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439B1 -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439B1
KR102326439B1 KR1020200047280A KR20200047280A KR102326439B1 KR 102326439 B1 KR102326439 B1 KR 102326439B1 KR 1020200047280 A KR1020200047280 A KR 1020200047280A KR 20200047280 A KR20200047280 A KR 20200047280A KR 102326439 B1 KR102326439 B1 KR 10232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weight
inflammatory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764A (ko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Priority to KR102020004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43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 인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VIRAL AND IMMUNOLOGICALLY ENHANCING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본 발명은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을 포함하면서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진을 포함하는 면역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건강'이란 신체에 이상이 없는 상태, 즉 질병이나 부상이 없는 상태를 뜻한다. 면역력이 높으면 평소에 질병에 잘 걸리지 않으며, 설혹 질병에 걸리더라도 회복이 빠르다. 이러한 건강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나이를 먹으면 수명이 연장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면역력은 인간의 건강과 수명에 직결되어 있으며, 건강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면역력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현대인의 생활 습관을 살펴보면, 스트레스, 운동 부족, 불규칙한 생활 리듬, 균형 잡히지 못한 식생활, 흡연 등 면역력이 저하될 요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환경에는 각종 공해가 만연해 있어 역시 면역력이 저하될 요인이 많다. 따라서 현대인은 면역(Immune)력 증강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면역의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간 및 동물의 체내에서 외래성 및 내인성 이물질을 생리적으로 인식하여 배제하고,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작을 일컫는다. 면역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선천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적으로 생활 등에 적응되어 얻어지는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은 자연면역이라고도 한다.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특별한 기억작용은 없다. 선천적인 면역체계로는 항원의 침입을 차단하는 피부·점액조직, 상산성의 위산, 혈액에 존재하는 보체(complement) 등이 있다. 세포로는 식균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macrophage)와 다형핵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 감염세포를 죽일 수 있는 K세포 등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감염은 이 선천면역에 의해 방어된다.
획득면역은 후천면역이라고도 한다. 처음 침입한 항원에 대해 기억할 수 있고 다시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다.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획득면역에는 T세포와 B세포가 있다. 가슴샘의 상피세포에서 특수한 내부 환경과 흉선의 액성인자에 의해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를 T세포라 하며, 가슴샘과 독립되어 골수에서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를 B세포라 한다.
T세포의 역할은 B세포에 항체생산 자극을 주고 종양 세포 등의 항원을 직접 공격하는 것이며, B세포의 역할은 항원자극 및 T세포를 매개로 한 자극에 따라 항체생산세포로 성숙하여 IgM, IgG, IgA, IgE의 항체를 생산하고 분비하는 것이다.
면역력을 증강하는 방법으로 치모둘린, 브롱코박솜 등의 면역증진제 복용이 있다. 면역증진제는 송아지의 가슴샘 또는 정제된 세균체를 함유한다. 정제된 세균체가 함유된 면역증진제의 체내 작용 기작은 약화된 균을 체내에 투여하여 면역계를 훈련시키는 것이며, 송아지의 가슴샘이 함유된 면역증진제의 체내 작용 기작은 송아지의 가슴샘을 섭취함으로써 T세포를 보충하는 것이다. 그러나 면역증강제는 효과가 매우 미미하며, 식욕이 감소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바이러스(virus)는 라틴어로 독성물질을 의미하며, 세균여과지(0.22㎛)를 통과하는 일군의 감염형 병원성 입자이다.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의 종류에 따라 박테리오파지, 식물 바이러스, 동물 바이러스로 분류하기도 하며, 핵산의 종류에 따라 D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신종 플루, AI 및 구제역 등 다양한 바이러스 질병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에 따라 바이러스 질병의 효과적인 대책에 대한 고민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현재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접종이지만,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경우, 대체로 많은 바이러스 혈청형(아형) 생성 등에 따른 백신의 효율성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백신의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바이러스 예방용 억제제의 개발 및 보급은 중요한 사항이며, 이를 위해 특히 바이러스에 대한 초기 방어시스템인 생체 내 선천적 면역시스템을 자극하여 개체 동물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예방제제의 발굴 및 개발은 중요한 제제 개발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전통적인 약재인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중국, 일본 등에도 그 효능이 널리 알려져, 수천 년 전부터 많은 국가에서 약재로써 사용되어 왔다.
인삼의 주 효능을 나타내는 사포닌(Saponin)은 배당체(Glycoside)라 부르는 일정의 화합물이며, 인삼의 뿌리, 줄기, 잎 등에 있다. 사포닌은 30여 종류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는 성인병과 노화 예방, 알코올 해독과 간 보호, 항염, 조혈 기능의 개선, 신경 보호 등 인체 전반에 걸쳐서 건강 증진에 효능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천연 유래의 물질을 활용하여 부작용을 동반하지 않으며, 대식 세포의 증식률을 높이고 NO 생성률을 높이며, 체내에 다량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공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면역력을 증진하고, 특히 보다 적은 함량으로 면역 증강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인삼 특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젊은 소비층과 외국인의 기호도가 저하되어 인삼 제품의 고부가가치 및 해외시장 진출에 장애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삼의 면역 증강 활성을 유지하면서도 그 기호성을 높인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될 필요가 있다.
KR 10-2018-0088214 A KR 10-2013-0010987 A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면역 활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활성을 증진하면서도, 향미가 우수하여 기호성이 뛰어난 식품 또는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 인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TNF-α 및 IL-12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곰취 추출물, 달래 추출물, 머위 추출물, 두릅 추출물, 승마 추출물, 비름 추출물, 진피 추출물, 국화 추출물, 쑥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 인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삼은 인삼의 건조, 분쇄 등의 일반가공이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면역질환"이란 인체 내 면역체계의 과도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질환을 뜻하며, 대표적으로 알러지 질환 등이 있다. 그러나 염증 반응이란 결국 생체 내 면역체계의 반응으로 인해 일어나게 되는 것이므로, 염증질환과 면역질환은 크게 볼 때 유사한 범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 내에서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용어로 사용하지 않고, 혼용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염증질환"은 외부물질 또는 내부물질이 유래하는 염증반응으로 인해 일어나는 질환으로 대표적으로 신경염증질환, 관절염 등이 있다.
상기 인삼, 인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항산화, 항염 활성과 더불어, 항바이러스 및 항균 효과를 포함하는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TNF-α 및 IL-12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사이토카인(cytokine)은 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로서 자가분비형 신호전달(autocrine signaling), 측분비 신호전달(paracrine signaling), 내분비 신호전달(endocrine signaling) 과정에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세포의 증식, 분화, 세포사멸 또는 상처 치료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이 존재하며, 특히 면역과 염증에 관여하는 것이 많다.
이 중 가장 중요한 면역기능은 인터루킨(Interleukin-1,-6,-12), 인터페론 감마(IFN-γ), 종양괴사인자(TNF)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집단에 의해 수행된다.
인터루킨(interleukin, IL)은 백혈구에서 분비되어 면역계 조절 기능에 관여하며 현재 30종류 이상이 알려져 있다. 인터루킨은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그 종류는 IL-1,6,12 등이 있다.
이 중 IL-12는 p35와 p40 단백질로 구성된 사이토카인으로,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면역학적 기능을 하며, 내인성 항원의 제거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작동세포 즉, 대식세표(macrophage), NK 세포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IL-12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NK 세포 및 T-세포는 IFN-γ의 생산을 자극함으로서 초기 선천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주요 인자로의 특성을 가진다. 또한 T-세포의 면역기구를 주로 Th-1 성향이 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세포성 면역 매개자이다.
인터페론(interferon, IFN)은 바이러스의 증식 방지나 세포 증식 제어의 기능을 하며 면역 체계에서도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인터페론은 알파(α), 베타(β), 감마(γ), 그리고 오메가(ω)형이 있다. 인터페론-α는 주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인터페론-β는 섬유아세포(fibroblasts)에서 주로 분비된다. 인터페론-γ는 Th1 세포와 NK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인터페론-ω는 영양포 또는 영양아층(Trophoblast)에 의해 주로 분비된다. 특히, 인터페론-γ(IFN-γ)는 T 림프구와 대과립구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포식된 미생물이나 항원의 살해를 유도하는 물질이다. 또한, 다양한 면역조절작용을 하며,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종양괴사인자인 TNF(tumor necrosis factor)는 염증반응과 관련된 세포 신호전달 단백질로서, 급성기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이다. 종양괴사인자는 종양괴사인자-α(TNF-α)와 림포독소(lymphotoxin)라 불리는 종양괴사인자-β(TNF-β)로 나뉘지만, 일반적으로 종양괴사인자는 종양괴사인자-α를 가르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의한 면역 기능 향상 효과에 경우, 인체 독성과 부작용 문제가 없는 천연물을 사용하여,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TNF-α 및 IL-12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조성물은 알레르기,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다.
알레르기(Allergy)는 대부분의 사람에게서는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는 물질에 대한 면역계의 과민반응에 의해서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일컫는다. 이에는 꽃가루병, 음식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및 그 외의 과민증 등을 포함하고, 안구 충혈, 가려운 피부 발진, 콧물, 호흡곤란 및 부종 등의 증세를 나타낸다.
염증(inflammation)은 특정 조직의 손상 또는 감염에 대한 일종의 생체 내 반응이며, 주요 매개체는 면역세포로, 조직의 손상된 부위나 감염 부위에 따라 급성 염증(acute inflammation)과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으로 나뉜다. 조직의 손상된 부위나 감염 부위가 작거나 일시적 일 때는 급성염증에 의해 해결되지만, 염증 부위가 크거나 만성적 감염 상태일 때는 급성염증에 의해 해결되지 않으며,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만성염증의 경우는 고질적인 염증성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면역질환은 특정 면역 반응이 일어날 경우 문제가 되는 질환을 의미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자가면역질환, 이식거부, 이식편대숙주병 일 수 있으며, 자가면역질환은 크론씨병, 홍반병, 아토피, 류마티스 관절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악성빈혈, 에디슨씨 병, 제1형 당뇨, 루프스,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 갑상선기능저하증과 항진증, 경피증, 베체트병, 염증성 장질환,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메니에르 증후군(Meniere's syndrome), 길리안-바레 증후근(Guilian-Barre syndrome),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백반증, 자궁내막증, 건선, 백반증, 전신성 경피증, 천식 또는 궤양성 대장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인삼, 인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면역력 개선효과가 보다 증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엉겅퀴는 인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1 : 3 내지 3 : 1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범위에 의하는 경우 효과적인 상승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 인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및 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엉겅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수리나물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머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우엉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TNF-α 및 IL-12의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촉진되며, 항염, 항바이러스, 항균 활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면역력 개선 효과가 보다 증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은 함량으로 더 우수한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곰취 추출물, 달래 추출물, 머위 추출물, 두릅 추출물, 승마 추출물, 비름 추출물, 진피 추출물, 국화 추출물, 쑥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달래 추출물, 진피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이 더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면역력 개선 활성이 보다 증진될 뿐만 아니라 인삼의 고유한 쓴맛이 중화되어 전체적으로 향미가 우수하고 기호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엉겅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오미자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방풍나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달래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진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국화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면역력 개선활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호성이 뛰어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접근하기 용이하고 장기간 복용하는데 거부감이 없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보다 적은 함량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우수한 면역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어, 장기간 복용에 따른 세포 독성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분쇄한 분쇄물을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10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알코올과 물의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를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음용수, 탄산음료, 기능성 이온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주스(예를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체의 면역 활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활성을 증진하면서도, 향미가 우수하여 기호성이 뛰어난 식품 또는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산화질소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TNF-α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로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인터루킨-12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의 제조]
1. 인삼 추출물의 제조
입수한 인삼을 세척 및 건조시킨 뒤 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 및 정제수를 고온고압 반응기에 넣고, 추출한 뒤 냉각한 다음 이를 농축 및 여과하여 그 여액을 인삼 추출물(GE)로 제조하였다.
2. 기타 추출물의 제조
열수 추출을 통하여 엉겅퀴 추출물(PE1), 어수리나무 추출물(PE2), 머위 추출물(PE3), 우엉 추출물(PE4), 오미자 추출물(F1), 방풍나물 추출물(F2), 달래 추출물(F3), 진피 추출물(F4), 국화 추출물(F5) 및 계피 추출물(F6)를 제조하였다.
3.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에 따라 상기 인삼 추출물(GE)에 대하여 상기 PE1 내지 PE4, 그리고 F1 내지 F6를 혼합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MM1 MM2 MM3 MM4 MM5 MM6 MM7 MM8 MM9 MM10
G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PE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PE2 - 0.1 1 5 10 20 5 5 5 5
PE3 - 0.1 1 3 5 10 3 3 3 3
PE4 - 0.1 1 3 5 10 3 3 3 3
F1 - - - - - - 0.1 1 5 10
F2 - - - - - - 0.1 1 5 10
F3 - - - - - - 0.01 0.1 1 5
F4 - - - - - - 0.1 1 5 10
F5 - - - - - - 0.1 1 5 10
F6 - - - - - - 0.01 0.1 1 5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은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는 10% FBS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 5% CO2로 조절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RAW 264.7 세포를 96-well plate에 1X104 cell/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시료를 농도별(0, 50, 100, 150 ug/ml)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1 ug/mL의 지방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였으며 24시간 배양한 후에는 CCK-8 solution(10 mL/well)을 각 well에 첨가시켜 37 ℃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450nm파장에서 ELISA reader(TECAN, Mnnedorf, Switzerland)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GE 및 MM1 내지 MM10은 정상대조군(con)에 비하여 모든 농도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므로 세포 독성의 문제가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산화질소(NO) 생성량 측정]
산화질소의 생성은 면역계에서 종양세포나 세포내 감염된 미생물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면역증진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griess reagent[1% (w/v) sulfanilamide in 5%(v/v) 인산(phosphoric acid)과 0.1% (w/v) 나프틸에틸렌다이아민-염산(naphtylethylenediamine-HCl)]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생성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RAW 264.7 세포를 6-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료를 농도별(50, 100, 150 ug/ml)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으로 상기 시료를 0 ug/mL로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지방질 다당류를 1 u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의 상층액과 동량의 griess reagent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5분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아질산소듐(sodium nitrite)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산화질소 농도를 구하여 환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전반에 걸쳐 대조군에 부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40% 미만의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MM3, 4, 5의 경우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MM8 및 MM9의 경우 추가적인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산화질소의 과량 생성은 전신적 염증을 유발하여 생체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적정량의 산화질소의 생성은 선천성 면역의 중요한 인자로써 여겨지므로 MM3, 4, 5에 의하는 경우 면역기능 활성이 우수하고 특히 MM8, 9에 의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면역기능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TNF-α 및 IL-12 생성능 측정]
세포배양액 내의 TNF-α 및 IL-12의 분비량은 ELISA kit(BD Bioscience,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capture antibody(anti-mouse TNF-α 및 IL-12)를 각각 분주하여 4 ℃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시켰다. 이를 washing buffer(0.05% Tween-20이 포함된 PBS)로 세척한 후 10% FBS가 함유된 phosphate-buffered saline(PBS)으로 1시간 동안 blocking 한 뒤 washing buffer로 세척하였다. 각 microplate 에는 산화질소를 측정하였던 것과 동일한 세포배양액의 상층액을 100 uL씩 분주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washing buffer로 세척하였다. 희석한 각각의 biotinylated anti-mouse TNF-α 및 인터루킨-6 detection antibody와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 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plate를 washing buffer로 세척한 후 tetramethylbenzidine(TMB) substrate solution을 첨가하여 암실에서 30분 동안 발색시킨 다음 1 M 인산을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정지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3]을 참조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생성능에 대한 면역활성을 검토한 결과, MM3 내지 MM5에 의하는 경우 큰포식세포(macrophage) 자극에 의한 TNF-α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M8 및 MM9에 의하는 경우 양성 대조군(지방질 다당류)이 생성한 TNF-α 분비가 보다 촉진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을 참조하면 MM3 내지 MM5에서 면역매개인자인 IL-12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MM8 및 MM9에 의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MM3, 4, 5, 또는 MM8, 9이 인터루킨-6의 생성량을 증가시켜 B림프구를 분화시킴으로써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험예 4: 항균, 항바이러스 활성 측정]
향균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그람(gram) 양성균으로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 3881)과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CTC 101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 KCTC 1022)를 사용하였고, 그람(gram) 음성균으로서 대장균(Escherichia coli KCTC 2441),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KCTC 1636), 살모넬라 엔트리카(Salmonella enterica KCTC 1925)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균 생육 배지로는 한천배지(nutrient agar)를 사용하였다. SD 계통의 6주령의 암수 랫트를 군당 10 마리(암수 각 5 마리)씩으로 나누어 각 조성물의 투여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약물을 0.5% MC 용액에 용해(용시 조제)한 후 매일 동일한 오전 시간대에 1회 경구 투여하는 것을 13주 동안 반복하였다. 1회 투여량은 3.75 mg/kg 내지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이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 및 물 섭취량을 관찰하였다. 각 조성물(GE, MM1 내지 MM10)의 항균활성은 각 균주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Collins et. al 1995)로 측정하였다. 항균 시험용 평판 배지는 계대 배양된 각 균주를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200 uL씩 도말하여 준비하였고 200 mg/mL 농 도로 조제한 시료를 disc 당 10 mg이 되도록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8 mm)에 천천히 흡수시킨 뒤 건조과정을 거쳐 용매를 휘발시킨 후 평판 배지 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30~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디스크(disc) 주변에 생성된 생육 저해환(clear zone, mm)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암피실린(ampicillin, 10 ug/disc)을 사용하였다.
한편, 항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Influenza virus A PR8 strain)를 배양하기 위해 MDCK 세포,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PEDV, KPED-9 strain)와 Pseudorabies virus(PRV, YS400 strain)를 배양하기 위해 Vero 세포, bovine rotavirus(BRV, P44 strain)를 배양하기 위해 MA104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이 세포들을 배양하기 위해 minimal essential medium(MEM)(Gibco BRL, Grand Island, NY, USA), 10% fetal bovine serum(FBS) 및 0.01% antibiotic-antimycotic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Influenza A virus (PR8 strain), PEDV(KPED-9 strain), BRV(P44 strain)를 배양하기 위해서 각각 2.5, 10 ug/ml의 트립신(trypsin, sigma)이 첨가되고 FBS가 무첨가된 MEM을 사용하였다.
Vero, MDCK, MA-104 세포를 96 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3X104 만큼 분주하고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바이러스와 각 조성물(GE, MM1 내지 MM10)을 분주한다. 3일 후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CPE을 통해 바이러스의 적정 농도(titer)를 Reed and Muench method를 이용하여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TCID50)를 측정하였다. PEDV의 경우 CPE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immunofluorescence assay(IFA) 방법을 통해 적정 농도(titer)를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배양 3일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70% 아세톤으로 세포를 고정한 후, anti-PEDV spike protein 단클론 항체(3F12, 제노바이오택)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방치하고 세척한 후, anti-mouse IgG-FITC 항체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방치하고 세척한 후, 형광 현미경을 통하여 바이러스의 감염(infection)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동시에 GE, MM1 내지 MM10를 첨가하지 않은 무처리군에 바이러스만 배양하여 각 추출물에 의해 바이러스에 의한 CPE와 전염성(infectivity)가 감소한 것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변환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항균 활성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GE MM1 MM2 MM3 MM4 MM5 MM6 MM7 MM8 MM9 MM10
향균활성 3 3 3 5 5 5 3 6 7 8 4
항바이스러 활성 2 3 3 4 5 5 2 5 7 7 5
(단위: 지수)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MM3 내지 MM5에서 항균 및 항바이러스의 활성이 높아지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MM8 및 MM9의 경우 각 조성의 상호조합에 의한 상승효과로 소폭의 상승 활성이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기호성 평가]
인삼 특유의 쓴맛과 그 향미는 인삼 제품을 보급하는데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외국 소비자 사이에서는 거부감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GE, MM1 내지 MM10에 대해 기호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GE, MM1 내지 MM10를 차로 제조한 이후, 사전 설문조사에서 인삼 향을 싫어한다고 응답한 성인 10인에게 제조된 차를 시음하게 한 후 향과 맛을 평가하도록 하여 하기의 [표 3]에 종합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평가 점수는 각 항목 당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GE MM1 MM2 MM3 MM4 MM5 MM6 MM7 MM8 MM9 MM10
종합기호도 1.2 1.6 1.4 1.7 1.9 2.1 2.2 2.3 7.4 6.1 3.4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MM1 내지 MM7의 경우 전반적으로 인삼 특유의 쓴맛이 중화되지 않고, 그 향미가 거의 유지되어 전반적으로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MM10의 경우 기호도가 소폭 상승하였으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MM8 및 MM9의 경우 각 추출물이 혼합되면서 인삼 특유의 향미와 쓴맛이 상당히 중화되고, 전체적인 조향이 조화로워 향미와 맛을 포함한 기호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MM8 및 MM9에 의하는 경우 보다 기호성이 높은 인삼 관련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그 보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인삼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고,
    어수리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에 대하여 1:1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엉겅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수리나물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머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우엉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오미자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달래 추출물, 진피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엉겅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1 내지 5 중량부, 방풍나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달래 추출물을 0.1 내지 1 중량부, 진피 추출물을 1 내지 5 중량부, 국화 추출물을 1 내지 5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을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인 면역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200047280A 2020-04-20 2020-04-20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2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280A KR102326439B1 (ko) 2020-04-20 2020-04-20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280A KR102326439B1 (ko) 2020-04-20 2020-04-20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764A KR20210129764A (ko) 2021-10-29
KR102326439B1 true KR102326439B1 (ko) 2021-11-16

Family

ID=7823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280A KR102326439B1 (ko) 2020-04-20 2020-04-20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4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50B1 (ko) * 2015-03-05 2016-05-16 홍상근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9037B2 (ja) * 2008-02-29 2016-03-08 バレアント カナダ エルピー 人参抽出物による先天免疫応答および適応免疫応答の活性化
KR20100079586A (ko) * 2008-12-31 2010-07-08 구례군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염 조성물
KR101348029B1 (ko) 2011-07-20 2014-01-10 이은재 인삼으로부터 항암 면역증강 및 조혈촉진 효과가 있는 인삼 다당체를 정제하는 방법 및 상기 분석된 인삼 다당체를 포함하는 항암 면역증강 및 조혈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144318B1 (ko) 2017-01-26 2020-08-1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50B1 (ko) * 2015-03-05 2016-05-16 홍상근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764A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667B1 (ko) 천연 항포진 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04299B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101585159B1 (ko)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13040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294288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15380A (ko) 뉴그린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26439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34513B1 (ko) 부리붉은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956783B1 (ko) 백수오 추출물 또는 백수오 조다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102424477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3510B1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4474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62282B1 (ko) 황칠나무 및 가시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8697B1 (ko)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210124738A (ko) 인동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35785A (ko) 곽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2093817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6961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680125B1 (ko) 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폐 기능 강화 조성물
KR101894657B1 (ko) 맥문동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987821B1 (ko) 육계와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76839B1 (ko) 녹용 및 가시오갈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4284B1 (ko)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