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648B1 -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648B1
KR102320648B1 KR1020210035813A KR20210035813A KR102320648B1 KR 102320648 B1 KR102320648 B1 KR 102320648B1 KR 1020210035813 A KR1020210035813 A KR 1020210035813A KR 20210035813 A KR20210035813 A KR 20210035813A KR 102320648 B1 KR102320648 B1 KR 10232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nit
region
area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선
유정목
Original Assignee
유병선
유정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선, 유정목 filed Critical 유병선
Priority to KR102021003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648B1/ko
Priority to PCT/KR2022/003117 priority patent/WO20221969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3Holders, support devices for receptacles, e.g. for drainage or urine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단에 위치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3 영역에 용변구가 관통되어 형성된 침대부, 상기 용변구의 하부에 위치된 변기부, 상기 침대부의 상기 용변구를 개폐하는 개폐본체부 및 상기 개폐본체부를 이동시키는 개폐이동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3 영역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우거나,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하도록 원위치시키는 상단젖힘부,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3 영역에 대하여 경사지게 내리거나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하도록 원위치시키는 하단젖힘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되되 상기 침대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허리바 및 상기 허리바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허리이동부를 포함하는 허리승하강부, 상기 침대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안전부, 상기 측면안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의복을 탈착하는 탈착의부, 상기 침대부에 상기 침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판부, 상기 식판부에 상기 침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제1 가림부,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변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자동화를 통해 사용자와 보호자에게 편의를 부여하는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Automatic feces treatment device for patient bed}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혼자서 화장실에 갈 수 없는 와상 환자 및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에게 가장 힘든 것은 환자의 용변처리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환자, 가족, 간병인, 의료시설 등 모두의 고민일 수 밖에 없다.
환자는 용변을 위하여 기저귀를 착용해야 하며 간병인이 용변 배설물을 닦아주고 기저귀를 갈아주는 과정에서 심각한 수치심과 자존감을 잃어버려 삶의 의욕을 상실하게 되고, 간병인은 불결한 냄새와 비 위생적으로 용변을 처리해야 함에 따라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고 환자를 닦아주고 기저귀를 갈아주는 과정에서의 체력 소모가 매우 심하기 때문에 간병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환자가 요양병원에 입원할 경우 요양시설에서는 생활공간 오염 및 기저귀 등 용변 처리 쓰레기로 감염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를 화장실까지 이동시키지 않고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기가 설치된 환자용 배변침대 및 배변처리장치에 대한 기술이 많이 제공되어 왔으나, 환자의 용변활동이 필요할 경우 간병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며 용변처리에 필요한 물탱크 및 용변통 관리의 불편함과 용변의 위생적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악취 발생으로 환자의 생활공간이 오염되고 주변인들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 10-2018-0103406호 등이 있으나 환자의 자율적 용변을 위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용변의 완벽한 위생처리를 할 수 없어 환자의 간병인 및 보호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병인 도움 없이 환자 혼자서 스스로 자율적으로 용변활동을 할 수 있어 용변에 대한 수치심을 해소할 수 있는 용변활동 보조 장치와 간병인의 용변처리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생활공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완벽한 위생적 처리가 가능한 장치에 대한 자동화가 이루어져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는, 양단에 위치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3 영역에 용변구가 관통되어 형성된 침대부, 상기 용변구의 하부에 위치된 변기부, 상기 침대부의 상기 용변구를 개폐하는 개폐본체부 및 상기 개폐본체부를 이동시키는 개폐이동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3 영역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우거나,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하도록 원위치시키는 상단젖힘부,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3 영역에 대하여 경사지게 내리거나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하도록 원위치시키는 하단젖힘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되되 상기 침대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허리바 및 상기 허리바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허리이동부를 포함하는 허리승하강부, 상기 침대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안전부, 상기 측면안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의복을 탈착하는 탈착의부, 상기 침대부에 상기 침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판부, 상기 식판부에 상기 침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제1 가림부, 및 상기 개폐부, 상기 상단젖힘부, 상기 하단젖힘부, 상기 허리승하강부, 상기 탈착의부, 상기 식판부 및 상기 제1 가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가 용변준비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식판부가 상기 용변구 설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가림부가 상기 식판부에 대하여 인출 이동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가리며,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들리고 상기 탈착의부가 탈의하며, 상기 개폐부가 상기 용변구를 개방하고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하강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내려오며, 상기 상단젖힘부와 상기 하단젖힘부가 동작하여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에 대해 경사지게 세워지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에 대해 경사지게 내려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가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상단젖힘부와 상기 하단젖힘부가 동작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해지도록 원위치되며,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들리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용변구를 폐쇄하며 상기 탈착의부가 착의하고,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하강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내려오며, 상기 제1 가림부가 상기 식판부에 대하여 수납 이동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개방하고, 상기 식판부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안전부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수동 방식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가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용변 완료 후 상기 변기부에 대한 세척 및 사용자에 대한 세정을 수행하는 세척세정부 및 용변을 외부로 이송 처리하는 용변이송부를 포함하는 후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처리부의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상단젖힘부 및 상기 하단젖힘부의 동작 이전 상기 후처리부가 동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처리부는 용변 완료 후 사용자 또는 상기 변기부에 대한 건조 및 탈취를 수행하는 건조탈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는, 개폐부가 환자의 용변 시 간병인 도움 없이 용변이 가능한 편리성을 제공하며, 변기부가 용변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젖힘부와 하단젖힘부를 통해 환자의 용변시 편안한 자세를 만들어줄 수 있어 사용자와 보호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허리승하강부가 허리를 든 상태에서 탈착의부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의복을 탈착하고 용변구가 개폐되어 환자의 신체 하중을 분산함으로서 하여 환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고 옷을 벗기거나 입할 수 있으며 용변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안전정을 제공하며, 용변 시 제1 가림부가 용변구 주변을 가려줘 사용자의 수치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판부는 환자의 용변시 환자 앞쪽으로 이동하여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앞으로 넘어지지 않게 하는 안전성을 제공하며, 식사 등 테이블로서의 이용이 필요할 때 간병인 도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자동화가 이루어져 사용자와 보호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침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침대부 중 제1 영역과 상단젖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침대부 중 제2 영역과 하단젖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허리승하강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측면안전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탈착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식판부와 제1 가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식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제2 가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리모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침대부(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은 침대부(110), 개폐부(130), 상단젖힘부(140; 도 5에 도시), 하단젖힘부(150; 도 6 및 도 7에 도시), 허리승하강부(160), 측면안전부(170), 탈착의부(180), 식판부(190), 제1 가림부(200) 및 제어부(210; 도 18에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침대부(110)는 환자나 장애인 등 사용자가 누워서 생활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침대부(110)에는 침대부(110)를 관통하는 용변구(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용변구(114)는 대략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침대부(110)의 상부에는 매트릭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매트리스는 개폐부(130), 상단젖힘부(140), 하단젖힘부(150), 허리승하강부(160) 각 부분에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개폐부(130), 상단젖힘부(140), 하단젖힘부(150), 허리승하강부(160)의 상부에 고정 부착되거나 탈착 가능한 형태로 부착되어 제어부(210)의 제어신호로 동작될 때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침대부(110)는 제1 영역(111),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은 양단, 예를 들어 제1 영역(111)은 사용자의 머리쪽, 제2 영역(112)은 사용자의 발쪽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3 영역(113)은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침대부(110)에 누우면 대략 상체는 제1 영역(111)에 위치되고 허리 일부, 엉덩이와 허벅지 일부는 제3 영역(113)에 위치되며 허벅지 나머지 일부와 종아리 및 발은 제2 영역(112)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1)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제3 영역(113)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워지거나 제3 영역(113)과 평행해지도록 원위치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영역(112)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제3 영역(113)에 대하여 경사지게 내려지거나 제3 영역(113)과 평행해지도록 원위치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용변구(114)는 움직이지 않는 제3 영역(113)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변기부(12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곳으로 용변구(114)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개폐부(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개폐부(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개폐부(1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개폐부(130)는 침대부(110)의 용변구(114)를 개폐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개폐부(130)는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용변구(114)를 막아 침대부(110) 상에서 사용자가 용변구(114)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용변구(1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직접 용변구(114)를 개폐하는 개폐본체부(131)와 개폐본체부(131)를 이동시키는 개폐이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본체부(1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본체부(131)가 침대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제3 영역(113)의 적어도 일부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개폐본체부(131)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개폐본체부(131)가 제3 영역(113)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개폐이동부(132)는 전동실린더로 구현되어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개폐본체부(131)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침대부(110) 중 제1 영역(111)과 상단젖힘부(1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단젖힘부(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단젖힘부(140)는 침대부(110)의 제1 영역(111)의 적어도 일부를 제3 영역(113)에 대해 세우거나 원위치시키는 부재이다. 상단젖힘부(140)는 전동실린더(141)를 포함하여 제어부(210)의 제어신호 중 용변준비신호를 받으면 침대부(110)의 제1 영역(111) 하부에 위치된 전동실린더(141)를 확장시켜 침대부(110)의 제1 영역(111) 적어도 일부를 제3 영역(113) 및 제1 영역(111)의 나머지 일부에 대하여 세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침대부(110) 상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상체가 세워질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111)의 세워지는 부분은 폭방향 외곽에 위치되는 제1-1 영역(115)과 제1-2 영역(116), 제1-1 영역(115)과 제1-2 영역(116) 사이에 위치된 제1-3 영역(117)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단젖힘부(140)가 별도의 전동실린더를 더 포함하거나 링크구조(142) 등을 활용해 제1 영역(111)을 세우는 전동실린더(141)의 확장되는 힘을 이용하여 제1-1 영역(115)과 제1-2 영역(116)을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경사지게 접을 수 있으며, 이에 중증 환자로 신체에 힘이 별로 없는 사용자의 신체가 양옆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 영역(117)에는 도 5와 같이 큰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홀을 통해 엎드려 누워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하부 방향에서 보호자가 씻겨주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반대로 제어부(210)가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면 상단젖힘부(140)는 다시 제1-1 영역(115)과 제1-2 영역(116)을 제1-3 영역(117)과 평행하게, 그리고 제1 영역(111)의 세워진 부분을 제3 영역(113)과 평행하게 원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신체는 다시 누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침대부(110) 중 제2 영역(112)과 하단젖힘부(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하단젖힘부(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단젖힘부(150)는 침대부(110)의 제2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를 제3 영역(113)에 대해 내리거나 원위치시키는 부재이다. 하단젖힘부(150)는 회전봉(151)과 예를 들어 전동실린더로 구현된 내림이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젖힘부(150)는 제어부(210)의 제어신호 중 용변준비신호를 받으면 침대부(110)에 인접하게 위치된 내림이동부(152)를 축소시키며, 이에 내림이동부(152)의 끝에 연결된 회전봉(151)이 내림이동부(152)의 축소에 따라 도 7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침대부(110)의 제2 영역(112) 적어도 일부를 제3 영역(113)에 대해 내릴 수 있다. 이에 침대부(110) 상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이 앉아있을 때와 같이 허벅지에 대하여 접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12)의 내려지는 부분은 회전봉(151)과 고정 연결된 제2-1 영역(118) 및 제2-1 영역(118)의 끝단으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제2-2 영역(1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영역(119)은 팔목 관절과 같이 제2-1 영역(118)에 대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는 접힐 수 있으나 다른 방향으로는 180°를 넘어 절곡될 수 없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을 기준으로는 제2-2 영역(119)이 제2-1 영역(118)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80°를 넘어 절곡되는 것이 가능하나, 시계 방향으로는 180°를 넘어 절곡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2 영역(119)은 제2-1 영역(118)과 연결된 부위 외 고정되어 있지 않아 자중에 의해 절곡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6의 상태에서는 제2-2 영역(119)이 제2-1 영역(118)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는 180°를 넘어 절곡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제2-1 영역(118)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7과 같이 하단젖힘부(150)가 동작하여 제2-1 영역(118)이 경사지게 내려가면 제2-2 영역(119)의 끝단이 지면에 맞닿으면서 제2-1 영역(118)에 대해 절곡되어 제2-1 영역(118)과 제2-2 영역(119)이 전체적으로 "ㄴ"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종아리가 제2-1 영역(118)을 따라 세워져 위치되고 발이 제2-2 영역(119)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단젖힘부(140)와 하단젖힘부(150)의 동작에 따르면 상단젖힘부(140)가 제1 영역(111)의 적어도 일부를 세우고 하단젖힘부(150)가 제2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를 내렸을 때 전체적으로 의자와 같은 형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용변을 하기 적합한 자세가 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허리승하강부(160)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8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허리승하강부(16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거동이 매우 불편하여 혼자서 옷을 입거나 벗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탈착의부(180)가 작동하여 환자의 의복을 탈착시킬 수 있는데, 환자의 의복을 탈착하려 해도 사용자의 몸무게 때문에 허리를 들어주지 않으면 옷이 제대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용변구(114) 개폐시에도 사용자의 몸무게가 개폐본체부(131)에 지지되어 용변구(114) 개폐시 환자의 신체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따라서, 탈착의부(180) 동작 전과 개폐부(130) 동작 전에 사용자의 허리를 들어주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허리승하강부(160)는 사용자의 의복을 탈착할 때 또는 용변구를 개폐할 때 사용자의 허리를 들어주는 부재이다. 여기서, 허리승하강부(160)는 사용자의 허리를 들어줄 수 있도록 제3 영역(11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침대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허리바(161)와, 예를 들어 허리바(161)의 하부에 연결된 전동실린더로 구현되어 허리바(161)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허리이동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승하강부(160)와 탈착의부(180) 및 개폐부(1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10)가 용변준비신호를 송신하면 허리승하강부(160)가 동작하여 허리이동부(162)가 허리바(161)를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들며, 이러한 상태에서 탈착의부(180)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의복을 잡고 벗기기 편할 수 있고, 개폐부(130)가 용변구(114)를 개폐시킬 때 개폐본체부(131)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다, 탈착의부(180) 및 개폐부(130) 동작이 완료되면 허리승하강부(160)가 다시 동작하여 허리이동부(162)가 허리바(161)를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내려 용변을 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용변이 완료되고 제어부(210)가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면 허리승하강부(160)가 동작하여 허리이동부(162)가 허리바(161)를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들며, 이러한 상태에서 탈착의부(180)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의복을 잡고 입히기 편할 수 있고, 개폐부(130)가 동작하여 용변구(114) 폐쇄가 완료되면 허리승하강부(160)가 다시 동작하여 허리이동부(162)가 허리바(161)를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내려 쉬는 자세를 유지해줄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측면안전부(170)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탈착의부(180)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측면안전부(170) 및 탈착의부(18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측면안전부(170)은 환자용, 병원용 침대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며 환자 등이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활동을 할 때 안전난간 역할을 하도록 침대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측면안전부(170) 내에는 후술하는 탈착의부(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탈착의부(180)는 사용자의 의복, 즉 용변을 하기 위해 하의을 탈착하는 부재로, 예를 들어 사용자 의복 연결끈(181) 및 사용자 의복 연결끈(181)과 연결되어 사용자 의복 연결끈(181)를 수평 방향으로 침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의복 이동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용변준비 시 사용자 의복 연결끈(181)을 사용자의 의복에 연결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전동실린더로 구현된 의복 이동부(182)가 확장되어 사용자 의복 연결끈(181)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의복을 벗기고, 용변완료 시 의복 이동부(182)가 축소되어 사용자 의복 연결끈(181)이 다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의복을 입힐 수 있다. 이러한 탈착의부(180)는 평소 사용자 의복 연결끈(181)이 대략 제3 영역(113)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측면안전부(170)가 침대부(1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탈착의부(180)도 양측의 측면안전부(170) 모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식판부(190)와 제1 가림부(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식판부(1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식판부(190)와 제1 가림부(2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식판부(190)는 식사 시 사용자의 식판이 되고 환자가 앞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부분으로 침대부(110)에 대하여 침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판부(190)는 식판본체부(191)와 식판본체부(191)를 이동시키는 식판이동부(1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식판이동부(192)는 전동실린더로 구현되어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식판본체부(191)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실린더로 구현된 식판이동부(192)가 확장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면서 식판이동부(192)가 축소되면 식판본체부(191)가 사용자의 상체방향으로 이동되고, 식판이동부(192)가 확장되면 식판본체부(191)가 사용자의 다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혹은 역으로 전동실린더로 구현된 식판이동부(192)가 축소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면서 식판이동부(192)가 확장되면 식판본체부(191)가 사용자의 상체 방향으로 이동되고, 식판이동부(192)가 축소되면 식판본체부(191)가 사용자가 다리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식판이동부(192)에 의해서 식판본체부(190)가 침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침대부(110)의 제2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에는 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식판본체부(191) 하부에 바퀴(미도시)가 구비되어 식판본체부(191)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식판부(190)에는 제1 가림부(200)가 설치될 설치영역(19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림부(200)는 용변 시 사용자의 항문이나 생식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용변구(114) 주변을 가려주는 부재이다. 제1 가림부(200)는 식판부(19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림본체부(201) 및 가림본체부(201)에 연결되어 가림본체부(201)를 식판부(190)에 대해 수평 이동시키는 가림이동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이동부(202)는 예를 들어 전동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림이동부(202)에 의해 가림본체부(201)는 식판부(190)의 하부에 수납되었다가 인출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림이동부(202)가 확장되면 가림본체부(201)가 식판부(19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용변구(114) 주변으로 이동되고, 가림이동부(202)가 축소되면 가림본체부(201)가 식판부(190)에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식판부(190)의 하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림부(200)는 외곽을 이루는 본체 와이어나 봉에 천소재가 본체 와이어나 봉의 내부 쪽에 위치되게 연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가림부(200)에 의해 사용자의 용변 시 모습이 가려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식판부(190)와 제1 가림부(2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10)가 용변준비신호를 송신하면 식판부(190)가 동작하여 식판부(190)가 사용자의 상체 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 가림부(200)가 식판부(190)로부터 수평 인출되어 사용자의 용변 모습을 가릴 수 있다. 이후 용변이 완료되고 제어부(210)가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면 제1 가림부(200)가 식판부(190)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수납됨으로써 용변구(114) 주변이 개방되며, 식판부(190)가 사용자의 다리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원위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제2 가림부(2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제2 가림부(22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가림부(220)는 측면안전부(170)의 외부에 위치되며, 용변구(114)의 주변을 수동 방식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가림부(200)와 제2 가림부(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동시에 사용하여 이중으로 용변 모습을 가릴 수 있어 수치심 제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의 후처리부(2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후처리부(230)는 용변 완료 후 후처리를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세척세정부(231), 및 용변이송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세정부(231)는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변기부(120)에 대한 세척 및 사용자에 대한 세정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변기부(120)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제1 세척세정부(231a) 및 사용자의 주요 부위를 세정하는 제2 세척세정부(231b)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세면을 위한 세면대(110a)와도 연결될 수 있다. 용변이송부(232)는 변기부(120)와 연결되어 배설된 용변을 화장실의 오배수관에 연결하여 처리할 수 있거나, 화장실의 오배수관에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교체 가능한 용변처리통에 연결하여 용변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후처리부(230)의 동작은 개별로 또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230)는 상기 세척세정부(231) 및 용변이송부(232)에 추가적으로 건조탈취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부(233)는 세정이 완료된 사용자의 생식기 또는 항문 주변을 건조하고 탈취하기 위한 부재로, 변기부(120)에 건조탈취부(233)와 연결된 토출구(미도시) 및 흡입구(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토출구(미도시)를 통해 건조한 바람이 토출되어 사용자와 변기부(120)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고,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변기부(120) 주위의 공기가 건조탈취부(233)로 빨아들여져 악취가 신속하게 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후처리부(230)의 동작은 개별로 또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가능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앞에서 설명한 침대부(110), 변기부(120), 개폐부(130), 상단젖힘부(140), 하단젖힘부(150), 허리승하강부(160), 측면안전부(170), 탈착의부(180), 식판부(190), 제1 가림부(200), 제어부(210), 세척세정부(231), 용변이송부(232), 건조탈취부(233)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9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제어부(210)를 콘트롤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부(24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제어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제어부(210)는 개폐부(130), 상단젖힘부(140), 하단젖힘부(150), 허리승하강부(160), 탈착의부(180), 식판부(190) 및 제1 가림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추가적으로 후처리부(230)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제어부(210)가 제어한다는 의미는 센서 신호에 따라 또는 시작과 종료 스위치 1번의 동작만으로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재(개폐부, 상단젖힘부, 하단젖힘부, 허리승하강부, 탈착의부 등)를 각각 동작시키는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들을 개별 동작시키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제어부(210)는 리모콘부(240)의 작동에 의해서, 예컨대 "준비", "처리', "복귀" 등의 버튼이나 개별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개폐부(130), 상단젖힘부(140), 하단젖힘부(150), 허리승하강부(160), 탈착의부(180), 식판부(190), 제1 가림부(200)나 후처리부(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센싱 또는 스위치 동작에 따라 용변준비 시에는 "용변준비신호"를, 용변완료 시에는 "용변완료신호"를 다른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에 도시한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0를 참고하여 용변준비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용변준비가 완료되어 센서가 이를 센싱하거나 사용자가 도 19 리모컨부(240)에서 준비 스위치(241)를 누르면 제어부(210)가 용변준비신호를 송신하여, 먼저, 식판부(190)가 사용자의 상체 방향으로 이동되고(S110), 다른 사람들이 사용자의 용변 모습을 볼 수 없도록 제1 가림부(200)가 식판부(190)로부터 인출되어 사용자의 주요부위 주변을 가릴 수 있다(S120). 다음, 허리승하강부(160)가 상승 동작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들고(S130), 탈착의부(180)가 사용자의 의복을 벗기며(S140), 개폐부(130)가 용변구(114)를 개방한 후(S150), 허리승하강부(160)가 다시 동작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내릴 수 있다(S160). 다음, 상단젖힘부(140)와 하단젖힘부(150)가 동작하여 제1 영역(111)의 적어도 일부가 제3 영역(113)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워지고, 제2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가 제3 영역(113)에 대하여 경사지게 내려가(S170), 침대부(110)가 전체적으로 의자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편히 용변을 할 수 있는 자세가 완성될 수 있다.
다음, 도 21을 참고하여 용변 후 처리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용변이 완료되어 센서가 이를 센싱하거나 사용자가 도 19 리모컨부(240)에서 처리스위치(242)를 누르면 제어부(210)가 용변처리신호를 송신하여, 먼저 변기부(120)에 대한 세척(S210)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대한 세정(S220)이 이루어지며, 잔여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변기부(120)를 중복 세척(S230) 한다. 다음, 건조탈취부(233) 토출구에서 건조한 바람이 토출(S240)되며, 흡입구를 통해 주변의 냄새를 빨아들인다(S250).
다음, 도 22을 참고하여 용변처리 완료 후 원상 복귀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용변이 완료되어 센서가 이를 센싱하거나 사용자가 도19 리모컨부(240)에서 복귀 스위치(243)를 누르면 제어부(210)가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여, 먼저, 용변준비 동작과 반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먼저 상단젖힘부(140)와 하단젖힘부(150)가 반대로 동작하여 제1 영역(11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가 제3 영역(113)과 평행하게 원위치되어 사용자는 다시 눕는 자세로 돌아오며(S310), 허리승하강부(160)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든 후(S320), 개폐부(130)가 동작하여 용변구(114)를 폐쇄하고(S330), 탈착의부(180)가 사용자의 의복을 입힐 수 있다(S340). 착의가 완료되면 허리승하강부(160)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다시 내린 후(S350), 제1 가림부(200)가 동작하여 다시 식판부(190)에 수납되고(S360), 식판부(190)가 동작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S370).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침대부 111 : 제1 영역
112 : 제2 영역 113 : 제3 영역
114 : 용변구 120 : 변기부
130 : 개폐부 140 : 상단젖힘부
150 : 하단젖힘부 160 : 허리승하강부
170 : 측면안전부 180 : 탈착의부
190 : 식판부 200 : 제1 가림부
210 : 제어부 220 : 제2 가림부
230 : 후처리부 240 : 리모컨부

Claims (6)

  1. 양단에 위치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3 영역에 용변구가 관통되어 형성된 침대부;
    상기 용변구의 하부에 위치된 변기부;
    상기 침대부의 상기 용변구를 개폐하는 개폐본체부 및 상기 개폐본체부를 이동시키는 개폐이동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3 영역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우거나,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하도록 원 위치시키는 상단젖힘부;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3 영역에 대하여 경사지게 내리거나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하도록 원 위치시키는 하단젖힘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되되 상기 침대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허리바 및 상기 허리바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허리이동부를 포함하는 허리승하강부;
    상기 침대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안전부;
    상기 측면안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의복을 탈착하는 탈착의부;
    상기 침대부에 상기 침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판부;
    상기 침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식판부에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식판부의 설치영역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제1 가림부;
    용변 완료 후 변기부에 대한 세척 및 사용자에 대한 세정을 수행하는 세척세정부 및 용변을 외부로 이송 처리하는 용변이송부를 포함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개폐부, 상기 상단젖힘부, 상기 하단젖힘부, 상기 허리승하강부, 상기 탈착의부, 상기 식판부, 상기 제1 가림부 및 상기 후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용변준비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식판부가 상기 침대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상기 제1 가림부가 상기 식판부에 대하여 수평 인출 이동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가리며,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들리고 상기 탈착의부가 탈의하며, 상기 개폐부가 상기 용변구를 개방하고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하강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내려오며, 상기 상단젖힘부와 상기 하단젖힘부가 동작하여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에 대해 경사지게 세워지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에 대해 경사지게 내려지며,
    상기 제어부가 용변처리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후처리부에 의해 상기 변기부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대한 세정이 이루어지며, 잔여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변기부에 대한 중복 세척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가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상단젖힘부와 상기 하단젖힘부가 동작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에 평행해지도록 원위치되며,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들리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용변구를 폐쇄하며 상기 탈착의부가 착의하고, 상기 허리승하강부의 상기 허리바가 하강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내려오며, 상기 제1 가림부가 상기 식판부에 대하여 수평 수납 이동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개방하고, 상기 식판부가 상기 침대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의 상기 제1 영역은 폭방향 외곽에 위치되는 제1-1 영역과 제1-2 영역, 및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1-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용변준비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상단젖힘부는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을 상기 제1-3 영역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으며,
    상기 제어부가 용변완료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상단젖힘부는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을 상기 제1-3 영역에 대하여 평행하게 원위치시키는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안전부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변구의 주변을 수동 방식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가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는 용변 완료 후 사용자 또는 상기 변기부에 대한 건조 및 탈취를 수행하는 건조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KR1020210035813A 2021-03-19 2021-03-19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KR10232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13A KR102320648B1 (ko) 2021-03-19 2021-03-19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PCT/KR2022/003117 WO2022196988A1 (ko) 2021-03-19 2022-03-04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13A KR102320648B1 (ko) 2021-03-19 2021-03-19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648B1 true KR102320648B1 (ko) 2021-11-02

Family

ID=7847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813A KR102320648B1 (ko) 2021-03-19 2021-03-19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0648B1 (ko)
WO (1) WO20221969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9247A (zh) * 2021-12-04 2022-03-11 河南孝道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床的全自动便后处理***
KR102484895B1 (ko) * 2022-05-02 2023-01-04 장종호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701A (ja) * 1996-11-05 1998-05-19 Tama Juki Kensetsu Kk 介護用ベッド
JPH11206822A (ja) * 1998-01-23 1999-08-03 Osakaya Shoji Kk 介護用ベッド
JP2000288040A (ja) * 1999-04-02 2000-10-17 Yusaku Kanbara 暖房付き寄りかかり台
KR20040027668A (ko) * 2004-02-23 2004-04-01 강대업 의자와 변기로 변환이 가능한 침대
KR200359358Y1 (ko) * 2004-01-20 2004-08-21 유기설 환자용 기능성 침대
JP3135134U (ja) * 2007-06-22 2007-09-06 セーレン株式会社 臭気拡散防止器具
KR20160067359A (ko) * 2014-12-04 2016-06-14 김강혁 병원침대용 식탁의 전후진 및 승하강 임시조절장치
CN211583923U (zh) * 2020-01-20 2020-09-29 山东协和学院 一种排便护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496B1 (ko) * 2006-05-25 2006-10-04 박신택 기능성 환자용 침대
KR102335876B1 (ko) * 2017-04-21 2021-12-06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117875B1 (ko) * 2019-07-08 2020-06-02 주식회사 일우텍 용변 자동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701A (ja) * 1996-11-05 1998-05-19 Tama Juki Kensetsu Kk 介護用ベッド
JPH11206822A (ja) * 1998-01-23 1999-08-03 Osakaya Shoji Kk 介護用ベッド
JP2000288040A (ja) * 1999-04-02 2000-10-17 Yusaku Kanbara 暖房付き寄りかかり台
KR200359358Y1 (ko) * 2004-01-20 2004-08-21 유기설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20040027668A (ko) * 2004-02-23 2004-04-01 강대업 의자와 변기로 변환이 가능한 침대
JP3135134U (ja) * 2007-06-22 2007-09-06 セーレン株式会社 臭気拡散防止器具
KR20160067359A (ko) * 2014-12-04 2016-06-14 김강혁 병원침대용 식탁의 전후진 및 승하강 임시조절장치
CN211583923U (zh) * 2020-01-20 2020-09-29 山东协和学院 一种排便护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9247A (zh) * 2021-12-04 2022-03-11 河南孝道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床的全自动便后处理***
KR102484895B1 (ko) * 2022-05-02 2023-01-04 장종호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6988A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584B1 (ko) 환자용 침대
KR102320648B1 (ko)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CN105232257B (zh) 一种带洗澡功能的医疗床
KR102198402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CN205251871U (zh) 一种带洗澡功能的医疗床
CN106344304A (zh) 具有洗浴、大小便清理功能的卧床病人护理床
JPH1156925A (ja) 多目的介護用ベッド
CN211986013U (zh) 一种新型易清理充气翻身床垫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CN211610418U (zh) 一种多功能护理床
JP2022528948A (ja) 排便排尿用下着および排便排尿の処理方法
CN108143554A (zh) 多功能护理床
CN2928076Y (zh) 多功能医疗保健护理床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KR100836783B1 (ko) 환자의 배설물 처리용 팬티
KR101288333B1 (ko) 배설물 처리장치
JP6968485B2 (ja) トイレ付車いす及び前記車いす用衣服
KR200413151Y1 (ko) 환자용 침대
CN110353913A (zh) 一种智能支撑点切换清洗床
CN215938018U (zh) 一种适用于瘫痪病人的护理病床
KR100307722B1 (ko) 수세식변기가부착된피간호인용침대
KR20210077162A (ko) 의료침대용 배변처리 자동화 시스템
CN210250215U (zh) 一种自携式坐便器
CN211300784U (zh) 一种消化内科用带有隐藏便盆的病床
JP3115087U (j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