area 90 , when such pain increases, there are, for exampl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Specifically, for example, liver cancer generally has a higher recurrence rate compared to cancers in other organs, so repeated treatment is necessary. There is a risk of interference. On the other hand, if the anesthesia during treatment is strengthened, such pain can be alleviated, but strengthening the anesthesia interferes with the prediction of complications. In this regard, since it is ideal to minimize pain while using a minimum amount of anesthesia, the number of breaks Nb during treatment by ablation is also higher than necessary, as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tc.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desirable to lose.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비교예 1, 2 등에서는,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의 실시가 곤란해지는 결과,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편리성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In this way, in the comparative examples 1, 2, etc., as a result of which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blation becomes difficul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onvenience at the time of using an ablation system may be impaired.

(D.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D. Ablation of this embodiment)

그래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서는, 이하 상세하게 기술하는 방법으로 어블레이션을 행함으로써, 상기 비교예 1, 2 등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 있어서의 어블레이션의 처리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S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n the ablation system 5 of this embodiment, the subject in the sai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tc. is solved by ablation by the method described in detail below. making it do 4 : shows the process example of the ablation in the ablation system 5 of this embodiment in a flowchart.

이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에서는, 우선, 전술한 역치 Zth(임피던스값 Z의 역치)와, 후술하는 역치 Nth(브레이크 횟수 Nb의 역치)의 설정을 행한다(도 4의 스텝 S10). 구체적으로는, 이들 역치 Zth 및 역치 Nth의 설정값이 각각,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고, 제어부(33)로 공급된다. 또한, 이 역치 Nth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역치」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In the ablation of this embodiment, first, the threshold value Zth (threshold value of the impedance value Z) described above and the threshold value Nth (threshold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Nb) described later are set (step S10 in FIG. 4 ). Specifically, the set values of the threshold Zth and the threshold Nth are respectively input from the input unit 31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 and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33 . In addition, this threshold value Nth respond|corresponds to one specific example of "2nd threshold value" in this invention.

여기서, 역치 Nth로서는, 브레이크 횟수 Nb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회(Nth=3)를 들 수 있다. 또한, 역치 Zth로서는, 절대값으로 규정하는 방법(예를 들어, Zth=120[Ω] 정도)과, 상대값으로 규정하는 방법(몇Ω 혹은 몇% 상승하였는지로 규정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별된다. 또한, 이 상대값으로 규정하는 방법으로서도, 어블레이션의 개시 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값 Z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하는 방법과, 어블레이션 개시 후에 있어서의 임피던스값 Z의 최솟값을 기준으로 하여 규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역치 Zth나 역치 Nth의 설정값이,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품의 출하 시 등에 미리 전원 장치(3) 내에서 설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Here, as the threshold value Nth,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breaks Nb, for example, three times (Nth=3) is exemplified. In addition, the threshold Zth is largely divided into a method of specifying an absolute value (for example, about Zth = 120 [Ω]) and a method of specifying a relative value (a method of specifying by how many Ω or how many% it has risen). . In addition, as a method of specifying with this relative value, a method of specifying with reference to the impedance value Z at the start of ablation, and a method of specifying with reference to the minimum value of the impedance value Z after the start of ablation. can be hear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t values of the threshold Zth and the threshold Nth are not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an operator, but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power supply device 3, for example,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product. .

이어서,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전원 장치(3)(전원부(32))로부터 전력 Pout를 공급함으로써, 환부(90)에 대한 어블레이션을 개시한다(스텝 S11). 구체적으로는, 이 어블레이션의 개시는,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 Sm이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어 제어부(33)로 공급됨으로써 실행된다. 즉, 이 예에서는, 어블레이션이 수동으로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Next, ablation to the affected part 90 is started by supplying electric power Pout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3 (power supply part 32)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step S11). . Specifically, initiation of this ablation is performed by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Sm from the input unit 31 and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3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 That is, in this example, the ablation is manually initiated.

이어서, 이러한 어블레이션이 개시되면, 전원부(32)는 우선,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를 측정한다(스텝 S12).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33)는, 그러한 임피던스값 Z의 측정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된 임피던스값 Z가, 전원부(32)로부터 제어부(33)로 공급되면, 다음에 제어부(33)는 이하의 판정을 행한다. 즉, 제어부(33)는, 이 임피던스값 Z가, 스텝 S10에 있어서 설정된 역치 Zth보다 큰지 여부(Z>Zth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여기서,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 이하라고(Z>Zth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3: "아니오"), 상기한 스텝 S12로 되돌아가서, 다시 임피던스값 Z의 측정이 행해진다.Next, when such ablation is started, the power supply part 32 first measures the impedance value Z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step S12).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33 acquires measurement information of such an impedance value Z. And when the impedance value Z measured in this way is supplied to the control part 33 from the power supply part 32, then the control part 33 makes the following determin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is impedance value Z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Zth set in step S10 (whether Z>Zth is satisfied) (step S13). 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pedance value Z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Zth (Z>Zth is not satisfied) (step S13: NO), the flow returns to the above-described step S12, and the impedance value Z is measured again.

한편,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보다 크다고(Z>Zth를 충족한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3: "예"), 전술한 브레이크 상태로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경우, 다음에 제어부(33)는, 이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브레이크 횟수 Nb)를 자동적으로 카운트한다(스텝 S14). 또한, 이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은, 예를 들어 제어부(33) 내의 각종 기억 매체에, 수시로 기억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pedance value Z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Zth (that Z>Zth is satisfied) (step S13: Yes), it means that the above-mentioned break state has been reached. Then, in this case, next, the control part 33 automatically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this break state (the number of breaks Nb) (step S14). In addition, the count value of this break number Nb is stored in various storage media in the control part 33 at any time, for example.

이러한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 등은, 예를 들어 도 5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3)에 있어서의 표시부(34)에, 수시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표시부(34)에서는, 우선, 전술한 도 3에도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값 Z의 측정 파형이 시간축을 따라 표시되어 있다(도 5 중의 부호 P20 참조). 또한, 이 표시부(34)의 예에서는 또한, 임피던스값 Z의 현재값(Impedance: 부호 P21 참조)과, 전술한 온도 정보 It(Temperature: 부호 P22 참조)와, 전력 Pout의 출력값(Power: 부호 P23 참조)과, 어블레이션 시간의 정보(Ablation Time: 부호 P24 참조)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시부(34)의 예에서는, 도 5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값 Z의 현재값(부호 P21 참조)과 함께,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이 아울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Such a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Nb is displayed at any time on the display unit 34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for example,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5 . Specifically, in the display unit 34, first,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3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waveform of the impedance value Z is displayed along the time axis (refer to reference numeral P20 in Fig. 5). Further, in the example of the display unit 34, the present value of the impedance value Z (Impedance: refer to symbol P21),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information It (Temperature: refer to the reference symbol P22), and the output value of the electric power Pout (Power: refer to the symbol P23) reference) and ablation time information (Ablation Time: see reference numeral P24) are respectively displayed. And in the example of this display part 34, as shown in FIG. 5,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Nb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resent value of the impedance value Z (refer reference numeral P21).

이어서,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로부터의 전력 Pout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스텝 S15).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값 Z가 다시 저하되어,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Next, the control part 33 temporarily stops or stops the ablation by temporarily reducing or stopp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from the power supply part 32 using the control signal CTL1 mentioned above (step S15).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impedance value Z is lowered again to come out of the brake state.

이어서, 제어부(33)는, 상기한 스텝 S14에 있어서 카운트된 브레이크 횟수 Nb가, 스텝 S10에 있어서 설정된 역치 Nth 이상인지 여부(Nb≥Nth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 미만이라고(Nb≥Nth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6: "아니오"), 이어서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이 자동적 또는 수동에 의해 재개된다(스텝 S17).Next, the control unit 3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breaks Nb counted in step S14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Nth set in step S10 (whether or not Nb≥Nth is satisfied) (step S1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breaks Nb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Nth (Nb≥Nth is not satisfied) (Step S16: No), then supply (ablation) of the electric power Pout is restar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Step S17 ).

여기서, 도 6은, 이러한 전력 Pout의 공급 재개(스텝 S17) 시의, 동작 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의 동작 모드로서는, 예를 들어 「풀 오토 모드」와 「세미 오토 모드」라는 2종류의 동작 모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풀 오토 모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동작 모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세미 오토 모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동작 모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Here, Fig. 6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mode at the time of restart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step S17). As shown in FIG. 6, as an operation mode at this time, two types of operation modes are mentioned, for example, a "full auto mode" and a "semi-auto mode". In addition, this full auto mode corresponds to a specific exampl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mi-auto mode corresponds to a specific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e.

우선, 풀 오도 모드에서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스텝 S16: "아니오"), 제어부(33)에 의해,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킨다(스텝 S17).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로부터의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킨다. 즉, 이 풀 오토 모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재개되도록 되어 있다.First, in the full misguided mode, when the number of breaks Nb does not reach the threshold value Nth (Step S16: NO), the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restarts the supply (ablation) of the electric power Pout (Step S17 )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resumes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32 using the control signal CTL1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is full auto mode,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is automatically resumed.

한편, 세미 오도 모드에서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스텝 S16: "아니오"),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 Sm에 기초하여, 제어부(33)가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재개시킨다(스텝 S17). 즉, 이 세미 오토 모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이 수동에 의해 재개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mi-odd mode, when the number of breaks Nb does not reach the threshold Nth (step S16: No),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Sm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the control unit ( 33) restarts the supply (ablation) of the electric power Pout (step S17). That is, in this semi-auto mode,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Pout is restarted manual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전원 장치(3)에 있어서, 이러한 2종류의 동작 모드(「풀 오토 모드」 및 「세미 오토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도 6 중에 나타낸 파선의 화살표 P3 참조). 즉, 예를 들어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 Sm에 기초하여, 이들 2종류의 동작 모드가, 수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power supply device 3, these two types of operation modes ("full auto mode" and "semi-auto mode") may be switchable (dashed line shown in FIG. 6). (see arrow P3 in Fig.). That is, for example,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Sm input according to operation by the operator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these two types of operation modes may be switched at any time.

또한, 이러한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이 재개된 후에는, 전술한 스텝 S12로 되돌아가서, 다시 임피던스값 Z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전술한 스텝 S15에 있어서, 전력 Pout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브레이크 상태에 있어서도, 임피던스값 Z가 계속해서 측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텝 S15에 있어서, 전력 Pout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상태로 되면, 임피던스값 Z의 측정은 행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fter such supply (ablation) of the electric power Pout is resumed, it returns to the above-mentioned step S12, and measurement of the impedance value Z is performed again. Incidentally, when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is temporarily "lower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5, the impedance value Z is continuously measured even in the above-described break stat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emporarily "stopp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in step S15, the impedance value Z is not measured when the brake state is entered.

여기서, 상기한 스텝 S16에 있어서,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 이상이라고(Nb≥Nth를 충족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6: "예"), 다음에 제어부(33)는, 이하의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33)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한 경우(스텝 S16: "예"), 전원부(32)로부터의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완전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다(스텝 S18).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환부(90)에 대한 어블레이션이, 제어부(33)에 의해 자동적으로 종료되게 된다.Her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6 that the number of breaks Nb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Nth (that Nb≥Nth is satisfied) (step S16: Yes), then the control unit 33 performs the following control do That is, when the number of breaks Nb reaches the threshold value Nth (step S16: Yes), the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stops (completely stops)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32 to prevent ablation. It ends automatically (step S18).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stops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using the aforementioned control signal CTL1. Thereby, the ablation with respect to the affected part 90 comes to be automatically terminated by the control part 33.

이어서, 제어부(33)는, 이와 같이 하여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스텝 S18) 후에, 액체 공급 장치(2)로부터의 냉각용 액체 L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스텝 S19).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2를 사용하여, 액체 공급부(21)로부터의 액체 L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의 내부의 사이에서의 액체 L의 순환이 정지되고(도 1 참조), 전극침(1)에 대한 냉각 동작(쿨링)이 정지된다. 이상으로, 도 4에 도시한 일련의 처리(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의 처리예)가 종료된다.Next, after automatically ending the ablation in this way (step S18), the control unit 33 also automatically stops the supply of the cooling liquid L from the liquid supply device 2 (step S19).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stops the supply of the liquid L from the liquid supply unit 21 using the control signal CTL2 described above. Thereby, circulation of the liquid L between the inside of the liquid supply device 2 and the inside of the electrode needle 1 is stopped (refer to FIG. 1 ), and the cooling operation (cooling) of the electrode needle 1 is stopped. do. As described above, a series of processes shown in Fig. 4 (a process example of abl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inished.

(E. 작용ㆍ효과)(E. Action/Effect)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서는, 제어부(33)는 어블레이션 시에, 이하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즉, 우선, 제어부(33)는,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를 측정함(도 4의 스텝 S12)과 함께, 이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를 초과한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브레이크 횟수 Nb)를 카운트한다(스텝 S14). 그리고, 제어부(33)는, 이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다(스텝 S18).In this way, in the ablation system 5 of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rt 33 performs the following control at the time of ablation. That is, first, the control unit 33 measures the impedance value Z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1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4 (step S12 in FIG. 4 ), and the impedance value Z exceeds the threshold value Zth. The number of times of one break state (the number of breaks Nb) is counted (step S14). Then, when the number of breaks Nb reaches the threshold Nth, the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stops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to automatically end the ablation (step S18).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횟수 Nb를 목시 등으로 확인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수동으로 종료시키는 경우(비교예 1)나, 브레이크 횟수 Nb를 확인하지 않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자동 종료시키는 경우(비교예 2) 등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비교예 1, 2 등과 비교하여, 어블레이션 시스템(5)을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by, in this embodiment, it becomes as follows. That is, for example, when ablation is manually terminated after visually checking the number of breaks Nb as described above (Comparative Example 1), or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has elapsed without checking the number of breaks Nb Compared to the case where ablation is automatically terminated (Comparative Example 2), effective ab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se comparative examples 1, 2, etc.,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t the time of using the ablation system 5. As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장치(3)에 있어서,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34)를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도 5 참조),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을, 전원 장치(3)의 조작자 등이 수시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리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the power supply device 3, since the display part 34 which displays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Nb is provided (refer FIG. 5),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Nb is set to the power supply device 3 ), the operator, etc. will be able to grasp it from time to time.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convenienc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재개할 때(도 4의 스텝 S17), 제어부(33)에 의해 자동적으로 재개시키도록 한 경우(도 6에 도시한 「풀 오토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이 「풀 오도 모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의 재개도 자동적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까지의 일련의 처리(도 4 중의 스텝 S12 내지 S19의 각 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when restarting the supply (ablation) of electric power Pout (step S17 in FIG. 4), when it is made to restart automatically by the control part 33 ("full auto mode" shown in FIG. 6) '), it becomes as follows. That is, in this "full misconduct mode", in that the resumption of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is also performed automatically, a series of processes from the start of ablation to the end (each process in steps S12 to S19 in Fig. 4) are automatically performed. will be done with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aim at the further improvement of convenience.

더불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전력 Pout의 공급을 재개할 때,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 Sm에 기초하여 재개되도록 한 경우(도 6에 도시한 「세미 오토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전력 Pout의 공급의 재개 자체는 수동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전력 Pout의 공급의 재개 타이밍을, 수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restart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when it is restarted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Sm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of the power supply device 3 (the "semi-conductor" shown in FIG. 6) auto mode"), as follows. That is, since the restart of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itself is manually performed,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the restart timing of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Pout at any time. Accordingly,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chieve further improvement in convenienc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장치(3)에 있어서, 이들 2종류의 동작 모드(「풀 오토 모드」 및 「세미 오토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도 6 중의 화살표 P3 참조),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재개할 때(도 4의 스텝 S17), 예를 들어 용도나 상황 등에 따라, 이들 2종류의 모드를 수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the power supply device 3, since these two types of operation modes ("full auto mode" and "semi-auto mode") are switchable (refer arrow P3 in FIG. 6), the following becomes like That is, when the supply (ablation) of the electric power Pout is resumed (step S17 in Fig. 4), for example, these two types of modes can be switch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use or situation.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aim at the further improvement of convenienc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3)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한 경우,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도 4의 스텝 S18) 후에, 액체 L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스텝 S19),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예를 들어 어블레이션의 종료 후에 액체 L의 공급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경우(비교예 3)와 비교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액체 L의 공급 정지가 실현되게 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후의 환부(90)(조직)가 액체 L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어 버릴 우려가 회피되어, 환부(90)의 소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비교예 3과 비교하여,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number of breaks Nb reaches the threshold value Nth, the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stops the supply of the liquid L after automatically ending the ablation (step S18 in FIG. 4 ). (Step S19), it becomes as follows. That is, for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upply of the liquid L is manually stopped after the end of the ablation (Comparative Example 3), the stop of the supply of the liquid L at an appropriate timing is realized. As a result, the fear that the affected part 90 (tissue) after ablation is cooled more than necessary by the liquid L is avoided, and the cauterization state of the affected part 90 can be confirmed more accurately.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said comparative example 3, it becomes possible to aim at the further improvement of convenience.

<2. 변형예><2. Variant example>

이상,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was given and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 various deformation|transformation is possible.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 부재의 재료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료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침(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모든 부재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또한, 다른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종 파라미터의 값이나 범위, 대소 관계 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값이나 범위, 대소 관계 등이어도 된다.For example, the material etc. of each member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are not limited, It is good also considering another material. 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needle 1 was specifically mentioned and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provide all the members, and you may further provide other members. Also, the values, ranges, magnitude relationships, etc. of the various parameter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other values, ranges, magnitude relationships, etc. may be used.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의 블록 구성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블록을 반드시 전부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다른 블록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어블레이션 시스템(5) 전체로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장치에 추가하여, 다른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block configuration of the liquid supply device 2 and the power supply device 3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include all of the block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You may provide additionally. In addition, as the ablation system 5 whole, in addition to each apparatus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you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nother apparatus.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부(33)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어블레이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 등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어블레이션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방법에 한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역치 Nth(브레이크 횟수 Nb의 역치)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3회(Nth=3)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한하지 않고, 1회(Nth=1), 2회(Nth=2), 4회 이상(Nth≥4)의 임의의 횟수 등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rol operation (ablation method) in the control unit 33 including the power supply control function and the liquid supply control func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However, the control methods (ablation methods) in these power supply control functions and liquid supply control functions are not limited to the methods exemplified in the above embodiment.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threshold value Nth (threshold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Nb) was described mainly by taking as an example three times (Nth=3) in the above embodiment,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one time (Nth = 1), 2 times (Nth = 2), 4 times or more (Nth ≥ 4), or the lik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회로)로 행해지도록 해도 되고,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소프트웨어로 행해지도록 한 경우, 그 소프트웨어는, 각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군으로 구성된다. 각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에 미리 내장되어 사용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로 인스톨되어 사용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series of processes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may be made to be performed by hardware (circuit), and may be made to be performed by software (program). In the case where it is made to be performed by software, the software is constituted by a group of programs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each function. Each program may be pre-built in the said computer and used, for exampl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aid computer from a network or a recording medium, and may be used.

또한, 이제까지 설명한 각종 예를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시키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you may make it apply the various examples demonstrated so far in arbitrary combinations.

Claims (6)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상기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전원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블레이션 시에, 상기 전극침과 상기 대향 전극판의 사이의 임피던스값을 측정하고,
상기 임피던스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1 역치를 초과하여,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상태로 이행한 횟수인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An electrode needle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to an affected area in the body;
A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blation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in the power supply unit.
to provide
The control unit is
At the time of the ablation, measuring an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When the impeda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value and a break state is entered, the number of break times,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break state is shifted, is counted, and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is temporarily reduced or stopped;
when the number of breaks does not reach a second threshold, automatically restarting the supply of power;
When the number of breaks reaches the second threshold, the ablation is automatically terminated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ablation system.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상기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전원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블레이션 시에, 상기 전극침과 상기 대향 전극판의 사이의 임피던스값을 측정하고,
상기 임피던스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1 역치를 초과하여,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상태로 이행한 횟수인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An electrode needle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to an affected area in the body;
A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blation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in the power supply unit.
to provide
The control unit is
At the time of the ablation, measuring an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When the impeda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value and a break state is entered, the number of break times,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break state is shifted, is counted, and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is temporarily reduced or stopped;
when the number of breaks does not reach the second threshold, restart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based on an operation signal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an operator;
When the number of breaks reaches the second threshold, the ablation is automatically terminated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ablation system.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상기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전원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블레이션 시에, 상기 전극침과 상기 대향 전극판의 사이의 임피던스값을 측정하고,
상기 임피던스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1 역치를 초과하여,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상태로 이행한 횟수인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어블레이션을 자동으로 종료시키고,
상기 전원 장치에서는,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키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An electrode needle that is percutaneously punctured to an affected area in the body;
A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blation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in the power supply unit.
to provide
The control unit is
At the time of the ablation, measuring an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needle and the counter electrode plate,
When the impeda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value and a break state is entered, the number of break times,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break state is shifted, is counted, and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is temporarily reduced or stopped;
When the number of breaks reaches a second threshold, the ablation is automatically terminated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supply of the electric power,
In the power supply device,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are switchable,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resumes the supply of the power when the number of breaks does not reach the second threshol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number of breaks does not reach the second threshold, the control unit resumes supply of the power based on an operation signal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an operator.
ablation syste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갖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ower supply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breaks
ablation syste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침에 대하여 냉각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 후에, 상기 액체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liquid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liquid for cooling to the electrode needle,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stops the supply of the liquid after automatically ending the ablation when the number of breaks reaches the second threshold
ablation system.
삭제delete
KR1020207003535A 2017-08-29 2018-02-19 Ablation system KR1023361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4461A JP6853145B2 (en) 2017-08-29 2017-08-29 Ablation system
JPJP-P-2017-164461 2017-08-29
PCT/JP2018/005775 WO2019043991A1 (en) 2017-08-29 2018-02-19 Abl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924A KR20200024924A (en) 2020-03-09
KR102336199B1 true KR102336199B1 (en) 2021-12-07

Family

ID=6552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535A KR102336199B1 (en) 2017-08-29 2018-02-19 Ablation syste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56324A4 (en)
JP (1) JP6853145B2 (en)
KR (1) KR102336199B1 (en)
CN (1) CN110944590B (en)
TW (1) TWI670041B (en)
WO (1) WO201904399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9052B (en) * 2020-04-16 2021-05-07 上海睿刀医疗科技有限公司 System for predicting electric pulse ablation area
WO2022038728A1 (en) * 2020-08-20 2022-02-2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Ablation system
WO2022091224A1 (en) * 2020-10-27 2022-05-0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Ablation system
WO2022091369A1 (en) * 2020-10-30 2022-05-0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Ablation system
SE2150579A1 (en) * 2021-05-06 2022-11-07 Curative Cancer Treat By Heat Cctbh Ab Tumor denaturization control in curative cancer treat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690A (en) 2000-08-23 2002-03-05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surgical device
JP2004008581A (en) * 2002-06-07 2004-01-15 Aloka Co Ltd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2008514271A (en) 2004-09-27 2008-05-08 ビブラテック・アクチボラゲット Mechanisms for treatment of tumors
JP2008114042A (en) * 2006-10-31 2008-05-2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High-frequency surgical system and high-frequency surgica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1591B1 (en) * 2013-06-27 2014-12-17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Catheter system
JP2015008830A (en) * 2013-06-27 2015-01-19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Catheter system
US10639098B2 (en) * 2014-05-06 2020-05-05 Cosman Instruments, Llc Electrosurgical generator
RU2707037C2 (en) * 2015-02-27 2019-11-21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Adaptive ablation and therapy system and method based on elastographic monitoring
US10285751B2 (en) * 2015-10-16 2019-05-14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theter power based on renal ablation response
CN105496549A (en) * 2015-10-29 2016-04-20 绵阳立德电子股份有限公司 RF (radio frequency) generator and method for generating RF energy by us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690A (en) 2000-08-23 2002-03-05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surgical device
JP2004008581A (en) * 2002-06-07 2004-01-15 Aloka Co Ltd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2008514271A (en) 2004-09-27 2008-05-08 ビブラテック・アクチボラゲット Mechanisms for treatment of tumors
JP2008114042A (en) * 2006-10-31 2008-05-2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High-frequency surgical system and high-frequency surgica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6324A4 (en) 2021-04-07
CN110944590A (en) 2020-03-31
JP6853145B2 (en) 2021-03-31
CN110944590B (en) 2023-01-31
TWI670041B (en) 2019-09-01
WO2019043991A1 (en) 2019-03-07
TW201912124A (en) 2019-04-01
JP2019041782A (en) 2019-03-22
KR20200024924A (en) 2020-03-09
EP3656324A1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199B1 (en) Ablation system
JP7371058B2 (en) Adaptive ablation and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based on elastography monitoring
US202203133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of radiofrequency ablation power, and radiofrequency ablation system
US202103933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 or simultaneous control of multiple radiofrequency probes during an ablation procedure
KR101633707B1 (en) Radio frequency therap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radio frequency therapy apparatus
US118130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independent control of multiple radiofrequency probes during an ablation procedure
EP3451964B1 (en) Systems facilitating application of an appropriate thermal dosage in microwave ablation procedures
US10945660B2 (en) Normalized-displacement-difference-based approach for thermal lesion size control
KR101652659B1 (en) Catheter system
KR101737253B1 (en) Catheter system
WO2022091369A1 (en) Ablation system
WO2022091224A1 (en) Ablation system
WO2022038728A1 (en) Ablation system
JP7352011B2 (en) Ablation control system
JP6912410B2 (en) Ablation device
JP2015119895A (en) Thermal conductivity-measuring system
TWI693920B (en) Ablation device
JP2023143342A (en)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medical device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JP2019170466A (en) Ab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