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197B1 - 렌즈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197B1
KR102334197B1 KR1020140135562A KR20140135562A KR102334197B1 KR 102334197 B1 KR102334197 B1 KR 102334197B1 KR 1020140135562 A KR1020140135562 A KR 1020140135562A KR 20140135562 A KR20140135562 A KR 20140135562A KR 102334197 B1 KR102334197 B1 KR 102334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il
disposed
bobbi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500A (ko
Inventor
이성국
민상준
정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197B1/ko
Priority to CN202010633875.0A priority patent/CN111913269B/zh
Priority to CN201510647073.4A priority patent/CN105511049B/zh
Priority to US14/878,328 priority patent/US10197813B2/en
Publication of KR2016004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00A/ko
Priority to US16/227,009 priority patent/US10656432B2/en
Priority to US16/850,628 priority patent/US11480810B2/en
Priority to KR1020210166832A priority patent/KR102480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197B1/ko
Priority to US17/932,161 priority patent/US20230010221A1/en
Priority to KR1020220179449A priority patent/KR10265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외주면에 제1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코일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 상기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LENS MOVING APPARATUS}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떨림 보정기능의 효과를 향상시킨 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에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떨림 보정 수단을 추가적으로 카메라 모듈에 설치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손떨림 보정 수단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의 광축 초점거리를 정렬하거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구동장치의 구조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손떨림 보정기능의 효과를 향상시킨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외주면에 제1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코일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 상기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빈의 하부에 상기 보빈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상측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하측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그 측부에 절곡형성되는 제2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복수로 분할되어 구비되고, 분할된 각각의 상기 하측 탄성부재 각각에는 상기 제2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코일의 양끝선은 분할된 각각의 상기 하측 탄성부재 각각의 상기 내측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단자부는, 분할된 각각의 상기 하측 탄성부재 각각의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절곡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단자부는, 절곡되는 부분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절곡용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탄성변형부; 및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2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탄성변형부 및 제2탄성변형부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코일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 또는 결합하는 고정부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는 탄성 와이어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측부에 절곡형성되는 제1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부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단자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용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제1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 상기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코일; 상기 제2코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코일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측부에 절곡형성되는 제1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측부에 절곡형성되는 제2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부 양측에 회피용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부는 상기 회피용 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코일은, 패턴코일을 가지는 기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적층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구동장치와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지점들을 렌즈 구동장치의 일면에 집중적으로 정렬하여 렌즈 구동장치와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코일이 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에 고정되어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폭이 현저히 제한되는 지지부재의 하측의 이동폭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기 고정부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폭을 늘일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틸트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지지부재는 정확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2코일이 하우징 하측에 배치된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코일이 하우징 상측에 배치된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15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16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16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장치란 정지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 면에 결상 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광학모듈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에 대하여 움직여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100)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 제1코일(120),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제2코일(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10)은 외주면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빈(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을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113, 도 7 참조)와 하측 지지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113)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프레임(151)의 상기 상측 지지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통공(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돌기(113)와 제1통공(15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측 지지돌기(113)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113)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11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보빈(110)의 중심을 지나는 특정 가상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113)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프레임(161)의 상기 하측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통공(16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돌기와 제2통공(16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팔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40)은 제1면(141)과 제2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41)은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되는 면이고 제2면(142)은 지지부재(220)가 배치되는 면이 될 수 있다.
제1면(141)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적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마그네트(130)는 제1면(141)의 안쪽 면에 형성된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는 제1마그네트(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마그네트(130)와 적어도 3면, 즉 양 측면과 상부면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네트(130)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제1마그네트(130) 안착부(141a)를 도 4와 같이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하는 대신, 제1마그네트(130)의 일부가 노출 또는 끼워질 수 있는 장착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4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제3스토퍼(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스토퍼(143)는 상기 하우징(140)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스토퍼(143)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3스토퍼(14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면(141)은 커버부재(300)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제1면(141)은 상기 제2면(142)보다 큰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면(142)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를 가지는 도피 홈(142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도피 홈(142a)의 하면은 오픈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피 홈(142a)의 상면이 오픈된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상면과 하면이 모두 오픈된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피 홈(142a)이 구비됨으로써, 보빈(110)이 하우징(14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결부재(153)(163)와 보빈(11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여 연결부재(153)(163)의 탄성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피 홈(142a)의 하부는 지지부재(220)의 하측부의 제2결합부(224)가 하우징(14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피 홈(142a)의 상측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42b)를 구성하여 지지부재(220)의 상측부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피 홈(142a)의 위치는 실시예처럼 하우징(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탄성부재(150)(160)의 연결부재(153)(163), 지지부재(220)의 형상 및/또는 위치에 따라 하우징(14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상측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14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113)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측 프레임(152)의 길이가 내측 프레임(151)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대응되는 외측 프레임(15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3통공(15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곳에서 접착제 또는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5)는 상기한 하측 지지돌기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의 길이가 내측 프레임(161)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5)와 대응되는 외측 프레임(16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4통공(16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곳에서 접착제 또는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제4스토퍼(14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스토퍼(147)는 상기 하우징(140)의 하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스토퍼(147)는 하우징(140)의 바닥면이 베이스(2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스토퍼(147)는 초기 상태 및 정상 동작 중에는 상기 베이스(210)와 일정 거리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140)은 아래쪽으로는 베이스(210)와 이격되고, 상측으로는 커버부재(300)와 이격되어 상하 간섭 없이 지지부재(220)에 의해 제1방향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40)은 제1방향에 수직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쉬프팅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는 상기 보빈(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보빈(110)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140)과 결합한다.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보빈(110)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140)과 결합한다.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51)(161)과 하우징(140)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52)(162) 및 내측 프레임(151)(161)과 외측 프레임(152)(16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53)(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16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16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제1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는 외측 프레임(152)에서 복수 개의 제1통공(152a)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51)에서 복수 개의 제2통공(15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152a)은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결합하고, 상기 제2통공(151a) 또는 홈은 보빈(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지지돌기(113)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52)은 제1통공(152a)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51)은 제2통공(15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이 상기 외측 프레임(152)에 대해 제1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상기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 및 외측 프레임(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보빈(110)의 제1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제1상측 탄성부재(150a)와 제2상측 탄성부재(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는 제1상측 탄성부재(150a)와 제2상측 탄성부재(150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외측 프레임(152)이 각각 보빈(110)과 하우징(140)에 결합된 후, 보빈(110)에 배치된 제1코일(120)의 양 끝선과 대응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의 위치에 솔더부를 마련하여, 상기 솔더부에서 납땜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상측 탄성부재(150a)가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다른 하나와 제2상측 탄성부재(15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와 상기 보빈(110)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이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제1방향으로 탄성 왕복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와 상기 보빈(110)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외측 프레임(162)에서 복수의 삽입홈(162a) 또는 홀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61)에서 복수 개의 제3 통공(161a)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62a) 또는 홀은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와 결합하고, 상기 제3 통공(161a) 또는 홈은 보빈(11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 지지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62)은 삽입홈(162a) 또는 홀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61)은 제3 통공(16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3)는 상기 내측 프레임(161)이 상기 외측 프레임(162)에 대해 제1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프레임(162)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제1코일(120)(즉, 제1코일의 양끝선)과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코일(120)은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이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코일(120)을 상기 보빈(110)에 대해 짝수 번 권선하여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다른 나머지 하나의 끝선이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코일(120)이 전술한 권선형이 아니라 블록형인 경우에도,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은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을 보빈(110)의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을 상기 하측 탄성부재(120)에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솔더링 또는 납땜시킬 수 있다.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또는 좌우로 공간적으로 격리된 제1 하측 탄성부재(160a)와 제2 하측 탄성부재(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하측 탄성부재(160)는 제1 하측 탄성부재(160a)와 제2 하측 탄성부재(160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161)과 외측 프레임(162)이 각각 보빈(110)과 하우징(140)에 결합된 후, 보빈(110)에 배치된 제1코일(120)의 양 끝선과 대응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위치에 솔더부를 마련하여, 상기 솔더부에서 납땜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하측 탄성부재가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다른 하나와 제2 하측 탄성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기 제1 하측 탄성부재(160a)와 제2 하측 탄성부재(160b) 각각은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166)(167)를 포함한다.
이러한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제1단자부(251)와 함께 상기 하우징(140)의 동일 측면에서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자부(165)는 상기 외측 프레임(162)의 일면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방향으로 절곡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 각각은 직사각 판재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 각각은 상기 외측 프레임(162)의 일면에서 가장자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250)에는 상기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 전체가 인쇄회로기판(25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2개의 회피용 절개부(2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피용 절개부(252)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200)의 제1단자부(251)와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제2단자부(165)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렌즈 구동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개의 제2단자부(166)(167) 각각은 절곡되는 부분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절곡용 절개부(166a)(167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절곡용 절개부(166a)(167a)를 구비함으로써, 하측 탄성부재(160)를 보빈(110) 및 하우징(140)의 하부에 고정 또는 배치 또는 결합시킨 후, 제2단자부(166)(167)를 상기 외측 프레임(162)에 대해 손쉽게 절곡할 수 있어, 렌즈 구동장치의 조립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제2단자부(165)를 먼저 절곡한 후 상기 보빈(110) 및 하우징(140)의 하부에 고정 또는 배치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은 제1 하측 탄성부재(160a)의 내측 프레임(161)의 일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납땜 또는 솔더링되고, 상기 제1코일(120)의 양끝선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은 제2 하측 탄성부재(160b)의 내측 프레임(161)의 일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납땜 또는 솔더링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는 상기 외측 프레임(162)의 일면에서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50)에는 상기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 전체가 인쇄회로기판(25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1개의 회피용 절개부(252)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 각각에 대한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250)에서 상기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 개의 회피용 절개부(25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코일(260)은 하우징(140)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재(2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20) 상기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코일(260)은 상측 탄성부재(150)와 인쇄회로기판(2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코일(260)은 패턴코일을 가지는 기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코일(260)은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한 형태로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코일(260)은 인쇄회로기판(25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지지부재(220)를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시켜 카메라 구동장치의 손떨림 보정을 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제2코일(2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커버부재에 고정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0)에는 절곡된 제1단자부(251)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50)이 2개의 절곡된 제1단자부(2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부(251)에는 복수의 단자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코일(120) 및 제2코일(26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1단자부(251)는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 구조 등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인쇄회로기판(250)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자부(251)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1개의 절곡된 제1단자부(251) 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자부(25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제2단자부(166)(167) 전체가 인쇄회로기판(25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회피용 절개부(252)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구동장치와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지점들을 렌즈 구동장치의 일면에 집중적으로 정렬하여 렌즈 구동장치와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210)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직선면에 지지부재(220)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커버부재(300)를 접착 고정할 때,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단턱(211,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턱(211)의 바닥면은 커버부재(300)의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제1단자부(251)가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부(251)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턱(211)은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단부가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211)과 커버부재(300)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및 실링 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부면에는 모서리 부분에 지지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지부재(2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 상기 지지부재(220)의 끝단이 삽입 또는 배치되어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안착홈(214)은 지지부재(220)가 설치되는 직선 면에 각각 복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안착홈(214)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2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직선 면마다 2개씩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부재(220)의 형상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1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100), 인쇄회로기판(250), 베이스(210)를 감쌀 수 있다. 이때,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는 베이스(210)의 단턱(2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피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어, 이 도피부 또는 홈부를 통해 접착제 등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주입되는 접착제는 점성이 낮게 설정되어, 도피부 또는 홈부를 통해 주입된 접착제가 단턱(211)과 커버부재(300)의 단부의 접촉 위치에 스며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피부 또는 홈부에 도포된 접착부재는 상기 도피부 또는 홈부를 통해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갭(gap)을 메워, 커버부재(300)가 베이스(210)와 결합되면서 실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10) 하부에 이미지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보빈(110)에 렌즈배럴을 조립하여 카메라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베이스(210) 하부에 별도의 구성된 이미지 센서 홀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베이스(210)를 하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바닥면 측에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된 카메라모듈기판을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가 하우징(14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가 하우징(14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제2면(142)에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40)을 베이스(210)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220)의 안착홈(214)에 삽입 또는 배치되어 에폭시 등 접착부재로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하우징(140)의 측벽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부(146)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제2면(142)에 배치되므로, 총 4개가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직선면 마다 2개씩 8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직선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20)는 제1결합부(221), 제2결합부(224), 제1탄성변형부(222), 제2탄성변형부(223), 연결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21)는 하우징(140)의 제2면(142) 상단부와 연결되는 곳으로 제2면(142)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146)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 홈부를 형성하여 이들의 끼워 맞춤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제1결합부(221)는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제,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제1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4)는 상기 베이스(210)와 결합하는 부위이고, 지지부재(22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의 폭 보다 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좁거나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합부(224)는 도 8a, 도 8b와 같이 2개로 분리되어, 각각이 상기 베이스(210)의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4)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을 제2결합부(224)와 대응되도록 하여 이들을 끼워 맞춤 결합할 수도 있다. 또는, 제2결합부(224)는 1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되게 베이스(210)에는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222,223)는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변형부는 제1 및/또는 제2탄성변형부(222)(2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탄성변형부(222)는 상기 제1결합부(22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5)와 연결된다. 제2탄성변형부(223)는 상기 제1결합부(22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5)와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225)를 가운데에 개재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a, 도 8b와 같이, 제1탄성변형부(222)가 2번 이상의 절곡을 통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 제2탄성변형부(223) 또한 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탄성변형부(222)만 있거나 제2탄성변형부(223)는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그 외에도 지그재그 형상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패턴 없이 서스펜션 와이어의 형태로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의 직선 부분은 제1방향에 수직한 평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탄성변형부(222,223)는 하우징(140)이 제1방향에 수직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움직일 때, 하우징(140)이 움직이는 방향 또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미세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하우징(140)은 제1방향에 대해서는 거의 위치 변화없이 실질적으로 제2 및 제3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탄성변형부(222)(223)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221)(224)를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연결부(225)는 상기 제1탄성변형부(222) 및 제2탄성변형부(223)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2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222)(223)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탄성변형부와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는 각각 한 쌍씩 마련되지만, 제1 및 제2결합부(221)(224)는 한 몸으로 형성되어, 한 쌍씩의 제1 및 제2탄성변형부(222)(223)를 한꺼번에 하우징(140)과 베이스(2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20)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하는 탄성 와이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250)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50)은 하우징(1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코일(260)은 하우징(140)과 인쇄회로기판(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50)에 절곡 형성된 제1단자부(251)에는 상기 하측 탄성부재에 형성되는 제2단자부(165)가 인쇄회로기판(25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회피용 절개부(25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단자부(251)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50)에 전류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제2코일(260)에는 전자기력이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코일(260)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지지부재(220)는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하여 카메라 구동장치의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2코일(260)이 하우징(140) 하측에 배치된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지지부재(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은 베이스(210)의 안착홈(214)에 고정되어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이 현저히 제한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하우징(140)과 함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의 이동이 비교적 자유롭게 구성되어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220)가 정확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220)의 상측과 고정 또는 결합하고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고정부(146)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폭이 비교적 커야하고, 지지부재(220)의 하측으로 갈수록 지지부재(220)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의 이동폭이 줄어들어야 한다.
제2코일(260)이 하우징(140)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제2코일(26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 세기는 제2코일(26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거리 X가 길어질수록 약해진다.
따라서, 제2코일(260)에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자기력의 크게 작용하는 지지부재(220)의 하측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폭이 전자기력이 작게 작용하는 지지부재(2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부(146)의 이동폭보다 커지게 된다.
결국, 하우징(140)은 제2코일(260)에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지지부재(220)가 손떨림 보정을 위해 제2방향 및 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10c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우징(140)이 이동하는 틸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코일(260)이 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된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코일(260)이 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도 11b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제2코일(26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 세기는 제2코일(260)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거리 X가 길어질수록 약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140)이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2코일(260)이 하우징(140)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제2코일(260)과 고정부(146) 간 제1방향 거리는 짧아지고, 고정부(146)는 제2코일(260)으로부터 더 큰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코일(260)에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자기력의 크게 작용하는 지지부재(2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부(146)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폭이 전자기력의 작게 작용하는 지지부재(220)의 하측의 이동폭보다 커지게 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2코일(260)이 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210)에 고정되어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폭이 현저히 제한되는 지지부재(220)의 하측의 이동폭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기 고정부(146)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이동폭을 늘일 수 있으므로, 하우징(140)의 틸트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지지부재(220)는 정확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 PCB(미도시) 및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은 전술한 바와 같고, 상기 PCB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 1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는 홀더 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상기 PCB와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가동부
110: 보빈
120: 제1코일
130: 제1마그네트
140: 하우징
146: 고정부
150: 상측 탄성부재
160: 하측 탄성부재
165, 166, 167: 제2단자부
210: 베이스
214: 안착홈
220: 지지부재
221: 제1결합부
222: 제1탄성변형부
223: 제2탄성변형부
224: 제2결합부
225: 연결부
250: 인쇄회로기판
251: 제1단자부
252: 회피용 절개부
260: 제2코일

Claims (2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상기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일단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보다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패턴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제1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탄성 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제1 하측 탄성 부재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외측면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제1 끝선은 상기 제1 하측 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일의 제2 끝선은 상기 제2 하측 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에는 상기 제2 단자부와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피용 절개부가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고 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되는 렌즈 구동 장치.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상기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2 결합부보다 상기 제1 결합부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탄성 변형부;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탄성 변형부; 및
    상기 제1 탄성 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 변형부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제1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외측면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에는 상기 제2 단자부와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피용 절개부가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고 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되는 렌즈 구동 장치.
  1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측 탄성 부재;
    상기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제1 외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탄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외측면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탄성 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의 상기 제2 단자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하측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단자부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회피용 절개부; 및
    상기 제2 하측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단자부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회피용 절개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21.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 및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135562A 2014-10-08 2014-10-08 렌즈 구동장치 KR10233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562A KR102334197B1 (ko) 2014-10-08 2014-10-08 렌즈 구동장치
CN202010633875.0A CN111913269B (zh) 2014-10-08 2015-10-08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移动设备
CN201510647073.4A CN105511049B (zh) 2014-10-08 2015-10-08 透镜驱动装置
US14/878,328 US10197813B2 (en) 2014-10-08 2015-10-08 Lens moving apparatus
US16/227,009 US10656432B2 (en) 2014-10-08 2018-12-20 Lens moving apparatus
US16/850,628 US11480810B2 (en) 2014-10-08 2020-04-16 Lens moving apparatus
KR1020210166832A KR102480963B1 (ko) 2014-10-08 2021-11-29 카메라 모듈
US17/932,161 US20230010221A1 (en) 2014-10-08 2022-09-14 Lens moving apparatus
KR1020220179449A KR102659712B1 (ko) 2014-10-08 2022-12-2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562A KR102334197B1 (ko) 2014-10-08 2014-10-08 렌즈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832A Division KR102480963B1 (ko) 2014-10-08 2021-11-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00A KR20160041500A (ko) 2016-04-18
KR102334197B1 true KR102334197B1 (ko) 2021-12-02

Family

ID=5565534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562A KR102334197B1 (ko) 2014-10-08 2014-10-08 렌즈 구동장치
KR1020210166832A KR102480963B1 (ko) 2014-10-08 2021-11-29 카메라 모듈
KR1020220179449A KR102659712B1 (ko) 2014-10-08 2022-12-20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832A KR102480963B1 (ko) 2014-10-08 2021-11-29 카메라 모듈
KR1020220179449A KR102659712B1 (ko) 2014-10-08 2022-12-2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197813B2 (ko)
KR (3) KR102334197B1 (ko)
CN (2) CN1119132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7590B (zh) * 2013-05-29 2022-06-10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照相机模块和移动电话
US9791713B2 (en)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102334197B1 (ko) * 2014-10-08 2021-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CN107040118B (zh) * 2016-02-04 2020-06-0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电磁驱动模块及应用该电磁驱动模块的镜头驱动装置
CN113448042B (zh) * 2016-07-21 2024-04-0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WO2018016789A1 (ko) * 2016-07-21 2018-01-25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8058674A1 (zh) * 2016-09-30 2018-04-05 东莞佩斯讯光电技术有限公司 超薄移轴中置式光学防抖音圈马达
US11067822B2 (en) * 2017-06-13 2021-07-20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JP6630331B2 (ja) * 2017-10-23 2020-01-15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9082623A (ja) * 2017-10-31 2019-05-30 日本電産三協電子(東莞)有限公司 光学ユニット
US20210063762A1 (en) * 2018-01-10 2021-03-0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D902980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USD891504S1 (en) * 2018-01-12 2020-07-28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USD897405S1 (en) * 2018-01-12 2020-09-29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USD902982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KR102541015B1 (ko) * 2018-05-24 2023-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및 카메라장치
KR20200120123A (ko) * 2019-04-11 2020-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CN212519162U (zh) * 2019-08-02 2021-02-0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CN115023939A (zh) * 2019-12-26 2022-09-06 Lg 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KR102341783B1 (ko) * 2020-03-11 2021-12-22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카메라 구동모듈
CN112987327B (zh) * 2021-03-03 2021-10-29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摄像镜头的防抖装置
KR102610983B1 (ko) 2021-11-25 2023-12-06 한국화학연구원 고순도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10981B1 (ko) 2021-11-25 2023-12-06 한국화학연구원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TWI812244B (zh) * 2022-04-13 2023-08-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與電子裝置
US11841552B1 (en) * 2023-03-16 2023-12-12 Kimberly Ann Rion Eyewear and relate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909A (ja) * 2010-05-21 2011-12-08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101906907B1 (ko) * 2011-11-15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142A (en) * 1982-04-26 1986-02-04 Hitachi, Ltd. Objective lens drive apparatus
JP3783410B2 (ja) * 1998-05-28 2006-06-07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補正光学装置
CN1747002A (zh) * 2004-09-08 2006-03-15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光拾取器的驱动器
CN101990755B (zh) * 2008-05-14 2013-02-20 Hysonic株式公司 具有手颤补正性能的摄影装置
JP5055583B2 (ja) * 2008-08-01 2012-10-24 株式会社ニコン ブレ補正機構及びレンズ鏡筒
JP5846346B2 (ja) *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TW201134062A (en) * 2010-03-26 2011-10-01 Hon Hai Prec Ind Co Ltd Voice coil motor actuator and camera module
JP5849483B2 (ja) * 2011-07-15 2016-01-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821356B2 (ja)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151963B2 (en) * 2011-08-24 2015-10-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KR101931183B1 (ko) * 2011-12-23 2018-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5905275B2 (ja) * 2012-01-30 2016-04-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3250299A (ja) * 2012-05-30 2013-12-12 Alps Electric Co Ltd 手振れ補正機能付きレンズ駆動装置
KR102334197B1 (ko) * 2014-10-08 2021-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909A (ja) * 2010-05-21 2011-12-08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101906907B1 (ko) * 2011-11-15 2018-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97813B2 (en) 2019-02-05
KR20230005790A (ko) 2023-01-10
CN111913269B (zh) 2022-08-09
US11480810B2 (en) 2022-10-25
CN111913269A (zh) 2020-11-10
US10656432B2 (en) 2020-05-19
US20160103331A1 (en) 2016-04-14
US20200241316A1 (en) 2020-07-30
CN105511049A (zh) 2016-04-20
KR20160041500A (ko) 2016-04-18
CN105511049B (zh) 2020-07-24
KR20210151019A (ko) 2021-12-13
US20230010221A1 (en) 2023-01-12
KR102659712B1 (ko) 2024-04-22
KR102480963B1 (ko) 2022-12-23
US20190121159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963B1 (ko) 카메라 모듈
KR102421070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389885B1 (ko) 카메라 모듈
KR10229571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9526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06770A (ko) 렌즈 구동장치
KR102145916B1 (ko) 렌즈 구동장치
KR2024004131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56625B1 (ko) 렌즈 구동장치
KR20230006430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66735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100018A (ko) 렌즈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