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753B1 -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753B1
KR102322753B1 KR1020170047948A KR20170047948A KR102322753B1 KR 102322753 B1 KR102322753 B1 KR 102322753B1 KR 1020170047948 A KR1020170047948 A KR 1020170047948A KR 20170047948 A KR20170047948 A KR 20170047948A KR 102322753 B1 KR102322753 B1 KR 10232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relay
main rela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530A (ko
Inventor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753B1/ko
Priority to CN201810322654.4A priority patent/CN108725351B/zh
Priority to US15/951,608 priority patent/US10663506B2/en
Publication of KR2018011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20Inrush current reduction, i.e. avoiding high currents when connecting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일단 사이의 제1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타단 사이의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전압 측정부, 그리고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일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타단 사이의 제3 전압을 측정하는 제3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릴레이의 융착 상태뿐 아니라 차량용 릴레이의 미동작 상태까지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FAULT OF RELAY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HEV, PHEV, BEV 등)는 전기를 주동력 또는 보조동력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해 다수의 배터리셀로 이루어진 차량용 배터리팩이 자동차 내에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배터리팩은 매우 높은 전압을 갖기 때문에, 하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차량용 배터리팩의 양극단자는 양극 컨택터(또는, 양극 릴레이)에 접속되고, 프리차지 회로는 상기 양극 컨택터에 병렬로 접속되며, 차량용 배터리팩의 음극단자는 음극 컨택터(또는, 음극 릴레이)에 접속되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만, 차량용 배터리팩에 접속되는 이와 같은 차량용 릴레이는 배터리팩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전류로 인해 융착이 일어나거나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릴레이가 융착 상태가 되거나 미동작 상태가 될 경우에는, 배터리팩의 폭발 및 운전자 감전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차량 및 운전자 모두에게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프리차지 릴레이의 온오프에 의해 누전 상태의 변화를 누전검출회로로 검출함으로써 컨택터들의 융착을 검출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1-166950호(공개일: 2011.08.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간단한 소자 구성만으로도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릴레이의 융착 상태뿐 아니라 차량용 릴레이의 미동작 상태까지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이 차량용 배터리팩의 제1 전극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부하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메인 릴레이와, 일단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팩의 제2 전극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부하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2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프리차지 릴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일단 사이의 제1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타단 사이의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일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타단 사이의 제3 전압을 측정하는 제3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명령부;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명령부에 출력하고,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명령부는,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1 명령부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전달하는 제2 명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제1 전압 감지부와,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에 따른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제2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은, 상기 제1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2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2 증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1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또는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3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3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에서,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2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는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소정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는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2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메인 릴레이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이고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2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이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1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또는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이고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3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간단한 소자 구성만으로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릴레이의 융착 상태뿐 아니라 차량용 릴레이의 미동작 상태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의 양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의 주행 전 및 주행 중에 차량용 릴레이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차량의 주행 중 및 주행 후에 차량용 릴레이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의 양상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용 배터리팩(40)은 차량용 릴레이를 통해 부하(50)와 접속되어 있다.
차량용 배터리팩(40)은 다수의 배터리셀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에 제1 전극단자(41) 및 제2 전극단자(4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제1 전극단자(41)를 양극단자로, 제2 전극단자(42)를 음극단자로 도시하였으나, 제1 전극단자(41)는 음극단자, 제2 전극단자(42)는 양극단자이어도 무방하다.
부하(50)는 인버터일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는 차량용 배터리팩(40)으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용 모터(미도시)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릴레이는 제1 메인 릴레이(10), 제2 메인 릴레이(2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1 메인 릴레이(10)는 일단이 차량용 배터리팩(40)의 제1 전극단자(41)에 접속되고, 타단은 부하(50)의 일단에 접속된다.
제2 메인 릴레이(20)는 일단이 차량용 배터리팩(40)의 제2 전극단자(42)에 접속되고, 타단은 부하(50)의 타단에 접속된다.
제1 메인 릴레이(10)가 양극 메인 릴레이인 경우 제2 메인 릴레이(20)는 음극 메인 릴레이이고, 제1 메인 릴레이(10)가 음극 메인 릴레이인 경우 제2 메인 릴레이(20)는 양극 메인 릴레이일 수 있다.
프리차지 릴레이(30)는 프리차지 저항(35)과 직렬로 접속되며, 프리차지 릴레이(30)와 프리차지 저항(35)은 제1 메인 릴레이(10)에 병렬로 접속된다. 프리차지 릴레이(30)와 프리차지 저항(35)은 배터리팩(4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제1 메인 릴레이(10)를 통해 흐르기 전에 상기 전류를 프리차지시킴으로써, 메인 릴레이(10, 20)에서의 아크 방전을 방지하고, 돌입 전류(Inrush Current)로 인해 메인 릴레이(10, 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융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라인(즉, 제1 메인 릴레이(10)가 위치하는 전극라인)과 제2 전극라인(즉, 제2 메인 릴레이(20)가 위치하는 전극라인) 사이의 전압을 전압 측정부(100)로 측정하고, 제어부(600)는 상기 전압 측정부(100)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2를 더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은 전압 측정부(100), 명령부(200), 전압 감지부(3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압 측정부(100)는 제1 전압 측정부(110), 제2 전압 측정부(120) 및 제3 전압 측정부(13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제4 전압 측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압 측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SFET과 저항 분배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구동신호(구체적으로는, 전압 측정 구동신호)는 각 전압 측정부(100)를 구성하는 MOSFET의 게이트에 인가되며, 이에 따라 각 전압 측정부(100)에서는 제1 전극라인과 제2 전극라인 사이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전압 측정부(110)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을 접지로 하여(즉, 제2 전극단자(42)와 제2 메인 릴레이(20)의 접속 노드를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타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 사이의 제1 전압(V1)을 측정한다.
제2 전압 측정부(120)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을 접지로 하여(즉, 부하(50)와 제2 메인 릴레이(20)의 접속 노드를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타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 사이의 제2 전압(V2)을 측정한다.
제3 전압 측정부(130)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일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 사이의 제3 전압(V3)을 측정한다.
제4 전압 측정부(140)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일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 사이의 제4 전압(V4)을 측정한다. 즉, 제4 전압 측정부(140)는 배터리팩(40)의 전압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함에 있어서 기준전압(즉, 기준전압은 배터리팩(40)의 전압, 또는 배터리팩(40)의 전압에 소정의 상수를 곱한 값이 될 수 있음)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터리팩(40)의 전압은 차량의 주행 전, 주행 중 및 주행 후에 각기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전압 측정부(140)에서 측정되는 제4 전압(V4)을 이용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할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배터리팩(40)의 전압에 의존하여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명령부(200)는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뒤 이를 전압 측정부(100)에 전달한다. 명령부(200)가 제어부(600)로부터 입력받는 구동신호로는 전압 측정부(100)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부(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부(200)가 제어부(600)로부터 전압 측정부(100)를 온(on)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명령부(200)는 전압 측정부(100)에 5V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압 측정부(100)로 하여금 제1 전극라인과 제2 전극라인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명령부(200)가 제어부(600)로부터 전압 측정부(100)를 오프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명령부(200)는 전압 측정부(100)에 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압 측정부(100)로 하여금 제1 전극라인과 제2 전극라인 사이의 전압 측정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명령부(200)가 이와 같이 제어부(600)에서 생성되는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전압 측정부(100)에 전송할 때, 차량 또는 운전자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절연된 소자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명령부(200)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또는 절연 스위치(Isolated Switch)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령부(200)는 제1 명령부(210)와 제2 명령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명령부(210)는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뒤 이를 제1 전압 측정부(110) 또는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전달하고, 제2 명령부(220)는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뒤 이를 제2 전압 측정부(120) 또는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전달한다.
제1 명령부(210)가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1 전압 측정부(110) 또는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은, 제1 전압 측정부(110) 및 제4 전압 측정부(140)가 제2 전극단자(42)와 제2 메인 릴레이(20)의 접속 노드를 공통 접지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명령부(220)가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2 전압 측정부(120) 또는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은, 제2 전압 측정부(120) 및 제3 전압 측정부(130)가 부하(50)와 제2 메인 릴레이(20)의 접속 노드를 공통 접지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압 감지부(300)는 전압 측정부(100)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1 전압 감지부(310)와 제2 전압 감지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압 감지부(300)가 전압 측정부(100)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할 때, 차량 또는 운전자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절연된 소자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전압 감지부(300)는 절연된 전압 센서(Isolated Voltage Sensor)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압 감지부(310)는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전압 측정 구동신호에 따라 제1 전압 측정부(110) 또는 제4 전압 측정부(140)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2 전압 감지부(320)는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전압 측정 구동신호에 따라 제2 전압 측정부(120) 또는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전압 측정부(100)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자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스위칭부(400)가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칭부(400)는 예를 들어 멀티플렉서 스위치(Multiplexer Switch)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압 측정부(100)와 전압 감지부(30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부(400)는 제1 스위칭부(410)와 제2 스위칭부(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위칭부(410)는 제1 전압 측정부(110) 또는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며,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스위칭부 구동신호에 따라 제1 전압 감지부(310)가 제1 전압 측정부(110)에 연결되도록 동작하거나, 제1 전압 감지부(310)가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도록 동작한다.
제1 전압 감지부(310)는, 제1 스위칭부(410)가 제1 전압 측정부(110)에 연결될 경우에는 제1 전압(V1)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제1 스위칭부(410)가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될 경우에는 제4 전압(V4)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4 전압 측정부(140)는 배터리팩(40)의 전압을 측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때에는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전압 감지부(310)가 직접적으로 제1 전압 측정부(11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되는 제1 전압(V1)만을 감지하게 된다.
제2 스위칭부(420)는 제2 전압 측정부(120) 또는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연결되며, 제어부(600)에서 생성하는 스위칭부 구동신호에 따라 제2 전압 감지부(320)가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되도록 동작하거나, 제2 전압 감지부(320)가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연결되도록 동작한다.
제2 전압 감지부(320)는, 제2 스위칭부(420)가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될 경우에는 제2 전압(V2)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제2 스위칭부(420)가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연결될 경우에는 제3 전압(V3)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압 측정부(100)와 전압 감지부(300)의 연결을 위해 스위칭부(400)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전압 측정부(100)마다 명령부(200) 및 전압 감지부(300)를 별개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자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의 크기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 비용 역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압 감지부(300)가 전압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는 전압은 일반적으로 0 이상 2V 이하의 미약한 아날로그 신호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 감지부(300)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을 제어부(600)에 출력하기 위하여 증폭부(5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폭부(500)는 제1 증폭부(510) 및 제2 증폭부(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증폭부(510)는 제1 전압 감지부(310)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을 제어부(600)에 출력하고, 제2 증폭부(520)는 제2 전압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을 제어부(600)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명령부(200)에 출력하며, 여기서 상기 구동신호는 전압 측정부(10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 및 스위칭부(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포함한다.
전압 측정부(100)는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에 따라 제1 전극라인과 제2 전극라인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스위칭부(400)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져 전압 측정부(100)와 전압 감지부(300)를 연결시킨다.
또한, 제어부(600)는 전압 감지부(300)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어부(600)가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는 것은, 차량용 릴레이의 융착 상태 또는 차량용 릴레이의 미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600)가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더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차량의 주행 전 및 주행 중에 차량용 릴레이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차량의 주행 중 및 주행 후에 차량용 릴레이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차량용 릴레이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구성 중 하나인 릴레이 드라이버(relay driver)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우선, 시구간 T1에서는 제1 메인 릴레이(10), 제2 메인 릴레이(2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가 모두 오프 상태에 있다.
시구간 T1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1=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부(420)는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시구간 T2에서는 제1 메인 릴레이(10) 또는 프리차지 릴레이(30)의 융착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1 전압 측정부(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즉,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명령부(210)에 출력하고, 제1 전압 측정부(110)와 제1 전압 감지부(310)를 연결하기 위한 구동신호(즉,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명령부(210)에 출력한다. 제1 명령부(210)는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1 전압 측정부(11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1 전압 측정부(110)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타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 사이의 제1 전압(V1)을 측정한다. 또한, 제1 명령부(210)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제1 스위칭부(41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1 전압 감지부(310)는 상기 제1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제1 전압(V1)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1 전압 감지부(310)에서 감지되는 제1 전압(V1)을 입력받아, 제1 메인 릴레이(10) 또는 프리차지 릴레이(30)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1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제1 전압(V1)을 제1 전압 감지부(310)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제1 전압(V1)이 상기 기준전압(VT1) 이상일 경우에 제1 메인 릴레이(10) 또는 프리차지 릴레이(30)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시구간 T3에서 시스템은 대기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 경우 제1 메인 릴레이(10), 제2 메인 릴레이(2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여전히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시구간 T3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상기 시구간 T1과 마찬가지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2=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부(420)는 계속해서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시구간 T4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융착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3 전압 측정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하고, 제3 전압 측정부(130)와 제2 전압 감지부(320)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한다.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일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 사이의 제3 전압(V3)을 측정한다. 또한,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제2 스위칭부(42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2 전압 감지부(320)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제3 전압(V3)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2 전압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제3 전압(V3)을 입력받아, 제2 메인 릴레이(20)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제3 전압(V3)을 상기 제2 전압 감지부(320)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V3)이 기준전압(VT2) 이상일 경우에 제2 메인 릴레이(20)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시구간 T5에서 시스템은 다시 대기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 경우 제1 메인 릴레이(10), 제2 메인 릴레이(2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여전히 오프 상태이다. 시구간 T5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계속해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칭부(420)는 다시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시구간 T6에서는 제1 메인 릴레이(1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여전히 오프 상태가 유지되고, 제2 메인 릴레이(20)만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시구간 T6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미동작 상태(즉, 제2 메인 릴레이(2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대로 전환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시구간 T6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계속해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3=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3 전압 측정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하고, 제3 전압 측정부(130)와 제2 전압 감지부(320)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한다.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일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 사이의 제3 전압(V3)을 측정한다. 또한,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제2 스위칭부(42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2 전압 감지부(320)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제3 전압(V3)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2 전압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제3 전압(V3)을 입력받아, 제2 메인 릴레이(20)의 미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제3 전압(V3)을 상기 제2 전압 감지부(320)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V3)이 기준전압(VT3)보다 작은 경우에 제2 메인 릴레이(20)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시구간 T7에서는 제1 메인 릴레이(10)는 오프 상태가 유지되고, 제2 메인 릴레이(20)는 온 상태가 유지되며,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시구간 T7에서는 프리차지 릴레이(30)의 미동작 상태(즉, 프리차지 릴레이(3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대로 전환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시구간 T7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계속해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4=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2 전압 측정부(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하고, 제2 전압 측정부(130)와 제2 전압 감지부(320)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한다.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2 전압 측정부(120)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타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 사이의 제2 전압(V2)을 측정한다. 이때, 제2 전압 측정부(120)에서는 어느 정도 안정된 값의 제2 전압(즉, 부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프리차지 릴레이(30)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소정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제2 전압(V2)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이란 부하의 양단에 접속된 커패시터(미도시)가 프리차지 릴레이(30)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 시간은 약 2.33×R(프리차지 저항값)×C(부하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제2 스위칭부(42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2 전압 감지부(320)는 상기 제2 전압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제2 전압(V2)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2 전압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제2 전압(V2)을 입력받아, 프리차지 릴레이(30)의 미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2 전압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제2 전압(V2)을 제2 전압 감지부(320)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V2)이 기준전압(VT4)보다 작은 경우에 프리차지 릴레이(30)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시구간 T8에서 제2 메인 릴레이(2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온 상태가 유지되고, 제1 메인 릴레이(10)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시구간 T8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계속해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칭부(420)는 계속해서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시구간 T9는 차량의 주행 중 차량용 릴레이의 동작을 나타낸다. 시구간 T9에서 제1 메인 릴레이(10) 및 제2 메인 릴레이(20)는 온 상태가 유지되고,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시구간 T9에서는 제1 메인 릴레이(10)의 미동작 상태(즉, 제1 메인 릴레이(1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대로 전환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시구간 T9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계속해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5=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제2 전압 측정부(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하고, 제2 전압 측정부(130)와 제2 전압 감지부(320)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시구간 T8에서 제2 스위칭부(420)가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이미 연결되어 제2 전압(V2)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시구간 T9에서는 제어부(600)가 구동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제2 전압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제2 전압(V2)을 입력받아, 제1 메인 릴레이(10)의 미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상기 제2 전압 감지부(320)를 통해 제2 전압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제2 전압(V2)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V2)이 기준전압(VT5)보다 작은 경우에 제1 메인 릴레이(10)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시구간 T10은 차량의 시동 오프(또는, 키 오프) 시 차량용 릴레이의 동작을 나타낸다. 시구간 T10에서는 제1 메인 릴레이(10)는 온 상태가 유지되고,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오프 상태가 유지되며, 제2 메인 릴레이(20)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시구간 T10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융착 여부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구간 T10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계속해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6=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제2 전압 측정부(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하고, 제2 전압 측정부(130)와 제2 전압 감지부(320)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시구간 T9에서 제2 스위칭부(420)가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이미 연결되어 제2 전압(V2)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시구간 T10에서는 제어부(600)가 구동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제2 전압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제2 전압(V2)을 입력받아, 제2 메인 릴레이(20)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상기 제2 전압 감지부(320)를 통해 제2 전압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제2 전압(V2)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V2)이 기준전압(VT6) 이상일 경우에 제2 메인 릴레이(20)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시구간 T11 역시 차량의 시동 오프(또는, 키 오프) 시 차량용 릴레이의 동작을 나타낸다. 시구간 T11에서 제2 메인 릴레이(2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오프 상태가 유지되고, 제1 메인 릴레이(10)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시구간 T11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계속해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7=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부(420)는 계속해서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시구간 T12에서는 제1 메인 릴레이(10) 또는 프리차지 릴레이(30)의 융착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1 전압 측정부(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명령부(210)에 출력하고, 제1 전압 측정부(110)와 제1 전압 감지부(310)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1 명령부(210)에 출력한다. 제1 명령부(210)는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1 전압 측정부(11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1 전압 측정부(110)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타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일단 사이의 제1 전압(V1)을 측정한다. 또한, 제1 명령부(210)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제2 스위칭부(41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1 전압 감지부(310)는 상기 제1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제1 전압(V1)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1 전압 감지부(310)에서 감지되는 제1 전압(V1)을 입력받아, 제1 메인 릴레이(10) 또는 프리차지 릴레이(30)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1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제1 전압(V1)을 제1 전압 감지부(310)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1 전압(V1)이 기준전압(VT7) 이상일 경우에 제1 메인 릴레이(10) 또는 프리차지 릴레이(30)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시구간 T13에서 시스템은 대기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 경우 제1 메인 릴레이(10), 제2 메인 릴레이(20) 및 프리차지 릴레이(30)는 여전히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시구간 T13에서 제1 스위칭부(410)는 상기 시구간 T12와 마찬가지로 제4 전압 측정부(140)에 연결되어 제1 전압 감지부(310)로 하여금 제4 전압(V4)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상기 제4 전압(V4)에 소정의 상수(예를 들어, 0.9)를 곱한 값을 기준전압(예를 들어, VT8=0.9×V4)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부(420)는 계속해서 제2 전압 측정부(1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시구간 T14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융착 여부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3 전압 측정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하고, 제3 전압 측정부(130)와 제2 전압 감지부(320)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제2 명령부(220)에 출력한다.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제3 전압 측정부(13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는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을 접지로 하여, 제1 메인 릴레이(10)의 일단과 제2 메인 릴레이(20)의 타단 사이의 제3 전압(V3)을 측정한다. 또한, 제2 명령부(220)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제2 스위칭부(42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2 전압 감지부(320)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제3 전압(V3)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2 전압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제3 전압(V3)을 입력받아, 제2 메인 릴레이(20)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3 전압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제3 전압(V3)을 제2 전압 감지부(320)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V3)이 기준전압(VT8)보다 큰 경우에 제2 메인 릴레이(20)를 융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메인 릴레이 20: 제2 메인 릴레이
30: 프리차지 릴레이 35: 프리차지 저항
40: 배터리팩
41: 제1 전극단자 42: 제2 전극단자
50: 부하
100: 전압 측정부
110: 제1 전압 측정부 120: 제2 전압 측정부
130: 제3 전압 측정부 140: 제4 전압 측정부
200: 명령부
210: 제1 명령부 220: 제2 명령부
300: 전압 감지부
310: 제1 전압 감지부 320: 제2 전압 감지부
400: 스위칭부
410: 제1 스위칭부 420: 제2 스위칭부
500: 증폭부
510: 제1 증폭부 520: 제2 증폭부
600: 제어부

Claims (12)

  1. 일단이 차량용 배터리팩의 제1 전극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부하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 메인 릴레이와, 일단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팩의 제2 전극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부하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2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프리차지 릴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일단 사이의 제1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타단 사이의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일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타단 사이의 제3 전압을 측정하는 제3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일단과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일단 사이의 제4 전압을 측정하는 제4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상기 제3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4 전압 측정부에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명령부;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상기 제3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4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명령부에 출력하고,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4 전압 측정부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부는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4 전압 측정부에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전달하는 제1 명령부와,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 상기 전압 측정 구동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칭부에 전달하는 제2 명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 신호에 따른 상기 제1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4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제1 전압 감지부와, 상기 스위칭부 구동신호에 따른 상기 제2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전압 측정부 또는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제2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2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2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1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또는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3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3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에서,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2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는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소정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는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2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메인 릴레이를 미동작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이고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2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2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이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1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1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또는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온 상태이고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3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3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3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융착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0170047948A 2017-04-13 2017-04-13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32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48A KR102322753B1 (ko) 2017-04-13 2017-04-13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CN201810322654.4A CN108725351B (zh) 2017-04-13 2018-04-11 车辆用继电器的故障诊断***
US15/951,608 US10663506B2 (en) 2017-04-13 2018-04-12 System for diagnosing fault of relay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48A KR102322753B1 (ko) 2017-04-13 2017-04-13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530A KR20180115530A (ko) 2018-10-23
KR102322753B1 true KR102322753B1 (ko) 2021-11-05

Family

ID=6378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948A KR102322753B1 (ko) 2017-04-13 2017-04-13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63506B2 (ko)
KR (1) KR102322753B1 (ko)
CN (1) CN108725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314A (ko) * 2019-03-18 2020-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 릴레이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210066035A (ko) 2019-11-27 2021-06-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프리차지 장치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3406486B (zh) * 2020-03-17 2024-05-24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继电器检测电路、检测方法、继电器、动力***及汽车
KR20210152637A (ko) * 2020-06-08 2021-12-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릴레이 진단 장치, 릴레이 진단 방법, 배터리 시스템 및 전기 차량
KR20210157104A (ko) *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융접합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CN112277647B (zh) * 2020-10-30 2021-11-05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管理***及车辆
KR20230036799A (ko)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융접합 보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253A (ja) * 2005-12-16 2007-06-28 Panasonic Ev Energy Co Ltd 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696A1 (ja) * 2003-03-31 2004-10-14 Nec Lamilion Energy Ltd. リレー接点の溶着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2007329045A (ja) * 2006-06-08 2007-12-20 Nissan Motor Co Ltd リレー故障診断装置
JP5450144B2 (ja) 2010-02-10 2014-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搭載する車両
KR20130032504A (ko) * 2011-09-23 2013-04-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릴레이 모니터링 회로
KR20130069002A (ko) * 2011-12-16 2013-06-26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13225996A (ja) * 2012-04-22 2013-10-31 Denso Corp 電源制御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KR101953121B1 (ko) * 2012-11-14 2019-02-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667635B1 (ko) * 2013-10-24 2016-10-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전압 릴레이 고장 진단 장치 및 이의 방법
CN104833911A (zh) * 2014-05-21 2015-08-1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中的继电器的故障判断方法和装置
KR102210282B1 (ko) * 2014-05-30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253A (ja) * 2005-12-16 2007-06-28 Panasonic Ev Energy Co Ltd 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9500A1 (en) 2018-10-18
CN108725351B (zh) 2023-08-29
CN108725351A (zh) 2018-11-02
KR20180115530A (ko) 2018-10-23
US10663506B2 (en)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753B1 (ko)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101750073B1 (ko) 릴레이 융착 모니터링 회로
US9024646B2 (en) Circuit for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US10222423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JP6201160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リレー異常検出方法
KR101953121B1 (ko) 배터리 시스템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방법
JP5729394B2 (ja) 充電装置及び導通状態判定方法
CN105109347A (zh) 电动汽车高压上电电路及其控制方法
KR20140136844A (ko)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US10495692B2 (en) Battery monitor
US9411004B2 (en) Continuous leakage detection circuit with integrated robustness check and balanced fault detection
US20150357838A1 (en) Battery system
JP2013219955A (ja) 電源装置
JP6781212B2 (ja) 地絡検出装置
JP5615342B2 (ja) 漏電検知装置
KR20130096481A (ko) 릴레이 시퀀스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285714A (ja) 電池電圧検出装置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異常検出方法
KR20210002971A (ko)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EP3570057B1 (en) Relay-welding detection device
JP6804320B2 (ja) 地絡検出装置、電源システム
US20170001533A1 (en)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KR102642100B1 (ko) 릴레이의 고장 진단 방법
US20210311100A1 (en) Internal resistance detection device and power source device
JP6195547B2 (ja) 漏電検出装置
JP6003691B2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