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242B1 - 가요성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242B1
KR102323242B1 KR1020150033418A KR20150033418A KR102323242B1 KR 102323242 B1 KR102323242 B1 KR 102323242B1 KR 1020150033418 A KR1020150033418 A KR 1020150033418A KR 20150033418 A KR20150033418 A KR 20150033418A KR 102323242 B1 KR102323242 B1 KR 102323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fer
insulating layer
dam
area
cu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688A (ko
Inventor
조세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242B1/ko
Priority to US14/870,615 priority patent/US9658650B2/en
Priority to TW104141468A priority patent/TWI685137B/zh
Priority to CN201610089689.9A priority patent/CN105977275B/zh
Publication of KR2016011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3258
    • H01L27/3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91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the orientation or alignment of the layer to be deposit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가요성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 및 패드 영역의 양 단부에 형성된 챔퍼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과, 가요성 기판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가요성 기판 위로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챔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표시 영역과 마주하고, 챔퍼 영역 위의 절연층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음각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요성 표시 장치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체 발광 특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통상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한다. 최근, 가요성 기판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는 가요성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가요성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질 때, 외부 간섭에 의한 밴딩 부위의 크랙 발생 및 크랙 전파를 억제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 및 패드 영역의 양 단부에 형성된 챔퍼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과, 가요성 기판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가요성 기판 위로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챔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표시 영역과 마주하고, 챔퍼 영역 위의 절연층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음각 패턴을 포함한다.
챔퍼 영역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챔퍼 영역은 챔퍼 절단선을 포함할 수 있고, 챔퍼 절단선은 가요성 기판의 어느 한 변에 대해 경사진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1 댐부와,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며 챔퍼 절단선과 나란한 제2 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형 음각 패턴은 제1 음각 패턴일 수 있고, 제2 댐부는 챔퍼 절단선과 나란한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제2 음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챔퍼 영역 위의 절연층은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는 양각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각 패턴부 위에 더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챔퍼 영역 위의 절연층은 더미 패턴 형성을 위한 개구부와,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며 개구부를 둘러싸는 제3 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챔퍼 절단선은 가요성 기판의 어느 한 변과 나란한 제1 절단선과, 제1 절단선과 교차하는 제2 절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1 댐부와,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는 제2 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댐부의 적어도 일부는 챔퍼 절단선을 포함한 챔퍼 영역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폐쇄형 음각 패턴은 제1 음각 패턴일 수 있고, 제2 댐부는 챔퍼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이어진 폐쇄형 제2 음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각 패턴은 제1 절단선과 나란한 제1 직선부와, 제2 절단선과 나란한 제2 직선부와,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챔퍼 영역 위의 절연층은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는 양각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각 패턴부 위에 더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챔퍼 영역 위의 절연층은 더미 패턴 형성을 위한 개구부와,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며 개구부를 둘러싸는 제3 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버퍼층, 게이트 절연막, 및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형 음각 패턴은 버퍼층, 게이트 절연막, 및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표시 장치는 가요성 기판 위의 패드 영역에 형성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장치는 가요성 기판을 덮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챔퍼 영역을 덮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장치는 패드 영역의 양 단부에 챔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커버 윈도우와의 간섭을 줄여 절연층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챔퍼 영역 위의 절연층에 폐쇄형 음각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휘어짐에 의한 절연층의 크랙 발생과 크랙 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가요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가요성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가요성 표시 패널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가요성 표시 패널 중 챔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시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가요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10)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200)를 포함하며, 가요성 표시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가요성 기판(110)과, 가요성 기판(110) 위에 형성된 표시부(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표시부(120)를 구성하는 화소들의 발광에 의해 소정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커버 윈도우(200)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덮는다. 커버 윈도우(200)는 유리 또는 단단한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충격과 스크래치로부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보호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커버 윈도우(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커버 윈도우(200)와 같은 형상을 유지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200) 사이에는 터치 감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도시하지 않음)과,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편광 필름(도시하지 않음) 등이 위치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다. 즉 가요성 표시 장치(10)는 곡면부(또는 밴딩부)(B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요성 표시 장치(10)는 평탄부(FA)와, 평탄부(FA)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곡면부(BA)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곡면부(BA)는 같은 폭과 같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가요성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평탄부(FA)와 두 개의 곡면부(BA)로 구성되지만, 도 3에서는 편의상 가요성 표시 패널 전체가 평탄한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110)과, 가요성 기판(110)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140)과, 가요성 기판(110) 위로 표시 영역(DA)에 형성되는 표시부(120)와, 가요성 기판(110) 위로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되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구동부(130)는 복수의 배선에 의해 표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요성 기판(110)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110)은 휘어지는 특성을 가지며,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절연층(140)은 가요성 기판(110)의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모두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가요성 기판(110)과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40)은 버퍼층(141),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4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41),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43)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2), 알루미나(Al2O3), 및 산화티타늄(T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40)은 표시부(120)를 형성하는 과정, 구체적으로 표시부(120)의 구동 회로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층이다. 절연층(140)을 구성하는 막들의 개수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버퍼층(141) 아래에 산소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베리어층(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추가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마다 구동 회로부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된다. 구동 회로부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편의상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151), 게이트 전극(152), 소스 전극(153), 및 드레인 전극(154)을 포함한다.
버퍼층(141)은 반도체층(151) 아래에 형성된다. 버퍼층(141)은 구동 회로부를 형성하기 위한 평탄면을 제공하며 구동 회로부로 수분과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반도체층(151)은 폴리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되며,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과,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된 반도체층(151)은 별도의 보호층으로 덮일 수 있다. 반도체층(151)은 게이트 절연막(142)으로 덮이고,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게이트 전극(152)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52)은 반도체층(151)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며, 층간 절연막(143)으로 덮인다.
층간 절연막(143) 위에 소스 전극(153)과 드레인 전극(154)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153)과 드레인 전극(154)은 층간 절연막(143)과 게이트 절연막(142)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반도체층(15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평탄화층(115)으로 덮이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연결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동시킨다. 평탄화층(115)은 표시 영역(D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 전극(161)과 발광층(162) 및 공통 전극(163)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61)은 평탄화층(115) 위에서 화소마다 하나씩 형성된다. 화소 전극(161)은 평탄화층(115)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154)과 연결된다. 평탄화층(115) 위와 화소 전극(161)의 가장자리 위에 화소 정의막(116)이 형성된다. 발광층(162)은 화소 전극(161) 위에 형성되며, 공통 전극(163)은 화소별 구분 없이 표시 영역(DA) 전체에 형성된다.
화소 전극(161)과 공통 전극(163) 중 어느 하나는 발광층(162)으로 정공을 주입하고, 다른 하나는 발광층(162)으로 전자를 주입한다.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162)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며, 여기자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빛이 방출된다.
화소 전극(161)은 반사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통 전극(163)은 투명막 또는 반투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162)에서 방출된 빛은 화소 전극(161)에서 반사되고, 공통 전극(163)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공통 전극(163)이 반투과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화소 전극(161)에서 반사된 빛의 일부는 공통 전극(163)에서 재반사되며, 공진 구조를 이루어 광 추출 효율을 높인다.
표시부(120)는 봉지부(117)를 더 포함한다. 봉지부(117)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밀봉시켜 외기에 포함된 수분과 산소에 의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를 억제한다. 봉지부(117)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최소한 제1 무기막과 제1 유기막 및 제2 무기막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가요성 기판(1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네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과 접하는 패드 영역(PA)과, 패드 영역(PA)의 양 단부에 형성된 챔퍼(chamfer) 영역(CA)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PA)과 챔퍼 영역(CA)은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표시 영역(DA)과 마주할 수 있고, 챔퍼 영역(CA)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패드 영역(PA)과 마주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가요성 기판(110) 위로 패드 영역(PA)에 형성되고, 표시부(120)의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부(130)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스캔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
챔퍼 영역(CA)은 곡면부(BA)를 형성하기 이전, 최초 사각 형태를 가지는 가요성 기판(110)의 양측 모서리, 구체적으로 패드 영역(PA)의 양측 모서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챔퍼 영역(CA)은 챔퍼 절단선(CL)과 접하면서 패드 영역(PA)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도 3에서 챔퍼 영역(CA)을 도트 패턴으로 도시하였다.
챔퍼 영역(CA)의 챔퍼 절단선(CL)은 사선 방향으로 뻗은 직선일 수 있으며, 가요성 기판(110)의 장변 및 단변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절연층(14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모두에 형성되며, 비표시 영역(NDA) 위의 절연층(140)은 외부로 노출된다.
가요성 표시 장치(10)의 제작 과정은 평탄부(FA)와 곡면부(BA)를 포함하는 지지 패드(도시하지 않음) 위에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위치하는 단계와, 가요성 표시 패널(100) 위에 커버 윈도우(200)를 배치한 다음 커버 윈도우(200)를 아래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200) 사이에 투명 접착층이 위치한다.
가요성 기판(110)이 챔퍼 영역(CA)을 포함함에 따라, 커버 윈도우(200)와 합착되는 과정에서 커버 윈도우(200)와의 간섭에 의한 절연층(140)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패드 위에 배치된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지지 패드의 곡면부에 대응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지지 패드와 접하지 않고 위로 떠 있을 수 있다. 챔퍼 영역 없이 전체가 사각 형태를 이루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가정하면, 커버 윈도우를 아래로 내릴 때, 패드 영역의 양측 단부가 커버 윈도우의 내측 모서리에 닿아 찍힐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 가운데 커버 윈도우의 내측 모서리에 찍히는 부분은 패드 영역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연층의 표면이 된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와의 간섭에 의해 절연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의 양측 단부는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는 부분이므로, 절연층에 발생된 크랙은 휨 응력(bending stress)에 의해 패드 영역과 표시 영역으로 쉽게 전파된다. 패드 영역으로 전파된 크랙은 구동부의 파손을 유발하며, 표시 영역으로 전파된 크랙은 구동 회로부의 파손을 유발한다. 또한, 표시 영역으로 전파된 크랙을 통해 외부의 수분과 산소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침투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열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10)에서 가요성 기판(110)은 커버 윈도우(200)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부분, 즉 패드 영역(PA)의 양측 단부를 제거함으로써(챔퍼 영역(CA)을 형성함으로써) 커버 윈도우(200)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절연층(140)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크랙 전파에 의한 구동부(130)와 표시부(120)의 파손 및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10)는 비표시 영역(NA) 위의 절연층(140)에 복수의 음각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휨 응력에 의한 절연층(140)의 크랙 전파를 적극적으로 차단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가요성 표시 패널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챔퍼 영역이 평탄한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도 3과 도 5를 참고하면, 챔퍼 영역(CA)은 곡면부(BA)에 속하며,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 또한 제2 방향으로 휘어지고, 휘어질 때 응력을 받으므로 응력 저감을 위한 음각 패턴(170)을 형성한다.
이때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은 챔퍼 절단선(CL)과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은 챔퍼 절단선(CL)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팅 나이프(cutting knife) 등으로 가요성 기판(110)을 절단하여 챔퍼 영역(CA)을 형성할 때, 커팅 충격에 의한 절연층(140)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에는 챔퍼 절단선(CL)으로부터 표시 영역(DA)을 향하는 방향, 즉 챔퍼 영역(CA)과 표시 영역(DA)이 마주하는 제1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음각 패턴(170)이 형성된다. 음각 패턴(170)은 절연층(140)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으로서, 개구부, 개구 패턴, 홀, 슬릿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음각 패턴(170)이 폐쇄형이라 하는 것은 챔퍼 영역(CA)을 위에서 관찰할 때 음각 패턴(170)이 절연층(140)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것을 의미한다. 즉 폐쇄형 음각 패턴(170)은 가요성 기판(110)의 가장자리, 예를 들어 챔퍼 절단선(CL)을 향해 열려 있지 않으며, 절연층(140)으로 완전히 둘러싸인다.
절연층(140)에 형성된 음각 패턴(170)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줄무늬(strip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음각 패턴(170)은 같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챔퍼 절단선(CL)을 향한 각 음각 패턴(170)의 단부는 챔퍼 절단선(CL)과 나란한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40)은 전술한 음각 패턴(170)에 의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1 댐부(181)와, 복수의 제1 댐부(181)와 접하며 챔퍼 절단선(CL)과 나란한 제2 댐부(182)를 포함한다. 제2 댐부(182)는 챔퍼 절단선(CL)과 음각 패턴(170) 사이에 형성되어 음각 패턴(170)이 챔퍼 절단선(CL)을 향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복수의 제1 댐부(181)와 제2 댐부(182)는 끊어짐 없이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음각 패턴(170)에 의해, 챔퍼 영역(CA)에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댐부(181)와 음각 패턴(170)이 하나씩 교대로 배열된다. 즉 절연층(140)은 챔퍼 영역(CA)으로부터 표시 영역(DA)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져 형성되지 않고 음각 패턴(170)에 의해 단절된다.
따라서 챔퍼 절단선(CL)에 가해지는 충격, 커버 윈도우(200)와의 간섭에 의해 챔퍼 영역(CA)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절연층(140)의 휨 응력 등에 의해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이 크랙은 챔퍼 영역(CA)으로부터 표시 영역(DA)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전파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1 댐부(181)는 챔퍼 영역(CA)으로부터 표시 영역(DA)을 향하는 크랙의 전파 방향(제1 방향)을 따라 단절되어 있으므로 크랙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댐부(182)가 챔퍼 절단선(CL)과 평행을 이루며 복수의 제1 댐부(181)와 이어져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챔퍼 영역(CA)이 휘어질 때 절연층(140)의 응력을 줄일 수 있다. 즉 제2 댐부(182)를 포함하는 절연층(140)은 제2 댐부(182)가 없는 절연층(개방형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절연층) 대비 응력을 낮추는 효과가 우수하며, 휘어짐에 의한 절연층(140)의 크랙 발생과 크랙 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절연층(140)의 음각 패턴(170)은 절연층(140)을 구성하는 복수의 무기막(베리어층, 버퍼층, 게이트 절연막, 층간 절연막 등) 전체에 형성되거나, 복수의 무기막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a)에는 제1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음각 패턴인 제1 음각 패턴(171)과, 챔퍼 절단선(CL)과 나란한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음각 패턴인 제2 음각 패턴(172)이 형성된다.
절연층(140a)은 전술한 음각 패턴(171, 172)에 의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1 댐부(181a)와, 챔퍼 절단선(CL)과 평행한 사선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2 댐부(182a)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댐부(182a) 가운데 챔퍼 절단선(CL)과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2 댐부(182a)는 복수의 제1 댐부(181a)와 이어져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1 댐부(181a)와 복수의 제2 댐부(182a) 전체는 끊어진 부분 없이 모두 연결된다.
제2 댐부(182a)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챔퍼 영역(CA)이 휘어질 때 챔퍼 절단선(CL)과 가까운 절연층(140) 부위의 응력을 줄여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에서, 챔퍼 영역(CA)에는 다른 부품과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얼라인 마크 또는 저항 측정 등을 위한 각종 테스트 마크 등과 같은 더미 패턴(DP)이 형성될 수 있다. 더미 패턴(DP)은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십자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a)은 양각 패턴부(183)를 포함하며, 더미 패턴(DP)은 양각 패턴부(183)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양각 패턴부(183)는 복수의 제1 댐부(181)와 일체로 연결되어 절연층(140)에 끊어진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만일 더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댐부의 일부를 제거하여 가요성 기판을 노출시키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1 댐부는 끊어진 단부를 가지게 된다. 절연층이 끊어진 부분을 가지게 되면 이 부분이 크랙의 씨드(seed)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절연층(140a)은 끊어진 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제2 댐부(182a) 및 양각 패턴부(183)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b)은 더미 패턴(DP) 형성을 위한 개구부(OP)를 형성하며, 개구부(OP)를 둘러싸는 제3 댐부(184)를 포함한다. 더미 패턴(DP)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가요성 기판(110)의 표면에 형성된다.
제3 댐부(184)의 일부는 복수의 제1 댐부(181a)와 접하여 제1 음각 패턴(171)이 개구부(OP)를 향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제3 댐부(184)의 다른 일부는 제1 댐부(181a)에 속할 수 있다. 즉 제1 댐부(181a)의 일부가 제3 댐부(184)로 기능할 수 있다. 제3 댐부(184)를 포함하는 절연층(140b)은 끊어진 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에서 개구부(OP)와 제3 댐부(18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가요성 표시 패널 중 챔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한 가요성 표시 패널(100a)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탄부(FA)와 두 개의 곡면부(BA)로 구성되나, 도 8과 도 9에서는 편의상 평탄한 상태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가요성 기판(110a)의 챔퍼 절단선(CL)은 두 개의 직선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챔퍼 절단선(CL)은 가요성 기판(110a)의 단변과 나란한 제1 절단선(CL1)과, 가요성 기판(110a)의 장변과 나란한 제2 절단선(CL2)을 포함할 수 있다. 챔퍼 절단선(CL)은 대략 엘(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c)에는 제1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제1 음각 패턴(173)이 형성된다. 절연층(140c)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1 댐부(185)와, 복수의 제1 댐부(185)와 접하며 적어도 일부가 챔퍼 영역(CA)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2 댐부(186)를 포함한다.
제2 댐부(186)에는 챔퍼 영역(CA)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이어진 폐쇄형 제2 음각 패턴(17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음각 패턴(174)은 제1 절단선(CL1)과 나란한 제1 직선부(L1)와, 제2 절단선(CL2)과 나란한 제2 직선부(L2)와, 제1 직선부(L1)와 제2 직선부(L2)를 연결하는 곡선부(C1)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부(C1)는 절연층(140c)의 응력을 분산시켜 크랙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복수의 제1 댐부(185)와 복수의 제2 댐부(186)는 끊어짐 없이 모두 일체로 연결된다. 챔퍼 절단선(CL)으로부터 표시 영역(DP)을 향하는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제1 댐부(185)와 제1 음각 패턴(173)이 하나씩 교대로 위치하므로, 절연층(140c)의 크랙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챔퍼 절단선(CL)의 내측에 제2 댐부(186)가 위치함에 따라, 챔퍼 절단선(CL)과 가까운 절연층(140c) 부위의 응력을 줄여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에서 챔퍼 영역(CA)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d)은 양각 패턴부(187)를 포함하며, 양각 패턴부(187) 위에 더미 패턴(DP)이 형성된다. 양각 패턴부(187)는 복수의 제1 댐부(185)와 일체로 연결되어 절연층(140d)에 끊어진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제5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에서 양각 패턴부(187)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 중 챔퍼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챔퍼 영역(CA) 위의 절연층(140e)은 더미 패턴(DP) 형성을 위한 개구부(OP)를 형성하며, 개구부(OP)를 둘러싸는 제3 댐부(188)를 포함한다. 더미 패턴(DP)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가요성 기판(110a)의 표면에 형성된다.
제3 댐부(188)의 일부는 복수의 제1 댐부(185)와 접하여 제1 음각 패턴(173)이 개구부(OP)를 향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제3 댐부(188)의 다른 일부는 제1 댐부(185)에 속할 수 있다. 즉 제1 댐부(185)의 일부가 제3 댐부(188)로 기능할 수 있다. 제3 댐부(188)를 포함하는 절연층(140e)은 끊어진 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에서 개구부(OP)와 제3 댐부(188)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가요성 표시 장치 100, 100a: 가요성 표시 패널
110, 110a: 가요성 기판 120: 표시부
130: 구동부 140: 절연층
141: 버퍼층 142: 게이트 절연막
143: 층간 절연막 170: 음각 패턴
171, 173: 제1 음각 패턴 172, 174: 제2 음각 패턴
181, 185: 제1 댐부 182, 186: 제2 댐부
183, 187: 양각 패턴부 DP: 더미 패턴
200: 커버 윈도우

Claims (17)

  1.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 및 상기 패드 영역의 양 단부에 형성된 챔퍼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가요성 기판 위로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챔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영역과 마주하고,
    상기 챔퍼 영역 위의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영역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영역은 챔퍼 절단선을 포함하며,
    상기 챔퍼 절단선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어느 한 변에 대해 경사진 직선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1 댐부와,
    상기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며 상기 챔퍼 절단선과 나란한 제2 댐부
    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음각 패턴은 제1 음각 패턴이고,
    상기 제2 댐부는 상기 챔퍼 절단선과 나란한 줄무늬 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제2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영역 위의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는 양각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각 패턴부 위에 더미 패턴이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영역 위의 상기 절연층은 더미 패턴 형성을 위한 개구부와, 상기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제3 댐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영역은 챔퍼 절단선을 포함하며,
    상기 챔퍼 절단선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어느 한 변과 나란한 제1 절단선과, 상기 제1 절단선과 교차하는 제2 절단선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뻗은 복수의 제1 댐부와,
    상기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는 제2 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챔퍼 절단선을 포함한 상기 챔퍼 영역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음각 패턴은 제1 음각 패턴이고,
    상기 제2 댐부는 상기 챔퍼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이어진 폐쇄형 제2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각 패턴은,
    상기 제1 절단선과 나란한 제1 직선부,
    상기 제2 절단선과 나란한 제2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를 연결하는 곡선부
    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영역 위의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는 양각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각 패턴부 위에 더미 패턴이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영역 위의 상기 절연층은 더미 패턴 형성을 위한 개구부와, 상기 복수의 제1 댐부와 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제3 댐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버퍼층, 게이트 절연막, 및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형 음각 패턴은 상기 버퍼층,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기판 위의 상기 패드 영역에 형성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을 덮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챔퍼 영역을 덮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0150033418A 2015-03-10 2015-03-10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2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18A KR102323242B1 (ko) 2015-03-10 2015-03-10 가요성 표시 장치
US14/870,615 US9658650B2 (en) 2015-03-10 2015-09-30 Flexible display
TW104141468A TWI685137B (zh) 2015-03-10 2015-12-10 可撓性顯示器
CN201610089689.9A CN105977275B (zh) 2015-03-10 2016-02-17 柔性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18A KR102323242B1 (ko) 2015-03-10 2015-03-10 가요성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688A KR20160110688A (ko) 2016-09-22
KR102323242B1 true KR102323242B1 (ko) 2021-11-08

Family

ID=5688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418A KR102323242B1 (ko) 2015-03-10 2015-03-10 가요성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58650B2 (ko)
KR (1) KR102323242B1 (ko)
CN (1) CN105977275B (ko)
TW (1) TWI6851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60B1 (ko) * 2015-05-12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9978B1 (ko) * 2015-10-28 2021-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466959B1 (ko) 2015-12-31 2022-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46816B1 (ko) * 2016-01-18 2022-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커브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KR102407869B1 (ko) 2016-02-16 2022-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592956B1 (ko) 2016-08-29 2023-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7859B1 (ko) * 2016-09-30 2022-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7283B1 (ko) * 2016-09-30 202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06328081B (zh) * 2016-10-09 2019-01-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器及其驱动方法
KR102608241B1 (ko) * 2016-10-26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783920B (zh) * 2016-12-21 2019-10-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基于柔性oled的显示面板、无缝拼接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WO2018120139A1 (zh) * 2016-12-30 2018-07-0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和显示装置
US20180188861A1 (en) * 2017-01-03 2018-07-05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17355180A (zh) * 2017-03-14 2024-01-0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79352B1 (ko) * 2017-03-14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4387B1 (ko) 2017-05-08 2022-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96074B1 (ko) * 2017-05-19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3671B1 (ko) * 2017-05-29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25221B1 (ko) * 2017-07-27 2021-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36672B1 (ko) * 2017-11-06 2023-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83563B1 (ko) * 2017-11-21 2022-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863376B (zh) * 2017-12-11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65435B1 (ko) 2017-12-28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4133B1 (ko) * 2018-02-20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CN108539037A (zh) * 2018-02-27 2018-09-1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eld显示器件
KR20190127074A (ko) 2018-05-03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하우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766977B (zh) 2018-05-24 2021-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基板、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08511503B (zh) * 2018-05-28 2020-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8735789B (zh) * 2018-05-30 2021-06-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847136A (zh) * 2018-06-29 2018-11-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963425B1 (en) 2018-07-10 2024-04-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curved surfaces
KR102661469B1 (ko) * 2018-09-11 2024-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N109256049B (zh) * 2018-09-27 2021-02-02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异形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060594A (ko) * 2018-11-21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119957A (ko) * 2019-04-10 2020-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35659A (ko) * 2019-05-24 2020-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02688B1 (ko) * 2019-07-03 2020-04-23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20210016231A (ko) * 2019-08-02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690259B (zh) * 2019-09-29 2021-05-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oled显示面板、掩膜板
KR20210065246A (ko) * 2019-11-26 2021-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977414B2 (en) * 2020-04-27 2024-05-07 Lg Innotek Co., Ltd. Elastic member
JP7477067B2 (ja) * 2020-05-09 2024-05-01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作方法、表示装置及びその製作方法
KR20210150649A (ko) * 2020-06-03 2021-1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156373A (ko) * 2020-06-17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20039967A (ko) * 2020-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2515A (ja) * 2006-10-19 2008-05-0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フラット表示パネルを設けるシステム
JP2013511155A (ja) * 2009-11-17 2013-03-28 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ラックストップを備えた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8773B2 (ja) * 2006-01-23 2013-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043517B2 (ja) * 2007-06-05 2012-10-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パネル
US20090267891A1 (en) * 2008-04-25 2009-10-29 Bamidele Ali Virtual paper
CN101971701A (zh) * 2008-07-10 2011-02-09 富士电机控股株式会社 有机el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51366B1 (ko) 2012-10-31 2019-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연성 회로기판의 본딩방법
KR101938671B1 (ko) 2012-11-14 2019-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58233B1 (ko) 2013-04-03 2019-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76666B1 (ko) * 2013-04-1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KR102116105B1 (ko) 2013-07-31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20150025994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964807B2 (ja) * 2013-08-30 2016-08-0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86644B1 (ko) * 2013-12-31 2020-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3671883A1 (en) * 2014-06-25 2020-06-2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582612B2 (en) * 2014-06-30 2020-03-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bend stress wir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4214729A (zh) * 2014-08-20 2014-12-1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9349758B2 (en) * 2014-09-30 2016-05-24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divided power lin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535522B2 (en) * 2014-12-22 2017-01-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DE102016206922A1 (de) * 2015-05-08 2016-11-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2515A (ja) * 2006-10-19 2008-05-0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フラット表示パネルを設けるシステム
JP2013511155A (ja) * 2009-11-17 2013-03-28 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ラックストップを備えた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688A (ko) 2016-09-22
TWI685137B (zh) 2020-02-11
US20160270209A1 (en) 2016-09-15
CN105977275A (zh) 2016-09-28
US9658650B2 (en) 2017-05-23
CN105977275B (zh) 2021-06-22
TW201705572A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242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US10707429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96281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211416B2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602631B2 (en) Cover 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1449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06284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1449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101437B2 (en) Display substrate motherboar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1862529B1 (ko)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4240B1 (ko) 폴더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60141135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94470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72210B1 (ko) 표시 장치
CN110620132A (zh) 一种显示面板
JP2018018740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8054142A (zh) 显示基板的制作方法及显示基板
KR101957145B1 (ko)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3460A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6017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KR20190102160A (ko) 가요성 표시 장치
KR2020000428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