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724B1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724B1
KR102334724B1 KR1020187033089A KR20187033089A KR102334724B1 KR 102334724 B1 KR102334724 B1 KR 102334724B1 KR 1020187033089 A KR1020187033089 A KR 1020187033089A KR 20187033089 A KR20187033089 A KR 20187033089A KR 102334724 B1 KR102334724 B1 KR 10233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movable
fixed
gripper
abut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496A (ko
Inventor
도모히로 오리카와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04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rigid, e.g. shelf-reac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비교적 굵은 전선이라도 비교적 가는 전선이라도 1개의 절연 조작봉으로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절연 조작봉(14)과,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를 가지는 파지부(12)와, 보조 절연 조작봉(24)과, 파지 조작부(26)를 구비하고, 고정 파지부(22)는, 선단부가 2개로 나누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 파지부(20)는,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서 원호를 그리고, 전선(84)과 맞닿는 원호 곡면(200r)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파지부(22)는, 소경 또는 대경의 어느 전선(84)도 파지할 수 있도록, 둔각의 각도로 굴곡되는 형상의 걸어맞춤부(C)를 구비하고 있고, 파지부(12)가 폐쇄 상태일 경우에는, 가동 파지부(20)의 원호 곡면(200r)과 고정 파지부(22)의 걸어맞춤부(C)와의 사이에 있어서, 부채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본 발명은, 간접 활선(indirect live-wire) 공사용 파지 공구(gripping tool)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무정전(無停電) 상태의 고압 배전선(配電線)을 간접적으로 활선 작업할 수 있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로서, 전선 등을 파지할 수 있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압 배전선을 무정전에서 배전 공사를 행하는 활선 작업에는, 직접 활선 공법과 간접 활선 공법의 2가지가 있다. 직접 활선 공법은, 작업자가 고압 고무 장갑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여, 통전 중인 고압 배전선에 직접 접촉하여 배전 공사를 행하는 것이지만, 작업자의 감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었다. 한편, 간접 활선 공법은, 작업자가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사용하여, 통전 중인 고압 배전선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배전 공사를 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는, 절연 펜치(insulated penchi)나 절연 퀵(insulated quick)이라고 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있다. 이들은,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공구를 교환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절연 펜치 또는 절연 퀵은, 1개의 전용(專用) 공구이며, 전선을 파지하는 전용 공구이다. 절연 펜치는, 비교적 굵은 전선을 파지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절연 퀵은, 비교적 가는 전선을 확실하게 파지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3―9546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7―298436호 공보
종래, 작업자는, 이들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사용하여 고압 배전선의 인하선(引下線)의 절단 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양한 직경의 전선을 파지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나, 전선의 직경 치수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파지해야 할 전선의 직경에 따라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절연 펜치 및 절연 퀵을 함께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절연 펜치나 절연 퀵과 같은 전선 파지 전용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용적이 크므로, 장소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고소(高所) 작업차의 좁은 버킷(bucket) 내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버킷 내는, 복수의 작업자 외에, 이들 절연 펜치 및 절연 퀵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로 가득차게 되어, 작업을 행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비교적 굵은 전선이라도 비교적 가는 전선이라도 1개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로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항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전선과 인체 간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절연성의 절연 조작봉(insulated operation rod)과, 절연 조작봉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동일하게 절연 조작봉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2개의 개폐편(開閉片)을 가지는 파지부(把持部)를 구비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로서, 파지부의 2개의 개폐편은, 선단부가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2개로 나누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파지부(fixed gripping part)와, 고정 파지부의 2개에 형성된 선단부에, 개폐편의 폐쇄 동작 시에 선단부가 들어가는 가동 파지부(movable gripping part)를 구비하고, 가동 파지부는, 절연 조작봉의 축선(軸線)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서 원호를 그리고, 전선에 맞닿는 원호 곡면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파지부는,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이 원호를 그리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서, 소경(小徑) 또는 대경(大徑)의 어느 전선도 파지할 수 있도록, 둔각(鈍角)의 각도로 굴곡되는 형상의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고, 파지부가 폐쇄 상태일 경우에는,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과 고정 파지부의 걸어맞춤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부채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항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고정 파지부는 폭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항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가동 파지부의 대략 중앙부는 폭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고정 파지부의 둔각으로 굴곡되는 걸어맞춤부에 있어서, 그 굴곡되는 각도는 105°∼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의 곡률 반경은 15㎜의 1.5배 정도 내지 3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은, 고정 파지부의 걸어맞춤부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곡면으로서, 고정 파지부의 걸어맞춤부의 절곡 부분의 볼록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의 곡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은, 그 곡률 중심이, 가동 파지부의 베이스부와 중앙부 기단측(基端側)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중앙부 기단측으로부터 연장시키는 직선보다 내측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고정 파지부와 가동 파지부가 접하거나 또는 교차하는 위치에 놓여졌을 때, 둔각의 각도로 형성된 고정 파지부의 걸어맞춤부와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은, 부채꼴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 부채꼴의 공간에 파지될 선형체(線狀體)가 입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파지 조작부를 조작하여 파지부를 폐쇄 동작하면, 선형체가 고정 파지부의 걸어맞춤부와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압력을 받는다.
제2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고정 파지부는, 그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경량화된다.
제3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가동 파지부는, 그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경량화된다.
제1항의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의하면, 직경이 5㎜∼30㎜인 선형체를 파지할 수 있다.
제2항의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의하면, 직경이 5㎜∼30㎜인 선형체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경량화할 수 있다.
제3항의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의하면, 직경이 5㎜∼30㎜인 선형체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경량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간접 활선 공사의 작업 현장에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1개 지참하면, 절연 펜치 및 절연 퀵의 양쪽을 지참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경량화되도록 할 수 있으면, 작업자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목표로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나타낸 정면 도해도(圖解圖)이다.
도 2a의 (A)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가동 파지부 측으로부터 본 파지부 부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b의 (B)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고정 파지부 측으로부터 본 파지부 부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c의 (C)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 부근의 확대 좌측면도이며, (D)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 부근의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3a의 (A)는, 고정 파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3b의 (B)는, 고정 파지부의 좌측면도이며, (C)는, 고정 파지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c의 (D)는, 가동 파지부의 정면도이며, (E)는, 가동 파지부의 좌측면도이며, (F)는, 가동 파지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4a의 (A)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가는 전선(직경이 5㎜ 정도)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파지부 부근의 확대 정면 도해도이다.
도 4b의 (B)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굵은 전선(직경이 30㎜ 정도)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파지부 부근의 확대 정면 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서의 가동 파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6a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가는 전선(직경이 5㎜ 정도)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파지부 부근의 확대 정면 도해도이다.
도 6b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굵은 전선(직경이 30㎜ 정도)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파지부 부근의 확대 정면 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절연 조작봉(14)의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절연 조작봉(14)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외측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낸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파지부(gripping part)(12)와, 선단부에 파지부(12)가 장착된 절연 조작봉(14)과, 파지 조작부(gripping operating part)(26)에 의한 조작을 파지부(12)에 전달하는 보조 절연 조작봉(24)과, 절연 조작봉(14)의 기단부(基端部) 근방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26)를 구비한다. 파지 조작부(26)는 파지부(12)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을 조작한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절연 조작봉(14)은,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 원기둥형의 봉형(棒形) 부재이다.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고압 배전선의 인하선의 절단 작업 등에 사용되는 공구이므로, 절연 조작봉(14)은, 전선과 인체 간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진다. 절연 조작봉(14)에는, 연면(沿面) 방전이나 누전을 피하기 위해, 차양(16)이나 플랜지(flange)(18)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는 파지부(12)가 장착되어 있고, 기단부 근방에는 파지 조작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이 절연 조작봉(14)에 의해, 선단부에 장착된 파지부(12)를 작업 위치로 위치결정하고, 파지 조작부(26)에 의해 파지부(12)의 근접 및 이격 조작을 행한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은, 절연 조작봉(14)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고, 절연 조작봉(14)과 마찬가지로 누전, 연면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양(16)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가동 파지부(movable gripping part)(20)의 베이스부(20d)와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기단부는, 후술하는 파지 조작부(26)의 작동편(26e)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은, 절연 조작봉(14)의 선단부에 장착된 파지부(12)의 파지 조작부(26)에 의한 근접 및 이격 조작을 보조한다.
파지부(12)는,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fixed gripping part)(22)를 구비한다. 고정 파지부(22)는, 베이스부(22a)와, 제1 직선부(22b1)와, 제2 직선부(22b2)와, 제3 직선부(22b3)를 구비한다.
고정 파지부(22)는, 경질(硬質) 재료, 예를 들면,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파지부(22)의 베이스부(22a)는, 절연 조작봉(14)의 선단부에 끼워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도 3a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22a)로부터, 절연 조작봉(1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방향이자 또한 외측 방향으로 대략 30°의 각도를 주어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22b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외측 방향이란,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가 대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절연 조작봉(14)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 제1 직선부(22b1)에 연속하여, 또한 외측으로 대략 17°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제2 직선부(22b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직선부(22b2)에 연속되고, 상방향이자 또한 내측 방향으로 75°∼60°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는 제3 직선부(22b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내측 방향이란,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가 대향하는 방향으로서, 절연 조작봉(14)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말한다. 고정 파지부(22)의 베이스부(22a)의 상부로서 제1 직선부(22b1)과 제2 직선부(22b2)의 이음 부분에,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 기단측(20c)이 추축(樞軸)(3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직선부(22b1)의 내측에는 제1 맞닿음면(abutment surface)(222b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맞닿음면(222b1)은, 도 2에 나타낸 평면(V)[평면(V)은,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및 각각의 직선부(22b1, 22b2, 22b3)]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이하, 「가상(假想) 평면(V)」이라고 함]와 직교하고, 또한 제1 직선부(22b1)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제1 맞닿음면(222b1)을 연장시킨 평면은, 절연 조작봉(14)의 축선과 교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직선부(22b2)의 내측에는 제2 맞닿음면(222b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맞닿음면(222b2)은, 가상 평면(V)과 직교하고, 또한 제2 직선부(22b2)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제2 맞닿음면(222b2)를 연장시킨 평면은, 절연 조작봉(14)의 축선과 교차한다.
마찬가지로, 제3 직선부(22b3)의 내측에는 제3 맞닿음면(222b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맞닿음면(222b3)은, 가상 평면(V)과 직교하고, 또한 제3 직선부(22b3)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제3 맞닿음면(222b3)을 연장시킨 평면은, 절연 조작봉(14)의 축선과 교차한다.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절곡 부분을 걸어맞춤부(C)라고 한다.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절곡각의 이등분선을 D라고 한다.
제2 직선부(22b2)의 내측의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직선부(22b3)의 내측의 제3 맞닿음면(222b3)이 이루는 각도는, 105°∼120°의 각도가 주어지게 된다.
이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절곡 부분인 걸어맞춤부(C)에, 전선(84)이 걸린다.
또한, 제3 직선부(22b3)는, 2개로 나누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가 회동하여 이 2개로 나누어진 제3 직선부(22b3)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3 직선부(22b3)의 선단은, 제2 직선부(22b2)보다 가상 평면(V)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고정 파지부(22)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고정 파지부(22)의 제1 직선부(22b1) 및 제2 직선부(22b2)는, 가상 평면(V)의 직교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고정 파지부(22)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 및 제3 맞닿음면(222b3)은, 가상 평면(V)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84)을 파지할 때 전선(84)에 대하여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돌조(突條)(W)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조(W)가, 전선(84)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전선(84)을 미끄러지지 않고 파지부(12)에 있어서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동 파지부(20)는, 선단부(20a)와 중앙부(20b)와 중앙부 기단측(20c)과 베이스부(20d)를 구비한다.
가동 파지부(20)는, 고정 파지부(22)와 마찬가지로 경질 재료, 예를 들면,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파지부(20)는, 가상 평면(V) 상에서,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에서의 절곡 부분[걸어맞춤부(C)]의 볼록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 또는 초승달형의 곡선을 그리는 전체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동 파지부(20) 내측에 있어서, 가상 평면(V)과 직교하고, 또한 가상 평면(V) 상에서 원호를 그리는 원호 곡면(curved surface)(200r)이 형성되어 있다. 원호 곡면(200r)은, 전선(84)과의 맞닿음면이며, 요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 곡면(200r)의 곡률 반경은, 파지 대상물(對象物)인 전선(84)의 큰 반경(15㎜ 정도)의 1.5배 정도 내지 3배 정도이다.
원호 곡면(200r)은,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D)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곡면으로서,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 및 제3 맞닿음면(222b3)의 절곡 부분의 볼록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의 곡면이다. 원호 곡면(200r)은, 그 곡률 중심이, 가동 파지부(20)의 베이스부(20d)와 중앙부 기단측(20c)을 연결하는 직선 L1에 대하여 직각이며 중앙부 기단측(20c)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 L2보다 내측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 기단측(20c)은, 고정 파지부(22)의 베이스부(22a)의 상부로서 제1 직선부(22b1)과 제2 직선부(22b2)의 이음 부분에 추축(3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동 파지부(20)의 베이스부(20d)는,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파지 조작부(26)의 조작 레버(26a)의 동작에 따라 가동 파지부(20)는, 추축(30)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진다. 특히, 가동 파지부(20)가 고정 파지부(22)에 접근할 때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는, 고정 파지부(22)의 2개로 나누어진 제3 직선부(22b3)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의 형상은,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보다 가상 평면(V)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파지부(20)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는, 가상 평면(V)의 직교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파지부(20)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동 파지부(20)의 전선(84)과의 맞닿음면인 원호 곡면(200r)은, 가상 평면(V)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선(84)을 파지할 때 전선(84)에 대하여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돌조(W)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조(W)가, 전선(84)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전선(84)을 파지부(12)에 있어서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지 조작부(26)는, 절연 조작봉(14)의 기단부 근방에 설치되고, 조작 레버(26a)와, 지지 금속 부재(26b)와, 해제 레버(26c)와, 조작용 회동축(回動軸)(26d)과, 작동편(26e)을 구비한다. 지지 금속 부재(26b)에는, 조작 레버(26a)가 조작용 회동축(26d)으로 축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26a)와 동일 측으로 돌출된 작동편(26e)은,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작 레버(26a)를 잡는 조작을 행하면, 지레(lever)의 작용으로 보조 절연 조작봉(24)이 하방향으로 인장되고, 파지부(12)의 가동 파지부(20)가 고정 파지부(22)를 향해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전선(84)을 파지부(12)에 있어서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 금속 부재(26b)와 조작 레버(26a)의 사이에는, 조작 레버(26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8)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28)에 의해, 작업자가 조작 레버(26a)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는, 조작 레버(26a)가 개방 상태로 된다. 그에 따라 가동 파지부(20)도 고정 파지부(22)에 대하여 이격된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지지 금속 부재(26b)에는 록 기구(機構)가 구비되어 있고, 이 록 기구는, 전술한 특허문헌 2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 주지의 것이므로,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록 기구는, 조작 레버(26a)의 지레의 지점(支点) 위치에 장착된 롤러(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는 베어링형의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ch)(도시하지 않음)와, 이 원웨이 클러치를 축지지하는 조작용 회동축(26d)과, 이 조작용 회동축(26d)의 회동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개방하는 복수의 걸림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 기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조작용 회동축(26d)에 고정된 걸림 기어와, 걸림 기어를 거는 걸림핀과, 걸림핀을 걸림 기어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 스프링과, 걸림핀의 핀을 밀어올려 걸림핀의 거는 것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26c)와, 해제 레버(26c)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축과, 해제 레버(26c)를 걸림 해제 위치에 유지 또는 개방하는 걸림 해제 손잡이와, 걸림 해제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걸림 기구를 개방 위치에 세팅하여 록 기구를 개방한 경우에는, 조작용 회동축(26d)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해지고,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이 조작 레버(26a)의 조작과 무관계로 되어 조작 레버(26a)가 자유롭게 회동하고, 조작 레버(26a)의 개폐 조작이 보조 절연 조작봉(24)에 전해지고, 가동 파지부(20)가 조작 레버(26a)의 개폐 조작에 따라 개폐된다. 한편, 걸림 기구를 걸림 위치에 세팅하여 록 기구가 작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조작용 회동축(26d)이 걸려져,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조작 레버(26a)가 폐쇄하는 방향, 즉 보조 절연 조작봉(24)을 하방향으로 인장시키는 것처럼 밖에 회동하지 않고, 또한 무단계로 임의의 위치로 조작 레버(26a)가 록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작 레버(26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조작 레버(26a)는, 작업자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작한 위치에 정지한다. 동시에, 가동 파지부(20)는 보조 절연 조작봉(24)을 통하여 조작 레버(26a)의 폐쇄 위치에 따른 위치에서 록 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파지 대상물인 전선(84)의 직경의 크기의 여하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파지 대상물을 작업에 적절한 힘으로 파지할 수 있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조작 레버(26a)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그 상태에서, 조작 레버(26a)가 록 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가 전선(84)을 파지하는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절연 조작봉(14)의 기단부를 가지고,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 전체를 움직임으로써,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파지부(12)를, 파지하려고 하는 전선(84)의 목표하는 위치에 근접시킨다. 작업자는, 파지부(12)가 전선(84)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면, 파지 조작부(26)의 조작 레버(26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파지력을 가한다. 이로써, 가동 파지부(20)의 원호 곡면(200r)이 전선(84)에 맞닿고, 전선(84)을 서서히 고정 파지부(22)의 걸어맞춤부(C)를 향해 압압(押壓)한다.
전선(84)이 작은 직경(직경이 5㎜ 정도)일 경우, 도 4a와 같이,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는 고정 파지부(22)의 2개로 나누어진 제3 직선부(22b3) 사이에 들어간다. 이 때, 전선(84)은,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절곡각의 이등분선(D) 상 내지 (D)보다 상측에서 원호 곡면(200r)에 맞닿는다. 이로써, 제2 맞닿음면(222b2)과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 근방의 원호 곡면(200r)은, 대향 관계로 된다. 따라서, 전선(84)은, 고정 파지부(22)의 걸어맞춤부(C)의 근방에 있어서, 제2 맞닿음면(222b2)과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 근방의 원호 곡면(200r)으로부터 강하게 압력을 받아, 확실하게 파지된다.
전선(84)이 큰 직경(직경이 30㎜ 정도)인 경우, 도 4b와 같이,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는 고정 파지부(22)의 제3 직선부(22b3) 사이에 들어가지 않고, 고정 파지부(22)의 제3 직선부(22b3)보다 약간 이격된 것과 같은 위치로 된다. 이 때, 전선(84)은,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절곡각의 이등분선(D)보다 하측으로 원호 곡면(200r)에 맞닿는다. 이로써, 제3 맞닿음면(222b3)과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 근방의 원호 곡면(200r)은, 대향 관계로 된다. 따라서, 전선(84)은, 고정 파지부(22)의 걸어맞춤부(C)의 근방에 있어서, 제3 맞닿음면(222b3)과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 근방의 원호 곡면(200r)으로부터 강하게 압력을 받아, 확실하게 파지된다.
다음에, 고정 파지부(22)의 걸어맞춤부(C)의 절곡 각도가 작을 경우에, 본 발명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것을 설명한다.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절곡 부분인 걸어맞춤부(C)의 각도가 105°∼120°보다 극단적으로 작을 경우, 큰 직경의 전선(84)은 고정 파지부(22)에 의해 가동 파지부(20)에 확실하게 파지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정 파지부(22)의 제3 맞닿음면(222b3)과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 근방 원호 곡면(200r)이 대향 관계가 되지 않고, 또는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사이에 전선(84)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전선(84)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이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전선(84)이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로부터 탈락하는 것으로도 이어질 수 없다.
또한, 고정 파지부(22)의 걸어맞춤부(C)의 절곡 각도가 클 경우에, 본 발명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것을 설명한다.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과 제3 맞닿음면(222b3)과의 절곡 부분인 걸어맞춤부(C)의 각도가 105°∼120°보다 극단적으로 클 경우, 작은 직경의 전선(84)은 고정 파지부(22)에 의해 가동 파지부(20)에 확실하게 파지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정 파지부(22)의 제2 맞닿음면(222b2)과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 근방 원호 곡면(200r)이 대향 관계가 되지 않거나, 또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가 고정 파지부(22)의 2개로 나누어진 제3 직선부(22b3)의 근원(根元) 부분[도 4a 및 도 4b에서의 걸어맞춤부(C) 위쪽의 점선 부분]과 간섭하고 충분히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가 근접할 수 없으므로, 전선(84)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이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연 조작봉(14)의 중간에서 차양(16)을 설치하고 있었지만, 차양(16)은 강우에 의한 연면 방전이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연 조작봉(14)에 있어서 차양(16)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5 및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가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가, 가동 파지부(20)의 베이스부(20d)와 중앙부 기단측(20c)을 연결하는 직선 L1에 대하여 직각으로 중앙부 기단측(20c)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 L2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파지부(12)가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a)와 고정 파지부(22)의 제3 직선부(22b3)의 선단이 크게 이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비교적 굵은 전선(84)을 파지부(12)로 끌어들이기 쉬워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가는 전선(직경이 5㎜ 정도)이라도 비교적 굵은 전선(직경이 30㎜ 정도)이라도 파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기재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메카니즘,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치 등에 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12: 파지부
14: 절연 조작봉
16: 차양
18: 플랜지
20: 가동 파지부(개폐편)
20a: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
20b: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
20c: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 기단측
20d: 가동 파지부의 베이스부
200r: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
L1: 가동 파지부의 베이스부와 중앙부 기단측을 연결하는 직선
L2: L1과 직교하는 직선으로서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 기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
22: 고정 파지부(개폐편)
22a: 고정 파지부의 베이스부
22b1: 고정 파지부의 제1 직선부
22b2: 고정 파지부의 제2 직선부
22b3: 고정 파지부의 제3 직선부
222b1: 고정 파지부의 제1 맞닿음면
222b2: 고정 파지부의 제2 맞닿음면
222b3: 고정 파지부의 제3 맞닿음면
C: 고정 파지부의 걸어맞춤부
D: 고정 파지부의 제1 맞닿음면과 제2 맞닿음면과의 절곡각의 이등분선
V: 가상 평면(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 및 고정 파지부의 각각의 직선부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 가동 파지부가 그리는 대략 원호형 또는 초승달형의 곡선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과 같음)
24: 보조 절연 조작봉
26: 파지 조작부
26a: 조작 레버
26b: 지지 금속 부재
26c: 해제 레버
26d: 조작용 회동축
26e: 작동편
28: 스프링
30: 추축
84: 전선

Claims (3)

  1. 전선과 인체 간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절연성의 절연 조작봉(insulated operation rod); 및
    상기 절연 조작봉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동일하게 상기 절연 조작봉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gripping operating part)의 조작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2개의 개폐편(開閉片)을 구비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간접 활선(indirect live-wire) 공사용 파지 공구(gripping tool)로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2개의 개폐편은,
    선단부가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2개로 나누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파지부(fixed gripping part); 및
    상기 고정 파지부의 2개에 형성된 선단부에, 상기 개폐편의 폐쇄 동작 시에 선단부가 들어가는 가동 파지부(movable gripping part);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는, 베이스와,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와, 제3 직선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베이스는, 상기 절연 조작봉의 선단부에 끼워맞추어져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절연 조작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방향이자 또한 외측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방향은, 상기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가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상기 절연 조작봉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말하고,
    상기 제1 직선부에 연속하여 외측으로 더 연장하는 제2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직선부에 연속하고, 상방향이자 또한 내측 방향으로 75°~ 60°각도를 부여하여 절곡되는 제3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방향은, 상기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절연 조작봉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말하며,
    상기 고정 파지부의 베이스의 상부로서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의 이음 부분에, 상기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 기단 측이 추축(樞軸)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직선부의 내측에는 제1 맞닿음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맞닿음면은,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 및 각각의 직선부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직선부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며, 상기 제1 맞닿음면을 연장시킨 평면은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2 직선부의 내측에는 제2 맞닿음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맞닿음면은, 상기 가상 평면과 직교하고 또한 제2 직선부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며, 제2 맞닿음면을 연장시킨 평면은,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3 직선부의 내측에는 제3 맞닿음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맞닿음면은, 상기 가상 평면과 직교하고 또한 제3 직선부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며, 상기 제3 맞닿음면을 연장시킨 평면은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2 맞닿음면과 제3 맞닿음면의 절곡 부분에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직선부의 내측의 제2 맞닿음면과 제3 직선부의 내측의 제3 맞닿음면이 이루는 각도는 105° ~ 120°의 각도가 주어지고,
    상기 제2 맞닿음면과 제3 맞닿음면의 절곡 부분인 걸어맞춤부에, 전선이 걸리고,
    상기 제3 직선부는 2개로 나누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회동하여 상기 2개로 나누어진 제3 직선부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직선부의 선단은, 상기 제2 직선부보다 가상 평면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가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제2 맞닿음면 및 제3 맞닿음면은, 가상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파지할 때 전선에 대하여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돌조가 전선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파지부는, 선단부와 중앙부와 중앙부 기단측과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파지부는, 고정 파지부와 마찬가지로 경질(硬質)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는, 상기 가상 평면 상에서, 고정 파지부의 제2 맞닿음면과 제3 맞닿음면에서의 절곡 부분인 걸어맞춤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 또는 초승달형의 곡선을 그리는 전체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 내측에 있어서, 가상 평면과 직교하고 또한 가상 평면 상에서 원호를 그리는 원호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 곡면은, 전선과의 맞닿음면이고, 요면형으로 형성되고, 원호 곡면의 곡률 반경은 파지 대상물인 전선의 큰 반경의 1.5배 정도 내지 3배 정도이며,
    상기 원호 곡면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제2 맞닿음면과 제3 맞닿음면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곡면으로서, 상기 고정 파지부의 제2 맞닿음면 및 제3 맞닿음면의 절곡 부분의 볼록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의 곡면이며,
    상기 원호 곡면은, 그 곡률 중심이, 상기 가동 파지부의 베이스부와 중앙부 기단측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직각이며 중앙부 기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보다 내측으로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 기단측은, 상기 고정 파지부의 베이스부의 상부로서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의 이음 부분에 추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베이스부는,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파지 조작부의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파지부는 추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에 접근할 때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 파지부의 2개로 나누어진 제3 직선부 사이에 들어가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형상은,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보다 가상 평면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가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전선과의 맞닿음면인 원호 곡면은, 가상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선을 파지할 때에 전선에 대하여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는 돌조가 설치되고, 상기 돌조가, 전선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은,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軸線)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서 원호를 그리고, 상기 전선에 맞닿는 원호 곡면(curved surfac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파지부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원호 곡면이 원호를 그리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서, 소경(小徑) 또는 대경(大徑)의 어느 전선도 파지할 수 있도록, 둔각(鈍角)의 각도로 굴곡되는 형상의 걸어맞춤부(engagement section)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파지부가 폐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상기 원호 곡면과 상기 고정 파지부의 걸어맞춤부 사이에 있어서, 부채꼴의 공간이 형성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지부는 폭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는 폭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KR1020187033089A 2016-05-12 2017-05-11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KR102334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6099 2016-05-12
JP2016096099 2016-05-12
PCT/JP2017/017921 WO2017195868A1 (ja) 2016-05-12 2017-05-11 間接活線工事用把持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496A KR20190006496A (ko) 2019-01-18
KR102334724B1 true KR102334724B1 (ko) 2021-12-02

Family

ID=577090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78U KR20160004445U (ko) 2016-05-12 2016-12-06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KR1020187033089A KR102334724B1 (ko) 2016-05-12 2017-05-11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78U KR20160004445U (ko) 2016-05-12 2016-12-06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91955B2 (ko)
KR (2) KR20160004445U (ko)
CN (2) CN206516977U (ko)
TW (1) TWI734784B (ko)
WO (1) WO2017195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55B1 (ko) * 2018-05-02 2024-04-02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간접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CN108565776A (zh) * 2018-05-15 2018-09-21 国家电网公司 一种悬垂线夹更换工具
TWI821395B (zh) * 2018-09-25 2023-11-11 日商永木精機股份有限公司 間接活線工事用把持工具
CN109638717B (zh) * 2018-12-29 2021-0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清除电线杆鸟巢的装置
KR101977011B1 (ko) 2019-02-27 2019-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 피박 및 테이핑 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CN109917207B (zh) * 2019-03-29 2024-03-08 山东送变电工程有限公司 高空试验线夹分合器
CN110187150A (zh) * 2019-05-29 2019-08-30 知为力(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杆及具有该支撑杆的带电检测装置
CN111641054B (zh) * 2020-05-27 2021-07-30 国网浙江诸暨市供电有限公司 一种方便拆装的接地引下线及其使用方法
KR102506253B1 (ko) * 2020-09-17 2023-03-07 천공전기(주)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KR102579044B1 (ko) * 2021-06-23 2023-09-18 한국전력공사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KR102641634B1 (ko) * 2021-08-02 2024-02-28 조덕승 인장수단이 구비된 핸드그랩스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93A (ja) * 2005-07-01 2007-01-18 Katahito Hamazaki トング
JP2010178462A (ja) * 2009-01-28 2010-08-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把持工具
JP2013009546A (ja) * 2011-06-27 2013-0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法用仮圧縮工具
JP2015208135A (ja) * 2014-04-22 2015-11-19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用先端工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432A (ja) * 1993-03-04 1994-09-16 Nagaki Seiki:Kk 電線被覆剥離用工具および電線被覆の遠隔剥離方法
JP3435212B2 (ja) 1994-04-27 2003-08-11 中部電力株式会社 ホットハンド
KR101017093B1 (ko) * 2009-07-28 2011-02-25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CN201838937U (zh) * 2009-12-14 2011-05-18 江苏省电力公司泰州供电公司 一种用于地电位安装穿刺线夹的绝缘拎棒
JP5497130B2 (ja) * 2012-10-11 2014-05-21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CN105576555B (zh) * 2016-02-04 2018-06-1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昆明供电局 一种停电或带电更换220kV间隔棒的专用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93A (ja) * 2005-07-01 2007-01-18 Katahito Hamazaki トング
JP2010178462A (ja) * 2009-01-28 2010-08-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把持工具
JP2013009546A (ja) * 2011-06-27 2013-0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法用仮圧縮工具
JP2015208135A (ja) * 2014-04-22 2015-11-19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用先端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45U (ko) 2016-12-26
CN206516977U (zh) 2017-09-22
WO2017195868A1 (ja) 2017-11-16
JP6791955B2 (ja) 2020-11-25
TW201743525A (zh) 2017-12-16
CN109155506A (zh) 2019-01-04
KR20190006496A (ko) 2019-01-18
JPWO2017195868A1 (ja) 2019-03-14
TWI734784B (zh) 202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724B1 (ko)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KR102334725B1 (ko)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KR102028010B1 (ko) 간접 활선 작업용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용 공구 회전 조작 방법
JP6205075B1 (ja) 掴線器
WO2015115451A1 (ja) 掴線器
CN104274122A (zh) 吸尘器-抽吸管
JP2017028925A (ja) 電線切断装置
JP2015015866A (ja) 間接活線作業用絶縁操作棒
JP4990025B2 (ja) 万能把持スティック
TWI646745B (zh) Cutting tool
US5060382A (en) High leverage shears
JP4977559B2 (ja) 遠隔操作用ヤットコ
TWI821395B (zh) 間接活線工事用把持工具
JP6984008B2 (ja) 間接活線工事用把持工具
JP2017518235A (ja) バンド引っ張り器具
CN212122950U (zh) 断线钳头及座式断线钳
JP5882379B2 (ja) 複合機能型間接活線把持工具
JP5903083B2 (ja) 開閉工具
JP5337191B2 (ja) 釘抜き工具
JP2015082864A (ja) 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2017030098A (ja) 油圧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