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920B1 - 오탁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탁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920B1
KR102328920B1 KR1020210049515A KR20210049515A KR102328920B1 KR 102328920 B1 KR102328920 B1 KR 102328920B1 KR 1020210049515 A KR1020210049515 A KR 1020210049515A KR 20210049515 A KR20210049515 A KR 20210049515A KR 102328920 B1 KR102328920 B1 KR 10232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injection
air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주)조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조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4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2Density control of clear liquid or sediment, e.g. optical control ;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B01F7/162
    • B01F7/1625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탁수를 수용하고,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하도록 처리하는 응집 처리조, 응집 처리조에 슬러지를 응집시키기 위한 응집제를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재, 응집 처리조에서 처리된 오탁수를 공급받고, 처리된 오탁수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처리부 및 응집 처리조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를 분사하면서 분사압에 의해 회전하여, 응집 처리조 내에 수용된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탁수 처리장치{AN APPARATUS FOR PROCESSING MUDDY WATER}
본 발명은 오탁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수를 정화 처리하여 배출하는 오탁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는 많은 양의 오탁수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오탁수는 미립자의 토사와 이물질이 섞여 방출됨으로써 정화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하게 되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오탁수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설이 구비되어야 하나, 도심에서 행해지는 건축공사 또는 토목공사의 현장에서는 대형의 오탁수 처리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탁수 처리시설을 설치하더라도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어, 설치 시간과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통상의 오탁수 처리시설은 대형의 침전조에 오탁수를 수용하여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별도로 배출시켜 처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오탁수 처리시설은 인력으로 모든 공정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관리가 필요하고, 관리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729863호(등록일: 2007.06.12)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에서는 오탁수 처리장치, 구체적으로는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폐수나, 토사와 이물질이 섞인 오염수 등의 오탁수를 전자동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탁수를 수용하고,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하도록 처리하는 응집 처리조, 응집 처리조에 슬러지를 응집시키기 위한 응집제를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재, 응집 처리조에서 처리된 오탁수를 공급받고, 처리된 오탁수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처리부 및 응집 처리조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를 분사하면서 분사압에 의해 회전하여, 응집 처리조 내에 수용된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교반부재는, 응집 처리조의 내측에 설치되고, 끝단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공기이송관, 복수의 공기분사관이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앙부가 공기이송관의 끝단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공기분사부, 공기이송관의 끝단에 공기분사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부재 및 복수의 공기분사관이 공기를 분사하며 분사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공기이송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분사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체 일측면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오탁수와 응집제의 교반 과정에서, 방사형으로 연결된 복수의 공기분사관이 분사노즐을 통해 한쪽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분사압에 의해 회전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응집 처리조에는 오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가 구비되고, 공기공급부는 탁도계에 의해 측정된 탁도 측정값에 따라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여, 공기분사관의 회전속도 또는 공기 분사량을 제어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응집 처리조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를 포함하고, 약액 주입부재는, 응집제가 저장되는 약액 저장부, 일측이 약액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에 각각 연결되는 주입관 및 주입관의 분기 지점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와 각각 연통하는 주입관 내 주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에 각각 수용된 오탁수의 수위 또는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밸브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와 각각 연통하는 주입관 내 주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슬러지 처리부는, 응집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오탁수를 저장하고, 일측에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된 저장조, 저장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오탁수 내 응집된 슬러지를 수거하여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하는 슬러지 수거부재 및 저장조와 연결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하는 처리수 유출관을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슬러지 수거부재는, 저장조의 내측에 설치되는 체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에 구비된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체인을 따라 이동하며 저장조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구로 이송하는 수거구 및 체인 컨베이어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수거구는, 체인에 연결되고 진행방향 쪽으로 경사진 형태의 수거대와, 침전된 슬러지를 쓸어들이도록 수거대의 끝단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슬러지를 수용하여 탈수하는 탈수부 및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부로 안내하는 슬러지 배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슬러지 배출부재는, 슬러지 배출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부로 이송하는 배출가이드와, 슬러지의 배출속도를 제어하도록 배출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는,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폐수나, 토사와 이물질이 섞인 오염수 등의 오탁수를 전자동으로 신속하게 처리하여 슬러지와 처리수로 분리 배출할 수 있어, 오탁수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오탁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구조의 약액 주입부재를 통해 한 쌍의 응집 처리조에 응집제의 양을 조절하여 주입할 수 있고, 응집 처리조 내에서 공기를 분사하며 회전하는 교반부재를 통해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할 수 있어, 오탁수 내 슬러지의 응집률을 증대시켜 오탁수의 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집 처리조 내에 구비된 교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거부재 및 수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배출부재와 탈수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중화부와 라인믹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10)는,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폐수나, 토사와 이물질이 섞인 오염수 등의 오탁수를 전자동으로 신속하게 처리하여 슬러지와 처리수로 분리하고 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10)는, 응집 처리조(110,120), 약액 주입부재(200), 교반부재(300) 및 슬러지 처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집 처리조(110,12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탁수를 수용하고,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집 처리조(110,12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건설현장 또는 토목현장에서 유입되는 오탁수를 저장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건설현장 또는 토목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수를 펌프 및 호스를 이용하여 응집 처리조(110,1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응집 처리조(110,120)에는 상부에 약액 주입부재(200)가 배치되고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는 호퍼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에 저장공간에서 처리된 오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에는 배출관(130)이 연결되고, 배출관(130) 상에는 배출관(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응집 처리조(110,120)에는 후술되는 약액 주입부재(200)에 의해 응집제가 투입되고, 교반부재(300)에 의해 오탁수와 응집제가 교반됨으로써, 응집 처리조(110,120)의 저장공간 내에서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집 처리조(110,120)는 오탁수 처리장치(10)에 단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오탁수 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응집 처리조(110,120)를 구비하여, 한 쪽 응집 처리조(110)에서는 교반 과정을 통해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 처리하고, 다른 쪽 응집 처리조(120)에서는 슬러지를 응집 처리한 오탁수를 슬러지 처리부(400)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한 쪽 응집 처리조(110)에 오탁수가 기설정된 수위까지 채워지는 동안, 다른 쪽 응집 처리조(120)에서는 교반 과정을 통해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 처리할 수 있다.
약액 주입부재(200)는 응집 처리조(110,120)에,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시키기 위한 응집제를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약액 주입부재(200)는 응집 처리조(110,120)에 수용된 오탁수의 수위 및 농도에 따라 응집제를 양을 조절하여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응집제로는 공업용수나 산업폐수 처리 시 사용되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aluminium Chloride)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응집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응집 보조제가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의 상부에 단일의 약액 주입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 내부에는 수위센서와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부재(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액 주입부재(200)는, 응집제가 저장되는 약액 저장부(210)와, 일측이 약액 저장부(2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에 각각 연결되는 주입관(220)과, 주입관(220)의 분기 지점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와 각각 연통하는 주입통로(221,2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입관(220)은 양 갈래로 분기됨에 따라 주입관(220) 내의 주입통로 또한 제1 주입통로(221)와 제2 주입통로(222)로 분기될 수 있고, 제1 주입통로(221)는 제1 응집 처리조(110)와 연통하고, 제2 주입통로(222)는 제2 응집 처리조(120)와 연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입관(220)의 분기 지점에 구비되는 제어밸브(230)는 삼상밸브 형태로 이루어져, 분기된 주입관(220)의 제1 주입통로(221)와 제2 주입통로(2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동시에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밸브(230)는 제1 주입통로(221)를 개방하고 제2 주입통로(222)를 폐쇄하여, 약액 저장부(210)로부터 주입되는 응집제를 제1 주입통로(221)를 통해 제1 응집 처리조(110)로 주입할 수 있고, 반대로 제1 주입통로(221)를 폐쇄하고 제2 주입통로(222)를 개방하여, 응집제를 제2 주입통로(222)를 통해 제2 응집 처리조(120)로 주입할 수 있으며, 응집제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1 주입통로(221)와 제2 주입통로(222)를 모두 폐쇄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밸브(230)는 제1 주입통로(221)와 제2 주입통로(222)를 동시에 일부 개방하여 제1 및 제2 주입통로(221,222)를 통해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에 응집제를 주입할 수 있고, 이때 제1 주입통로(221)와 제2 주입통로(222)의 개방 정도를 다르게 하여 제1 응집 처리조(110)와 제2 응집 처리조(120)로 주입되는 응집제의 주입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밸브(230)는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에 각각 수용된 오탁수의 수위 또는 농도에 맞추어 적정량의 응집제를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1 응집 처리조(110)에 구비된 센서부(미도시)에 의해 제1 응집 처리조(110)에 수용된 오탁수의 수위 및 농도가 검출되면, 검출값에 대응하여 제어밸브(230)가 소정시간 동안 제1 주입통로(221)를 개방함으로써, 제1 응집 처리조(110)로 적정량의 응집제가 주입될 수 있고, 제2 응집 처리조(120)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오탁수의 수위 및 농도에 맞추어 제어밸브(230)에 의해 적정량의 응집제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밸브(230)를 통해 제1 주입통로(221)와 제2 주입통로(222)를 동시에 소정시간 동안 일부 개방하여,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에 각각 수용된 오탁수의 수위 및 농도에 맞추어 적정량의 응집제를 주입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제1 주입통로(221)와 제2 주입통로(222)의 개방 정도를 다르게 하여, 더 많은 양의 응집제가 필요한 쪽의 응집 처리조에 응집제를 더 주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부재(200)는, 단일의 약액 저장부(210)로부터 양 갈래로 분기된 주입관(220)을 통해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에 응집제를 주입하되, 주입관(220)의 분기 지점에 구비된 제어밸브(230)를 통해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110,120)로 주입되는 응집제의 양을 용이하게 자동 조절할 수 있다.
교반부재(300)는 응집 처리조(110,12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를 분사하면서 분사압에 의해 회전하여, 응집 처리조(110,120) 내에 수용된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집 처리조(110,120) 내에 구비된 교반부재(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30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교반부재(300)는, 응집 처리조(110,120)의 내측에 설치되고 끝단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공기이송관(310)과,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이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앙부가 공기이송관(310)의 끝단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공기분사부(320)와, 공기이송관(310)의 끝단에 공기분사부(3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부재(330)와,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이 공기를 분사하며 분사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공기이송관(310)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이송관(310)은 응집 처리조(110,120)의 내측에 설치되고, 공기분사부(320)와 연결되는 끝단이 응집 처리조(110,120) 내의 중앙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이송관(310)은 공기공급부(3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분사부(32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공기분사부(320)는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이 방사형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각각의 공기분사관(3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체 일측면에 복수의 분사노즐(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공기분사부(320)는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이 상호 연결된 부분인 중앙부가, 응집 처리조(110,120)의 내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공기이송관(310)의 끝단에 연통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은 응집 처리조(110,120)의 내측에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이송관(310)의 끝단과 공기분사부(320)의 중앙부는 베어링부재(330)에 의해 결합되어, 공기이송관(310)에서 방사형의 공기분사관(321)을 갖는 공기분사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공급부(340)는 에어콤프레셔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응집 처리조(110,120)의 외측에 구비되어 파이프 또는 호스 등을 통해 공기분사관(321)과 연결됨으로써, 공기분사관(321)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공급부(340)를 통해 공기이송관(310)으로 공기를 공급하면,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이송관(310)을 통하여 공기분사부(320)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으로 이송될 수 있고, 각각의 공기분사관(321)에 형성된 분사노즐(322)을 통해 응집 처리조(110,120)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분사관(3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체 일측면에만 복수의 분사노즐(3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이 분사노즐(322)을 통해 한쪽 방향으로만 공기를 분사하게 됨으로써, 분사압에 의해 복수의 공기분사관(321)이 중앙부의 베어링부재(330)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응집 처리조(110,120)의 내측에서 방사형의 공기분사관(321)이 공기를 분사하며 회전하면서 응집 처리조(110,120)에 수용된 오탁수와 응집제를 효과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다.
즉, 방사형의 공기분사관(321)이 회전하면서 교반기 역할을 하고, 동시에 분사노즐(322)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교반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오탁수 내 슬러지가 응집제에 의해 용이하게 응집될 수 있다.
또한, 응집 처리조(110,120) 내에 탁도계(미도시)를 구비하여, 탁도계(미도시)를 통해 오탁수의 탁도를 측정하고, 탁도 측정값에 따라 공기공급부(340)로부터 공기분사관(321)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오탁수의 탁도가 심하면 공기공급부(3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킴으로써, 교반기 역할을 하는 공기분사관(321)의 회전속도를 높이고 공기 분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10)는 약액 주입부재(200), 교반부재(300) 및 슬러지 처리부(400)를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박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컨트롤박스(500)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약액 주입부재(200)를 통한 응집제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고, 교반부재(300)를 통한 오탁수와 응집제의 교반 시간과 공기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슬러지 처리부(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슬러지 처리부(400)는 응집 처리조(110,120)에서 처리된 오탁수를 공급받고, 처리된 오탁수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러지 처리부(400)는 응집 처리조(110,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응집 처리조(110,120)에서 처리되어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오탁수를 수용하고, 오탁수에서 응집된 슬러지와 처리수를 외부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슬러지 처리부(400)는, 응집 처리조(110,120)에서 배출되는 오탁수를 저장하는 저장조(410)와, 저장조(4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오탁수 내 응집된 슬러지를 수거하여 저장조(410) 외측으로 배출하는 슬러지 수거부재(420)와, 저장조(410)와 연결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하는 처리수 유출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조(410)는 상부가 개방된 통체 형태로서, 응집 처리조(110,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응집 처리조(110,120)에서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오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조(410)의 내측에는 정류판(411)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정류판(411)에 의해 저장조(410)의 내부 공간이 유입공간(S1)과 정류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고, 정류판(411)의 하부는 관통되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오탁수가 정류공간(S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응집 처리조(110,120)의 배출관(130)은 저장조(410)의 유입공간(S1)으로 오탁수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집 처리조(110,120)의 배출관(130)을 통해 저장조(410)의 유입공간(S1)으로 오탁수가 배출되면 유입공간(S1) 내 와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정류판(411)에 의해 구획된 정류공간(S2)은 와류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수류가 안정될 수 있으며, 오탁수 내 응집된 슬러지가 용이하게 침전될 수 있다.
또한, 저장조(410)에서 정류공간(S2)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경사진 측벽이 형성될 수 있고, 측벽 상부에는 슬러지 배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수거부재(420)는 응집 처리조(110,120) 내의 하부에 구비되고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되어, 저장조(41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거하여 슬러지 배출구(412)를 통해 저장조(410)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수거부재(420) 및 수거구(422)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러지 수거부재(420)는, 저장조(410)의 일측에서 타측의 슬러지 배출구(412)까지 설치되는 체인 컨베이어(421)와, 체인 컨베이어(421)에 구비된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체인을 따라 이동하며 저장조(41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구(412)로 이송하는 수거구(422)와, 체인 컨베이어(421)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슬러지 수거부재(420)는,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체인 컨베이어(421)를 동작시키면, 체인이 체인 컨베이어(421)를 따라 이동하면서,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거구(422)가 저장조(41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쓸어들이는 형태로 수거하여 경사진 측벽을 따라 슬러지 배출구(412)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저장조(410)에서 정류공간(S2) 쪽의 상부에는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관(43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슬러지 수거부재(420)에서 체인 컨베이어(421)의 체인에 설치된 수거구(422)는, 슬러지 수거 시, 체인을 따라 저장조(410)의 바닥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저장조(41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쓸어들이며 수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거구(422)는, 체인 컨베이어(421)의 체인에 연결되고 진행방향 쪽으로 경사진 형태의 수거대(423)와, 슬러지를 쓸어들이도록 수거대(423)의 끝단에 구비되는 탄성편(4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인 컨베이어(421)의 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수거구(422)의 수거대(423)는 진행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수거대(423)의 끝단에 탄성편(424)이 구비됨으로써, 수거구(422)를 통해 저장조(41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탄성편(424)이 저장조(410)의 바닥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쓸어들이고, 경사진 수거대(423)가 쓸어들인 슬러지를 모으며 체인을 따라 슬러지 배출구(41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저장조(410)의 슬러지 배출구(412)에는 탈수부(700)로 슬러지 배출을 안내하는 슬러지 배출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배출부재(600)와 탈수부(7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저장조(410)의 슬러지 배출구(412)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부재(600)를 따라 이송되어 탈수부(700)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탈수부(700)는 거치대(720)에 자루 형태의 필터백(710)이 설치된 것으로서, 필터백(710)에 슬러지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필터백(710)은 탈수 기능을 통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탈수 및 건조 과정이 진행된 필터백(710)은 폐기물로 처리될 수 있다.
슬러지 배출부재(600)는 저장조(410)의 슬러지 배출구(412)에 연결되어 슬러지 배출구(412)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부(700)로 안내하여 이송하는 배출가이드(610)와, 배출가이드(6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가이드(610)는 슬러지 배출구(412)로부터 돌출되고,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슬러지 배출구(412)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자중에 의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부(620)를 통해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가이드(610)의 각도를 조정하여 탈수부(700)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각도 조절부(620)는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슬러지 배출구(412)에 배출가이드(610)가 축 결합되고, 모터 구동을 통해 배출가이드(610)를 소정량 회전시켜 배출가이드(61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10)는 콘크리트 폐수를 처리하는 경우, 알카리성의 콘크리트 폐수를 중화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플라즈마 중화부(810)와 라인믹서(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중화부(810)와 라인믹서(8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중화부(810)는 플라즈마 중화 가스를 생성하여 라인믹서(82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믹서(820)는 응집 처리조(110,120)에 콘크리트 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830) 상에 구비될 수 있고, 플라즈마 중화부(810)와 가스라인(8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라인믹서(820)의 내부에는 교반스크류(821)가 구비되어 있어, 교반스크류(821)를 통해 콘크리트 폐수와 플라즈마 중화 가스와 혼합시킬 수 있고, 혼합된 콘크리트 폐수는 공급관(830)을 통해 응집 처리조(110,12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액 주입부재(200)를 통해 응집 처리조(110,120)로 응집제를 주입하고, 교반부재(300, 도 1 참조)를 통해 교반하여 콘크리트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시킬 수 있고, 슬러지 처리부(400, 도 1 참조)를 통해 슬러지와 처리수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10)는,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폐수나, 토사와 이물질이 섞인 오염수 등의 오탁수를 전자동으로 신속하게 처리하여 슬러지와 처리수로 분리 배출할 수 있어, 오탁수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오탁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구조의 약액 주입부재(200)를 통해 한 쌍의 응집 처리조(110,120)에 응집제의 양을 조절하여 주입할 수 있고, 응집 처리조(110,120) 내에서 공기를 분사하며 회전하는 교반부재(300)를 통해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할 수 있어, 오탁수 내 슬러지의 응집률을 증대시켜 오탁수의 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오탁수 처리장치치 110,120 : 응집 처리조
200 : 약액 주입부재 210 : 약액 저장부
220 : 주입관 230 : 제어밸브
300 : 교반부재 310 : 공기이송관
320 : 공기분사부 330 : 베어링부재
340 : 공기공급부 400 : 슬러지 처리부
410 : 저장조 420 : 슬러지 수거부재
430 : 유출관 500 : 컨트롤박스
600 : 슬러지 배출부재 700 : 탈수부
810 : 플라즈마 중화부 820 : 라인믹서

Claims (9)

  1.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탁수를 수용하고, 상기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하도록 처리하는 응집 처리조;
    상기 응집 처리조에 상기 슬러지를 응집시키기 위한 응집제를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재;
    상기 응집 처리조에서 처리된 오탁수를 공급받고, 상기 처리된 오탁수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처리부; 및
    상기 응집 처리조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를 분사하면서 분사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응집 처리조 내에 수용된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응집 처리조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주입부재는,
    응집제가 저장되는 약액 저장부;
    일측이 상기 약액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에 각각 연결되는 주입관; 및
    상기 주입관의 분기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와 각각 연통하는 상기 주입관 내 주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응집 처리조의 내측에 설치되고, 끝단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공기이송관;
    복수의 공기분사관이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공기이송관의 끝단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이송관의 끝단에 상기 공기분사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관이 공기를 분사하며 분사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공기이송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체 일측면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오탁수와 응집제의 교반 과정에서, 방사형으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관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한쪽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분사압에 의해 회전되는 오탁수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처리조에는 오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가 탁도계에 의해 측정된 탁도 측정값에 따라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분사관의 회전속도 또는 공기 분사량을 제어하는 오탁수 처리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에 각각 수용된 오탁수의 수위 또는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응집 처리조와 각각 연통하는 상기 주입관 내 주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탁수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처리부는,
    상기 응집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오탁수를 저장하고, 일측에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된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오탁수 내 응집된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하는 슬러지 수거부재; 및
    상기 저장조와 연결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하는 처리수 유출관을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수거부재는,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설치되는 체인 컨베이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에 구비된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체인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저장조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구로 이송하는 수거구; 및
    상기 체인 컨베이어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구는, 상기 체인에 연결되고 진행방향 쪽으로 경사진 형태의 수거대와, 상기 침전된 슬러지를 쓸어들이도록 상기 수거대의 끝단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슬러지를 수용하여 탈수하는 탈수부; 및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상기 탈수부로 안내하는 슬러지 배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부재는, 상기 슬러지 배출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상기 탈수부로 이송하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슬러지의 배출속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배출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오탁수 처리장치.
KR1020210049515A 2021-04-16 2021-04-16 오탁수 처리장치 KR102328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515A KR102328920B1 (ko) 2021-04-16 2021-04-16 오탁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515A KR102328920B1 (ko) 2021-04-16 2021-04-16 오탁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920B1 true KR102328920B1 (ko) 2021-11-23

Family

ID=7869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515A KR102328920B1 (ko) 2021-04-16 2021-04-16 오탁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9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466A (ja) * 1999-08-27 2001-03-13 Arima Kikai:Kk 廃水処理装置
KR100729863B1 (ko) 2006-05-03 2007-06-2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56429A (ko) * 2010-04-19 2010-05-27 대웅이엔에스 (주) 장방형 침전지의 개조에 의한 인 제거효율 향상 방법
KR20110111597A (ko)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복합식 오폐수 처리장치
KR20120000775A (ko) * 2010-06-28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폐수 처리용 패들과 이를 사용한 폐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466A (ja) * 1999-08-27 2001-03-13 Arima Kikai:Kk 廃水処理装置
KR100729863B1 (ko) 2006-05-03 2007-06-2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1597A (ko)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복합식 오폐수 처리장치
KR20100056429A (ko) * 2010-04-19 2010-05-27 대웅이엔에스 (주) 장방형 침전지의 개조에 의한 인 제거효율 향상 방법
KR20120000775A (ko) * 2010-06-28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폐수 처리용 패들과 이를 사용한 폐수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85807U (zh) 一种磁混凝一体化废水处理***
KR100932027B1 (ko) 비례제어 자동 약품 투입장치
KR101835271B1 (ko)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20030042031A (ko) 물 처리 장치
CN206927732U (zh) 一种船舶废气洗涤***废水处理装置
KR102328920B1 (ko) 오탁수 처리장치
KR20070116529A (ko) 응집제를 이용한 슬러지 준설과 탈수장치 및 그 공법
US3595393A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N110282853A (zh) 集成污水物化处理与污泥脱水的净化装置及其净化方法
CN212102149U (zh) 一种洗煤废水回收利用装置
KR200377896Y1 (ko) 폐수처리장치
CN210736431U (zh) 一种高寒地区施工污水处理***
CN108264172A (zh) 污水处理车及污水处理车处理方法
CN107324535A (zh) 一种船舶废气洗涤***废水处理装置
CN215799048U (zh) 高效浊水智能净化装置
WO2022169299A1 (ko) 고분자응집제 용해공급장치
JP5787506B2 (ja) 可搬式濁水処理装置および可搬式濁水処理装置における濁水処理方法
KR100313231B1 (ko) 정수장배출수처리장치
KR102214400B1 (ko) 이동식 오폐수 정화장치
KR101728130B1 (ko)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KR20150006585A (ko) 침전지용 슬러지 일괄처리시스템
KR100985064B1 (ko) 이동식 실시간 수질정화장치
KR1019292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침적물분쇄장치
CN110498556A (zh) 一种磁粉污水处理罐
KR20080030973A (ko) 적외선빔에 의한 침전지내 슬러지 침강 높이 무인자동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