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242B1 -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242B1
KR102318242B1 KR1020207002489A KR20207002489A KR102318242B1 KR 102318242 B1 KR102318242 B1 KR 102318242B1 KR 1020207002489 A KR1020207002489 A KR 1020207002489A KR 20207002489 A KR20207002489 A KR 20207002489A KR 102318242 B1 KR102318242 B1 KR 10231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battery
group
consuming device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469A (ko
Inventor
웨이 천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한다.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은 이미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일부분으로서 우리의 생활에 큰 편의를 가져온다. 하지만 내부 전자 부품의 수명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노화로 인해 내부 전자 부품에 누전이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에 누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외부 환경 요인이나 인적 요인으로 인해 내부 전자 부품에 누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이 습기가 큰 환경에서 오랫동안 사용되거나, 실수로 떨어뜨리거나 하면, 휴대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에 누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누전이 발생한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은 완전히 방전되어 사람들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한다.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 장치는 배터리,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검출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검출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가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프로세서는 검출 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 장치는 배터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또한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된다.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단말 장치의 누전을 검출한다. 단말 장치의 누전을 검출하는 것은,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것; 및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 검출 회로 및 전류 검출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품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이며, 본 발명을 해석하는 데에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장치 및 누전 검출 장치를 갖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는 유선 선로를 통해 접속되는 장치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발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선로는, 예를 들어,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연결 케이블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 라인 또는 네트워크 연결 라인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디지털 비디오 방송 핸드 헬드(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amplitude modulation-frequency modulation, AM-FM) 방송 송신기 및/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지칭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예시로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radio telephone), 무선 호출기(pager),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Internet/Intranet access),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노트북(notebook), 캘린더(calendar)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디지털 보조(Persona Digital Assistant, PDA); 및 일반 노트북 및/또는 휴대용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기능을 갖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를 포함한다.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는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분할된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되어 있으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단말 장치(100)의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 또는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각각 하나 또는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IC를 포함하고,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단말 장치(100)의 통신 네트워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를 나머지 컴포넌트와 구분하기 위해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가 출하될 때 미리 설정할 수 있고, 구매 후에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에 있거나 또는 단말 장치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된 후에 어댑터(200)는 단말 장치(100)의 충전을 정지한다. 이 때,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뽑지 않으면, 단말 장치(100)의 마더 보드 전력 소비 장치는 두개의 전원 회로를 가지며, 일부분 전력 소비 장치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예를 들어, 2G/4G 무선 주파수 전력 증폭기(줄여서 2G/4G PA라고 부른다) 등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 장치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며, 나머지 전력 소비 장치는 직접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0)의 중앙 처리 장치(CPU), 제어 칩 등이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단말 장치(100)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및 배터리(120) 외에 충전 인터페이스(130), 충전 모듈(140)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더 포함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인 경우,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장치(100)는 어댑터(200)에 연결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USB 인터페이스 또는 마이크로 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인 경우,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은 어댑터(200)의 무선 전력 송신 코일과 협력하여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수신 안테나일 수도 있다. 수신 안테나는 어댑터(200)의 송신 안테나와 협력하여 무선 전파를 통해 전력을 수신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커플링 전극 또는 동일한 진동 주파수를 갖는 코일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연결 관리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관리 회로는 충전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어댑터를 분리했는지 여부 등이다. 단말 장치(100)는 상태 관리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관리 회로는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데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연결 관리 회로 및 상태 관리 회로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그 중의 하나 또는 양자가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충전 모듈(140)은 충전 회로와 충전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의 일단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어 있고, 충전 회로의 타단은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통해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및 배터리(120)에 연결되어 있다.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인터페이스(130), 충전 회로, 충전 제어 스위치(150), 배터리(120) 및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충전 제어 회로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검출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만약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에 있고, 또한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수신한 후에 충전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충전 제어 회로에 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 회로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에 전력을 공급하며, 또한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배터리(120)가 완전히 충전되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배터리(120)의 충전을 정지하고, 또한 어댑터(200)와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댑터(200)와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분리된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를 제어하여 작동을 멈추도록 하고,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배터리(120)에 의해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를 제어하여 계속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중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검출하기 시작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중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고, 리셋 신호 및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하며, 그 후의 충전 과정은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에 있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 모듈(140)에 의해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 제어 스위치(150)는 전자 스위치 구성 요소로 구성된 스위치 회로이다.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스위치(150)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MOS 트랜지스터의 제 1 단부는 충전 회로의 양극 및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의 양극에 연결되고, MOS 트랜지스터의 제 2 단부는 배터리(120)의 양극과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의 양극에 연결되며, MOS 트랜지스터의 제어단은 충전 제어 회로에 연결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어댑터(200)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고, 또한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MOS 트랜지스터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런 경우, 충전 회로에 의해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또한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어댑터(200)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지만,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검출하면, MOS 트랜지스터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런 경우, 여전히 충전 회로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어댑터(200)와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분리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면, MOS 트랜지스터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런 경우, 배터리(120)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단말 장치(100)의 충전 과정에서 어댑터(200)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되어 있으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단말 장치(100)와 어댑터(200)가 분리되면, 배터리(120)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므로, 이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누전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의 누전으로 인해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력 소비 장치는 두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그 중 하나의 그룹은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로 인한 단말 장치의 심각한 누전을 검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단말 장치의 경미한 누전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며, 예를 들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압 변화 및/또는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한다. 배터리의 전류 소비는 배터리가 전력을 소비할 때 배터리가 배치된 회로의 전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배터리의 전압 변화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 내에 배터리의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면 배터리가 맣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배터리의 전압이 천천히 떨어지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터리의 전압이 거의 변하지 않으면 배터리가 거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배터리의 전압 변화 한계치를 도입할 수도 있다. 일정 기간 내의 배터리의 전압 변화가 전압 변화 한계치보다 큰 경우, 배터리가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황이 그다지 나쁘지 않다.
또는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배터리의 전류 소비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가 많은 양의 전류를 소비하면 배터리가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배터리의 전류 소비양이 적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터리 전류 소비양이 적거나 또는 0이면 배터리가 거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는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고,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배터리 전압 변화 및 배터리의 전류 소비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전력 소비 정보의 정확성을 확보한다.
전압 검출 회로 및 전류 검출 회로는 도 3에 도시된 회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검출 회로(311)는 제 1 레지스터(R1) 및 제 2 레지스터(R2)를 포함한다. 제 1 레지스터(R1)의 일단은 배터리(120)의 양극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레지스터(R2)의 일단은 제 1 레지스터(R1)의 타단에 연결되고, 또한 제 1 노드를 갖고 있으며, 제 2 레지스터(R2)의 타단은 접지된다. 제 1 노드는 전압 검출 회로(311)의 출력단으로서 기능한다.
전류 검출 회로(312)는 제 8 레지스터(R8), 제 9 레지스터(R9), 제 10 레지스터(R10), 제 1 증폭기(X1) 및 제 11 레지스터(R11)를 포함한다. 제 8 레지스터(R8)의 일단은 배터리(120)의 음극에 연결되고, 제 8 레지스터(R8)의 타단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를 통해 배터리(120)의 양극에 연결된다. 제 8 레지스터(R8)는 전류 검출 레지스터이다. 제 9 레지스터(R9)의 일단은 제 8 레지스터(R8)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 10 레지스터(R10)의 일단은 제 8 레지스터(R8)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 1 증폭기(X1)는 제 9 레지스터(R9)의 타단에 연결된 음극 입력단과 제 10 레지스터(R10)의 타단에 연결된 양글 입력단을 포함한다. 제 11 레지스터(R11)는 제 1 증폭기(X1) 음극 입력단과 제 1 증폭기(X1)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증폭기(X1)의 출력단은 전류 검출 회로(312)의 출력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은 전압 검출 회로(311)를 통해 획득한 전압이 거의 일정하고(검출 오차가 있음을 고려함), 전류 검출 회로(312)를 통해 획득한 전류가 거의 0인 경우(검출 오차가 있음을 고려함), 배터리(120)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제어 모듈은 전압 검출 회로(311)를 통해 획득한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전류 검출 회로(312)를 통해 획득한 소비 전류가 0보다 큰 경우(검출 오차를 고려하면, 바람직하기로는 0에 가까운 값을 사용함), 배터리(120)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하여야만 하는 것은, 도 3에 도시된 회로 구성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회로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지 배터리의 전압 변화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도 3의 전류 검출 회로(312)를 생략할 수 있다. 단지 배터리의 전류 소비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도 3의 전압 검출 회로(311)를 생략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매개 변수만으로도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할 수 있다.
S2,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하지만 배터리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압 변화 및 배터리의 전류 소비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배터리가 소비하는 전류가 항상 0보다 크고 안정 상태에 있는 경우(즉, 배터리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음), 배터리에 연결된 장치에 누전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에 의하면,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누전을 발견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가 저전력 소비 상태에 있을 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다. 또한 저전력 소비 상태는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 및 파워 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블랙 스크린 상태에 있고, 통신 네트워크 장치 등이 작동 중지 상태에 있으며, 단지 시스템 핵심 장치(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IC)가 작동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파워 오프 상태'는 단말 장치의 모든 장치가 작동 중지 상태에 있고, 즉 단말 장치가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쉽게 설명하면, 단말 장치가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에 있는지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의 배터리가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통신 네트워크 장치와 같은 배터리 구동 장치의 전력 소비로 인한 누전 검출의 불정확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에 전력이 없거나 또는 저전력인 경우,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충전하는 것을 선택한다.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수신한 후에 충전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충전 제어 회로에 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 회로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예를 들면, MOS 트랜지스터)를 제어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며, 또한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배터리(12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어 있으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계속 충전 회로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충전 제어 회로는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누전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누전 검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충전 제어 회로는 어댑터와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사이의 충전 경로, 어댑터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사이의 충전 경로, 배터리와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사이의 충전 경로 및 배터리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사이의 충전 경로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충전 제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누전 검출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먼저 단말 장치(100)가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에 있는지 여부, 즉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중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중지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장치(100)의 누전 검출이 시작된다. 이 때, 배터리의 전압 변화 및/또는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획득하고, 배터리의 전압 변화 및/또는 배터리의 전류 소비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 내에 배터리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또는 배터리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음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또는 배터리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배터리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음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검출하기 시작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중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며, 리셋 신호 및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리셋 신호를 수신한 다음에 시동되고, 충전 중단 신호에 따라 충전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그 후의 충전 과정 및 누전 검출 과정은 단말 장치(100)가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표시하도록 단말 장치를 제어하고,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대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누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단말 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현재 상황을 제때에 알 수 있도록 누전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전 검출이 끝난 후에, 만약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를 안심히 사용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만약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즉시 수리하도록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의 지시 램프가 깜박이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램프를 제어하여 붉은 빛을 내도록 하고, 또한 높은 빈도로 깜박이도록 한다. 또는 단말 장치의 음성 방송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즉시 고객 서비스 아울렛에 가서 검사하고 수리한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알림 메시지를 무시하고 단말 장치를 계속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에게 여러번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적어도 세번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몇번이나 주의를 환기시켰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문제를 처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의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압 변화에 따라 단말 장치의 누전이 심각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일부 위험 장치(콘덴서 등)를 제한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 장치의 누전이 심각한 경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전원이 꺼지고 시동할 수 없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에 의하면,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이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며, 또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누전을 발견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즉시 주의를 환기시켜 제때에 수리하도록 하며, 누전으로 인한 잠재적인 안전 위험 및 사용 기간이 짧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사용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의하면,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을 실시한다.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이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며, 또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를 포함하고,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는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분할된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단말 장치(100)의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단말 장치(100)는 메모리(160) 및 프로세서(170)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160)에 저장된 단말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70)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누전 검츨 방법의 단계들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하면, 상기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이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며, 또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를 포함한다.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는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분할된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되어 있으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단말 장치(100)의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IC를 포함하고,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단말 장치(100)의 통신 네트워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즉,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된 후에 어댑터(200)는 단말 장치(100)의 충전을 정지한다. 이 때,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뽑지 않으면, 단말 장치(100)의 마더 보드 전력 소비 장치는 두개의 전원 회로를 가지며, 일부분 전력 소비 장치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예를 들어, 2G/4G 무선 주파수 전력 증폭기(줄여서 2G/4G PA라고 부른다) 등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 장치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며, 나머지 전력 소비 장치는 직접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0)의 중앙 처리 장치(CPU), 제어 칩 등이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단말 장치(100)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및 배터리(120) 외에 충전 인터페이스(130), 충전 모듈(140)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더 포함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인 경우,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장치(100)는 어댑터(200)에 연결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USB 인터페이스 또는 마이크로 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인 경우,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은 어댑터(200)의 무선 전력 송신 코일과 협력하여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수신 안테나일 수도 있다. 수신 안테나는 어댑터(200)의 송신 안테나와 협력하여 무선 전파를 통해 전력을 수신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30)는 커플링 전극 또는 동일한 진동 주파수를 갖는 코일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충전 모듈(140)은 충전 회로와 충전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의 일단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어 있고, 충전 회로의 타단은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통해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및 배터리(120)에 연결되어 있다.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인터페이스(130), 충전 회로, 충전 제어 스위치(150), 배터리(120) 및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충전 제어 회로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검출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만약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에 있고, 또한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수신한 후에 충전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충전 제어 회로에 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 회로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에 전력을 공급하며, 또한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배터리(120)가 완전히 충전되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배터리(120)의 충전을 정지하고, 또한 어댑터(200)와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댑터(200)와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분리된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를 제어하여 작동을 멈추도록 하고,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배터리(120)에 의해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를 제어하여 계속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중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검출하기 시작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중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고, 리셋 신호 및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하며, 그 후의 충전 과정은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에 있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 모듈(140)에 의해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 제어 스위치(150)는 전자 스위치 구성 요소로 구성된 스위치 회로이다.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스위치(150)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MOS 트랜지스터의 제 1 단부는 충전 회로의 양극 및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의 양극에 연결되고, MOS 트랜지스터의 제 2 단부는 배터리(120)의 양극과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의 양극에 연결되며, MOS 트랜지스터의 제어단은 충전 제어 회로에 연결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어댑터(200)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고, 또한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MOS 트랜지스터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런 경우, 충전 회로에 의해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또한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어댑터(200)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지만,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검출하면, MOS 트랜지스터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런 경우, 여전히 충전 회로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어댑터(200)와 충전 인터페이스(130)가 분리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면, MOS 트랜지스터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런 경우, 배터리(120)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단말 장치(100)의 충전 과정에서 어댑터(200)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되어 있으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단말 장치(100)와 어댑터(200)가 분리되면, 배터리(120)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와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는 어댑터(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므로, 이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에 누전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의 누전으로 인해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력 소비 장치는 두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그 중 하나의 그룹은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로 인한 단말 장치의 심각한 누전을 검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단말 장치의 경미한 누전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장치(180)는 획득 모듈(181) 및 제어 모듈(182)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181)은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어 모듈(182)은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술한 모듈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모듈(181)은 배터리(120)의 전압 변화 및/또는 배터리(120)의 전류 소비를 검출함으로써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한다. 배터리의 전류 소비는 배터리가 전력을 소비할 때 배터리가 배치된 회로의 전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획득 모듈(181)은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배터리의 전압 변화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 내에 배터리의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면 배터리가 맣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배터리의 전압이 천천히 떨어지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터리의 전압이 거의 변하지 않으면 배터리가 거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는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배터리의 전류 소비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가 많은 양의 전류를 소비하면 배터리가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배터리의 전류 소비양이 적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터리 전류 소비양이 적거나 또는 0이면 배터리가 거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는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고,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배터리 전압 변화 및 배터리의 전류 소비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전력 소비 정보의 정확성을 확보한다. 전압 검출 회로 및 전류 검출 회로는 도 3에 도시된 회로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배터리(120)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하지만 배터리(120)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20)의 전압 변화 및 배터리(120)의 전류 소비에 따라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배터리(120)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배터리(120)가 소비하는 전류가 항상 0보다 크고 안정 상태에 있는 경우(즉, 배터리(120)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음), 배터리(120)에 연결된 장치에 누전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장치에 의하면,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누전을 발견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가 저전력 소비 상태에 있을 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다. 또한 저전력 소비 상태는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 및 파워 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블랙 스크린 상태에 있고, 통신 네트워크 장치 등이 작동 중지 상태에 있으며, 단지 시스템 핵심 장치(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IC)가 작동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파워 오프 상태'는 단말 장치의 모든 장치가 작동 중지 상태에 있고, 즉 단말 장치가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쉽게 설명하면, 단말 장치가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에 있는지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의 배터리가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통신 네트워크 장치와 같은 배터리 구동 장치의 전력 소비로 인한 누전 검출의 불정확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에 전력이 없거나 또는 저전력인 경우,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충전하는 것을 선택한다.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충전 중단 신호를 수신한 후에 충전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충전 제어 회로에 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 회로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예를 들면, MOS 트랜지스터)를 제어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하고,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며, 또한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배터리(120)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200)가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어 있으면,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 및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계속 충전 회로에 의해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는 배터리(1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충전 제어 회로는 제어 모듈(182)에 누전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 모듈(182)은 누전 검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누전 검출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어 모듈(182)은 먼저 단말 장치(100)가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에 있는지 여부, 즉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가 작동 중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2)가 작동 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 모듈(182)은 단말 장치(100)의 누전을 검출하기 시작한다. 이 때, 획득 모듈(181)은 배터리(120)의 전압 변화 및/또는 배터리(120)의 전류 소비를 획득하고, 제어 모듈(182)은 배터리(120)의 전압 변화 및/또는 배터리(120)의 전류 소비에 따라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 내에 배터리(120)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또는 배터리(120)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음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또는 배터리(120)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배터리(120)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음이 검출되면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단말 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어댑터(200)를 충전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면, 충전 제어 회로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검출하기 시작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충전 제어 회로는 충전 회로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충전 제어 스위치(150)를 제어하여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110) 중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111)에 전력을 공급하며, 리셋 신호 및 충전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리셋 신호를 수신한 다음에 시동되고, 충전 중단 신호에 따라 충전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그 후의 충전 과정 및 누전 검출 과정은 단말 장치(100)가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82)은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 정보를 표시하도록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고,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대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누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단말 장치(1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누전 검출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의 현재 상황을 제때에 알 수 있도록, 제어 모듈(182)은 누전 검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전 검출이 끝난 후에, 만약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82)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100)를 안심히 사용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만약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82)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배터리(120)의 전력 소비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즉시 수리하도록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의 지시 램프가 깜박이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램프를 제어하여 붉은 빛을 내도록 하고, 또한 높은 빈도로 깜박이도록 한다. 또는 단말 장치(100)의 음성 방송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즉시 고객 서비스 아울렛에 가서 검사하고 수리한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알림 메시지를 무시하고 단말 장치(100)를 계속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에게 여러번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적어도 세번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몇번이나 주의를 환기시켰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문제를 처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20)의 전압 변화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누전이 심각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일부 위험 장치(콘덴서 등)를 제한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 장치(100)의 누전이 심각한 경우,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여 전원이 꺼지고 시동할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장치에 의하면,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이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제어 모듈은 획득 모듈이 획득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누전을 발견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즉시 주의를 환기시켜 제때에 수리하도록 하며, 누전으로 인한 잠재적인 안전 위험 및 사용 기간이 짧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사용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상술한 누전 검출 장치(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장치에 의해,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의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이때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며, 또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심',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길이', '넓이', '두께', '위', '아래', '전', '후'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꼭대기', '밑', '내부', '외부', '시계 방향', '반 시계 방향',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등 용어가 가리키는 방향 관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을 기반으로 하는 방향 관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갖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되는 것을 명시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제 1', '제 2'등 용어는 단지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명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여기에 언급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 1', '제 2'등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명시하거나 또는 암시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다수개'는 적어도 두개를 가리키며, 예를 들어, 두개, 세개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설치', '연결', '연접', '고정'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명확한 규정이 없는 한,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될 수 있고;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두 구성 요소 사이는 연통될 수 있고, 또는 두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특정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제 1 특징은 제 2 특징의 '위'또는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과 제 2 특징은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제 1 특징과 제 2 특징은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특징은 제 2 특징의 '위쪽', '상방', '윗면'에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은 제 2 특징의 바로 위에 있거나 또는 비스듬히 위쪽에 있거나, 또는 단지 제 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 2 특징의 수평 높이보다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제 1 특징은 제 2 특징의 '아래쪽', '하방', '아랫면'에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은 제 2 특징의 바로 아래에 있거나 또는 비스듬히 아래쪽에 있거나, 또는 단지 제 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 2 특징의 수평 높이보다 낮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참조 용어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또는 '일부 예시'등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와 관련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술한 용어의 예시적인 기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의 실시예 또는 여러 실시예 또는 예시에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순이 없는 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할 수 있다.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절차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전문 기술자라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당업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듯이, 설명의 편의와 간결을 위해, 상술한 시스템, 장치 및 장치의 상세한 동작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들 들어, 여러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기능은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분리된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여러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의 요지,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 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로딩하여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단계 또는 일부 단계가 실행된다. 상기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술한 실시예를 변경, 수정, 교체 및 변형할 수 있다.

Claims (19)

  1.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는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분할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상기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 2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 및/또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또는 일정 기간 내의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가 전압 변화 한계치보다 큰 경우, 또는 상기 배터리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저전력 소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소비 상태는 블랙 스크린 대기 상태 및 파워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누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누전 검출 방법.
  7. 단말 장치로서,
    배터리,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 검출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는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분할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상기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 2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 2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가 있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 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는 전압 검출 회로 및 전류 검출 회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제 1 레지스터 및 제 2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지스터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레지스터의 일단은 상기 제 1 레지스터의 타단에 연결되고, 또한 제 1 노드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레지스터의 타단은 접지되고,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 회로는 제 8 레지스터, 제 9 레지스터, 제 10 레지스터, 제 1 증폭기, 및 제 11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8 레지스터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레지스터의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9 레지스터의 일단은 상기 제 8 레지스터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0 레지스터의 일단은 상기 제 8 레지스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증폭기의 음극 입력단은 상기 제 9 레지스터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증폭기의 양극 입력단은 상기 제 10 레지스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1 레지스터는 상기 제 1 증폭기의 음극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단은 상기 전류 검출 회로의 출력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 및/또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또는 일정 기간 내의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가 전압 변화 한계치보다 큰 경우, 또는 상기 배터리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저전력 소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충전 제어 스위치와 충전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어댑터 또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상기 제 1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또는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는 상기 어댑터와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사이의 충전 경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또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 사이의 충전 경로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충전 인터페이스, 연결 관리 회로, 및 상태 관리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어댑터 연결되고,
    상기 연결 관리 회로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상태 관리 회로는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단말 장치로서,
    배터리, 프로세서, 메모리, 및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여러개의 전력 소비 장치는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분할되며,
    상기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누전을 검출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누전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상기 어댑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 2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 2 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완전히 충전되고 또한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그룹의 전력 소비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 및/또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 소비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또는 일정 기간 내의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가 전압 변화 한계치보다 큰 경우, 또는 상기 배터리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류 소비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누전 현상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207002489A 2018-02-01 2018-02-01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 KR102318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4938 WO2019148421A1 (zh) 2018-02-01 2018-02-01 终端设备及其漏电检测方法和检测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469A KR20200022469A (ko) 2020-03-03
KR102318242B1 true KR102318242B1 (ko) 2021-10-27

Family

ID=6747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489A KR102318242B1 (ko) 2018-02-01 2018-02-01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4483B2 (ko)
EP (1) EP3546962B1 (ko)
JP (1) JP6977143B2 (ko)
KR (1) KR102318242B1 (ko)
CN (1) CN110366687B (ko)
WO (1) WO2019148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3213B2 (ja) * 2018-03-16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システム、及び二次電池制御方法
CN110687467A (zh) * 2019-11-13 2020-01-14 珠海冠宇电池有限公司 一种锂电池漏电流的检测方法
CN112098864B (zh) * 2020-09-25 2023-10-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漏电流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20B1 (ko) * 2006-07-24 2008-07-10 주식회사 애트랩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CN107271918A (zh) * 2017-07-21 2017-10-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电池安全监控方法和监控***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263B1 (ko) * 1997-05-21 2000-06-15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그 충전방법
KR100639731B1 (ko) * 1999-09-03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작동방법
US6545448B1 (en) * 2001-12-18 2003-04-08 Intel Corporation Detection of the end-of-life for a rechargeable battery
US8120325B2 (en) * 2007-08-10 2012-02-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attery short circuit monitoring
JP2009170397A (ja) * 2007-12-18 2009-07-30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電池パックを用いる携帯機器、電池パックにおける内部ショート検出方法、内部ショート検出プログラム
JP4523656B2 (ja) * 2008-05-29 2010-08-1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コンピュータの試験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TWI413788B (zh) * 2009-06-22 2013-11-01 Quanta Comp Inc 電池電量量測電路及其方法
JP5474454B2 (ja) * 2009-09-07 2014-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流検出回路を備える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このバッテリシステムを搭載する車両
WO2011160258A1 (zh) 2010-06-24 2011-12-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获取电池的劣化度的方法和***
US8450976B2 (en) * 2010-10-29 2013-05-28 O2Micro, Inc. Power topology with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e current protection capabilities
WO2013001335A2 (en) * 2011-06-27 2013-01-03 Hap Nguyen System and method of eliminating wasted energy known as vampire electricity or phantom load loss
US9806547B2 (en) * 2011-09-29 2017-10-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to secure power-up for battery operating devices even with low current chargers and to execute other performances
CN103904699B (zh) * 2012-12-24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源配置方法及装置
CN104375613A (zh) * 2013-08-12 2015-02-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供电方法及一种电子设备
JP6272135B2 (ja) * 2014-05-20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消費システム、漏電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48303B1 (ko) * 2015-06-19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의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989491B1 (ko) * 2015-11-30 2019-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언노운 방전 전류에 의한 배터리 셀의 불량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17204978A (ja) * 2016-05-13 2017-11-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モバイル機器
CN106249833A (zh) * 2016-07-27 2016-12-21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的供电方法及终端设备
CN107870301B (zh) * 2016-09-27 2020-09-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微短路的检测方法及装置
CN108241102A (zh) * 2016-12-23 2018-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微短路的检测方法及装置
CN106740132B (zh) * 2016-12-29 2019-08-16 晋电(天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锂电池智能监控管理***
AU2017387185B2 (en) * 2016-12-30 2020-1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Battery leakage current detection method, device and circuit
CN106680651A (zh) * 2017-01-03 2017-05-1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漏电流检测装置及车辆充电设备
CN106532875B (zh) * 2017-01-13 2019-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7450701B (zh) * 2017-07-21 2020-02-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电池安全监控方法、***
EP3480611B1 (en) * 2017-08-25 2022-12-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device, adapter, battery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WO2019037108A1 (zh) * 2017-08-25 2019-02-28 深圳市云中飞网络科技有限公司 终端设备、适配器、电池安全监控方法和监控***
US11171496B2 (en) * 2017-08-25 2021-11-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battery assembly and battery protection board
JP6938687B2 (ja) * 2017-08-25 2021-09-22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端末装置及びそのバッテリー安全性監視方法
CN110062978B (zh) * 2017-11-13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适配器、终端设备及其电池安全监控方法和监控***
FI127776B (en) * 2018-02-08 2019-02-15 Akkurate Oy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TERNAL BATTERY LEAKER FLOW INDIC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20B1 (ko) * 2006-07-24 2008-07-10 주식회사 애트랩 배터리를 이용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재충전 시기 검출 방법
CN107271918A (zh) * 2017-07-21 2017-10-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电池安全监控方法和监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469A (ko) 2020-03-03
WO2019148421A1 (zh) 2019-08-08
JP6977143B2 (ja) 2021-12-08
EP3546962A4 (en) 2020-02-05
US11054483B2 (en) 2021-07-06
CN110366687A (zh) 2019-10-22
CN110366687B (zh) 2021-06-01
EP3546962A1 (en) 2019-10-02
JP2020528727A (ja) 2020-09-24
US20190265307A1 (en) 2019-08-29
EP3546962B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8585B2 (en) Method for preventing abnormality during wireless charging
US100693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abling a power-on function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for same
KR102318242B1 (ko) 단말 장치 및 그 누전 검출 방법
US82655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warning
US84770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warning
KR20090038273A (ko) 외부 장치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JP2005151632A (ja) 充電・給電制御方法及び充電・給電装置
US10848000B2 (en)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receiving method
JP2004078881A (ja) Pdaと無線通信システムとの統合インターフェイス用の回路と動作方式
US2013014998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urgent communication
JP5685690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システム、並びにバッテリ残量警告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82912A (ko)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CN220305433U (zh) 接口电路及电子设备
JP6968605B2 (ja) 受電装置、受電方法、受電プログラム、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給電方法
KR100328859B1 (ko)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JP5558044B2 (ja) 携帯電子機器
CN112583064A (zh) 充电控制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
JP2021069158A (ja) 充電装置、及び無線通信ユニット
JP2004282985A (ja) 電子装置
KR19990039227A (ko) 전원 상태 통보 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의 기지국 및 그 방법
KR20040037999A (ko)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확인방법
JP2016213932A (ja) 電子機器
KR200100196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레벨 확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